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866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866A
KR20180010866A KR1020160093684A KR20160093684A KR20180010866A KR 20180010866 A KR20180010866 A KR 20180010866A KR 1020160093684 A KR1020160093684 A KR 1020160093684A KR 20160093684 A KR20160093684 A KR 20160093684A KR 20180010866 A KR20180010866 A KR 20180010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output unit
audio output
uni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환
심장환
강동한
최병길
김준태
송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0866A/ko
Priority to US15/613,647 priority patent/US10063975B2/en
Publication of KR2018001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스피커 모듈 착탈식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스피커 모듈의 메인 바디에의 착탈 여부에 따라 스피커 음향의 출력을 효율적이고 풍부하게 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바디, 제1 바디에 구비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오디오 출력부, 상기 제1 바디에 구비되어 음원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변환부, 상기 제1 바디에 착탈 결합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음원 신호를 디폴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음원 신호를 제1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스피커 모듈 착탈식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모듈 착탈식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모듈은 카메라의 기능을 보조하는 것부터 오디오 출력을 보조하는 것까지 다양한 형태구 있다.
이중 오디오 출력을 보조하는 모듈을 고려할 때, 오디오 출력 보조 모듈을 메인 바디에 결합하는 경우 기존 메인 바디에 결합되어 있던 스피커 유닛을 대체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기존 메인 바디에 구비된 스피커 유닛과 결합하는 오디오 출력 보조 모듈이 동시에 사용되지 않았다.
스피커 유닛이 복수 구비되면 출력 공간이 분리되어 입체적인 음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스피커 유닛의 튜닝을 통해 분리된 성향의 입체 음향을 들을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출력 보조 모듈에 구비된 스피커 유닛만으로 음향을 구현하므로 최대한 많은 스피커 유닛으로 오디오 출력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없었다.
또는, 메인 바디에 구비된 기존 스피커 유닛이 구비된 채로 오디오 출력 보조 모듈이 결합한다고 해도 기존 스피커 유닛의 오디오를 출력시키지 않도록 비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기존 모노 스피커 유닛 상태의 음색을 출력시키는데 불과하여 풍부한 음향을 들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오디오 출력 보조 모듈이 메인 바디에 결합하더라도 메인 바디에 구비된 스피커 유닛의 음향 출력이 기존과 동일한 음색으로 출력되어 풍부한 음향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바디, 제1 바디에 구비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오디오 출력부, 상기 제1 바디에 구비되어 음원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변환부, 상기 제1 바디에 착탈 결합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음원 신호를 디폴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음원 신호를 제1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결합하는 제2 바디의 저항 값이 기 설정 저항 값에 해당하면 상기 제2 바디가 결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음원 신호를 특정 주파수 영역이 강조된 제2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가 우퍼 스피커 유닛인 경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저음 성향이 강조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는 고음 성향이 강조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가 트위터 스피커 유닛인 경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고음 성향이 강조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는 저음 성향이 강조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결합하는 제2 바디의 저항 값에 따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강조하는 주파수 영역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의 제1 지점에 구비된 3.5 파이 오디오 소켓 및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3.5 파이 오디오 소켓과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결합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의 제2 지점에 구비된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소켓,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소켓과 결합하는 제2 결합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에 구비된 제1 증폭기 및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에 구비된 제2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착탈 결합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 커버의 무선 충전 단자와 접촉 가능한 제1 단자,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후면 커버를 대체하여 결합한 경우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는 제2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 일측 및 타측에 돌출 구비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측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 타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의 타측 전면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음향 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 일측 및 타측에 돌출 구비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측 및 타측 전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된 추가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은 그래파이트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은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착탈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와 착탈 결합하는 제3 바디 및 상기 제3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바디의 제2 오디오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선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와 착탈 결합하는 제3 바디 및 상기 제3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바디의 제2 오디오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와 외부 장치간의 전기적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 바디의 결합 여부에 따라서 음향 출력 효과를 최대한 풍부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 바디의 결합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종래에 구비된 포 트 또는 단자를 이용하여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결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 바디에 의해서 제1 바디의 오디오 출력부가 가려지지 않고 여전히 외부로 연결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 바디가 제1 바디에 결합함으로써 발생하는 발열 증가를 감소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 바디를 제1 바디에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주파수-데시벨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오디오 변환부의 변환 알고리즘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오디오 변환부의 변환 알고리즘에 관한 일 실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오디오 변환부의 변환 알고리즘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의 흐름에 대한 간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의 흐름에 대한 또 다른 간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의 흐름에 대한 또 따른 간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바디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바디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바디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후술하는 제1 오디오 출력부(230),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출력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 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 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 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스피커 모듈 착탈식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이란 그 자체로, 또는 특정 메인 바디에 결합하여 음향 출력에 관한 기능을 추가하거나 향상시키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은 교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메인 바디를 제1 바디(210), 착탈되는 스피커 모듈을 제2 바디(220)로 정의한다.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가 결합하는 특징 이외에 저촉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도 1a 내지 도 1c의 특징은 본 형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 예 중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이상 제1 바디(210)에는 제1 오디오 출력부(230)가, 제2 바디(220)에는 제2 오디오 출력부(240)가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주파수-데시벨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스피커가 출력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을, 세로축은 해당 주파수 영역에 대해 출력할 수 있는 크기의 최대값을 도시한 것이다.
