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58456A2 -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 모션 유저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 모션 유저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58456A2
WO2013058456A2 PCT/KR2012/004027 KR2012004027W WO2013058456A2 WO 2013058456 A2 WO2013058456 A2 WO 2013058456A2 KR 2012004027 W KR2012004027 W KR 2012004027W WO 2013058456 A2 WO2013058456 A2 WO 201305845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creen
flip
user interface
smart motion
mo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0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석상호
Original Assignee
Seok Sang 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eok Sang Ho filed Critical Seok Sang Ho
Publication of WO201305845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58456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4Electronic books and r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a user interface to improve the usability by mounting a screen on the front / back of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navigation, tablet PC, and by applying 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and screen expansion technology and structure.
  • the double-sided screen, motion sensing technology, ergonomic feature analysis, and humanistic approach were used in the invention.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t gives analog sensitivity, making it as easy to use as reading a book naturally, improving usability of the device and improving product competitiveness.
  • One flexible screen can be wrapped in front and back to use as a double-sided screen, or two flat screens (Normal, Touch, 3D) can be mounted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product. You can use the information window more widely while maintaining your smartphone's picture without having to increase the screen. In addition, certain rules are applied to the content before and after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whether the necessary information is in front or behind.
  • Currently developed screens will have low power technology, so even if more than two screens are installed in the future, there is no big problem in using time.
  • Double-sided screens make it easier for people who are facing you to share information.
  • multi-tasking technology is applied so that two or more users can operate the device individually, so that people facing each other can operate the device.
  • Intuitive usability is provided by providing front and rear screens. When you want to go back, you can go back simply by flipping the phone without pressing a button. By applying certain rules to the front and back, information is display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recognition. Therefore, even a complicated tree-structured application or an OS that runs various windows can be operated visually and easily. And the functions used a lot were unified with the same operation so that they can be used intuitively.
  • the hinge structure spreads on both sides of the screen and the screen rotation structure is applied after unfolding, so that the screen is doubled.
  • the technology used to fit the enlarged screen is naturally enlarged or changed to a new layout that displays more information.
  • Ad insertion technology which is currently used in applications and information windows, is applied to advertise corporate products or services on the other screen when using the product or talking on the phone. It uses the rear camera and GPS to recognize the surroundings and displays the appropriate advertisement for the surroundings.
  • the screen can no longer be raised to maintain grip. The more the screen is turned off, the more difficult it is to grab it and the greater the risk of damage when the product is dropped. However, the screen should be turned off in order to display more information effectively and provide a more visible screen to the user.
  • Two-sided screen and motion sensing technology are applied to devices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TVs and smartphones, digital cameras, vehicle information windows, and navigation) to improve usability and usability.
  • you receive a call you can save the communication fee by displaying the information you want on the other side or by attracting advertisements.
  • the device with double-sided screen is extended vertically and rotated in the unfolded state. This allows you to double your screen.
  • the screen if the screen is mounted on the inside, the screen can be rotated in the unfolded state to create a new smart motion user interface using a double-sided screen.
  • a new smart motion user interface is proposed by applying four screens to the device.
  • the front and rear screens can be unfolded as one, and the existing screen can be doubled and the screen can be extended to the rear (inside of the device). With four, you can create a more convenient and intuitive experience. (Rear screen is also available through screen rotation after screen expansion)
  • the user can operate the device simply by flipping or rotating the device without pressing the home button or the back button to switch the screen. Can be reduced.
  • 1 is a view of the application principle of the double-sided screen.
  • SMUI 2 is a smart motion user interface (SMUI) principle of extending the screen.
  • 3 is a double-sided screen principle when the screen is spre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5 is a double-sided screen principle when the screen is spre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FIG. 10 shows the preparation / operation screen of the device to the user using a sensor and a camera.
  • 11 is a method and principle of applying advertising technology to the rear screen.
  • FIG. 12 is a diagram of the flip screen SMUI rules in the folded state.
  • Figure 13 is a diagram of the flip one side SMUI rules in the expanded state.
  • Figure 15 shows the SMUI structure of flipping the double-sided screen when a call is received.
  • Figure 16 shows the unlock function using the flip-side screen flip SMUI.
  • Figure 17 shows the SMUI technology for manipulating the device by rotating the screen
  • 19 is a SMUI structure of flipping a double-sided screen screen of a web page in a web browser.
  • 20 is a structure of SMUI inverting the double-sided screen in DMB, TV.
  • 21 is a SMUI structure of flipping a double-screen screen in navigation.
  • 22 is a structure of flipping a double-sided screen in the document reading screen SMUI structure.
  • 23 is a SMUI structure of flipping the double-sided screen screen during camera shooting.
  • 24 is a method of applying a two-sided screen flip SMUI to a digital camera.
  • 25 is a detailed structure of a digital camera double-sided screen.
  • 26 is a SMUI structure of flipping the double-sided screen screen of the digital camera.
  • FIG. 27 illustrates a screen flipping SMUI application using a steering wheel controller.
  • FIG. 29 is a principle of improving recognition by applying various effects when switching screens.
  • 30 is a structure and method for switching the screen in two steps.
  • 31 is a structure and method for switching the screen in two steps.
  • n rotate 180 degrees around the axis of rotation
  • a double sided screen was applied to improve usability. It can also provide the user with a wide and textured screen with minimal buttons. Recognition speed and usability are improved by applying certain rules to the front label and back label and the screen switching method and direction.
  • the two-degree double-sided screen is shown to illustrate the wider screen and improved Smart Motion User Interface (SMUI) usability.
  • SMUI Smart Motion User Interface
  • 3 and 5 show that the user interface is improved to a total of four screens by applying the screen to the back even when the screen is opened.
  • 6 degrees and 7 degrees are the descriptions of the new SMUI that rotates one screen and turns it to the back screen after screen expansion. You can create new screens to view other information, invoke new functions and enter commands to take advantage of the device.
  • 8 degrees is a technology that allows two or more users facing each other to duplicate the front work screen on the back screen, shar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allowing two or more users to play the same task or game through a double-sided screen. Description of the SMUI that raises the last name.
