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648B1 -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648B1
KR102665648B1 KR1020190024601A KR20190024601A KR102665648B1 KR 102665648 B1 KR102665648 B1 KR 102665648B1 KR 1020190024601 A KR1020190024601 A KR 1020190024601A KR 20190024601 A KR20190024601 A KR 20190024601A KR 102665648 B1 KR102665648 B1 KR 10266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electronic device
housing
audio data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291A (ko
Inventor
천우성
이동엽
곽호근
문찬영
박두식
김무영
이기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4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648B1/ko
Priority to PCT/KR2020/003006 priority patent/WO2020180089A1/ko
Priority to US17/436,237 priority patent/US12003931B2/en
Publication of KR2020010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27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using transducers reproducing the same frequency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housing), 및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hinge unit),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기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의 상기 제 2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제 1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1 스피커(speaker), 상기 제 2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2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제 1 스피커, 상기 제 2 스피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 중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METHOD FOR PROVIDING AUDIO DATA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회에 보급되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전자 장치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통화 기능 외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접힌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향상된 휴대성(portability)을 제공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배터리 용량 및 실장(또는 공간) 제약으로 인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복수의 하우징들 중 하나의 하우징에만 스피커(speaker)(또는 리시버(receiver))가 배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하우징들 중 스피커가 배치된 하우징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수의 스피커들 중에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선택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housing), 및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hinge unit),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기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의 상기 제 2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제 1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1 스피커(speaker), 상기 제 2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2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제 1 스피커, 상기 제 2 스피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 중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2 스피커 중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 1 디스플레이, 상기 제 2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 2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제 1 스피커, 상기 제 2 스피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 중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는, 복수의 스피커들 중에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선택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front view)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스피커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반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지면에 놓인 상태에 기반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 및 제 2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front view) 및 후면(rear view)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는, 폴더블 하우징(300), 상기 폴더블 하우징의 접힘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330), 및 상기 폴더블 하우징(30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 플렉서블(flexi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200)(이하, 줄여서, “디스플레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디스플레이(200)가 배치된 면을 제1 면 또는 전자 장치(20)의 전면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전면의 반대 면을 제2 면 또는 전자 장치(20)의 후면으로 정의한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을 제3 면 또는 전자 장치(20)의 측면으로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0)는 도 1의 표시 장치(160)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더블 하우징(300)은, 제1 하우징 구조물(310), 센서 영역(324)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 구조물(320), 제1 후면 커버(380), 및 제2 후면 커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의 폴더블 하우징(3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하우징 구조물(310)과 제1 후면 커버(38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물(320)과 제2 후면 커버(39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3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은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 A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은 전자 장치(20)의 상태가 펼침 상태인지, 접힘 상태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은, 제1 하우징 구조물(310)과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상기 센서 영역(324)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하우징 구조물(3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은 디스플레이(200)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서 영역(324)으로 인해, 상기 리세스는 폴딩 축 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세스는 (1) 제1 하우징 구조물(310) 중 폴딩 축 A에 평행한 제1 부분(310a)과 제2 하우징 구조물(320) 중 센서 영역(324)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부분(320a) 사이의 제1 폭(w1), 및 (2) 제1 하우징 구조물(310)의 제2 부분(310b)과 제2 하우징 구조물(320) 중 센서 영역(324)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폴딩 축 A에 평행한 제2 부분(320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호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조물(310)의 제1 부분(310a)과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제1 부분(320a)은 상기 리세스의 제1 폭(w1)을 형성하고, 상호 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조물(310)의 제2 부분(310b)과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제2 부분(320b)은 상기 리세스의 제2 폭(w2)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제1 부분(320a) 및 제2 부분(320b)은 상기 폴딩 축 A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리세스의 폭은 도시된 예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324)의 형태 또는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 부분에 의해 리세스는 복수 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20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이나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 영역(324)은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일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324)의 배치, 형상, 및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324)은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components)이 센서 영역(324)을 통해, 또는 센서 