오디오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이 때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와 데시벨의 크기가 소리의 성향을 결정하게 된다. 주파수의 값이 클수록 고음 영역이 강조된 음향을, 작을수록 저음 영역이 강조된 음향을 들을 수 있다.
1번 주파수 그래프 곡선은 저음 성향이 강조된 음향을, 2번 주파수 그래프 곡선은 노멀(Normal)한 음향을, 3번 주파수 그래프 곡선은 고음 성향이 강조된 음향을 의미한다.
여기서 노멀한 음향이라고 함은 저음, 고음 또는 중음 모두가 강조되지 않은 상태의 음향을 말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즉, 변환 되기 이전의 음원 신호가 의도하고 있는 소리의 성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음원 신호라고 함은 내부 장치 또는 외부 장치에서 최초로 전달되어 오는 소스 데이터(Source Data)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가공 또는 튜닝 되기 이전 상태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고음 성향이 강조되었다고 함은 음원 신호에 비교하여 고음 주파수 영역의 출력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저음 성향이 강조되었다고 함은 음원 신호에 비교하여 저음 주파수 영역의 출력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1번 내지 3번 주파수 그래프 곡선은 전체적인 경향을 의미할 뿐 저음, 중음, 고음이 강조된 주파수 성향이 반드시 값이 도 2의 각 형태와 동일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출력되는 음향의 성향은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성향 및 스피커의 물리적인 성향으로 인해 결정될 수 있다.
음원 신호는 오디오 변환부(211)에 의해 변환되기 이전의 최초 입력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음원 신호의 성향과 별개로 스피커의 물리적인 성향은 정해져 있다. 출력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특정 음역대에 따라 대표적인 예로 우퍼, 스코커 및 트위터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퍼는 100Hz~299Hz, 스코커는 500Hz~2.9KHz, 트위터는 3KHz~6.9KHz 의 주파수 대역을 담당하게 된다.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성향이 저주파에서 고주파까지 고른 음향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스피커의 물리적인 성향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제한되어 출력된다.
장치가 하나의 스피커 유닛을 구비한 경우 해당 스피커 유닛은 비교적 넓은 주파수 대역을 출력할 수 있는 스코커 또는 트위터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퍼 스피커 유닛의 물리적 성질을 갖는 오디오 출력부는 일반 출력 또는 트위터 출력의 오디오 출력부와 물리적 제원이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진동수에 잘 대응하도록 진동판의 두께가 두껍고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위터 스피커 유닛은 노멀한 성향의 음향 및 고음역대가 강조된 음향인 도 2의 2번 및 3번 그래프의 성향을 모두 출력할 수 있고, 우퍼 스피커 유닛은 저음역대가 강조된 음향인 도 2의 1번 그래프의 성향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경우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물리적 구조의 정도에 따라 가능한 출력대가 정해지게 된다.
이동 단말기(100)와 같은 소형 단말기에는 스피커가 구비될 공간의 제약이 있어 마이크로 스피커가 구비된다. 마이크로 스피커는 전술한 스코커 또는 트위터 스피커의 성향을 갖게 된다.
