KR101512901B1 -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901B1
KR101512901B1 KR1020130125594A KR20130125594A KR101512901B1 KR 101512901 B1 KR101512901 B1 KR 101512901B1 KR 1020130125594 A KR1020130125594 A KR 1020130125594A KR 20130125594 A KR20130125594 A KR 20130125594A KR 101512901 B1 KR101512901 B1 KR 101512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represented
preventing
compound
compositio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환
정규혁
지옥표
박용주
이민선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2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901B1/ko
Priority to US14/517,136 priority patent/US97956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18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3/188Unsaturated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Cyperaceae (Sedge family)
    • A61K36/8905Cyperus (flatsed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에스트로겐 제제, 및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부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Novel sesquiterpenoid compound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에스트로겐 제제, 및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부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이 나이가 들면서 난소가 노화되어 기능이 떨어지면서 배란 및 여성호르몬의 생산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 바로 폐경이며, 대개 1년간 생리가 없을 때 폐경으로 진단한다. 이러한 변화는 대개 40대 중후반에서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데, 이때부터 생리가 완전히 없어지는 폐경이 나타난 이후의 약 1년까지를 폐경이행기, 더 흔히는 갱년기라고 하며 그 기간은 평균 4~7년 정도이다. 폐경 자체는 난소의 노화에 의한 것이며, 질병이라기보다는 자연적인 신체적 변화 과정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갱년기 질환은 갱년기, 대개 50세를 전후하여 여성 성기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체중조절, 뼈 관리를 돕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저하되면서 발병하는 질환으로 갱년기가 아니더라도 난소 절제, 난소 기능저하 등 다른 원인에 의한 에스트로겐 결핍 환자에서도 동일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갱년기 질환은, 복부비만, 자궁위축, 인지장애, 혈류장애, 피부 노화 등의 신체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집중력 저하, 불면, 두통, 이명, 신경과민 등의 정신신경계통에서 증상을 나타내므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폐경 후의 여성 인구가 증가하면서 폐경 후 여성의 심혈관 질환과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과 프로게스틴 (progestin)을 이용하는 호르몬 대체 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을 시행하고 있으나 장기적인 호르몬 대체 요법의 사용으로 유방암 발생 등의 부작용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갱년기 질환이 심각한 경우에 사용하는 이러한 호르몬 대체요법은 다양한 부작용을 수반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이에,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일부 사용되고 있으나 에스트로겐에 비교해 약한 효능과 이들 또한 체내 과다 노출 시 유방암 유발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에스트로겐 효능을 나타내어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면서도, 과도한 작용을 나타내지 않아 유방암 등의 유발 가능성이 적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알러지(allergy)란, 이물질에 대하여 특이적이고 변형된 반응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현상이다. 알러지 반응 시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이 방출되어 알러지 반응 특유의 증상을 일으키게 되며, 이때 알러지를 유발하는 이물질을 알러젠(allergen)이라고 한다. 알러지의 발생 원인은 항원-항체 반응의 결과로 나타나는 생체의 병적 과정이며, 일반적으로 반응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시간 및 보체 관여(complement-mediated) 유형에 따라 1 내지 4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알러지 반응 시에 대식세포(macrophage)가 제시한 외부 항원에 의해서 활성화된 헬퍼 T-세포에 의해 B-세포에서 IgE가 생성되며, 생성된 IgE는 비만세포막의 고친화성 IgE항체 수용체(FcRIa)에 결합하게 된다. 결합한 복수의 IgE 항체에 진드기, 꽃가루 등의 항원이 결합하여 가교를 이루면 수용체가 응집하게 되고, 이러한 가교 및 응집에 의하여 비만세포는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세포질 내의 칼슘 이온(Ca2 +) 농도 등이 상승하여, 탈과립(degranulation)을 가져온다. 탈과립시 히스타민(histamine)과 같이 비만세포에서 화학전달물질이 유리되는 것과 동시에 새로 합성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eukotriene) 등이 함께 분비된다. 탈과립으로 유리되는 화학전달물질에는 혈관확장, 혈관투과성 항진,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이나 분비항진 등의 작용을 갖는 히스타민, 세로토닌(serotonin) 및 류코트리엔 이외에 호산구나 호중구 등 염증세포의 주화성 인자로 작용하는 NCF(neutrophil chemotactic factor), ECF(eosinophil chemotactic factor), 및 PAF(platelet activating factor) 등이 있으며, 이들 화학전달물질에 의해서 알러지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알러지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제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및 항히스타민제 또는 항류코트리엔제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대부분 강력한 면역억제 작용을 가지므로 단기간 내에 일시적인 진정 효과를 나타낼 수는 있지만, 메스꺼움 등의 가벼운 부작용부터 성장 억제나 골다공증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까지 있어 장기간 복용에는 많은 문제가 따른다. 후자는 일시적인 완화 효과를 보일 수는 있으나, 졸림이나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효능 및 효과에 더하여 보다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화합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 및 항알러지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규명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에스트로겐 활성 및 항알러지 효능을 모두 나타낼 수 있는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규명하였다. 상기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은 부작용이 적은 에스트로겐 제제로서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여 에스트로겐 활성 및 항알러지 활성을 모두 우수하게 나타낼 수 있는 향부자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규명하여, 상기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부자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갱년기 질환 및 항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95083711-pat00001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에스트로겐 제제, 및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함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갱년기 질환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향부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부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알러지성 질환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부자의 탄소수 1 내지 4인 알코올 추출물로부터 상기 화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95083711-pat00002

