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023A -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023A
KR20200014023A KR1020180089376A KR20180089376A KR20200014023A KR 20200014023 A KR20200014023 A KR 20200014023A KR 1020180089376 A KR1020180089376 A KR 1020180089376A KR 20180089376 A KR20180089376 A KR 20180089376A KR 20200014023 A KR20200014023 A KR 20200014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ound
uni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030B1 (ko
Inventor
손황수
박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마이터스
(주)아이언디바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마이터스, (주)아이언디바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마이터스
Priority to KR102018008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030B1/ko
Priority to PCT/KR2018/010428 priority patent/WO2020027364A1/ko
Publication of KR2020001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는 센서부,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상단 영역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음향 출력부 및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입출력부,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하단 영역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음향 출력부 및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2 음향 입출력부, 및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각 음향 출력부 및 각 음향 입력부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UDIO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에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화상통화 및 음성통화가 가능하고, 오디오 기능 및 카메라 기능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나아가, Bezel-Less Design 등의 적용으로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은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로 방향(즉, 길이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와이드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이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다.
현재, 영상을 가로 방향으로 확장한 와이드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이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으나, 스마트폰이 세로 방향(즉,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는 일방향으로 고정된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스마트폰의 스피커는 상단 영역에 고정되고 마이크는 하단 영역에 고정되게 된다.
현재 스마트폰은 상하가 잘 구분되기 어려운 외형 및 디자인이 적용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상하 반대로 잡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의 스피커 및 마이크는 각각 스마트폰의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에 고정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상하 반대로 잡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을 다시 상하 반대로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1918호(2017.12.01.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을 잡는 방향에 무관하게 이동 통신 단말의 스피커 및 마이크의 정상 동작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상단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입출력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하단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2 음향 입출력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상기 각 음향 출력부 및 상기 각 음향 입력부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상단 영역 및 상기 하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1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하단 영역 및 상기 상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2 방향인 경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3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컨텐츠 출력 기능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트위터(Tweeter)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되고, 상기 제3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서브 우퍼(Subwoofe)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센서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제공 기능에 따른 모드(Mode)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상기 각 음향 출력부 및 상기 각 음향 입력부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에 구비된 스피커 및 마이크의 동작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통화 기능 및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사용할 시 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노멀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노멀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는 키입력부(100), 센서부(200), 제1 음향 입출력부(300), 제2 음향 입출력부(400), 제3 음향 출력부(500), 디스플레이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즉, 디스플레이부(600)가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부분을 전면부로 표기하고, 전면부의 반대측 부분을 후면부로 표기하며, 이동 통신 단말의 두께를 형성하는 좌우면 부분, 상면 부분 및 하면 부분을 각각 좌우 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로 표기한다.
이동 통신 단말의 전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이 기 정의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후술할 것과 같이 상단 영역(TOP)에는 제1 음향 입출력부(300)가 형성되고, 하단 영역(BOTTOM)에는 제2 음향 입출력부(4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의 면적은 이동 통신 단말의 설계 스펙 및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이동 통신 단말의 구조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키입력부(1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면부, 후면부, 좌우 측면부,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버튼은 이동 통신 단말의 전원 버튼, 음량 조절 버튼 또는 소정의 기능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00)는 이동 통신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터치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후술하는 제어부(700)로 전달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여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기 위해, 3축에 대한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이동 통신 단말의 기울기 또는 회전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 방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3축에 대한 지자기를 센싱하는 지자기 센서, 이동 통신 단말의 속도 변화나 가해지는 힘의 세기를 센싱하는 가속 센서, 또는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물체의 접근을 센싱하는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 입출력부(3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상단 영역(TOP)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음향 입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상단 영역(TOP)의 중앙에 제1 음향 출력부(310)가 형성되고, 상단 영역(TOP)의 우측 하단에 제1 음향 입력부(320)가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제1 음향 입력부(320)는 도 2의 Top Edge View를 통해 도시된 것과 같이 상면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는 각각 통상의 스피커(Speaker) 및 마이크(MIC)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음향 입출력부(4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음향 입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하단 영역(BOTTOM)의 중앙에 제2 음향 출력부(410)가 형성되고, 하단 영역(BOTTOM)의 우측 상단에 제2 음향 입력부(420)가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제2 음향 입력부(420)는 도 2의 Bottom Edge View를 통해 도시된 것과 같이 하면부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2 음향 입출력부(400)는 디스플레이부(600)를 중심으로 제1 음향 입출력부(300)와 대칭적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는 각각 통상의 스피커(Speaker) 및 마이크(MIC)로 구현될 수 있다.