장치가 복수의 스피커 유닛을 구비할 수 있는 경우 우퍼와 트위터를 모두 구비할 수 있으므로 출력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 스코커 또는 트위터 스피커의 성향을 갖게 되는 마이크로 스피커가 단일로 구비된 경우 오디오 변환부(211)는 입력 받은 음원 신호를 별도의 튜닝 없이 디폴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2번과 같은 노멀(Normal) 성향의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최대한 플랫(Flat)한 성향의 고른 분포의 음향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변환부(211)에 관해서는 도 11 이하에서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오디오 변환부(211)의 변환 알고리즘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후 설명하는 이동 단말기(100)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이상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를 포함하고,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는 서로 착탈 가능한 형태인 것을 전제로 한다.
나아가 제1 바디(210)는 제1 오디오 출력부(230)를, 제2 바디(220)는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제1 오디오 출력부(230) 및 제2 오디오 출력부(240)는 각각 독립적인 스피커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싱(Audio Post Processing)을 담당하는 오디오 변환부(211)는 제1 바디(210)에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바디(220)에 구비되거나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싱이란 음원 신호를 전자적으로 가공하여 오디오 출력부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1 바디(210)가 단독으로 구비되어 제1 오디오 출력부(230)만 있는 상태, 즉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디오 변환부(211)는 음원 신호를 디폴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오디오 출력부(230)가 2번과 같은 플랫(flat)한 노멀(Normal) 성향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전달할 수 있다.
즉, 오디오 변환부(211)는 음원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는 튜닝 없이 디폴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오디오 출력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오디오 출력부(230)를 구비한 제1 바디(210)만이 있는 경우(S501)에는 불가피하게 노멀 성향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튜닝 되지 않은 디폴트 오디오 신호로 변환(S511)하지만,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구비한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와 결합하여 함께 음향을 출력하는 경우(S501)에는 고음 성향과 저음 성향의 출력을 모두 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튜닝을 수행할 수 있다(S512).
여기서 제1 오디오 출력부(230) 및 제2 오디오 출력부(240)는 각각 출력 유닛을 지칭하는 것으로 물리적으로 독립된 음향 출력 진동판 또는 진동판의 조합을 가질 수 있으며, 독립된 오디오 신호를 전달 받아 출력하는 구성을 말할 수 있다.
다만 오디오 신호를 전달 받는 이전의 신호 변환 등의 단계에서는 같은 부품 및 회로를 공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에 결합하는 경우 제1 오디오 출력부(230)와 제2 오디오 출력부(240)가 같이 스피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오디오 출력부(230)와 제2 오디오 출력부(240)가 함께 스피커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1 오디오 출력부(230)가 단독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어 노멀한 성향의 음향을 출력하는 경우와 달리 저음 및 고음 성향의 음향을 각각 출력하여 이동 단말기(100) 전체의 음향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오디오 변환부(211)는 제1 오디오 출력부(230)에는 음원 신호를 특정 주파수 영역이 강조된 제1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고, 제2 오디오 출력부(240)에는 음원 신호를 또 다른 특정 주파수 영역이 강조된 제2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S512, S522).
오디오 변환부(211)는 제2 바디(220)의 제1 바디(210)에의 결합을 인식하여 상기와 같은 선택적인 튜닝을 수행하여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바디(220)의 제1 바디(210)에의 결합을 인식하는 오디오 변환부(211)는 상술한 제어부(180, 도1a 참조)의 개념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 도1a 참조)가 제2 바디(220)와 제1 바디(210)의 결합을 인식하고 오디오 변환부(211)로 하여금 신호를 전달하여 각각에 대응되는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바디(210)의 제어부(180, 도1a 참조)는 결합한 제2 바디(220)의 특정 저항 값을 근거로 제2 바디(220)가 결합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오디오 변환부(211)의 변환 알고리즘에 관한 일 실시 예이다.
제1 오디오 출력부(230)에 전달되는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2 오디오 출력부(240)에 전달되는 제2 오디오 신호의 각 성향은 제1 바디(210)에 결합하는 제2 바디(220)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의 물리적인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결합된 제2 오디오 출력부(240)가 우퍼 스피커 유닛의 물리적 성향을 갖는 경우(S601) 오디오 변환부(211)는 제1 오디오 신호를 고음 성향이 강조되도록 변환하고, 제2 오디오 신호를 저음 성향이 강조되도록 변환하여 각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할 수 있다(S602).