영역(324)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1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부품들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리시버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면 커버(380)는 상기 전자장치의 후면에 상기 폴딩 축의 일편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하우징 구조물(310)에 의해 상기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후면 커버(390)는 상기 전자장치의 후면의 상기 폴딩 축의 다른편에 배치되고, 제2 하우징 구조물(320)에 의해 그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380) 및 제2 후면 커버(390)는 상기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후면 커버(380) 및 제2 후면 커버(390)가 반드시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는 다양한 형상의 제1 후면 커버(380) 및 제2 후면 커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380)는 제1 하우징 구조물(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후면 커버(390)는 제2 하우징 구조물(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후면 커버(380), 제2 후면 커버(390),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은 전자 장치(1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회로기판,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면 커버(380)의 제1 후면 영역(382)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290)(예: 표시 장치(160))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후면 커버(390)의 제2 후면 영역(392)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 커버(3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3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3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 (예를 들어, 힌지 구조)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330)는, 상기 전자 장치(20)의 상태(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3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가 접힘 상태(예: 완전 접힘 상태(fully folded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3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330)는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사이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33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폴더블 하우징(30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0)는 폴더블 하우징(30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 상에 안착되며, 전자 장치(10)의 전면의 대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2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200) 및 디스플레이(200)에 인접한 제1 하우징 구조물(310)의 일부 영역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의 후면은 제1 후면 커버(380), 제1 후면 커버(380)에 인접한 제1 하우징 구조물(310)의 일부 영역, 제2 후면 커버(390) 및 제2 후면 커버(390)에 인접한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00)는 폴딩 영역(203), 폴딩 영역(203)을 기준으로 일측(도 2에 도시된 폴딩 영역(203)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영역(101) 및 타측(도 2에 도시된 폴딩 영역(203)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영역(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20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20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 (예를 들어, 4개 이상 혹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폴딩 영역(203) 또는 폴딩 축(A축)에 의해 디스플레이(20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00)는 다른 폴딩 영역(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제1 영역(201)과 제2 영역(202)은 폴딩 영역(103)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 영역(202)은, 제1 영역(201)과 달리, 센서 영역(324)의 존재에 따라 컷(cut)된 노치(notch)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영역(201)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영역(201)과 제2 영역(202)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20)의 상태(예: 펼침 상태(flat state) 및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20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가 펼침 상태(flat state)(예: 도 1)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은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의 제1 영역(201)의 표면과 제2 영역(202)의 표면은 서로 180도를 형성하며, 동일한 방향(예: 전자 장치의 전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폴딩 영역(203)은 제1 영역(201) 및 제2 영역(202)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3)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의 제1 영역(101)의 표면과 제2 영역(102)의 표면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폴딩 영역(10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가 중간 상태(folded state)(예: 도 3)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의 제1 영역(201)의 표면과 제2 영역(202)의 표면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폴딩 영역(20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는 디스플레이부(30), 브라켓 어셈블리(40), 기판부(400), 제1 하우징 구조물(310), 제2 하우징 구조물(320), 제1 후면 커버(380) 및 제2 후면 커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20)는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assembly)로 불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100)와, 디스플레이(100)가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또는 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240)는 디스플레이(200)와 브라켓 어셈블리(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40)의 일면(예: 도 4을 기준으로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디스플레이(20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40)는 디스플레이(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40)의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200)의 노치(10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30)는 제1 브라켓(410), 제2 브라켓(420), 제1 브라켓(410) 및 제2 브라켓(4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 힌지 구조물을 외부에서 볼 때 커버하는 힌지 커버(330), 및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을 가로지르는 배선 부재(430)(예: 연성 회로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레이트(240)와 상기 기판부(400) 사이에,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4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브라켓(410)은, 디스플레이(200)의 제1 영역(201) 및 제1 기판(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420)은, 디스플레이(200)의 제2 영역(202) 및 제2 기판(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 어셈블리(40)의 내부에는 배선 부재(430)와 힌지 구조물(30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430)는 제1 브라켓(410)과 제2 브라켓(420)을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430)는 전자 장치(20)의 폴딩 영역(103)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2의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400)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410) 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410)과 제2 브라켓(420) 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410)과 제2 기판(420)은, 브라켓 어셈블리(40), 제1 하우징 구조물(310), 제2 하우징 구조물(320), 제1 후면 커버(380) 및 제2 후면 커버(39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410)과 제2 기판(420)에는 전자 장치(2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31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은 브라켓 어셈블리(30)에 디스플레이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 어셈블리(40)의 양측으로 결합되도록 서로 조립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구조물(310)과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은 브라켓 어셈블리(40)의 양 측에서 슬라이딩 되어 브라켓 어셈블리(3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310)은 제1 회전 