제3 음향 출력부(5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단 영역(BOTTOM)의 좌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310, 410)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될 수 있고, 제3 음향 출력부(500)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0)는 액정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터치 패드가 일체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에게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에 포함된 각 음향 출력부(310, 410) 및 각 음향 입력부(320, 420)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컨텐츠 출력 기능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에서,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310, 410, 500)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먼저, 노멀 모드에서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가 결정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은 상하가 잘 구분되기 어려운 외형 및 디자인이 적용되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상하 반대로 잡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때 이동 통신 단말의 스피커 및 마이크는 각각 이동 통신 단말의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에 고정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을 상하 반대로 잡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을 다시 상하 반대로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본 실시예의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에 포함된 각 음향 출력부(310, 410) 및 각 음향 입력부(320, 420)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즉, 통화 중인 사용자에게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즉, 통화 중인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노멀 모드에서,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310, 410) 중 메인 음향 출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고,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320, 420) 중 메인 음향 입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노멀 모드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는 모드를 의미하며, 후술하는 멀티미디어 모드와 구분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디폴트(default) 모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700)는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1 방향인 경우,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엄밀한 연직 방향이 아닌,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이 상대적인 상하 방향에 위치한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정상 방향으로 잡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노멀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는(예: 통화 중인 사용자에게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는 상단 영역(TOP)에 형성된 제1 음향 출력부(310)가 되어야 하고,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는(예: 통화 중인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는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된 제2 음향 입력부(420)가 되어야 하므로,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제1 음향 입력부(320)는 주변의 노이즈(잡음)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된 제2 음향 입력부(42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동시에, 제1 음향 입력부(320)를 활성화시켜 주변 노이즈를 입력받은 후,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및 주변 노이즈를 분리하고 노이즈 제거 처리를 수행하여 주변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만이 통화 상대자의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 통신 단말에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320, 420) 이외의 제3 내지 제N 음향 입력부(N은 3 이상의 자연수)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70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제1, 제3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즉,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이고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된 경우(이하 제1 조건), 또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이고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이하 제2 조건)에 해당하면),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제1 조건은,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이동 통신 단말을 잡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안면(귀 부분)에 접촉하여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건은,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이동 통신 단말을 잡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기준 각도(θ) 이하인 경우(예: α1에 해당하는 범위,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메인 음향 출력부는 상단 영역(TOP)에 형성된 제1 음향 출력부(310)가 되어야 하고, 메인 음향 입력부는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된 제2 음향 입력부(420)가 되어야 하므로,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의 경우에도 전술한 것과 같이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제1 음향 입력부(320)(또는, 제1, 제3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변의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하단 영역(BOTTOM) 및 상단 영역(TOP)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2 방향인 경우,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반대 방향으로 잡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노멀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는(예: 통화 중인 사용자에게 통화 상대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메인 음향 출력부는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된 제2 음향 출력부(410)가 되어야 하고,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는(예: 통화 중인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메인 음향 입력부는 상단 영역(TOP)에 형성된 제1 음향 입력부(320)가 되어야 하므로,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제2 음향 입력부(420)는 주변의 노이즈(잡음)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된 제1 음향 입력부(32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동시에, 제2 음향 입력부(420)를 활성화시켜 주변 노이즈를 입력받은 후,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및 주변 노이즈를 분리하고 노이즈 제거 처리를 수행하여 주변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주변 노이즈가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만이 통화 상대자의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 통신 단말에는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320, 420) 이외의 제3 내지 제N 음향 입력부를 더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70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제2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즉,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이고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된 경우(이하 제3 조건), 또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이고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이하 제4 조건)에 해당하면),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제3 조건은, 예를 들어 제2 방향으로 이동 통신 단말을 잡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안면(귀 부분)에 접촉하여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4 조건은, 예를 들어 제2 방향으로 이동 통신 단말을 잡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기준 각도(θ) 이하인 경우(예: α2에 해당하는 범위에 해당하는 범위,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메인 음향 출력부는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된 제2 음향 출력부(410)가 되어야 하고, 메인 음향 입력부는 상단 영역(TOP)에 형성된 제1 음향 입력부(320)가 되어야 하므로,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제3 조건 및 제4 조건의 경우에도 전술한 것과 같이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를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입력부(420)(또는, 제2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변의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 중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 음향 입출력부(300) 또는 제2 음향 입출력부(4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예각)가 기준 각도(θ)를 초과하는 경우(β1 ~ β4에 해당하는 범위,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 음향 입출력부(300) 또는 제2 음향 입출력부(4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700)는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 중 사용자의 안면(예: 입)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할 수 있다.
