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768B1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768B1
KR101512768B1 KR1020080082467A KR20080082467A KR101512768B1 KR 101512768 B1 KR101512768 B1 KR 101512768B1 KR 1020080082467 A KR1020080082467 A KR 1020080082467A KR 20080082467 A KR20080082467 A KR 20080082467A KR 101512768 B1 KR101512768 B1 KR 10151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portable terminal
output
st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606A (ko
Inventor
박준석
강민훈
김정은
김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768B1/ko
Priority to EP09167911.8A priority patent/EP2157771B1/en
Priority to US12/542,534 priority patent/US9124713B2/en
Priority to CN200910163560A priority patent/CN101710917A/zh
Publication of KR2010002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768B1/ko
Priority to US14/788,527 priority patent/US1015874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본체의 전면에 제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본체의 후면에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제1 동작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그리고, 본체가 소정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제2 동작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움직임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전자종이, e-Paper, 가속도 센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움직임과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display)나 키패드(keypad)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 제약이 존재하며, 전력 효율성도 높아야 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며, 전체적인 전력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움직임과 터치스크린과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로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본체의 전면에 제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후면에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제1 동작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본체가 소정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동작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본체의 전면에 제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후면에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등록된 알람 시간의 도래시, 기설정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알람 신호의 출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가 소정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알람 신호의 출력을 소정 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전면에 제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후면에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단계, 통화 선택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가 소정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와 관련된 통신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제1 동작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 중력 가속도 방향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기 가속도 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가 소정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대 단말기와 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무선통신부, 본체 제1 면에 구비되는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디스플레이 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 중력 가속도 방향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등록된 알람 시간의 도래시, 기설정된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알람 신호의 출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가 소정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알람 신호의 출력이 소정시간 동안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입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 중력 가속도 방향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통화 선택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가 소정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와 관련된 다른 통신 메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력 가속도 방향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거나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의 전환이나 설정된 동작의 실행에 따라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사 용하여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과 전체적인 전력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 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141), 압력센서(143), 및 가속도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5)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 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145)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145)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로 전자종이(e-Paper)가 구성될 수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 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 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 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사용자 입력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후술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전자종이(e-Paper) 등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ab)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1b)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에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사용자 입력부는 시작, 종료, 통화 등과 같은 명령의 입력,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의 입력, 및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케이스(100A-2)에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 스(100A-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거울(미도시) 및 플래쉬(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플래쉬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A-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A-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종이(e-Paper)는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이 있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표시된 화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컬러 이미지의 표시가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흑백 이미지를 표시하지만 전원 차단 후에도 화상을 유지하며 전력 소모가 적은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특성을 다양한 동작 제어에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전면과 후면에 구비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1b)를 이용하여 양면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전자종이(e-Paper)로 구성하는 것은, 이하 설명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대기 화면이나 메뉴 선택 화면 등에서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동작 모드로 진입하여(S300), 제1 동작 모드에서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선택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302).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선택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동작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 제1 동작 모드에서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이 제1 동작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한다(S304).
이와 같이 제1 동작 모드에서 선택된 동작을 수행하고, 제1 동작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하는 과정은 본체(100A)의 회전이 감지되기 전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만일, 가속도 센서(143)에서 출력되는 값에 따라, 본체(100A)의 후면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 방향 등을 중심으로 본체(100A)가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S306), 제어부(180)는 제2 동작 모드로 진입하여(S308), 제2 동작 모드에서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선택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310).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2 동작 모드에서 선택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동작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 제2 동작 모드에서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이 제2 동작 모드와 관련된 화면 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한다(S312).
이때, 제2 동작 모드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이거나,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1b)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동작 모드, 혹은 제1 동작 모드에서 동작 중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동작 모드는 컬러 모드이고 제2 동작 모드는 흑백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제2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제1 동작 모드와 관련된 동작은 종료하거나 혹은 백그라운드 모드로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동작 모드에서 선택된 동작을 수행하고, 제2 동작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하는 과정은 본체(100A)의 회전이 감지되기 전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만일, 제2 동작 모드에서 다시 본체(100A)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S314), 제어부(180)는 다시 제1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300). 이 경우에도, 제2 동작 모드와 관련된 동작은 종료하거나 혹은 백그라운드 모드로 계속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0A)의 회전과 같은 움직임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고, 동작 모드의 전환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람 설정이 있는 경우 본체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1b)를 이용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알람이 설정되면(S330), 제어부(18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선택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면서(S332), 설정된 알람 시간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334).