본 발명에서는, 에스트로겐 활성 및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향부자 추출물의 특정 분획으로부터, 에스트로겐 활성 및 항알러지 활성 모두를 나타낼 수 있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규명하였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3α-메톡시유데스마-4,11-다이엔(3α-methoxyeudesma-4,11-diene) 또는 7-메톡시-4a,8-다이메틸-2-(프로프-1-엔-2-일)-1,2,3,4,4a,5,6,7-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7-methoxy-4a,8-dimethyl-2-(prop-1-en-2-yl)-1,2,3,4,4a,5,6,7-octahydronaphthalene)으로 명명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에스트로겐 활성 및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를 에스트로겐이 감소되어 유발되는 갱년기 질환, 및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낮은 농도의 에스트로겐에서는 에스트로겐 활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반면, 에스트로겐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에스트로겐의 활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막는 특징을 지녀, 과도한 에스트로겐 활성으로 유발되는 유방암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갱년기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을 함하는 식물 등으로 분리 정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 향부자(cyperus rotundus)로부터 분리 정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향부자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헥산(hexane)으로 분획한 다음, 헥산 분획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향부자의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으로 용매 분획하여 수득한 분획물을 실리카 겔 컬럼에 적용한 다음, 헥산/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3:1 및 1:1),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디클로로메탄/메탄올(10:10:1)로 용출하여 14개의 소분획을 수득하고, 이 중 10번째 소분획을 실리카 겔 컬럼에 적용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분획을 실리카 겔 컬럼에 적용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10:1 내지 1:1)로 용출하여 상기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양이온과 음이온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 물질인 염 중에서도 약제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염을 의미하는데, 통상적으로 금속염, 유기 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알루미늄염 등이 될 수 있고; 유기 염기와의 염으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무기산과의 염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유기산과의 염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르기닌, 라이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의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중심을 가질 수 있으므로, R 또는 S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및 개개 부분입체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모든 이성질체 및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향부자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항알러지 활성 및 에스트로겐 활성을 확인하였으며(도 1 내지 3), 향부자 추출물의 분획물 중 우수한 에스트로겐 활성 및 항알러지 활성을 모두 나타내는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규명하였다(도 4). 3α-메톡시유데스마-4,11-다이엔로 명명되는 본 발명의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은 항알러지 활성 및 에스트로겐 활성을 모두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일 뿐만 아니라, 에스트로겐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에스트로겐 활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막는 특징을 지녀, 과도한 에스트로겐 활성으로 유발될 수 있는 유방암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도 5 내지 8). 따라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갱년기 질환,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갱년기 질환”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저하되면서 발병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갱년기 질환은, 폐경에 의한 갱년기 여성뿐만 아니라, 난소 절제 또는 난소 기능저하와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한 에스트로겐 결핍 환자에서 발병하는 질환 역시 포함한다.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성기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혈액 순환, 체중 관리 및 뼈 관리를 돕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호르몬으로서, 에스트로겐이 결핍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 예로, 상기 안면홍조, 발한, 피부 건조, 질 건조증, 질 위축, 하부 요도 위축, 성교통,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소, 성욕 감퇴, 근육통, 관절통 및 골다공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증상을 수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발병을 저해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환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다양한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의 방식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하며,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에스트로겐 제제 또는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갱년기 질환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에스트로겐 성분이 강화된, 식품 조성물로도 명명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지니므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성분과 함께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이의 첨가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은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 등의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함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갱년기 질환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약학적 조성물 및 갱년기 질환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갱년기 질환 의심 개체 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개체는 개, 소, 말, 토끼, 마우스, 랫트, 닭 또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전체를 의미하나, 상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포유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비 경구, 피하, 복강 내, 폐 내 또는 비강 내로 투여될 수 있고, 국부적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면 병변 내 투여를 포함하는 적합한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알러지성 질환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알러지성 질환"은 이물질(항원, Allergen)에 대한 특이하고 변형된 반응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현상이며, 이 때 방출된 물질이 증상을 일으키게 되면 알러젠이라 하고 그 결과 생긴 질환을 알러지 질환이라고 한다. 