지지면(3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물(320)은 제1 회전 지지면(312)에 대응되는 제2 회전 지지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면(312)과 제2 회전 지지면(322)은 힌지 커버(330)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회전 지지면(312)과 제2 회전 지지면(322)은, 전자 장치(10)가 펼침 상태(예: 도 2의 전자 장치)인 경우, 상기 힌지 커버(330)를 덮어 힌지 커버(330)가 전자 장치(20)의 후면으로 노출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 지지면(312)과 제2 회전 지지면(322)은, 전자 장치(1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전자 장치)인 경우, 힌지 커버(330)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330)가 전자 장치(20)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전면(front view)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20)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또는 하우징(housing))가 완전히 접힌(fully folded)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의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는 아웃-폴더블(out-foldable)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의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인-폴더블(in-foldable)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101)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전자 장치(101)가 아웃 폴더블 방식의 폴더블 전자 장치인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지만, 인-폴더블 방식으로 전자 장치(101)가 구현되는 경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는 완전히 펼쳐진(fully unfolded)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하우징(510-1), 제 2 하우징(510-3), 힌지부(525) (hinge unit), 디스플레이(520), 제 1 스피커(530)(speaker), 제 2 스피커(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510-1), 제 2 하우징(510-3), 힌지부(525) (hinge unit), 및 디스플레이(520)는, 각각, 도 2 내지 도 4의 제1 하우징 구조물(310), 제2 하우징 구조물(320), 힌지 커버(330), 및 디스플레이(200)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510-1)의 일 측면과 제 2 하우징(510-3)의 일 측면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은 힌지부(5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은 힌지부(525)를 중심으로(또는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pivotably 또는 rotatably)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520)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surface)(또는 제 1 영역)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또는 제 2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20)는, 힌지부(525)를 가로질러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52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520)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힌지부(525)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52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예시들을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20)는 구부러지는(또는 휘는)(bending)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520)가 구부러지는 형태로 구현되는 예시들은 디스플레이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경우와 동일 예시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힌지부(525)를 중심으로 일정(certain)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경우, 디스플레이의 제 1 부분(520-1)(이하, '디스플레이의 제 1 부분'으로 지칭하기로 함) 및 디스플레이의 제 2 부분(520-3)(이하, '디스플레이의 제 2 부분'으로 지칭하기로 함) 또한 힌지부(525)를 중심으로 상기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디스플레이의 제 1 부분(520-1)은 힌지부(525)의 축(예: 도 2에서 점선 부분)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520)의 좌측 부분이고 디스플레이의 제 2 부분(520-3)은 힌지부(525)의 축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520)의 우측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520) 부분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또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상에 배치되고), 제 2 디스플레이(520) 부분은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향하는 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향하는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는 제 1 하우징(510-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는 피에조 스피커(또는 압전 스피커(piezo-electric speake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피커(530)는, 전원이 공급되면 디스플레이(520)(예: 디스플레이의 제 1 부분(520-1))의 적어도 일부를 진동시킴으로써, 소리(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제 1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피커(530)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지정된 양 이상(예: 출력될 음량의 약 90% 이상)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 1 스피커(530)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와 진동판 역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520)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스피커(display panel speaker)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540)는 제 2 하우징(510-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540)는 진동 모듈(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스피커(540)는 제 2 하우징(510-3)의 적어도 일부를 진동시킴으로써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540)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향하는 제 2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스피커(540)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지정된 양(또는 음압 레벨) 이상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 2 스피커(540)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향하는 제 2 방향 및 제 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540)는, 소리를 출력하는 동작 외에,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또는 햅틱 효과)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스피커(540)는 지정된 세기 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진동을 출력함으로써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스피커(540)는 지정 세기 미만의 세기를 가지는 진동을 출력함으로써 소리를 출력함 없이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540)는 진동 리시버(vibration re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자 장치(101)가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 각각 1개씩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제 1 스피커(530)들 및/또는 복수의 제 2 스피커(5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면(610)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고, 도면(620)은 완전히 접힌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의 제 1 부분(520-1)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디스플레이의 제 2 부분(520-3)은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는 제 1 하우징(510-1) 내에 포함되고, 제 2 스피커(540)는 제 2 하우징(510-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면(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향하는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면(6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향하는 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스피커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7은,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가 각각 배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도 7은 완전히 접힌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101)의 측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510-1) 내에 디스플레이의 제 1 부분(520-1), 제 1 스피커(530), 제 1 브라켓(550-1), 제 1 PCB(printed circuit board)(560-1), 및 제 1 리어 케이스(rear case)(570-1)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는 디스플레이의 제 1 