  • 9 degrees and 32 degrees describe the position of the camera, microphone and speaker on the front and back, and explains its function, operation and usage.
  • Two cameras, one speaker and two microphones integrated into a module can be used to hold a phone in any direction and to take a phone call.
  • Two cameras enable 3D shooting and a total of four speakers can produce three-dimensional sound.
  • Each unit is equipped with a total of four speakers, four microphones and four cameras.
  • FIG. 10 illustrates a method of recognizing a device's position and coordinates in three dimensions using various sensors and recognizing a face and an eye of a surrounding user through a camera of the device. Sensors and cameras show that the correct device is ready for operation even if the front / back and left / right sides are different. The camera recognizes the user and the surroundings and prepares a microphone and speaker to fit the face so that the user can talk.
  • Figure 11 illustrates how and how to apply advertising technology to the rear screen. Advertise on the back of the screen using the double-sided screen during the call. In addition, the back camera analyz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elects the most appropriate advertisement. Ads can create services that can reduce communication costs. Even if it is not an advertisement, the user can display various images or messages that the user wants to show.
  • Fig. 12 illustrates the screen switching rules and SMUI structure using flipping screen when folded.
  •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X-axis or Y-axis sequentially by flipping the screen. Flipping up or down at any position on the X-axis switches to the top / bottom screen. If you turn left / right and forward / backward, the screen is no longer switched or repeats infinitely with the screens of X-axis.
  • Figure 13 illustrates the screen switching rules and SMUI structure using flipping one screen in the expanded state. After expanding the screen in the folded state.
  • the Smart Motion user interface allows you to rotate the screen b up and down to bring up the desired functions and information.
  • Figure 14 illustrates the SMUI structure of flipping the double-screen screen in various software and operating systems. Flip the screen up to bring up the search function, flip it down to bring up the settings screen, or switch to a phone-related function on the phone. Continue flipping down to display the keypad, contacts, recent calls, and favorites screens in turn. These features are consistently applied to the smart motion user interface that flips the screen, making it intuitive to use any software. Flip left / right to scroll through content and icons on the left and right.
  • Fig. 16 illustrates the function of unlocking the lock using the flip-side SMUI. You can unlock your device using your own 1 to 6 flip sequence. After the lock is released, the screen is locked again if you flip it back to the other screen.
  • Figure 17 illustrates an SMUI that rotates the screen to operate the device.
  • the user can rotate the device 180 degrees / 360 degrees to the right to zoom in and rotate the device 180 degrees / 360 degrees to the left to zoom out.
  • it can be used intuitively at any time. In navigation, for example, you can zoom out by turning the screen to the left and zooming in by turning the screen to the right.
  • Figure 18 illustrates the SMUI structure of flipping the double-screen screen in a music / video player. If you flip the screen up, you can return to the music / video search function, and if you flip down, you can return to the main screen. This feature is consistently applied to the smart motion user interface with flipped screens, making it intuitive to use any software. And flipping to the right enters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album art and lyrics view, and flipping to the left allows you to check the music list, reducing unnecessary screen touches and improving usability. When I flipped to the left and checked the music list, if I kept flipping, the classification method (album, artist, song) changed so that it was easy to find the desired song and artist.
  • the classification method album, artist, song
  • Figure 19 illustrates the SMUI structure of flipping the double-screen screen of a web page in a web browser.
  • you flip the screen up you can search, and if you flip down, you can move to the main screen. If you flip it to the left, you can easily go back, so you don't have to touch the screen unnecessarily, so you can search and surf the web more conveniently. Conversely, if you flip the screen to the right, you move to the previous page.
  • the direction of page switching after the front p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horizontal writing, and vertical writing method. In the horizontal writing method, the left side moves forward, and in the vertical writing method, the left side goes forward.
  • Figure 21 illustrates the SMUI structure of flipping the double-screen screen in navigation. Likewise, if you flip the screen up, you can search for the destination, and if you flip down, you can move to the main screen. Whenever the maps on the x-axis are flipped left / right, they are repeatedly displayed on the screen sequentially.
  • Fig. 22 is a description of the SMUI structure of flipping the duplex screen in the document reading screen. Likewise, flipping the screen up allows you to search the dictionary or various readings. Flip it down to move to the main screen. Flip left to go to the previous page, flip right to go to the previous page.
  • the direction of page switching after the front p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horizontal writing, and vertical writing method. In the horizontal writing method, the left side moves forward, and in the vertical writing method, the left side goes forward.
  • Figure 23 illustrates the SMUI structure of flipping the duplex screen during camera shooting. Similarly, if you flip the screen up, the photo album is searched. Flip it down to move to the main screen. After shooting, rotate the screen to the left to check the most recent image.
  • 26 is an explanation of the SMUI structure of flipping the double-sided screen of a digital camera. You can double the screen in the unfolded state and use it more widely. A total of three screens can be utilized. The screens c and d allow you to examine the camera status in greater detail. You can also use the camera status in c and the shooting preview screen in d. Turn screen c upside down to see the most recent shot and compare it to the screen preview screen. Flip screen c down to expand to the new configuration screen.
  • FIG. 27 illustrates a smart motion user interface in which a screen is flipped while the screen is flipped up / down, left / right by a hinge reference or a center reference using a ring controller r1 inside the vehicle.
  • a ring controller on the steering wheel, intuition, operability and us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 FIG. 28 illustrates a smart motion user interface in which a screen is swung up / down, left / right using a ring controller r2 inside a vehicle and is operated by z2.
  • a ring controller on the steering wheel, intuition, operability and us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 29 degrees shows a smart motion user interface that generates sounds and vibrations along with an indication of the screen movement at each corner when the screen is flipp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screen is switched by flipping. .
  • 30 and 31 illustrate a structure and a method for switching screens in two steps. Therefore, the user can freely expand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Description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 모션 유저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타블렛 PC와 같은 기기 앞/뒷면에 스크린을 장착하고, 모션 인식 기술과 화면 확장 기술과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성을 향상 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발명이다.