S334 단계의 검사 결과, 설정된 알람 시간이 도래하면, 제어부(180)는 알람부(155) 등을 제어하여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S336),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알람 출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한다(S338). 알람 신호는 음향 신호, 빛, 진동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만일, 알람 신호가 음향 신호로 출력되는 경우, 본체(100A) 전면에 구비되는 음향출력모듈을 통해 알람 신호가 출력할 수 있다.
알람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속도 센서(143)에서 출력되는 값에 따라, 본체(100A)의 후면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 방향 등을 중심으로 본체(100A)가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S340), 제어부(180)는 소정 시간 동안 알람 출력을 정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342). 즉, 본체(100A)의 회전에 따라 알람 스누즈(snooze) 기능이 수행되며, 알람 신호의 출력이 일시 정지되는 시간은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선택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알람 출력 정지와 관련된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한다(S344). 알람 신호의 출력이 일시 정지된 후 다시 출력되는 경우, 알람 신호는 본체 후면에 구비되는 음향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알람 설정 해제가 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 어(S346), 본체(100A)의 회전에 따라 알람 스누즈 기능이 수행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얼링 메뉴에서 본체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1b)를 이용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음성통화나 메시지 전송 등을 위한 다이얼링 메뉴가 선택되면(S360), 제어부(18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전화번호 입력창과, 전화번호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숫자 등이 표시되는 표시창을 표시한다(S362). 그리고, 제어부(180)는 전화번호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표시창에 표시한다(S364).
전화번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통화가 선택되면(S366), 제어부(180)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를 연결하여, 통화가 수행되도록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한다(S368). 통화는 통화 종료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수행된다(S370).
만일, S366 단계에서 통화가 선택되지 않고, 가속도 센서(143)에서 출력되는 값에 따라, 본체(100A)의 후면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본체(100A)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 방향 등을 중심으로 본체(100A)가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S374),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서 메시지 전송이나 파일 전송 혹은 화상 통화 등과 같은 다른 통신 메뉴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376). 이러한 다른 통신 메뉴는 종료 선택 전까지 수행되며(S378), 종료가 선택되지 않고, 본체(100A)가 다시 회전하는 경우에는, S362 단계로 복귀한다.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면서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통화가 수신되거나 기타 미리 설정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대응하는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음성통화나 기타 다른 통신 메뉴를 본체의 회전 여부에 따라 선택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151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의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의 (a)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본체(100A)가 회전하는 경우,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서 편집과 같은 다른 동작 모드가 수행되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0A)의 회전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 모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동작 모드이거나, 혹은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결정되는 동작모드일 수 있다.
도 8의 (a)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음성통화 화면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음성통화 화면에는 현재 통화중인 상대방에 대한 정보(411)가 표시된다. 만일, 음성통화 중 다른 통화가 요청된 경우에는, 음성통화 화면에 다른 통화가 요청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413)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다른 통화가 수신된 상태에서, 본체(100A)를 회전시키며,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다른 통화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다른 통화를 요청한 상대방에 대한 정보(415)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조회하여 다른 통화의 수신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본체(100A)의 회전시, 자동으로 다른 통화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의 (a)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프리뷰 화면이 표시된 경우, 현재 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421)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00A)를 회전하게 되면, 컬러 모드에서 흑백 모드로 동작 모드가 전환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423)가 표시된다.
도 10의 (a)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알람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알람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본체(100A)가 회전하게 되면, 알람 스누즈 기능이 수행되어, 알람 신호가 일정시간 동안 출력되지 않게 되며,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는 알람 스누즈 기능 등과 관련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처음 알람 신호는 제1 음향출력모듈(153a)을 통해 출력되지만, 알람 스누즈 기능이 수행된 후에는 본체(100A) 후면에 구비된 음향출력모듈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본체(100A)의 회전에 따라 활성화되는 음향출력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1의 (a)는 다이얼링 메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이얼링 메뉴 화면에는 전화번호 입력창(433)와 표시창(431)이 표시되며, 전화번호 입력창(4330을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가 표시창(431)에 표시된 상태에서, 'Call' 항목(435)을 선택하게 되면,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통화가 수행된다.