반대로, 결합된 제2 오디오 출력부(240)가 트위터 스피커 유닛의 물리적 성향을 갖는 경우(S611) 오디오 변환부(211)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저음 성향이 강조되도록 변환하고, 제2 오디오 신호를 고음 성향이 강조되도록 변환하여 각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할 수 있다(S612).
결합된 제2 오디오 출력부(240)의 물리적 성향이 우퍼 스피커 유닛인지 트위터 스피커 유닛인지 여부는 각 스피커 유닛이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도록 하여 오디오 변환부(211)가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오디오 변환부(211)는 각 경우를 구별하여 결합된 제2 오디오 출력부(240)의 물리적 성질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성향으로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2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퍼 스피커 유닛에 대응되는 제2 오디오 출력부(240)가 구비된 제2 바디(220)의 결합 저항 값을 제1 저항 값으로 설정하고, 트위터 스피커 유닛에 대응되는 제2 오디오 출력부(240)가 구비된 제2 바디(220)의 결합 저항 값을 제2 저항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오디오 변환부(211)는 인식된 저항 값이 제1 저항 값인 경우(S601) 제1 오디오 신호가 고음 성향을 강조하도록 변환하고 제2 오디오 신호가 저음 성향을 강조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S602).
반대로 오디오 변환부(211)는 인식된 저항 값이 제2 저항 값인 경우(S611) 제1 오디오 신호가 저음 성향을 강조하도록 변환하고 제2 오디오 신호가 고음 성향을 강조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S612).
즉, 오디오 변환부(211)는 결합하는 제2 바디(220)의 저항 값에 따라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2 오디오 신호의 강조하는 주파수 영역을 달리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오디오 변환부(211)의 변환 알고리즘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이다.
상기의 실시 예는 결합하는 제2 바디(220)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의 물리적 성향만을 고려하여 변환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제1 바디(210)의 제1 오디오 출력부(230)와 제2 바디(220)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의 상대적인 물리적 성향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한 제2 바디(220)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의 물리적 성향이 트위터 스피커 유닛인 경우라 하더라도, 제1 바디(210)의 제1 오디오 출력부(230)가 상대적으로 더 고음을 내기 적합한 트위터 스피커 유닛인 경우에, 이 경우까지 여전히 상기 실시 예와 같은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는, 우퍼 스피커 유닛 또는 트위터 스피커 유닛의 출력 특성은 상대적인 것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우퍼 스피커 유닛에 가까운지 트위터 스피커 유닛에 가까운지 여부는 각 오디오 출력부에 미리 지정된 저항 값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할 수 있는 주파수 영역대 값이 높을수록 높은 저항 값을 갖도록 미리 설정하면 오디오 변환부(211)는 어떤 물리적 성향의 오디오 출력부가 결합되었는지 알 수 있다.
제1 오디오 출력부(230)를 구비한 제1 바디(210)의 저항 값을 레퍼런스(Reference) 저항 값으로 정의하여 저장(S701)하고 제1 오디오 출력부(230)보다 트위터 스피커 유닛의 물리적 성향을 가질수록 더 큰 저항 값을, 우퍼 스피커 유닛의 물리적 성향을 가질수록 더 작은 저항 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오디오 변환부(211)는 결합된 제2 바디(220)의 저항 값이 레퍼런스(Reference) 저항 값보다 작은 경우(S703)에는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상대적 우퍼 스피커 유닛으로 간주하여 제1 오디오 신호는 고음 성향, 제2 오디오 신호는 저음 성향을 각각 강조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S712).
오디오 변환부(211)는 결합된 제2 바디(220)의 저항 값이 레퍼런스(Reference) 저항 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상대적 트위터 스피커 유닛으로 간주하여 제1 오디오 신호는 저음 성향, 제2 오디오 신호는 고음 성향을 각각 강조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S713).
물론 레퍼런스 저항 값과 제2 바디(220)의 저항 값을 비교하기 이전에 기 설정된 저항 값을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오디오 변환을 수행하여 출력하기에 적절한 제2 바디(220)가 결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선결 조건으로 할 수도 있다(S702).