알러지의 발생원인 항원항체반응의 결과로 나타나는 생체의 병적 과정이며, 일반적으로 반응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시간 및 보체관여의 유무에 따라 1~4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알러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가능하며, 그 예로 아토피, 천식, 과민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또는 약품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알러지성 질환 및 식품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알러지성 질환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하며, 피부 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인위생용품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비누, 화장품, 물티슈, 휴지, 샴푸, 피부 크림, 얼굴 크림, 치약, 립스틱, 향수,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볼터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선스크린 로션,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겔 또는 세정 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또 다른 예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충진제가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부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알러지성 질환 및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부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부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라면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향부자(cyperus rotundus)”는 사초과의 다년초로서, 옆으로 뻗어 자라는 뿌리줄기가 있고, 뿌리 끝에 덩이줄기가 있는 특징이 있는 식물이다. 향부자는 다년생 초본으로, 바닷가와 냇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라며, 척박한 땅에도 잘 자라지만 추위에는 약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향부자 추출물”은 향부자를 추출하여 수득한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향부자 추출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도록, 향부자를 추출한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향부자 추출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향부자의 탄소수 1 내지 4인 알코올의 추출물이며,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인 알코올의 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향부자 추출물의 분획물”은 향부자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분획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정제하여 얻은 분획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향부자 추출물의 분획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제조된 향부자 추출물의 분획물이며, 바람직하게는 향부자의 탄소수 1 내지 4인 알코올 추출물의 헥산(hexane) 분획물,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부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향부자, 이의 추출물 및 분획물, 알러지성 질환 및 식품 조성물의 형태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부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알러지성 질환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향부자, 이의 추출물 및 분획물, 약학적 조성물 및 알러지성 질환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알러지성 질환 의심 개체 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개체는 개, 소, 말, 토끼, 마우스, 랫트, 닭 또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전체를 의미하나, 상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포유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비 경구, 피하, 복강 내, 폐 내 또는 비강 내로 투여될 수 있고, 국부적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면 병변 내 투여를 포함하는 적합한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향부자의 탄소수 1 내지 4인 알코올 추출물로부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향부자, 이의 추출물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향부자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항알러지 활성 및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부자 추출물, 그 예로 탄소수 1 내지 4인 알코올 추출물로부터 당업계의 다양한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의 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은 에스트로겐 활성, 및 항알러지 활성을 모두 나타내므로, 이를 에스트로겐이 감소되어 유발되는 갱년기 질환, 및 항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의 용매 분획(헥산, 디클로로메탄(MC), 에틸아세테이트(EA), 부탄올(BuOH) 및 물(DW))의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매 분획(헥산 분획, 디클로로메탄 분획)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소분획(30% 에탄올 분획, 50% 에탄올 분획, 70% 에탄올 분획, 95% 에탄올 분획, 아세톤 분획 및 물 분획)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향부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화합물 [1])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화합물 [1]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타목시펜 병용 투여에 의한 화합물 [1]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에스트로겐 고농도(10-7M) 병용투여에 의한 화합물 [1]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에스트로겐 저농도(10-13M) 병용투여에 의한 화합물 [1]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향부자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항- 알러지 및 에스트로겐 활성 확인
(1)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 및 이의 유기용매 분획물의 제조
향부자(cyperus rotundus)를 세절하고, 메탄올 (MeOH)로 실온에서 2회 냉침하고 50℃ 수용상에서 1회 온침한 후 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구체적으로, 향부자 3.0 ㎏을 메탄올 4L로 실온에서 2회 냉침하고, 50℃에서 1회 추출하고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엑스(MeOH-extract) 283.56g을 얻었다.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 2.4L에 현탁한 후 헥산(34.61g), 디클로로메탄(CH2Cl2)(10.71g), 에틸아세테이트(EtOAc)(3.70g), n-부탄올(BuOH)(18.31g), 증류수(H2O)(204.51g)로 상법에 따라 차례로 분획하여 5개의 분획물을 얻었다.