부분(520-1)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는 디스플레이의 제 1 부분(520-1)의 적어도 일부를 진동시킴으로써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제 1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피커(530)는 제 1 스피커(530)로부터 디스플레이의 제 1 부분(520-1)으로 향하는 방향(701)을 가지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로 구성된 피에조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하우징(510-3) 내에 디스플레이의 제 2 부분(520-3), 제 2 스피커(540), 제 2 브라켓(550-3), 제 2 PCB(560-3), 및 제 2 리어 케이스(570-3)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540)는 제 2 브라켓(550-3) 및 제 2 리어 케이스(57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540)는 제 2 브라켓(550-3)의 적어도 일부 및 제 2 리어 케이스(570-3)의 적어도 일부를 진동시킴으로써,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540)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향하는 제 2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스피커(540)는 제 2 리어 케이스로부터 제 2 브라켓(550-3)으로 향하는 방향을 가지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스피커(540)는 제 2 리어 케이스(570-3)로부터 제 2 브라켓(550-3)으로 향하는 방향(703)을 가지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540)는 제 2 리어 케이스(570-3)로부터 제 2 브라켓(550-3)으로 향하는 지향성을 가지도록 세팅(setting)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540)는 진동 모듈(또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101)의 블록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통신 모듈(510), 디스플레이(520), 제 1 스피커(530), 제 2 스피커(540), 센서(850), 메모리(860), 및 프로세서(8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810)은, 전자 장치(101)가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810)은, 전자 장치(101)가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전화 통화를 수행하도록,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모듈(810)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810)은 도 1의 통신 모듈(190)과 적어도 일부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520)는 다양한 데이터(또는 정보)를 출력(또는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520)는 도 1의 표시 장치(160)와, 도 5 내지 도 7의 디스플레이들(200, 520)과 적어도 일부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 각각은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 각각은 도 5 내지 도 7의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5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5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또는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50)는,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에 접촉(contact 또는 touch)하거나 근접(proximity 또는 hover)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50)는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850)는 사용자의 귀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에 접촉(또는 터치)하거나 근접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에 배치된 센서(850)는, 전자 장치(101)로 사용자의 귀가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경우, 사용자의 귀의 형태(또는 모양)(또는 사용자의 머리카락의 형태)을 나타내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또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의 분포(또는 형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에 배치된 센서(850)는, 전자 장치(101)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 또는 근접함으로써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의 세기(또는 커패시턴스 세기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50)는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850)는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50)는 이미지 센서(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850)는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50)는 그립(grip)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85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센서는, 전자 장치(101)의 측면에 대한 사용자 그립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50)는 지면에 대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850)(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또는 그 조합)는, 전자 장치(101)의 제 1 하우징(510-1) 또는 제 2 하우징(510-3)이 지면과 대향하도록 놓여진(facedown)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50)는 전자 장치(101)가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850)는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 또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서(850)는 힌지부(525)를 중심으로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 간 각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50)는 홀(hall) 센서, 로드 셀(load cell),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전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50)는 도 1의 센서 모듈(176)과 적어도 일부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860)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860)는 제 1 스피커(530) 또는 제 2 스피커(5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860)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메모리(860)가 저장하는 데이터는 전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860)는 도 1의 메모리(130)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가 수행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은 이하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도 8에 도시하지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제 1 하우징(510-1), 제 2 하우징(510-3), 및 힌지부(5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주변(예: 사용자)으로부터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도 8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실시예에 따라, 통신 모듈(810) 또는 도 8에서 설명한 센서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8은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의 양면 각각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양면 디스플레이 (double-side display)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양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는 도 5 내지 도 8을 통하여 설정한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housing)(510-1), 및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510-3)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510-1) 및 상기 제 2 하우징(510-3)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hinge unit) (525), 상기 제 1 하우징)(510-1)의 상기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상기 제 2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520), 상기 제 1 하우징)(510-1) 내에 배치되는 제 1 스피커(speaker)(530), 상기 제 2 하우징)(510-3) 내에 배치되는 제 2 스피커(540), 적어도 하나의 센서(850), 상기 제 1 스피커(530), 상기 제 2 스피커(54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5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870), 및 상기 프로세서(87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86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870)가,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50)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스피커(530)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50)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면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 1 스피커(530)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상기 확인된 면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50)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가 지면에 대향하도록 놓여진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101)가 