더 구체적인 예로, 제1 오디오 출력부(230)는 1kHz~2kHz 주파수 영역대에서 높은 출력을 발생시키는 물리적인 조건을 갖는 트위터 스피커 유닛이고, 제2 오디오 출력부(240)는 2kHz~5kHz 주파수 영역대에서 높은 출력을 발생시키는 물리적인 조건을 갖는 트위터 스피커 유닛이라고 가정하자.
이를 근거로 제1 오디오 출력부(230)의 저항 값은 50옴, 제2 오디오 출력부(240)의 저항 값은 70옴이 되도록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제2 오디오 출력부(240)의 저항 값이 50옴 보다 크므로 오디오 변환부(211)는 제1 오디오 출력부(230)를 우퍼 스피커 유닛으로 인식하여 저음 강조 성향의 변환을,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트위터 스피커 유닛으로 인식하여 고음 강조 성향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제2 바디(220)의 결합에 따라 제1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에 결합 하더라도 여전히 노멀한 음향인 디폴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제2 바디(220)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만 특정 주파수 영역이 강조된 제2 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출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상기 실시 예들과 달리 제2 바디(220)의 결합으로 인해 3 개 이상의 스피커 유닛이 구비된 경우에 어떤 음향 특색을 가지도록 변환할 것인지가 문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바디(210)는 하나의 제1 오디오 출력부(230)를 구비하고, 제2 바디(220)는 두 개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a, 240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변환부(211)는 결합한 제2 바디(220)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a, 240b)가 우퍼 스피커 유닛의 물리적 성질을 갖는 경우 제1 오디오 출력부(230)에 도 2의 3번 그래프에 대응되는 고음 성향의 제1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하고, 제2 오디오 출력부(240a, 240b)에 도 2의 1번 그래프에 대응되는 저음 성향의 제2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 오디오 변환부(211)는 제1 오디오 출력부(230)에 도 2의 1번 그래프에 대응되는 저음 성향의 제1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하고, 제2 오디오 출력부(240a, 240b)에 도 2의 3번 그래프에 대응되는 고음 성향의 제2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실시 예와 반대로, 제1 바디(210)가 두 개의 제1 오디오 출력부(230a, 230b)를 가지고, 제2 바디(220)가 하나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도 8의 실시 예와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오디오 변환부(211)의 변환 및 전달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과 같이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의 측면 일측에 결합하는 실시 예와 달리,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의 후면 전체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 형태의 경우에도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는 각각 하나의 오디오 출력부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210)는 하나의 제1 오디오 출력부(230)를, 제2 바디(220)는 두 개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a, 240b)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a, 240b)는 제2 바디(220)의 후면에 모두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제2 바디(220)의 전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반대로 제1 바디(210)가 두 개의 제1 오디오 출력부(230)를, 제2 바디가 하나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디오 변환부(211)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오디오 신호의 흐름에 대한 간략도이다.
음원 신호는 좌측 성분 채널과 우측 성분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음원 신호는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싱 과정을 거친다.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싱은 오디오 변환부(211)가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변환부(211)는 음원 신호를 증폭시키는 게인(Gain)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오디오 변환부(211)는 Multi Band DRC를 통해 원하는 주파수 음역대를 강화시킬 수 있다. 즉, 음원 신호를 특정 주파수영역이 강조된 오디오 신호로 바꾸는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IIR Filter는 Multi Band DRC로 인해 발생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왜곡을 없애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Bass Enhance는 필요한 경우 베이스(Bass)를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Speaker Protection은 스피커의 임피던스 및 코일의 상태를 통해 진폭, 코일 온도 등을 파악하여 오디오 신호의 출력 최대치를 피드백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싱을 거쳐 정제된 음원 신호는 증폭기(Amplifier)를 거쳐 오디오 출력부로 전달되게 된다.
제1 바디(210)는 제1 오디오 출력부(230)로 연결되는 제1 증폭기(212), 제2 오디오 출력부(240)로 연결되는 제2 증폭기(2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오디오 출력부(230)와 제2 오디오 출력부(240)의 성향이 동일 구조, 즉 둘다 모두 노멀 스피커 또는 트위터 스피커 유닛인 경우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싱은 좌측 성분 채널과 우측 성분 채널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오디오 신호의 흐름에 대한 또 다른 간략도이다.