위의 경우,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안면과 더 멀리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음향 입력부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700)는 센서부(200)의 센싱 데이터(즉, 이동 통신 단말의 기울기, 회전, 방위 정보, 속도 변화, 근접 여부 등)를 활용하여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기준 각도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어 제어부(7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이 기준 상태, 즉 전면부가 우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각 범위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α1: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이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2 음향 출력부(410)의 동작 비활성화, 제1 음향 입력부(3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제1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α2: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이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1 음향 출력부(310)의 동작 비활성화, 제2 음향 입력부(4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좌측에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제2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β1: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 제2 음향 입출력부(400)에 포함된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가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1 음향 출력부(310)의 동작 비활성화, 제1 음향 입력부(3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2 음향 입출력부(4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β2: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 제1 음향 입출력부(300)에 포함된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가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2 음향 출력부(410)의 동작 비활성화, 제2 음향 입력부(4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 음향 입출력부(3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β3: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 제1 음향 입출력부(300)에 포함된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가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2 음향 출력부(410)의 동작 비활성화, 제2 음향 입력부(4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 음향 입출력부(3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β4: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 제2 음향 입출력부(400)에 포함된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가 활성화되어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 제1 음향 출력부(310)의 동작 비활성화, 제1 음향 입력부(320)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예: 도 3 기준 우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약 수평 방향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2 음향 입출력부(400)를 입 가까이 위치시켜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그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에 포함된 각 음향 출력부(310, 410) 및 각 음향 입력부(320, 420)의 동작이 능동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700)는 센서부(200)에 의해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상하 반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상단 영역(TOP)으로부터 하단 영역(BOTTOM)으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영상의 상하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하단 영역(BOTTOM)으로부터 상단 영역(TOP)으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영상의 상하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가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능동적으로 결정되고,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도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능동적으로 상하 반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a)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인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반대 방향으로 잡은 경우, 즉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 종래에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가 고정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잡아야 하는 불편의성이 존재하였으며,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도 상하 반전이 제어되지 않고 고정된 방향으로 제공되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를 때,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라 하더라도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가 능동적으로 변경되고, 나아가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도 상하 반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3 음향 출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제3 음향 출력부(500)가 하단 영역(BOTTOM)의 좌측에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컨텐츠 출력 기능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에서,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310, 410, 500)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모드는 컨텐츠(영화 영상, 음악, 게임 등)를 출력하는 기능이 제공되는 모드를 의미하며, 키입력부(1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의 노멀 모드 및 멀티미디어 모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의 노멀 모드 상태에서, 영화를 감상하거나, 음악을 듣거나, 게임을 하고자 하는 경우 키입력부(10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를 멀티미디어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영상, 음악 또는 게임 실행 시 멀티미디어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향상된 청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310, 410, 500)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310, 410)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트위터(Tweeter)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되고, 제3 음향 출력부(500)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서브 우퍼(Subwoofe)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트위터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는 저역 음역대에서 단점이 존재하므로, 제3 음향 출력부(500)를 서브 우퍼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을 Professional Audio 기기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이 가로 방향(즉, 길이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며, 통상적인 와이드 영상 제공 기능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확장한 와이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제공되며,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310, 410), 즉 두 개의 피에조 스피커가 좌우 트위터로 동작하고, 하단 영역(BOTTOM)에 형성된 제3 음향 출력부(500), 즉 다이나믹 스피커가 서브 우퍼로 동작하게 되어,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을 Portable Professional Stereo Amplifier로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센서부(200)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한다(S100).
이어서,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제공 기능에 따른 모드(Mode)를 판단한다(S200). S200 단계에서 제어부(700)는 키입력부(1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노멀 모드인지, 또는 멀티미디어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노멀 모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00)는 S100 단계에서 센싱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에 포함된 각 음향 출력부(310, 410) 및 각 음향 입력부(320, 420)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한다(S300).
S300 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단 영역(TOP) 및 하단 영역(BOTTOM)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1 방향인 경우,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 제1 음향 출력부(310) 및 제2 음향 입력부(4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한다.
위의 경우,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제1 음향 입력부(320)(또는, 제1, 제3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변의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S300 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하단 영역(BOTTOM) 및 상단 영역(TOP)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2 방향인 경우, 제어부(700)는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 제2 음향 출력부(410) 및 제1 음향 입력부(32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한다.
위의 경우, 제어부(700)는 제1 음향 출력부(31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제2 음향 입력부(420)(또는, 제2 내지 제N 음향 입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변의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S300 단계에서, 제어부(7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가상 기준선과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300, 400) 중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한다.