상기 지면에 대향하도록 놓여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 1 스피커(530)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중에서 지면과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전화 수신과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스피커(530)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상기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스피커(530) 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 1 스피커(530) 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 스피커(530)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가 동일한 주파수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레벨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변경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변경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스피커(530)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스피커(530)는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피에조 스피커(piezo-electric speak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스피커(540)는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반적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event)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로부터 전화가 수신됨을 나타내는(또는 전화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화가 수신됨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수신한 후, 사용자로부터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화가 수신됨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수신한 후,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 1 스피커(530) 또는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기본(default)으로 설정된 스피커(예: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오디오 데이터(예: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됨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는 전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903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에 접촉(또는 터치)하거나 근접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귀의 형태(또는 모양)(또는 사용자의 머리카락의 형태)을 나타내는 커패시턴스(또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의 분포(또는 형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커패시턴스의 분포가 지정된 분포에 대응하는 경우,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커패시턴스의 분포가 발생한(또는 생성된) 면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로부터, 전자 장치(101)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 또는 근접함으로써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의 세기(또는 커패시턴스 세기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지정된 세기 이상의 커패시턴스가 발생한 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다른 면에 상대적으로(또는 비하여) 보다 근접한(또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로부터 지면에 대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또는 그 조합)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지면과 대향하도록 놓여진(facedown)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그립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홀(hall) 센서, 로드 셀(load cell),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전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자 장치(101)가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센서(85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 또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동작 901의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이 동작 903의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에 선행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작 903의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이 동작 901의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에 선행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905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는 제 1 하우징(510-1) 내에 배치되고, 제 2 스피커(540)는 제 2 하우징(510-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는 도 5 내지 도 8의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와 동일하므로,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오디오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로 확인된 경우,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오디오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 또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상태로 확인된 경우,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 중 기본으로 설정된(또는 우선 순위가 가지는) 스피커(예: 제 1 스피커(530))를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로 확인된 경우,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오디오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에서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오디오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스피커로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 또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상태로 확인된 경우,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으로 인해 다른 면에 비하여 보다 센(또는 큰) 세기의 커패시턴스(또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량)가 검출된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오디오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이고 전자 장치(101)의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이 지면과 대향하도록 놓여진(facedown)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지면과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상태이고 전자 장치(101)의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의 면이 지면과 대향하도록 놓여진(facedown)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지면과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의 레벨(level)(또는 크기)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거나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지정된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또는 이어폰 모드(earphone mode)로 동작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지정된 레벨 이상의 레벨을 가지는(또는 스피커폰 모드(speakerphone mode)로 동작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가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의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가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의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907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제 1 스피커(530) 또는 제 2 스피커(540) 중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제 1 스피커(530) 또는 제 2 스피커(540) 중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결정된 오디오 레벨을 가지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가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프로세서(870)는, 센서(850) 중 적어도 일부를 비활성화(deactivat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가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 간 접촉 또는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만, 비활성화하는 센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제 1 스피커(530) 또는 제 2 스피커(540) 중 적어도 하나 외에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을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상태이고 전자 장치(101)의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의 면이 지면과 대향하도록 놓여진(facedown)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제 1 면 또는 제 2 면 중 