(2)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컬럼 분획물의 제조
향부자 1.2 ㎏을 에탄올 1.6L로 실온에서 3회 추출하고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엑스 57.96g을 얻었다. 얻어진 에탄올 추출물을 Diaion HP-20 컬럼에 적용하고 증류수(H2O), 증류수-에탄올 혼합액 및 아세톤으로 차례로 용출하여 증류수(38.9g), 30% 에탄올(3.5g), 50% 에탄올(1.9g), 70% 에탄올(3.7g), 95% 에탄올(6.55g) 그리고 아세톤(3.63g) 각각의 분획물을 얻었다.
(3) 향부자 추출물의 분획물의 항알러지 활성 확인
향부자 추출물의 용매 분획에 대하여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β-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어세이(β-hexosaminidase release assay)를 실시하였다.
β-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어세이는, RBL-2H3 세포주를 활성 인자로 활성화시킨 후 활성화된 세포에 안티젠을 처리한 후 분비된 β-헥소사미니데이즈 양을 측정하여 탈과립화 억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하는 실험으로, 하기와 같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RBL-2H3 세포주를 15%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과 L-글루타민(Glutamine)을 포함하는 이글염(Eagle's salt)을 포함하는 최소 기본 배지(Minimum essential media, 이하 EMEM)를 이용하여 37 ℃,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며, 고착성을 갖는 세포를 트립신(Trypsin)-EDTA 용액을 사용하여 부유시키며 이를 분리, 회수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RBL-2H3 세포주를 활성인자(Dinitrophenol-conjugated human serum albumin, (DNP-HSA)-specific IgE)로 활성화시킨 후 활성화된 세포에 안티젠(DNP-HSA) 200 ng/mL을 처리하고 향부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0, 6.25, 12.5, 25, 50, 100 μg/mL을 각각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서 케토티펜(ketotifen) 50 μg/mL을 사용하였다. 이후 흡광광도계(microplat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배지 내로 분비된 베타 헥소사미니다제(β-hexosaminidase) 양을 측정하였다. 베타 헥소사미니다제 분비 양의 억제는 면역세포의 탈과립화를 방지함을 의미한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의 용매 분획 중에서 헥산 분획, 디클로로메탄(MC, CH2Cl2) 분획 및 n-BuOH 분획에서 강한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4) 향부자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에스트로겐 활성 확인
향부자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에스트로겐 활성 확인을 위하여 E-스크린 분석(E-screen assay)을 실시하였다.
E-스크린 분석은 물질의 에스트로겐 작용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ER)가 내재적으로 발현되어 있는 유방암 세포주 MCF-7-bus가 에스트로겐성 물질에 의해 성장이 촉진되는 효과를 이용하는 실험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MCF-7-bus 세포를 5% FBS DMEM 배지로 배양하여 48-웰 플레이트에 5 x 103 세포수/웰 씩 분주(seeding)하였다. 37℃,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한 뒤 페놀 레드(phenol red)가 없는 배지로 2차례 세척하였다. 시험 물질은 5% CD-FBS DMEM에 농도별로 희석을 하여 세포에 처리를 하며, 용매의 농도는 0.1%를 원칙으로 하고, 144시간(6일) 배양 후, TCA (Trichloroacetic acid) 용액으로 세포를 플레이트에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는 SRB (Sulforhodamin B) 염료로 염색하며, 플레이트에 남아있는 SRB 염료는 아세트산으로 세척하여 제거하고. 세포에 염색된 SRB 염료는 트리스 베이스(tris base) 용액으로 용출시킨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며, SRB 염료의 양을 계산하여 시험물질의 에스트로겐성 작용을 확인하였다.