반면, 제1 오디오 출력부(230) 및 제2 오디오 출력부(240) 중 하나가 트위터, 나머지 하나가 우퍼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싱을 좌측 성분 채널과 우측 성분 채널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각 용도에 맞는 오디오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싱을 거쳐 정제된 음원 신호는 증폭기(Amplifier)를 거쳐 오디오 출력부로 전달되게 된다.
제1 바디(210)는 제1 오디오 출력부(230)로 연결되는 제1 증폭기(212), 제2 오디오 출력부(240)로 연결되는 제2 증폭기(213)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바디(220)가 직접 제2 증폭기(21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210)의 제어부는 결합한 제2 바디(220)의 특정 저항 값을 근거로 제2 바디(220)가 결합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제2 바디(220)가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가져 어떤 종류의 제2 바디(220)가 결합했는지에 따라 필요한 오디오 변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항 값에 따라 제2 바디(220)가 결합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오디오 변환부(211)는 음원 신호를 디폴트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지 않고 제1 오디오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디오 신호는 고음 주파수 영역이 강조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오디오 신호의 흐름에 대한 또 따른 간략도이다.
제1 바디(210)의 오디오 출력부가 두 개이고, 제2 바디(220)의 오디오 출력부가 하나인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도 12 및 도 13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우채널의 음원 신호는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싱 과정을 거쳐 제1 바디(210)의 하나의 오디오 출력부에, 좌채널의 음원 신호는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싱 과정을 거쳐 제1 바디(210)의 나머지 하나의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우채널의 음원 신호와 좌채널의 음원 신호는 적정 비율로 믹싱(Mixing)되어 오디오 프로세싱 과정을 거쳐 제2 바디(220)의 오디오 출력부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제2 바디(220)의 오디오 출력부가 우퍼 스피커 유닛인 경우 믹싱된 음원 신호를 멀티 밴드 DRC, IIR 필터 및 Bass 강화 단계를 거쳐 저역 강화 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에 결합하는 경우 제1 바디(210)의 두 개의 오디오 출력부에 노멀 성향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고음 강화된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구비한 제2 바디(220)는 제1 오디오 출력부(230)를 구비한 제1 바디(210)에 추가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제1 바디(210)의 제1 오디오 출력부(230)를 대체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특히, 제2 바디(220)는 이동 단말기(100) 본체의 하단에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디오 출력부(240)는 트위터 스피커 유닛이 될 수 있으며, 트위터 스피커 유닛은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으므로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인 제1 바디(210)와 동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 방식과 동일하나, 제2 바디(220)는 두 개 이상의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제2 오디오 출력부(240a, 240b)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두 개의 스피커 유닛을 구비하는 경우 하나의 스피커 유닛은 트위터 형태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a), 나머지 하나는 우퍼 형태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b)가 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바디(210)는 범용 외부 스피커의 결합을 위한 3.5 파이 오디오 소켓(221)을 포함할 수 있다. 3.5 파이 오디오 소켓(221)에 범용 외부 스피커가 결합할 수도 있고, 또는 본 발명의 제2 바디(220)가 결합할 수 있다. 즉, 제2 바디(220)에는 상기 3.5 파이 오디오 소켓(221)과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결합 단자(227)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210) 중 일부 바디를 대체하여 제2 바디(220)가 결합하는 것이 아닌 제1 바디(210)에 추가적으로 제2 바디(220)가 결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는 제1 바디(210)에 구비된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 소켓(22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220)에는 상기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 소켓(222)과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결합 단자(228)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가 결합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에 결합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바디(220)에 구비된 제2 오디오 출력부(240)는 제1 바디(210)의 제1 오디오 출력부(230)와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오디오 출력부(230)와 제2 오디오 출력부(240)가 동일 방향을 바라보는 경우 고음역과 저음역이 서로 분리되어 이질감 없이 청자에게 전달 될 수 있다.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의 일측에 결합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디(210)의 제1 오디오 출력부(230)와 제2 바디(220)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하단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오디오 출력부(230)와 제2 오디오 출력부(240)가 이격되도록 위치시키는 경우 저음역과 고음역이 서로 방해하지 않고 최대한 분리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의 적어도 양측 영역을 감싸도록 결합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의 상하단 측면을 모두 감싸고 동시에 제1 바디(210)의 배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가 결합하기 위한 안착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210) 중 제2 바디(220)에 안착되는 일 영역과 제2 바디(220)의 안착부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는 서로 끼워 맞춤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와 상술한 바와 같이 3.5 파이 오디오 소켓(221)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고, 또는 USB 소켓(222)를 통해 결합할 수도 있다(미도시). 상기 소켓 또는 포트가 제1 바디(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제2 바디(220)는 그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켓 또는 포트에 결합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 방향으로 안착되어 결합하나, 단자의 결합은 측 방향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을 구현하기 위해 제2 바디(220)는 적어도 일 영역에 탄성 소재의 바디를 포함하여 단자를 결합 시킨 뒤에 제2 바디(220)를 변형시켜 제1 바디(210)에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2 바디(220)는 분리된 두 개의 부재로 구비되어 슬라이드 착탈 할 수도 있다. 