양면 스크린과 모션 센싱 기술, 인간공학적인 특징 분석과, 인문학적인 접근을 통해 발명에 적절히 활용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부여해, 자연스럽게 책을 읽는 것처럼 사용하기 쉽도록 하여, 기기의 사용성을 개선하고 제품 경쟁력을 향상 시켰다.
1. 양면 스크린 적용
1장의 플렉서블 스크린(일반, 터치, 3D)을 앞에서 뒤로 길게 감싸서 양면 스크린처럼 사용하거나, 2장의 평면 스크린(일반, 터치, 3D)을 제품의 앞/뒤에 장착하여. 화면을 더 키우지 않아도, 스마트폰의 그림감을 유지 하면서, 정보창을 더 넓게 활용 할 수 있다. 또한 앞/뒤에 내용에 일정한 규칙을 적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한 정보가 앞에 있는지, 뒤에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개발 되고 있는 스크린들은 저전력 기술이 적용 될 것이기 때문에 미래에 스크린을 두개 이상 장착하더라도 사용 시간에 큰 문제는 없다.
2. 양면 스크린 활용 기술
양면 스크린을 이용하여 마주 보고 있는 사람들이 더욱 편하게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다. 또한 2인 이상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기기를 작동 시킬 수 있도록 멀티 테스킹 기술을 적용해 마주 보고 있는 사람들이 각각 기기를 조작 할 수 있다.
3. 배터리/층전 성능의 향상
배터리성능과 출전 기술도 크게 향상 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단말기에서도 사용자가 여분의 배터리를 교환할 필요 없어져, 뒷면을 스크린으로 충분히 활용 할 수 있다. 그리고 향후에는 무선 충전기술이 보편화 되기 때문에 여분의 배터리를 교환하거나 충전을 위해 단자를 연결 할 필요가 없다.
4. 스크린을 뒤집는 새로운 사용자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적용 한다. 모션 센싱 기술과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기를 잡고 있는 방향과 위치 인식. 아무렇게나 기기를 잡아도 화면을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자동으로 복원 시킨다. 화면을 왼쪽으로 뒤집기, 오른쪽으로 뒤집기, 위로 뒤집기, 아래로 뒤집기, 대각선 방향으로 뒤집기, 180도로 회전 시키기 이러한 동작에 일정한 기능을 부여하여 각종 어플리케이션, OS, 카메라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다. 좌로 뒤집거나 우로 뒤집을 때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표시 하여,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되며, 화면을 터치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기기를 조작 할 수 있어 사용성이 좋아 진다.
5. 인간 공학 기술 적용
앞/뒤 스크린을 제공하여, 직관적인 사용성 제공 한다. 뒤로 가고 싶을 때 버튼을 누르지 않고, 폰을 뒤집는 동작으로 간단히 뒤로 갈 수 있다. 앞면과 뒷면에 일정한 규칙을 적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면, 감성적으로 인식 구분이 확실해져서, 복잡한 트리 구조의 어플리케이션이나 다양한 창이 실행되는 OS에서도 시각적으로 혼란스럽지 않고, 간단하게 기기 조작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많이 쓰는 기능들은 동일한 동작으로 통일 시켜 직관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했다.
6. 양면 스크린을 펼치는 기술 / 펼친 후 회전 기술
양면 스크린에 펼쳐지는 경첩구조와 펼친 후 스크린 회전 구조를 적용하여, 스크린이 2배로 확장 되게 하는 기술 적용했다. 또한 확대된 화면에 맞게 사용하던 화면이 자연스럽게 확대 되거나, 더 많은 정보를 표시해주는 새로운 레이아웃으로 변화 되는 기술을 적용 했다.
7. 광고 기술 적용
현재 어플리케이션이나 정보창에도 사용되고 있는 광고 삽입 기술을 적용하여, 제품 사용시 혹은 전화 통화 시 반대편 스크린에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광고하여, 통신 요금을 감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제공한다. 후면 카메라와 GPS를 이용해 주변 상황을 인식하여 주변 환경에 맞는 적절한 광고를 표시 한다.
예) 기차-식당간 광고, 백화점-매장 광고, 학교-학용품, 학원광고
1. 타블렛 PC와 스마트폰을 포함한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들이 다양한 제품들이 대부분 한면에만 스크린이 장착 되어 주머니 속에서 꺼낼 때 어떤 면이 나올지 예측하기 어렵다. 뒷면이 나오면 단말기를 다시 뒤집어 잡고 기기를 조작해야 한다.
2. 그립감을 유지 하기 위해 스크린을 더 이상 키울 수 없다. 스크린이 꺼질수록 손에 잡기 어려우며, 제품을 떨어졌을 때 파손의 위험도 커진다. 하지만 더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가시성 높은 화면을 제공 하기 위해서는 화면이 꺼져야 한다.
3. 상위 메뉴로 가기 위해서는 별도의 홈 버튼을 눌러야 한다. 버튼이 차지 하는 공간과 구조로 제품이 꺼질 수 밖에 없다. 본체에 버튼 구멍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습기에 약해지며, 본체의 강성과 내구성이 떨어진다.
4. 화면안에 조작을 위한 여러 아이콘이 포함 되어 있어, 실제 정보를 표시하는 내용창과 글자가 작아져 읽기가 불편하고 인지성이 떨어진다.
5. 회전형 스크린을 가지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양면형 스크린을 적용하여 사용성을 개선 시키고자 한다.
6. 서로 마주 앉은 사람들끼리 정보 공유가 어렵다. 서로 나란히 앉더라도 2명이상의 사람들이 화면을 공유 하기가 어렵다.
7. 운전중에 네비게이션을 조작 하기 어렵다. 손쉽게 지도를 변경 하거나 검색화면 전환을 통해 사용성을 개선해야 한다.
8. 현재 비싼 정보 이용료 요금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 있어야 한다.
기기(TV, 스마튼폰과 같은 통신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차량 정보창, 네비게이션)에 양면 스크린과 모션 센싱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성과 활용성을 개선한다. 주머니에서 어떤면을 꺼내더라도 바로 단말기를 조작 할 수 있다. 카메라 액정이나 스마트폰의 스크린을 뒤집는 동작을 통해 상위, 하위, 세부 정보창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각종 버튼(홈버튼, Back버튼)들을 제거 했다. 전화를 받을 때 다른쪽 면에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표시하가나 광고를 유치하여, 통신요금을 절약 할 수 있다.