용매 추출법에 의해 분획한 5개의 분획물 중 반응성이 낮은 n-부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외한, 헥산 분획물, 디클로로메탄(MC, CH2Cl2) 분획물 및 메탄올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작용을 확인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탄올 추출물, 헥산 분획물 및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내었으며, 반응성은 메탄올 추출물, 헥산 분획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순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또한,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을 Diaion HP-20 컬럼에 의해 분획한 6개의 분획물의 에스트로겐 작용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3a 및 b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세톤 분획물, 물 분획물, 30% 에탄올 분획물 및 50% 에탄올 분획물에서는 약한 에스트로겐 작용을 보였으며, 반면 95% 및 70% 에탄올 분획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에스트로겐 작용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향부자 추출물로부터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1]의 분리 및 활성 확인
(1)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1] 규명
우수한 항알러지 활성 및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낸 향부자 추출물의 헥산 분획으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규명하였고, 그 과정은 하기와 같았다.
구체적으로, 헥산 용매 분획을 실리카 겔 컬럼에 적용한 다음, 헥산/디클로메탄 (3:1), 디클로메탄, 및 헥산/디클로메탄/메탄올(10:10:1)을 용출 용매로 하여 14개의 소분획을 얻었고, 그 중 소분획 10을 실리카 겔 컬럼에 적용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10:1~1:1)로 용출시켜 화합물 [1]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1]의 구조는, 각종 기기분석 데이터를 통하여 3α-메톡시유데스마-4,11-다이엔(3α-methoxyeudesma-4,11-diene)으로 규명되었다(도 4).
[1] 3α-메톡시유데스마-4,11-다이엔(3α-methoxyeudesma -4,11-diene) : Colorless oil; 1H-NMR (CDCl3, 500MHz) δ 1.04 (3H, s, H-15), 1.74 (3H, brs, H-14), 1.76 (3H, brs, H-13), 2.56 (1H, m, H-6a), 3.37 (1H, m, H-3), 3.40 (3H, s, OMe), 4.72 (2H, brs, H-12); 13C-NMR (CDCl3, 125MHz) δ 17.5 (C-14), 21.1 (C-13), 22.3 (C-9), 23.2 (C-15), 27.6 (C-2), 31.1 (C-6), 34.7 (C-1), 35.0 (C-8), 42.3 (C-10), 46.5 (C-7), 57.3 (OMe), 79.3 (C-3), 108.5 (C-12), 124.8 (C-4), 140.6 (C-5), 150.7 (C-11); EI-GC/MS m/z 234 [M]+ (56), 219 (77), 202 (17), 187 (29), 152 (100), 138 (90), 119 (31), 105 (50), 91 (49), 79 (31).
(2) 화합물 [1]의 에스트로겐 활성 확인
향부자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1]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E-스크린 어세이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이의 작용기전을 타목시펜(tamoxifen)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타목시펜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억제제로서, 타목시펜과 본 발명의 화합물을 병용 처리하여 상기 화합물 [1]이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매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5 및 6에 나타내었다.
MCF-7-bus 세포를 5% FBS DMEM 배지로 배양하여 48 웰 플레이트에 5 x 103세포수/웰 씩 분주(seeding)하였다.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48시간 배양한 뒤 페놀 레드(phenol red)가 없는 배지로 2차례 세척하였다. 시험 물질은 5% CD-FBS DMEM 에 농도별로 희석을 하여 세포에 처리를 하며, 용매의 농도는 0.1%를 원칙으로 하고, 144시간(6일) 배양 후, TCA (Trichloroacetic acid) 용액으로 세포를 플레이트에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는 SRB (Sulforhodamin B) 염료로 염색하며, 플레이트에 남아있는 SRB 염료는 아세트산으로 세척하여 제거하고. 세포에 염색된 SRB 염료는 트리스 베이스(tris base) 용액으로 용출시킨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며, SRB 염료의 양을 계산하여 시험물질의 에스트로겐성 작용을 확인하였다. 시험 물질이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매개로 에스트로겐성 작용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물질을 타목시펜 10-6M과 혼합하여 MCF-7 bus 세포에 처리 하여 e-screen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1]은 우수한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었으며(도 5), 타목시펜과의 병용 처리에 의하여 현저하게 그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부터 에스트로겐 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3) 화합물 [1]의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SERM )로서의 기능 확인
상기 (1)에 더하여, 화합물 [1]의 SERM으로서의 기능 여부를, 저농도 또는 고농도 에스트로겐과 병용 처리함으로써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체내에 에스트로겐이 과량 존재할 시에 시험물질이 estrogen의 길항제(antagonist)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물질을 고농도의 에스트라디올(estradiol, 10-7M)과 혼합하여 MCF-7 bus 세포에 처리하였고, 체내에 에스트로겐이 결핍 시에 시험물질이 estrogen의 효능제 (agonist)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물질을 저농도의 에스트라디올(10-13M)과 혼합하여 MCF-7 bus 세포에 처리하고 각각 e-screen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7 과 도 8에 각각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7 및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1]은 체내의 에스트로겐 양이 부족하면 에스트로겐 보조제로서 역할을 하고, 에스트로겐의 양이 과도할 시에는 에스트로겐 억제제로서의 역할을 하여 체내의 에스트로겐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물질임을 나타내었다.