그러나, 'Call' 항목(435)이 선택되지 않고, 본체(100A)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화면에는 입력된 전화번호(437)가 표시되고, 입력된 전화번호(437)로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100A)의 회전시 메시지 전송 화면 외에 파일 전송이나, 화상통화 등과 같은 메뉴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2의 (a)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달력 화면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달력 화면에서 특정 날짜(441)가 선택된 후, 본체(100A)가 회전하게 되면,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날짜에 대한 일정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0A)의 회전 여부와 본체(100A)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1b)을 결부시켜,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동작 제어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 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제1 상태 동안 오디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태 동안 상기 오디오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태 동안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과 관련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본체가 소정 축 방향으로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상태 동안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태 동안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정지와 관련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알람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동안,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은, 일정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본체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 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한 경우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과 관련된 화면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정지와 관련된 화면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6. 휴대 단말기의 동작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1 상태 동안, 오디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오디오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과 관련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본체가 회전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 동안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정지와 관련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알람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 동안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일정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가 본체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 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한 것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과 관련된 화면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정지와 관련된 화면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가속도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80082467A 2008-08-22 2008-08-22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467A KR101512768B1 (ko) 2008-08-22 2008-08-22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09167911.8A EP2157771B1 (en) 2008-08-22 2009-08-14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12/542,534 US9124713B2 (en) 2008-08-22 2009-08-17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N200910163560A CN101710917A (zh) 2008-08-22 2009-08-21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US14/788,527 US10158748B2 (en) 2008-08-22 2015-06-30 Mobile terminal with multiple display modu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467A KR101512768B1 (ko) 2008-08-22 2008-08-22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606A KR20100023606A (ko) 2010-03-04
KR101512768B1 true KR101512768B1 (ko) 2015-04-16

Family

ID=4117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467A KR101512768B1 (ko) 2008-08-22 2008-08-22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124713B2 (ko)
EP (1) EP2157771B1 (ko)
KR (1) KR101512768B1 (ko)
CN (1) CN1017109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6138B2 (en)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721B1 (ko) * 2007-08-07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문자입력방법
KR101512768B1 (ko) 2008-08-22 2015-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85289A1 (en) * 2010-01-28 2011-07-28 Yang Pan Portable tablet computing device with two display screens
CN102149211A (zh) * 2010-02-04 2011-08-10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基于动作识别的数据传输方法及设备
KR101097332B1 (ko) * 2010-02-10 2011-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햅틱 기능을 갖춘 디스플레이 모듈
CN101867631A (zh) * 2010-06-17 2010-10-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9665330B2 (en) 2010-07-16 2017-05-30 Beijing Lenovo Software Ltd.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for
CN102375659A (zh) * 2010-08-19 2012-03-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终端
GB201112461D0 (en) * 2010-09-28 2011-08-31 Yota Group Cyprus Ltd Notification method
JP6010036B2 (ja) * 2010-10-01 2016-10-19 ゼット124Z124 タッチセンサ式ディスプレイに画像を表示する方法及び通信デバイス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A2821093C (en) * 2010-12-10 2018-01-16 Sergey Karmanenko Mobile device with user interface
JP2012141358A (ja) * 2010-12-28 2012-07-26 Korg Inc クリップ付きチューナ
US9013416B2 (en) * 2011-02-25 2015-04-21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display type device interactions
CN102413235A (zh) * 2011-11-02 2012-04-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以及利用该移动终端进行信息显示的方法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127783A (ko) * 2012-03-20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알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349366B2 (en) 2012-06-13 2016-05-24 Wearsafe Lab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US9704377B2 (en) 2012-06-13 2017-07-11 Wearsafe Lab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US8626192B1 (en) * 2012-07-24 2014-01-07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operation
KR102036057B1 (ko) * 2013-01-17 2019-10-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스누즈 간격 설정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KR102107728B1 (ko) 2013-04-03 2020-05-07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휴대용 초음파 장치, 휴대용 초음파 시스템 및 초음파 진단 방법
KR101506280B1 (ko) * 2013-04-19 2015-03-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 단말의 진동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053198B1 (ko) * 2013-05-23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D736172S1 (en) * 2013-06-26 2015-08-11 Isaac S. Daniel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D735688S1 (en) * 2013-06-26 2015-08-04 Isaac S. Daniel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801554B1 (ko) 2013-07-11 201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WO2015015560A1 (ja) * 2013-07-30 2015-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063104B1 (ko) * 2013-08-29 202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807730B2 (en) 2013-09-20 2017-10-31 Lenovo (Singapore) Pte. Ltd. Modifying a device notification
CN103475760A (zh) * 2013-09-24 2013-12-25 林智勇 双触屏智能手机
CN104468881A (zh) * 2013-09-24 2015-03-25 林智勇 双触屏手机
CN103617080B (zh) * 2013-11-27 2018-08-03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控制方法及手机终端