1. 컴퓨터, 모바일 기기, 운송기기, 디지털 카메라 정보창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정보와 컨텐츠(Contents)에 양면 스크린과 결합한 새로운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사용성을 향상 시킨다.
2.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기기의 앞/뒤 내용에 일정한 규칙을 적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한 정보가 앞에 있는지, 뒤에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했다.
3. 뒤쪽 화면을 보기 위해 뒤집는 방향에 일정한 기능을 부여 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관을 가지고 서로 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뒤집는 방향에 따라 일관성 있게 자신이 원하는 창을 불러 낼 수 있다.
4. 양면 스크린을 장착한 기기를 세로로 펼치는 구조와 펼친 상태에서 회전하는 구조를 적용한다. 이렇게 하면 화면을 2배로 확장 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안쪽에도 스크린을 장착 하면, 펼친 상태에서도 화면을 회전시켜 양면 스크린을 이용한 새로운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4개의 스크린을 기기에 적용하여, 새로운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 하였다.
5. 타블렛 PC류, 스마트폰류 에서 펼쳐지는 기능과 양면 스크린 통해 마주 앉은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 하거나 서로 다른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6.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기기 사용 할 수 있도록 해주며, 원하는 정보를 더 빨리 검색하고 활용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7. 각종 센서를 적절히 활용하여, 들고 있는 방향에 맞게 제품을 사용 준비 상태로 만들어 준다. 카메라는 사용자를 인식해 바로 알맞은 조작 화면을 준비 시킨다.
8. 모듈화되서 일체화된 카메라와 스피커, 마이크를 한면에 두개씩 장착하여, 어느 방향으로도 기기를 잡더라도 전화 통화가 가능하고, 사진 촬영도 가능하다. 2개의 카메라로를 이용하여 3D 촬영을 가능하게 하며, 총4개의 스피커로 입체감 있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기기 하나당 총4개의 스피커, 4개의 마이크 4개의 카메라가 장착 된다.
9. 카메라와 GPS를 이용하여 적절한 광고가 후면 스크린에서 표시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립감을 해치지 않으면서 2배 넓은 스크린과 편리하고 직관적인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정보 표시 스크린(일반, 터치, 3D)을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모바일 제품에 적용 가능하며, 요금 절약, 인식 속도 개선, 빠른 기기 조작을 통한 사용성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다.
1. 모든 산업제품에 적용하여, 사용성 향상. 더 넓은 정보창 제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기기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해준다.
- 타블렛 PC, 일반 PC
- 스마트 폰(iPhone류), 스마트 패드(iPad류), 스마트 TV, 스마트 CAR, DMB
-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iPod류)
- 전자책, 전자사전
- 운송기기 (자동차 내부 정보창, 네비게이션)
- 디지털 카메라
2. 사용자는 화면을 볼 때마다, 정보 검색시, 앞면이나 뒷면을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더 빠르고 직관적으로 원하는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3. 경첩 구조를 적용하여, 앞/뒤 화면을 하나로 펼치질 수 있게 하면 기존의 스크린을 2배로 스크린을 확장 시킬 수 있으며, 화면을 펼쳤을 때 뒤쪽(기기의 안쪽)에도 스크린을 장착하면 스크린은 총 4개가 되어, 더 편리하고 직관적인 사용 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스크린 확장 후 스크린 회전을 통해 후면 스크린도 사용 가능함)
4. 사용자는 화면 전환을 위해 홈 버튼을 누르거나 뒤로 가기 버튼을 누르지 않고, 간단하게 기기를 뒤집거나 회전 시키는 것 만으로도 간단하게 기기 조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사용 할 수 있고 조작이 빨라져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5. 센서를 이용해 기기의 준비 화면을 사용자에게 맞추기 때문에 기기를 주머니에서 꺼내 제품의 앞/뒤, 상/하, 좌/우가 바뀌더라도 바로 사용 할 수 있다. 차내에서 기기의 인지성과 사용성을 좋게 하여, 안전성을 향상 시킨다. 운전중에 기기의 앞면을 확인할 필요 없이 바로 조작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개의 스크린만 가지고 있는 기존 제품들은, 제품을 들고 앞면인지 확인 후, 조작 해야 하기 때문에 전방 주시에 문제가 생기며, 사고를 유발 할 수 있다.
6.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하여 간단히 스크린을 회전시키거나 뒤집는 것으로 새로운 정보를 불러 낼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이나 설정 화면, 저장되어 있는 화상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촬영자와 모델이 적절한 정보를 공유, 확인하면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촬영자-촬영 정보 확인, 모델-자신의 표정 확인)
7. 운송기기의 네비게이션 및 정보창에 적용 하여 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간단하게 화면 전화 시킬 수 있다. 현재는 네비게이션-라디오-DMB-MP3재생 등과 같은 기능을 실행 시킬 때 일일이 버튼을 눌러야 한다. 하지만 양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간단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뒤집기만 하면 각 화면으로 이동 할 수 있다.
8. 타블렛 PC류, 스마트폰류 에서 펼쳐지는 기능과 양면 스크린 복제 혹은 개별적인 조작/동작/정보표시를 통해 마주 앉은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 하거나 서로 게임을 하거나 서로 다른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다.
9. 새로운 광고 서비스와 결합을 통해서 사용자는 통신 요금을 줄일 수 있고, 기업은 자사의 제품을 홍보 할 수 있다.
제1도는 양면 스크린의 적용 원리에 대한 도면.
제2도는 스크린을 확장 SMUI(Smart motion user interface) 원리.
제3도는 가로방향으로 스크린을 펼쳤을 때 양면 스크린 원리.
제4도는 세로방향으로 스크린을 확장시켜 사용하는 SMUI 원리.
제5도는 가로방향으로 스크린을 펼쳤을 때 양면 스크린 원리.
제6도는 가로방향스크린 확장 후, 화면을 회전시켜 사용하는 SMUI 원리.