지면과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 스피커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 하단(또는 상단)에 배치된 코일 타입(coil type) 스피커(또는 acoustic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예: 스테레오(stereo)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가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동작 903 내지 동작 907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프로세서(870)는 변경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1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수신 전화와 관련된 이벤트(event)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로부터 전화가 수신됨을 나타내는(또는 전화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화가 수신됨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수신한 후, 사용자로부터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화가 수신됨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수신한 후,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기본으로 설정된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1005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에 접촉(또는 터치)하거나 근접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귀의 형태(또는 모양)(또는 사용자의 머리카락의 형태)을 나타내는 커패시턴스(또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의 분포(또는 형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커패시턴스의 분포가 지정된 분포에 대응하는 경우,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커패시턴스의 분포가 발생한(또는 생성된) 면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로부터, 전자 장치(101)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 또는 근접함으로써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의 세기(또는 커패시턴스 세기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지정된 세기 이상의 커패시턴스가 발생한 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그립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홀(hall) 센서, 로드 셀(load cell),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전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자 장치(101)가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센서(85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 또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동작 1001의 수신 전화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및 동작 1003의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이 동작 1005의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에 선행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작 1005의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은 동작 1001의 수신 전화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또는 동작 1003의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에 선행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1007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 중인 제 1 스피커(530)에 추가적으로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는 제 1 하우징(510-1) 내에 배치되고, 제 2 스피커(540)는 제 2 하우징(510-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는 도 5 내지 도 8의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와 동일하므로,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에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 1 스피커(530)에 추가적으로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에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 1 스피커(530)만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로 확인되고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에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 1 스피커(530)에 추가적으로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 또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상태로 확인되거나,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에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 1 스피커(530)만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이고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에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 1 스피커(530)에 추가적으로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지 않거나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 또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상태이거나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에서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에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 1 스피커(530)만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제 1 스피커(530)에 추가적으로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한 경우,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출력될 음성 데이터의 레벨(예: 음압 레벨) 및 주파수(예: 소리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지정된 레벨 이상의 레벨을 가지며 출력 중인 제 1 스피커(530)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음성 데이터를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009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707에서 프로세서(870)가 제 1 스피커(530)에 추가적으로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프로세서(870)는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동작 707에서 프로세서(870)가 제 1 스피커(530)만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프로세서(870)는 제 1 스피커(530)만을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가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를 비활성화(deactivat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가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 간 접촉 또는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85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만, 비활성화하는 센서(850)는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850)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가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동작 1005 내지 동작 1009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프로세서(870)는 변경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 1 스피커(530)에 추가적으로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 1 스피커(530) 및 제 스피커, 또는 제 1 스피커(530)만을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결정된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하우징들 중 스피커가 배치된 하우징을 확인할 필요 없이,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지면에 놓인 상태에 기반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1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event)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오디오 데이터(예: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됨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는 전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1103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로부터 지면에 대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또는 그 조합)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또는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지면과 대향하도록 놓여진(facedown)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그립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센서(850)(예: 홀(hall) 센서, 로드 셀(load cell),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전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자 장치(101)가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센서(85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 또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동작 