즉, 단자의 결합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슬라이드 분리 및 결합되는 제2 바디(2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의 양 측면을 감싸 구비되되, 3.5 파이 오디오 소켓(221) 또는 USB 소켓(222)를 통해 결합하지 않고 후면 커버(103)를 대체하여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바디(210)는 배면에 후면 커버가 착탈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후면 커버(103)에 안테나 또는 무선 충전을 위한 영역이 할당될 수 있는데, 이 영역과 제1 바디(210)의 피씨비를 연결하기 위해 제1 바디(210)의 배면에는 제1 단자(2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다시 참조하면, 제2 바디(220)가 후면 커버(103)를 대체하여 결합한 경우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바디(210)의 제1 단자(225)와 접촉하는 제2 단자(226)가 제2 바디(2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단자(225)와 제2 단자(226)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가 결합시 서로 접할 수 있다.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의 일측 및 타측에 돌출 구비된 확장부(223)를 가질 수 있다. 확장부(223)는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가 결합시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의 양 측면을 잡아 줘야 하는 이유로 불가피하게 필요한 영역이 될 수도 있다.
제2 오디오 출력부(240) 유닛은 제2 바디(220)의 확장부(223)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바디(220)의 확장부(223)에는 제2 오디오 출력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1 오디오 출력부(230)가 제1 바디(21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경우 동일 방향인 제2 바디(220)의 확장부(223) 전면에 제2 오디오 출력부(2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바디(210)의 제1 오디오 출력부(230)가 측면에 위치하여 제2 바디(220)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 오디오 출력부(230)의 출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 바디(220)는 제1 오디오 출력부(23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형성되어 확장부(223)의 전면에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홀을 형성하는 음향 홀(224)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홀(224)은 제1 오디오 출력부(230)에서 출력된 소리가 전면으로 흘러나오도록 하여 제2 오디오 출력부(240)와 동일 방향으로 소리가 나오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바디(220)가 두 개의 오디오 출력부 유닛을 구비한 경우 두 개의 오디오 출력부 유닛은 제2 바디(220)의 확장부(223) 일측 및 타측 전면에 나뉘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바디(220)는 별도의 추가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오디오 출력부(230)뿐만 아니라 제2 오디오 출력부(240)도 함께 전력을 소모하므로, 추가 배터리를 통해 총 전력량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바디(2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그래파이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파이트 소재는 열 전도성이 높아 제2 오디오 출력부(240)의 추가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바디(220)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 바디(220)는 제3 바디(250)와 결합하여 하나의 모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와 착탈 결합할 수도 있고, 제3 바디(250)와 착탈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디(210)가 아닌 제3 바디(250)와 결합한 제2 바디(220)는 독립적인 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한 사용 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바디(220)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 바디(250)에는 유선 포트(251)가 구비될 수 있다. 유선 포트(251)의 일측은 제2 오디오 출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유선 케이블(310)을 통해 외부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300)는 유선 케이블(310)을 통해 제3 바디(250) 및 제2 바디(220)에 전달되고 제2 바디(220)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2 바디(220)에 구비된 이어폰 잭(252)에 리시버(400)를 결합하여 리시버(400)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바디(220)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의 실시 예와 달리 외부 장치(300)와 제2 바디(220)의 제2 오디오 출력부(24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3 바디(250)는 제2 오디오 출력부(240)와 외부 장치(300)간의 전기적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253)을 구비할 수도 있다.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210: 제1 바디
211: 오디오 변환부 212: 제1 증폭기
213: 제2 증폭기 220: 제2 바디
221: 3.5 파이 오디오 소켓 222: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소켓
223: 확장부 224: 음향 홀
225: 제1 단자 226: 제2 단자
227: 제1 결합 단자 228: 제2 결합 단자
230: 제1 오디오 출력부 240: 제2 오디오 출력부
250: 제3 바디 251: 유선 포트
252: 이어폰 잭 253: 무선 통신 모듈
300: 외부 장치 310: 연결 케이블
400: 리시버

Claims (19)

  1.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바디;
    제1 바디에 구비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오디오 출력부;
    상기 제1 바디에 구비되어 음원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변환부;
    상기 제1 바디에 착탈 결합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음원 신호를 디폴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음원 신호를 제1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결합하는 제2 바디의 저항 값이 기 설정 저항 값에 해당하면 상기 제2 바디가 결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음원 신호를 특정 주파수 영역이 강조된 제2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가 우퍼 스피커 유닛인 경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저음 성향이 강조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는 고음 성향이 강조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가 트위터 스피커 유닛인 경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고음 성향이 강조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는 저음 성향이 강조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결합하는 제2 바디의 저항 값에 따라 상기 제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강조하는 주파수 영역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제1 지점에 구비된 3.5 파이 오디오 소켓; 및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3.5 