제7도는 세로방향스크린 확장 후, 화면을 회전시켜 사용하는 SMUI 원리.
제8도는 마주 앉은 2인 이상의 사용자들을 위한 SMUI 원리
제9도는 기기의 구성요소의 전체 레이아웃 설명-1.
제10도는 센서, 카메라를 이용해 기기의 준비/조작 화면을 사용자에게 맞춤.
제11도는 뒤쪽 스크린에 광고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과 원리.
제12도는 접힌 상태에서 화면 뒤집기 SMUI 규칙에 대한 도면.
제13도는 펼친 상태에서 한쪽 화면 뒤집기 SMUI 규칙에 대한 도면.
제14도는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제15도는 전화가 왔을 때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제16도는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를 이용한 잠금 해체 기능.
제17도는 화면을 돌려서, 기기를 조작 하는 SMUI 기술
제18도는 음악/비디오 재생기에서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제19도는 웹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의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제20도는 DMB, TV에서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제21도는 네비게이션에서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제22도는 문서 읽기 화면에서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제23도는 카메라 촬영 시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제24도는 디지털 카메라에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를 적용하는 방법.
제25도는 디지털 카메라 양면형 스크린의 세부 구조.
제26도는 디지털 카메라의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제27도는 자동차 스티어링휠 컨트롤러를 통한 화면 뒤집기 SMUI 응용-1.
제28도는 자동차 스티어링휠 컨트롤러를 통한 화면 뒤집기 SMUI 응용-2.
제29도는 화면 전환시 여러 효과를 적용하여 인식성을 향상시키는 원리.
제30도는 2단계로 화면전환을 시키는 구조와 방법 설명.
제31도는 2단계로 화면전환을 시키는 구조와 방법 설명.
제32도는 기기의 구성요소의 전체 레이아웃 설명-2.
◎ 부호의 설명◎
적절한 부호를 사용하고 부가적으로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작동 설명을 도면에 작성했다.
a: 앞면 스크린(일반/터치방식)
b: 뒷면 스크린(일반/터치방식)
c: 펼친 상태에서 뒷면 스크린-01(일반/터치방식)
d: 펼친 상태에서 뒷면 스크린-02(일반/터치방식)
e: 사용자 1
f: 사용자 2
g: 카메라
h: 마이크, 스피커
i: 카메라 작동 표시
j: 뒷면 스크린의 광고 화면
k: 디지털 카메라 렌즈 부
l: 액정 회전축
m: 경첩을 기준으로 180도로 펼쳐짐.
n: 회전축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o: 화면을 보면서 왼쪽으로 180도씩 회전 시킴.
p: 화면을 보면서 오른쪽으로 180도씩 회전 시킴.
s: 자동차의 스티어링휠
y: 화면이 슬라이드 되면서 이전화면이나 다음화면을 차례대로 보여준다.
r1: 링 컨트롤러1(스크린 뒤집기 전환 조작용)
r2: 링 컨트롤러2(스크린 슬라이드 전환 조작용)
z1: r1을 회전 조작시 각각의 양면형 스크린과 연동되어 화면이 뒤집어지면서 전환됨.
z2: r2를 회전 조작시 각각의 양면형 스크린과 연동되어 화면이 슬라이드방식으로 전환됨.
k1: 좌 혹은 우로 360도 회전
k2: 상 혹은 하로 360도 회전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1은 양면 스크린의 적용하는 원리에 대한 설명이다. 양면 스크린을 적용하여, 사용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사용자에게 버튼을 최소화 시키고 넓고 짜임새 있는 화면을 제공 할 수 있다. 앞면표기 내용과 뒷면표기 내용 그리고 화면 전환방식과 방향에 일정한 규칙을 적용하여, 인식 속도와 사용성을 향상 시켰다.
2도와 양면형 스크린을 펼쳐 더 넓은 화면과 개선된 SMUI(Smart motion user interface) 사용성을 설명하고 있다. 세로방향의 경첩구조를 적용하여 가로방향으로 스크린을 2배로 확장 시킬 수 있다. 관련된 정보를 더 넓게 보여주며, 화면은 사용자가 보기 편하도록 자동으로 확장 된다.
3도과 도5는 화면을 펼친 상태에서도 뒤쪽에 스크린을 적용하여 총4개의 화면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 시켰다.
4도는 양면형 스크린을 펼쳐 더 넓은 화면과 개선된 SMUI 사용성을 설명하고 있다. 가로방향의 경첩구조를 적용하여 세로방향으로 스크린을 2배로 확장 시킬 수 있다. 관련된 정보를 더 넓게 보여주며, 화면은 사용자가 보기 편하도록 자동으로 확장 된다.
6도와, 7도는 스크린 확장 후 한쪽 화면을 회전시켜 뒷면 스크린으로 전환 시키는 새로운 SMUI에 대한 설명이다. 새로운 화면을 만들어 내서 다른 정보를 확인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불러 내고 명령을 입력해서 기기를 활용 할 수 있다.
8도는 마주 앉은 2인 이상의 사용자들이 앞쪽 작업 화면을 뒤쪽 스크린에 복제 하여,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과, 양면 스크린을 통해 2인이상의 사용자가 서로 같은 작업이나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과 활용성을 높이는 SMUI에 대한 설명이다.
9도와 32도는 앞/뒷면에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의 위치를 설명 하고 그 기능과 작동법, 사용법을 설명 하고 있다. 모듈화로 일체화된 카메라와 스피커, 마이크를 한면에 두개씩 장착하여, 어느 방향으로도 기기를 잡더라도 전화 통화가 가능하고, 사진 촬영도 가능하다. 2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D 촬영을 가능하게 하며, 총4개의 스피커로 입체감 있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기기 하나당 총4개의 스피커, 4개의 마이크 4개의 카메라가 장착 된다.
10도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상에 기기의 위치와 좌표를 인식하고, 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주변환경 사용자의 얼굴과 시선을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센서, 카메라를 이용해 앞/뒤, 좌/우가 달라지더라도 올바른 기기의 작동 준비 상태를 보여준다. 카메라로 사용자와 주변상황을 인식 하고, 통화 할 수 있도록 얼굴에 맞게 마이크와 스피커를 준비 한다.