(4) 화합물 [1]의 항알러지 효능 확인
또한, 화합물 [1]이 탈과립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항알러지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인지 여부를 β-헥소사미데이트 방출 어세이를 통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았다.
화합물 [1]의 β- 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어세이(β- hexosaminidase release assay )를 이용한 항알러지 활성 (50 ㎍/㎖)
화합물 탈과립억제활성(%, Mean ± SD )
화합물 [1] 41.7±5.40
Ketotifen 50.5±2.28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1]은 탈과립 억제활성을 나타내어, 상기 화합물 [1]을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삭제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26620499-pat0001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지는 것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질환은 안면홍조, 발한, 피부 건조, 질 건조증, 질 위축, 하부 요도 위축, 성교통,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소, 성욕 감퇴, 근육통, 관절통 및 골다공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증상을 수반하는 것인, 조성물.
  5. 삭제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26620499-pat00014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26620499-pat00015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성 질환은 아토피, 천식, 과민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또는 약품 알러지인 것인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26620499-pat00016

  10.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26620499-pat00017

  1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부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26620499-pat00018

  1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부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26620499-pat00019

  13. 향부자의 탄소수 1 내지 4인 알코올 추출물로부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5026620499-pat00020
KR1020130125594A 2013-10-21 2013-10-21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1512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594A KR101512901B1 (ko) 2013-10-21 2013-10-21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US14/517,136 US9795649B2 (en) 2013-10-21 2014-10-17 Sesquiterpenoid-based compounds, extracts of Cyperus rotundus comprising the same,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594A KR101512901B1 (ko) 2013-10-21 2013-10-21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901B1 true KR101512901B1 (ko) 2015-04-16

Family

ID=5305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594A KR101512901B1 (ko) 2013-10-21 2013-10-21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757B1 (ko) * 2015-12-30 2017-04-1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ll. Korea Chem. Soc., Vol.34, pp.2207-2210 (2013.06.27.) *
Bull. Korea Chem. Soc., Vol.34, pp.2207-2210 (2013.06.27.)*
Chem. Pharm. bull., Vol.15, pp.1395-1404 91967) *
Chem. Pharm. bull., Vol.15, pp.1395-1404 9196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757B1 (ko) * 2015-12-30 2017-04-1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139B1 (ko)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032066B1 (ko)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11361B1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5705B1 (ko) 향부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세스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358170A (zh) 包含柑橘未成熟果实提取物或辛弗林或其盐作为有效成分的用于治疗或预防炎症性皮肤疾病的组合物
KR102006998B1 (ko) 개머루덩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4346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US20200261526A1 (en) Composition For Remedying Female Climacteric Syndrome Symptoms
US9795649B2 (en) Sesquiterpenoid-based compounds, extracts of Cyperus rotundus compris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101512901B1 (ko) 신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US1189660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including inotodio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JP2013151437A (ja) 幹細胞から褐色脂肪細胞への分化促進剤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40142580A (ko) 질려자로부터 분리한 엔-트랜스-로우-카페오일 티라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20180129692A (ko) 홍경천 및 연자육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KR102347819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WO2021020857A1 (ko)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US10806766B2 (en) Method for treating,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KR20170074157A (ko) 메이스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3899B1 (ko) 치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17828A (ko) 향청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장애 또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6822A (ko) 천일담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30595A (ko) 도깨비바늘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