위의 경우,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안면과 더 멀리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음향 입력부는 주변 노이즈 제거를 위해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S200 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컨텐츠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00)는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310, 410, 500)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S400).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310, 410)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트위터(Tweeter)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되고, 제3 음향 출력부(500)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서브 우퍼(Subwoofe)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본 실시예의 이동 통신 단말은 Professional Audio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에 구비된 스피커 및 마이크의 동작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통화 기능 및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사용할 시 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키입력부
200: 센서부
300: 제1 음향 입출력부
310: 제1 음향 출력부
320: 제1 음향 입력부
400: 제2 음향 입출력부
410: 제2 음향 출력부
420: 제2 음향 입력부
500: 제3 음향 출력부
600: 디스플레이부
700: 제어부
TOP: 상단 영역
BOTTOM: 하단 영역

Claims (18)

  1.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상단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입출력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하단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2 음향 입출력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기능이 제공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상기 각 음향 출력부 및 상기 각 음향 입력부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상단 영역 및 상기 하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1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하단 영역 및 상기 상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2 방향인 경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3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컨텐츠 출력 기능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트위터(Tweeter)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되고, 상기 제3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서브 우퍼(Subwoofe)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10.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상단 영역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입출력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기 정의된 하단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음향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2 음향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센서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을 센싱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제공 기능에 따른 모드(Mode)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노멀 모드(Normal Mode)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상기 각 음향 출력부 및 상기 각 음향 입력부 중 통화 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메인 음향 출력부 및 메인 음향 입력부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력부 중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를 상보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상단 영역 및 상기 하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1 방향인 경우,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2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하단 영역 및 상기 상단 영역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제2 방향인 경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인 경우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지시하는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 기준선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기준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입출력부 중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더 가까이 위치한 음향 입출력부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 및 음향 입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각각 상기 메인 음향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음향 입력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3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모드가 컨텐츠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트위터(Tweeter)로 동작하는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로 구현되고, 상기 제3 음향 출력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서브 우퍼(Subwoofe)로 동작하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089376A 2018-07-31 2018-07-31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1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376A KR102113030B1 (ko) 2018-07-31 2018-07-31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18/010428 WO2020027364A1 (ko) 2018-07-31 2018-09-06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376A KR102113030B1 (ko) 2018-07-31 2018-07-31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023A true KR20200014023A (ko) 2020-02-10
KR102113030B1 KR102113030B1 (ko) 2020-05-21

Family

ID=6923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376A KR102113030B1 (ko) 2018-07-31 2018-07-31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3030B1 (ko)
WO (1) WO2020027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934B1 (ko) * 2020-11-06 2023-01-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 에지 컴퓨팅 환경에서 작업 할당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704A (ko) * 2005-12-20 2007-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52514A (ko) * 2011-11-11 2013-05-22 (주)트리플코어스코리아 휴대용 통신 단말 및 이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KR20160060231A (ko) * 2014-11-19 2016-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80010866A (ko) * 2016-07-22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052A (ko) * 2009-12-09 2011-06-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704A (ko) * 2005-12-20 2007-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52514A (ko) * 2011-11-11 2013-05-22 (주)트리플코어스코리아 휴대용 통신 단말 및 이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KR20160060231A (ko) * 2014-11-19 2016-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80010866A (ko) * 2016-07-22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030B1 (ko) 2020-05-21
WO2020027364A1 (ko)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5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qualizing audio for playback on an electronic device
US9035905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EP2839675B1 (en) Auto detection of headphone orientation
WO2018126632A1 (zh) 一种扬声器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1006202B2 (en) Automatic user interface switching
US1034149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9154182A1 (zh) 应用程序的音量设置方法及移动终端
US20090124286A1 (en) Portable hands-free device with sensor
WO2013121631A1 (ja) 携帯電話機
KR102552874B1 (ko) 이동 단말 및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US20180288214A1 (en) Method for outputting multimedia data and control device thereof
WO2021136141A1 (zh) 播放方法及电子设备
TW201541931A (zh) 通話方法及其電子裝置
CN107277661B (zh) 压感耳机和压感耳机的工作方法
WO2021197311A1 (zh) 音量调节显示方法及电子设备
TW201417553A (zh) 行動通訊終端機
KR101949006B1 (ko) 중앙에 위치된 이어피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113030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031715A1 (zh) 来电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1305542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1120331A1 (zh) 颈戴式耳机及功能切换方法、系统、设备、计算机介质
WO2017084066A1 (zh) 一种输出语音的方法及设备
JP6758455B1 (ja) 電子機器
JP2013005207A (ja) 携帯電話
KR20040110225A (ko) 폴더 회전형 단말기의 볼륨 조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