11도는 뒤쪽 스크린에 광고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과 원리를 설명 하고 있다. 통화 중 양면 스크린을 이용해 뒷면스크린에 광고를 제공한다. 또한 뒷면카메라는 주변 환경을 분석 하여, 가장 알맞은 광고를 선별해 제공한다. 광고를 통해 통신비 절감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광고가 아니더라도 사용자가 보여주고 싶은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를 표시 할 수 있다.
12도는 접힌 상태에서 화면 뒤집기를 이용한 화면 전환 규칙과 SMUI 구조 설명하고 있다. 화면을 뒤집는 동작을 통해서 순차적으로 X축 혹은 Y축으로 화면이 전환 된다. X축 상의 어느 위치에서라도 위나 아래로 뒤집으면 상/하위 화면으로 전환된다. 좌/우, 앞/뒤로 계속 뒤집으면 설정에 따라 더 이상 화면전환이 되지 않거나, X축 상태의 화면들로 무한 반복 된다.
13도는 펼친 상태에서 한쪽 화면 뒤집기를 이용한 화면 전환 규칙과 SMUI 구조 설명하고 있다. 접힌 상태에서 화면을 펼친 후. 스크린b를 계속 위/아래로 회전시켜서 원하는 기능과 정보를 불러올 수 있는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 하고 있다.
14도는 각종 소프트웨어, 운영체계에서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설명하고 있다. 화면을 위로 뒤집으면 검색기능, 아래로 뒤집으면 설정 화면을 불러 올 수 있도록 하거나 전화기에서는 전화 관련 기능으로 화면 전환을 시킬 수 있다. 아래로 계속 뒤집으면 키패드, 연락처, 최근 통화, 즐겨 찾기 화면이 차례 데로 표시된다. 이러한 기능은 화면 뒤집어 사용하는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일관성이 있게 적용하여,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더라도 직관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했다. 좌/우로 뒤집으면 좌/우에 있는 컨텐츠와 아이콘들을 화면이동으로 보여준다.
15도는 전화가 왔을 때 화면 뒤집기를 이용해 전화 통화, 거절을 할 수 있는 SMUI 기능을 설명 하고 있다. 왼쪽으로 뒤집으면 거절, 오른쪽으로 뒤집으면 전화 받기, 위로 뒤집으면 음성 사서함 연결이 되도록 한다. 아래로 뒤집으면 무음/무진동 대기 상태로 전환 되고 다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16도는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를 이용하여 잠금 해체를 시키는 기능 설명하고 있다. 사용자는 자신만의 1부터 6까지의 뒤집기 순서를 이용해 기기의 잠금을 해체 시킬 수 있다. 잠금 해체 된 후 다시 앞/뒤, 좌/우 다른 화면으로 뒤집으면 바로 다시 화면이 잠기게 된다.
17도는 화면을 돌려서 기기를 조작하는 SMUI를 설명 하고 있다. 사용자는 화면을 확대 하고 싶으면 오른쪽으로 180도/360도 회전시키고 축소 하고 싶으면 왼쪽으로 180도/360도 기기를 회전 시키면 된다.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에서 언제든지 직관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에서는 화면을 왼쪽으로 돌려서 지도를 축소 시킬 수 있고, 오른쪽으로 돌려서 화면을 확대 시킬 수 있다.
18도는 음악/비디오 재생기에서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설명하고 있다. 화면을 위로 뒤집으면 음악/영상 검색기능, 아래로 뒤집으면 메인화면으로 돌아 갈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기능은 화면 뒤집기를 적용한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일관성이 있게 적용하여,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 하더라도 직관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오른쪽으로 뒤집으면 앨범아트, 가사 보기 등 세부 정보로 들어 가며, 왼쪽으로 뒤집으면 음악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해서, 불필요한 화면 터치를 줄여, 사용성을 높였다. 왼쪽으로 뒤집어서 음악 리스트를 확인 시, 계속 뒤집으면 분류방식(앨범, 아티스트, 노래)이 달라지면서 원하는 곡과 아티스트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했다.
19도는 웹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의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설명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화면을 위로 뒤집으면 검색기능, 아래로 뒤집으면 메인화면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왼쪽으로 뒤집으면 간단하게 뒤로 가기가 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화면 터치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게 검색과 웹서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반대로 오른쪽으로 화면을 뒤집으면 앞 페이지로 이동한다. 참고로 앞 페이지 뒤 페이지 전환 방향은 설정과 가로쓰기, 세로쓰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로 쓰기 방식은 왼쪽이 뒤로 가기가 되며, 세로 쓰기 방식은 왼쪽이 앞으로 가기가 된다.
20도는 DMB, TV에서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설명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화면을 위로 뒤집으면 채널 검색기능, 아래로 뒤집으면 메인화면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방송 수신 화면에서 좌로 화면을 뒤집으면 -1, 우로 화면을 뒤집으면 +1이 된다.
21도는 네비게이션에서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설명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화면을 위로 뒤집으면 목적지 검색기능, 아래로 뒤집으면 메인화면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하였다. x축의 각종 지도들을 좌/우로 뒤집을 때 마다, 순차적으로 화면에 반복해서 표시 해준다.
22도는 문서 읽기 화면에서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설명이다. 마찬가지로 화면을 위로 뒤집으면, 사전이나 다양한 읽을거리를 검색 할 수 있다. 아래로 뒤집으면 메인화면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좌로 뒤집으면 전 페이지로 이동 하고 우로 뒤집으면 앞 페이지로 전환 된다. 참고로 앞 페이지 뒤 페이지 전환 방향은 설정과 가로쓰기, 세로쓰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로 쓰기 방식은 왼쪽이 뒤로 가기가 되며, 세로 쓰기 방식은 왼쪽이 앞으로 가기가 된다.
23도는 카메라 촬영 시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설명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화면을 위로 뒤집으면, 사진첩이 검색이 된다. 아래로 뒤집으면 메인화면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촬영 후 화면을 좌로 돌리면 가장 최근에 촬영 했던 이미지를 확인 할 수 있다.