CN104679497A (zh) * 2013-11-29 2015-06-03 联想(北京)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933986B2 (en) 2013-11-29 2018-04-03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switching display mod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63832A (ko) * 2013-12-02 201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5913775B2 (ja) * 2014-03-05 2016-04-2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式電子機器の使用環境を切り換える方法、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D779450S1 (en) * 2014-10-01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698653B2 (en) 2014-10-24 2020-06-30 Lenovo (Singapore) Pte Ltd Selecting multimodal elements
US20220327911A1 (en) * 2015-01-23 2022-10-13 David B. Benoit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event reporting and emergency notification
US11315406B2 (en) * 2015-01-23 2022-04-26 Wearsafe Lab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event reporting and emergency notification
US9792807B2 (en) * 2015-01-23 2017-10-17 Wear Safe Lab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event reporting and emergency notification
US9813535B2 (en) 2015-01-23 2017-11-07 Wearsafe Labs, Llc Short range wireless location/motion sensing devices and reporting methods
CN105138108A (zh) * 2015-08-27 2015-12-09 北京道通天下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
KR102423447B1 (ko) * 2015-10-2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484399A (zh) * 2016-09-22 2017-03-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待机模式的切换方法、待机模式的切换装置和终端
KR102660947B1 (ko) * 2016-10-05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2597036B1 (ko) * 2016-10-11 2023-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6453941B (zh) * 2016-10-31 2019-10-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双屏操作方法及移动终端
CN109804341B (zh) * 2017-07-31 2021-12-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使用计算装置浏览网页的方法、计算装置和可读介质
DE102018107447A1 (de) * 2017-11-29 2019-05-29 Riedel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GmbH Sprechstelle für ein Intercom-Netzwerk
CN108052302A (zh) * 2017-12-29 2018-05-1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双面屏的关联显示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881715B (zh) * 2018-05-25 2021-03-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模式的启用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19227281A1 (zh) * 2018-05-28 2019-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拍摄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665648B1 (ko) * 2019-03-04 2024-05-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10132491A (ko) 2020-04-27 202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4705A (en) * 1996-02-09 1999-06-22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etent-like tactile feedback
US6169789B1 (en) * 1996-12-16 2001-01-02 Sanjay K. Rao Intelligent keyboard system
US7302280B2 (en) 2000-07-17 2007-11-27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phone operation based upon context sensing
US6907276B2 (en) * 2001-03-21 2005-06-14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xternal display unit
JP2003258944A (ja) * 2002-02-28 2003-09-1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および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US20040067768A1 (en) * 2002-05-31 2004-04-08 Lavaflow, Llp User interface for a cellular telephone functioning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2005092702A (ja) * 2003-09-19 2005-04-07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20070152957A1 (en) * 2004-01-21 2007-07-05 Junji Shibat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77382B1 (ko) * 2004-11-0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WO2006068122A1 (ja) * 2004-12-20 2006-06-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
JP4742660B2 (ja) * 2005-04-25 2011-08-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処理システム
US20070188450A1 (en) * 2006-02-14 2007-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reversible display interface mechanism
US7836400B2 (en) * 2006-03-31 2010-11-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nooze support for event reminders
JP5521226B2 (ja) * 2006-05-25 2014-06-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EP2062243A4 (en) * 2006-08-21 2015-07-01 Schacht Michael R SYSTEMS AND METHOD FOR MOTION SIMULATION WITH SOUND
KR100869950B1 (ko) * 2006-12-01 2008-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확장형 대기화면 배치 구조 및 표시 방법
US20080134102A1 (en) * 2006-12-05 2008-06-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movement of an object
JP5177999B2 (ja) * 2006-12-05 2013-04-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
KR100778024B1 (ko) * 2006-12-28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양면 스피커와양면 마이크 제어 방법
US20080259742A1 (en) 2007-04-23 2008-10-23 Mediatek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larm clocks
GB2442818B (en) 2007-06-11 2008-11-05 Cvon Innovations Ltd Methodologie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mobile device capabilities
EP2065783B1 (en) * 2007-11-30 2010-01-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ore than one display area,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US8155714B2 (en) * 2008-06-28 2012-04-10 Microsoft Corporation Portable media player having a flip form factor
KR101512768B1 (ko) 2008-08-22 2015-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6138B2 (en)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45292B2 (en) 2015-07-29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701273B1 (en) 2015-07-29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7771A1 (en) 2010-02-24
EP2157771B1 (en) 2014-10-22
US9124713B2 (en) 2015-09-01
US20100048194A1 (en) 2010-02-25
KR20100023606A (ko) 2010-03-04
US20150319282A1 (en) 2015-11-05
CN101710917A (zh) 2010-05-19
US10158748B2 (en)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76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309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8839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25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7270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708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561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11302B1 (ko) 제스쳐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702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49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13658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3386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0050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0738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26386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10577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40090B1 (ko) 위젯 알람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2964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20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3681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086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375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0364B1 (ko)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1160A (ko) Iptv 단말기와 연동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90363B1 (ko)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