1101의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이 동작 1103의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에 선행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작 1103의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이 동작 801의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에 선행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1105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는 제 1 하우징(510-1) 내에 배치되고, 제 2 스피커(540)는 제 2 하우징(510-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는 도 2 내지 도 5의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와 동일하므로,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이고 전자 장치(101)의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의 면이 지면과 대향하도록 놓여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지면과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제 1 하우징(510-1) 및 제 2 하우징(510-3)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접힌 상태이고 전자 장치(101)의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의 면이 지면과 대향하도록 놓여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지면과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의 레벨(level)(또는 크기)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가 지면과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스피커로 결정한 경우, 프로세서(870)는 결정된 스피커를 통하여 지정된 레벨 이상의 레벨을 가지는(또는 스피커폰 모드(speakerphone mode)로 동작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가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의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가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의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1107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 중 지면과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70)가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동작 1103 내지 동작 1107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프로세서(870)는 변경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900) 및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도 12는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1200)를 나타내고, 도 13은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1300)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2에서, 라인(1210)은 주파수에 따라 제 1 스피커(530)를 통해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압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인(1220)은 주파수에 따라 제 1 스피커(530)를 통해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압 레벨의 평균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인(920)은 주파수에 따라 제 1 스피커(530)를 통해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압 레벨의 평균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피커(530)를 통해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압 레벨의 평균 값(930)은, 제 1 스피커(530)를 통해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압 레벨의 평균 값에 비하여, 약 1/10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스피커(530)만을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제 1 하우징(510-1)의 제 1 면이 향하는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예: 전자 장치(101)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충분한 음량을 제공할 수 없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3에서, 라인(1310)은, 주파수에 따라 제 2 스피커(540)를 통해 제 2 하우징(510-3)의 제 2 면이 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압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피커(540)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압 레벨은 도 12의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압 레벨과 상당히(substantially)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2 및 도 13를 비교할 때, 저주파수 구간(예: 1KHz 미만 구간)에서 제 2 스피커(540)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압 레벨은 제 1 스피커(530)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압 레벨 보다 높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 1 스피커(530)만을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저주파수 구간에서 보다 높은(또는 충분한) 음압 레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510-1) 내에 배치되는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510-3) 내에 배치되는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50)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면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스피커(530)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상기 확인된 면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850)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50)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가 지면에 대향하도록 놓여진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101)가 상기 지면에 대향하도록 놓여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 1 스피커(530)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중에서 지면과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은, 전화 수신과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스피커(530)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상기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스피커(530)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스피커(530) 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스피커(530) 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스피커(540)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 스피커(530)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가 동일한 주파수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변경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변경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스피커(530)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스피커(530)는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피에조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피커(540)는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전면(front view) 및 후면(rear view)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양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면(1410)은 전자 장치(101)의 전면을 나타내고, 도면(1420)은 전자 장치(101)의 후면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전면(510-5) 상에 제 1 디스플레이(520-5)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후면(510-7) 상에 제 2 디스플레이(520-7)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스피커(530-1) 및 제 2 스피커(54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1) 및 제 2 스피커(540-1) 각각은 도 2 내지 도 10의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스피커(540)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스피커(530-1)는 하우징의 전면(510-5)이 향하는 제 1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오디오 데이터(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스피커(540-1)는 하우징의 후면(510-7)이 향하는 제 2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오디오 데이터(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도 5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는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 1 스피커(530-1) 및 제 2 스피커(540-1) 중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1)가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 1 디스플레이(520-5), 상기 제 2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 2 디스플레이(520-7),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1 스피커(530-1) 및 제 2 스피커(540-1),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스피커(530-1) 및 상기 제 2 스피커(540-1) 중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CD-ROM, DVD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전자 장치(101)에서,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510-1) 내에 배치되는 제 1 스피커(530) 및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510-3) 내에 배치되는 제 2 스피커(540) 중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102, 104 : 전자 장치 108 : 서버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housing), 및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hinge unit);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기 제 1 면 및 제 2 하우징의 상기 제 2 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제 1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1 스피커(speaker);