24, 25도는 디지털 카메라에 양면스크린과 화면 뒤집기 SMUI를 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총3개의 스크린을 장착 하여 사용성을 향상 시키는 사용자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양면형 스크린을 펼치면(세로방향 경첩/회전구조 적용) 더 넓게 스크린을 활용 할 수 있다. 펼친 상태 스크린 a를 통해서 모델은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더 쉽게 포즈를 취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해준다. 회전된 스크린 c, d는 촬영자가 더 편하고 정확하게 촬영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촬영대상을 화면을 통해 미리 보면서, 상태 정보를 동시에 확인/조작 하면서 촬영을 할 수 있다.또한 스크린 회전 구조를 적용 하여 좌/우, 상/하로 360도 회전 시킬 수 있다.
26도는 디지털 카메라의 양면스크린 화면 뒤집기 SMUI 구조 설명이다. 펼친 상태로 스크린을 2배로 만들어 더 넓게 활용 할 수 있다. 총3개의 스크린을 활용 할 수 있다. 스크린 c, d를 통해서 카메라 상태를 세부적으로 더 많이 검토 할 수 있다. 또한 c에는 카메라 상태를 d에는 촬영 미리보기 화면으로 나누어 사용 할 수도 있다. 스크린 c를 위로 뒤집으면 최근 촬영한 이미지가 나와 스크린 d의 촬영 미리보기 화면과 비교 하면서 촬영을 할 수가 있다. 스크린 c를 아래로 뒤집으면 새로운 설정 화면으로 확장 된다.
27도는 차량 내부에서 링 컨트롤러 r1를 이용하여, z1와 같은 조작을 통해 화면이 위/아래, 좌/우로 경첩기준 혹은 중앙 기준으로 뒤집어지면서 화면이 전환되는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 하고 있다. 특히 스티어링휠에 링 컨트롤러를 장착하면 직관성, 조작성, 사용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28도는 차량 내부에서 링 컨트롤러 r2를 이용하여, z2와 같은 조작을 통해 화면이 위/아래,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화면이 전환되는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 하고 있다. 특히 스티어링휠에 링 컨트롤러를 장착하면 직관성, 조작성, 사용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29도는 스크린을 뒤집을 때 각 모서리에 화면 이동을 알리는 표시와 함께 소리, 진동을 발생시켜, 뒤집기에 의한 화면 전환이 진행 되고 있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고 있다.
제30도와 31도는 2단계로 화면전환을 시키는 구조와 방법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유롭게 화면을 확장 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타블렛 PC와 같은 기기의 양면에 1장의 플렉서블 스크린(일반, 터치, 3D)을 앞에서 뒤로 길게 감싸서 양면 스크린처럼 사용하거나, 2장의 평면 스크린(일반, 터치, 3D)을 제품의 앞/뒤에 장착하여, 각각의 스크린을 이용해 사용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화면 구성 및 관련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도면 1, 2, 3, 4, 5, 30, 31, 32의 기기 외관 디자인 형태 포함.
  2. 기기에 경첩(Hinge) 구조를 적용하여, 앞과 뒤의 스크린을 펼쳐서, 가로방향 혹은 세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스크린을 2배로 확장시키는 기술.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새로운 화면 구성 및 관련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도면 2, 4, 30, 31 내용 포함.
  3. 청구항 2에서 화면을 펼쳤을 때 뒤쪽에도 스크린(일반, 터치, 3D)을 장착하고, 한쪽 스크린을 회전 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적용. 이것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회전시키면 화면 전환이 되는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도면 3, 5, 6, 7, 13 내용 포함.
  4. 화면을 좌우로 180도씩, 360도씩 돌리거나, 왼쪽으로 뒤집기, 오른쪽으로 뒤집기, 위로 뒤집기, 아래로 뒤집기, 대각선으로 뒤집기 동작에 기능을 부여하여, 청구항 1, 2, 3, 4, 5에 있어서 기기의 조작과 검색, 화면 전환을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도면 12 내용 포함.
  5. 대기 화면에서 잠금을 해체 하거나, 전화가 왔을 때, 화면 뒤집는 동작을 통해서 통화를 하거나 거부하는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도면 15, 16 내용 포함.
  6. 청구항 1, 2, 3, 4, 5에 있어서 각종 센서, GPS를 이용하여, 3차원상에 기기의 위치와 좌표를 인식하고, 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과 시선을 인식 하여, 사용자 방향에 맞게, 앞면에는 기기 조작을 위한 화면과 뒷면에는 카메라와 GPS를 이용해 관련된 보조 정보(로고, 자신의 프로필, 이미지 장식)나 위치에 알맞은 광고를 선별해서 보여 주는 청구항 6, 7, 8, 9, 10, 11, 12, 13, 32을 포함한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도면 10, 11 내용 포함.
  7. 청구항 1, 2, 3, 4, 5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OS, 어플리케이션과 소프트웨어의 모든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OS 메인 화면에서 좌/우로 뒤집기-좌/우 영역에 있는 화면으로 이동, 아래로 뒤집기-설정/즐겨찾기 화면으로 이동, 위로 뒤집기-검색 화면으로 전환). 도면 14 내용 포함.
  8. 청구항 1, 2, 3, 4, 5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음악/비디오 재생기에 적용 가능한 모든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음악 재생화면에서 좌로 뒤집기-플레이 리스트 화면으로 전환, 우로 뒤집기-가사 및 앨범 아트로 이동, 위로 뒤집기-메인 화면으로 이동, 아래로 뒤집기-음악 검색 화면으로 전환), (영상 재생화면에서 좌로 뒤집기-플레이 리스트 화면으로 전환, 우로 뒤집기-앨범 아트, 가사 보기로 이동, 아래로 뒤집기-메인 화면으로 이동, 위로 뒤집기-영상 검색 화면으로 전환). 도면 18 내용 포함.
  9. 청구항 1, 2, 3, 4, 5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웹 브라우저와 운영체계의 모든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웹페이지에서 가로표기시 좌로 뒤집기-뒤 페이지로 이동, 우로 뒤집기-앞 페이지로 이동, 세로표기시 좌로 뒤집기-앞 페이지로 이동, 우로 뒤집기-뒤 페이지로 이동, 아래로 뒤집기-메인 화면 이동, 위로 뒤집기-열려있는 웹 페이지 목록/검색 화면으로 전환). 도면 19 내용 포함.