파이 오디오 소켓과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결합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제2 지점에 구비된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소켓;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소켓과 결합하는 제2 결합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에 구비된 제1 증폭기; 및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에 구비된 제2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착탈 결합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 커버의 무선 충전 단자와 접촉 가능한 제1 단자;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후면 커버를 대체하여 결합한 경우 상기 제2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는 제2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 일측 및 타측에 돌출 구비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측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 타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의 타측 전면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음향 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측면 일측 및 타측에 돌출 구비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확장부의 일측 및 타측 전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에 구비된 추가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은 그래파이트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은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착탈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착탈 결합하는 제3 바디; 및
    상기 제3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바디의 제2 오디오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선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착탈 결합하는 제3 바디; 및
    상기 제3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바디의 제2 오디오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오디오 출력부와 외부 장치간의 전기적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093684A 2016-07-22 2016-07-22 이동 단말기 KR20180010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84A KR20180010866A (ko) 2016-07-22 2016-07-22 이동 단말기
US15/613,647 US10063975B2 (en) 2016-07-22 2017-06-05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84A KR20180010866A (ko) 2016-07-22 2016-07-22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866A true KR20180010866A (ko) 2018-01-31

Family

ID=6099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684A KR20180010866A (ko) 2016-07-22 2016-07-22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63975B2 (ko)
KR (1) KR201800108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364A1 (ko) * 2018-07-31 2020-02-06 (주)아이언디바이스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180089A1 (ko) * 2019-03-04 2020-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2718B (zh) * 2018-04-11 2021-09-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共享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0901A4 (en) * 1982-10-04 1985-04-11 Stuart David Saunders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US7742832B1 (en) * 2004-01-09 2010-06-22 Neosonik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igital audio playback for player piano applications
US8085966B2 (en) * 2007-01-10 2011-12-27 Allan Amsel Combined headphone set and portable speaker assembly
EP2315186B1 (en) *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US9264793B2 (en) * 2012-05-18 2016-02-16 Neocoil, Llc MRI compatible headset
CN104735949B (zh) * 2013-12-19 2019-0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喇叭振膜线圈的驱动装置、散热装置、方法及移动终端
US9609093B2 (en) * 2014-08-11 2017-03-28 Chih-Juh Wong Protective shell for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364A1 (ko) * 2018-07-31 2020-02-06 (주)아이언디바이스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14023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실리콘마이터스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180089A1 (ko) * 2019-03-04 2020-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27329A1 (en) 2018-01-25
US10063975B2 (en)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465B1 (ko) 이동 단말기
US10217475B2 (en) Heads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501202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462718A1 (en) Mobile terminal
US10063975B2 (en) Mobile terminal
KR20170006075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8046A (ko) 회로구조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7052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60016412A (ko) 폴리오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7286A (ko) 이동 단말기
KR101792516B1 (ko)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KR2016005477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90037967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47180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00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5908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5012526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80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90020934A (ko) 모기 퇴치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101607974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111806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0821A (ko) 이동단말기
KR2015008697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