    상기 제 2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2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제 1 스피커, 상기 제 2 스피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 전화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기본으로 설정된 제1 스피커를 통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펼침 상태, 접힘 상태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 중인 상기 제 1 스피커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지를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스피커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중에서, 사용자가 접촉하거나 근접한 면을 확인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확인된 면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지면에 대향하도록 놓여진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지면에 대향하도록 놓여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중에서 지면과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 스피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 1 스피커 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가 동일한 주파수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레벨을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변경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피커는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피에조 스피커(piezo-electric speake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피커는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1 스피커 및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 2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 전화와 관련된 이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기본으로 설정된 제1 스피커를 통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펼침 상태, 접힘 상태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 중인 상기 제 1 스피커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스피커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24601A 2019-03-04 2019-03-04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66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01A KR102665648B1 (ko) 2019-03-04 2019-03-04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PCT/KR2020/003006 WO2020180089A1 (ko) 2019-03-04 2020-03-03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7/436,237 US12003931B2 (en) 2019-03-04 2020-03-03 Method for providing audio data according to the folding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01A KR102665648B1 (ko) 2019-03-04 2019-03-04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291A KR20200106291A (ko) 2020-09-14
KR102665648B1 true KR102665648B1 (ko) 2024-05-14

Family

ID=7233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601A KR102665648B1 (ko) 2019-03-04 2019-03-04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5648B1 (ko)
WO (1) WO2020180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6021A (zh) * 2021-05-18 2021-08-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501412B (zh) * 2022-04-18 2022-06-14 成都市安比科技有限公司 基于双耳连线的蓝牙协议数据包丢失补偿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3559A (ja) * 2009-05-11 2010-11-18 Nec Corp 携帯電話機、ステレオ音声を再生するスピーカを選択する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13058456A2 (ko) * 2011-10-19 2013-04-25 Seok Sang Ho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 모션 유저 인터페이스
US20150319282A1 (en) * 2008-08-22 2015-11-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840B1 (ko) * 2010-08-31 2017-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폰 통화 방법 및 장치
KR20170010494A (ko) * 2015-07-20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8499B1 (ko) * 2016-04-22 202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10866A (ko) * 2016-07-22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485361B1 (ko) * 2016-10-13 2023-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9282A1 (en) * 2008-08-22 2015-11-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JP2010263559A (ja) * 2009-05-11 2010-11-18 Nec Corp 携帯電話機、ステレオ音声を再生するスピーカを選択する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13058456A2 (ko) * 2011-10-19 2013-04-25 Seok Sang Ho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 모션 유저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0089A1 (ko) 2020-09-10
US20220159378A1 (en) 2022-05-19
KR20200106291A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702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aptic actuator
KR102650857B1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KR102562126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1172A (ko) 굴곡부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0096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54804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31662A (ko)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588525B1 (ko)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15468A (ko) 자석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JP7450631B2 (ja) 複数のウィンドウを含むフォルダブル電子装置
KR2021002230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동작 모드 제어 방법
US20240168691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foldable electronic device
EP3989040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KR20200132016A (ko) 복수 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0092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49396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camera
KR20210126977A (ko)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65648B1 (ko)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542398B1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21008626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65579A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92611A (ko) 안테나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38108A (ko) 햅틱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20086565A1 (en)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plurality of audio input devices
KR20220126089A (ko) 커버 액세서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