  10. 청구항 1, 2, 3, 4, 5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DMB, TV의 모든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좌로 뒤집기-채널-1, 우로 뒤집기-채널+1, 아래로 뒤집기-메인 화면 이동, 위로 뒤집기-채널 리스트/검색 화면으로 전환). 도면 20 내용 포함.
  11. 청구항 1, 2, 3, 4, 5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네비게이션/지도의 모든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좌로 뒤집기-위성지도로 전환, 우로 뒤집기-로드뷰로 변환, 위로 뒤집기-메인 화면이동, 아래로 뒤집기-목적지 검색 화면으로 전환). 도면 21 내용 포함.
  12. 청구항 1, 2, 3, 4, 5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문서 읽기용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로 문서 읽기 화면에서 좌로 뒤집기-다음 페이지로 이동, 우로 뒤집기-전 페이지로 이동, 세로 문서 읽기 화면에서 좌로 뒤집기-전 페이지로 이동, 우로 뒤집기-다음 페이지로 이동, 위로 뒤집기-메인 화면이나 문서목록으로 이동, 아래로 뒤집기-검색 화면(사전, 책갈피)으로 전환). 도면 22 내용 포함.
  13. 청구항 1, 2, 3, 4, 5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사진 촬영용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면 23 내용 포함.
  14. 청구항 1, 2, 3, 4, 5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의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면 24, 25, 26 내용 포함. 디지털 카메라에 양면형 회전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간단히 스크린을 회전시키거나 뒤집는 것으로 원하는 화면으로 전환 시킬 수 있다. 추가로 1개의 스크린을 더 장착하여 총 3개의 스크린으로, 미리 보기 화면이나 설정 화면, 저장되어 있는 화상을 동시에 확인 할 수 있다. 촬영자와 모델이 양면 스크린을 이용하여 서로 정보를 공유, 확인하면서 사진을 촬영을 할 수 있다. (촬영자는 미리보기 화면과 촬영 정보 확인, 모델은 자신의 표정 확인)
  15. 기기 앞/뒷면에 각각 모듈화된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 4개 장착하여 사용성과 기능을 향상 시킨 제품 레이아웃 및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면 9, 32 내용 포함.
  16. 자동차의 스티리어링휠 이나 차량 내부 스위치, 노브등에 링 컨트롤러 r1, r2를 장착하여 z1, z2의 회전 조작을 통해 화면전환(화면 뒤집기 전환, 화면 슬라이드 전환)을 하는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도면 27, 28 내용 포함.
  17. 청구항 1, 2, 3, 4, 5에 있어서, 스크린을 뒤집을 때 각 모서리에 이동을 알리는 표시, 조명, 소리, 진동을 발생시켜, 뒤집기에 의한 화면 전환이 진행되고 있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도면 29 내용 포함.
  18. 양면스크린이 적용된 기기에 스마트 모션 인터페이스가 아닌 각각의 독립된 동작도 가능하게 하여, 한 사람이나 두 사람이 스크린별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운영체계(예:앞-iOS, 뒤-안드로이드)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기술. 도면 8의 내용 포함.
  19. 양면스크린이 스마트폰에 적용 되었을 경우 앞면과 뒷면에 서로 다른 통신사(예:앞-SK, 뒤-KT)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기술과 서비스 기술.
PCT/KR2012/004027 2011-10-19 2012-05-22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 모션 유저 인터페이스 WO2013058456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780A KR20110120858A (ko) 2011-10-19 2011-10-19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 모션 유저 인터페이스
KR10-2011-0106780 2011-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8456A2 true WO2013058456A2 (ko) 2013-04-25

Family

ID=4539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027 WO2013058456A2 (ko) 2011-10-19 2012-05-22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 모션 유저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120858A (ko)
WO (1) WO2013058456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79A1 (ko) * 2015-05-27 2016-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712749B2 (en) 2014-02-27 2017-07-1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sides
KR20200106291A (ko) * 2019-03-04 2020-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2003931B2 (en) 2019-03-04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audio data according to the folding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155B1 (ko) * 2013-01-11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46569B1 (ko) 2013-04-15 2019-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35703B1 (ko) 2014-02-12 2021-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36138B2 (en)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80462B1 (ko) 2016-02-05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69566B1 (ko) 2016-03-31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97036B1 (ko) * 2016-10-11 2023-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9272781B (zh) * 2018-11-15 2023-12-29 福建天泉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翻折的双屏电子白板支架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2749B2 (en) 2014-02-27 2017-07-1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sides
US10057497B2 (en) 2014-02-27 2018-08-2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pivotably connected sides with selectable displays
US10506170B2 (en) 2014-02-27 2019-12-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pivotably connected sides with selectable displays
WO2016190579A1 (ko) * 2015-05-27 2016-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726762B2 (en) 2015-05-27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of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00106291A (ko) * 2019-03-04 2020-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665648B1 (ko) * 2019-03-04 2024-05-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2003931B2 (en) 2019-03-04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audio data according to the folding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858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58456A2 (ko)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 모션 유저 인터페이스
WO2017065494A1 (en)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of portable device
WO2015199484A2 (en)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WO201517854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204048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10143769A1 (en) Dual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6080559A1 (ko) 디스플레이 폴딩을 통해 화면을 고정시킬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3707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WO2016056703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1043601A2 (en) Method for providing gui using motion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WO2014119829A1 (ko) 이동 단말기
WO2012108620A2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based on multiple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WO2014017790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21779A1 (ko) 이동 단말기
WO2014017722A1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1074891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utput of a mobile device
WO20150469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content
KR2011003556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WO2021261722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5088279A1 (en) Protective cover
WO2018062585A1 (ko) 이동 단말기
WO2022119143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확장 방법
WO2011002238A2 (ko) 복수의 가상 스크린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236047A1 (ko)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WO201412633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419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 not ent. europ.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419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