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514A - 휴대용 통신 단말 및 이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단말 및 이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514A
KR20130052514A KR1020120124497A KR20120124497A KR20130052514A KR 20130052514 A KR20130052514 A KR 20130052514A KR 1020120124497 A KR1020120124497 A KR 1020120124497A KR 20120124497 A KR20120124497 A KR 20120124497A KR 20130052514 A KR20130052514 A KR 2013005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ommunication terminal
portable communication
mo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802B1 (ko
Inventor
김익년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코어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코어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트리플코어스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3005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control of the receiver volume to provide a dual operational mode at close or far distance from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1Notifying aspects, e.g. notifications or displays to the user
    • H04M2215/8129Type of notification
    • H04M2215/8145Tone, e.g. beeper, sound, w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단말 및 이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통화 동작이 시작되면, 수화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수화 모드로 통화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 얼굴 접촉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 얼굴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움직이면,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단말 및 이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AL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MODE}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메뉴 또는 버튼 선택 동작없이 휴대용 통신 단말의 움직임만으로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휴대용 통신 단말 및 이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phone)은 PC와 같은 기능과 더불어 고급 기능을 제공 하는 휴대 전화이다. 영어 낱말 스마트폰의 본 뜻이 "똑똑한 전화"인 만큼, 국립국 어원에서는 다듬은 말로 "똑똑(손)전화"를 채택하여 사용을 권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산업 표준에 대한 정의는 없다. 어떤 사람들에게 스마트 폰은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를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플랫폼을 제공하는 완전 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전화로 볼 수도 있겠고, 어떤 사람들에게 스마트폰은 전자 우편, 인터넷, 전자책 읽기 기능, 내장형 키보드나 외장 USB 키보드, VGA 단자를 갖춘 고급 기능이 있는 전화로 비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은 전화 기능이 있는 소형 컴퓨터라 볼 수 있다.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점,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는 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점, 그리고 같은 운영 체제를 가진 스마트폰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 할 수 있는 점 등도 기존 피처 폰(feature phone)이 갖지 못한 장점으로 꼽힌다.
참고로, 대부분의 스마트 폰은 수화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수화 모드와 오디오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스피커 폰 모드를 지원하고, 특정 메뉴 또는 버튼을 선택하여 수화 모드에서 스피커 폰 모드로 또는 스피커 폰 모드에서 수화 모드로 통화 모드가 전환되도록 한다.
다만, 상기와 같이 메뉴 또는 버튼 선택 동작을 통해 스마트 폰의 통화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있거나, 사용가능한 여유분의 손가락이 없어 해당 메뉴 또는 버튼을 정상적으로 선택할 수 없다면, 통화 모드 전환 동작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메뉴 또는 버튼 선택 동작 없이도 휴대용 통신 단말의 움직임만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휴대용 통신 단말 및 이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 동작이 시작되면, 수화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수화 모드로 통화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 얼굴 접촉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 얼굴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움직이면,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임계 각도 이상 눕혀지면,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은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사용자 얼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얼굴간 거리에 비례하여 수화 스피커 볼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은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사용자 얼굴 쪽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얼굴간 거리에 비례하여 수화 스피커 볼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통화 모드 변환 제스처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은 수화 모드 시에,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볼륨 증가 제스처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 수화 스피커 볼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은 수화 모드 시에,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볼륨 감소 제스처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 수화 스피커 볼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은 스피커 폰 모드 시에,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볼륨 증가 제스처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 오디오 스피커 볼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은 스피커 폰 모드 시에,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볼륨 감소 제스처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 오디오 스피커 볼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은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 얼굴 접촉 상태가 해제되었으나, 기 설정된 패턴으로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수화 스피커 볼륨을 일시 증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 만 아니라, 상기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은 스피커 폰 모드 시에,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에 사용자 얼굴이 재접촉되면, 수화 모드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얼굴 접촉 여부를 감지 및 통보하는 터치 스크린 또는 접촉 감지 센서; 사용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변화되는 단말 움직임을 감지 및 통보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통화 동작이 시작되면 수화 스피커와 마이크를 활성화시켜 수화 모드를 설정하되,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얼굴을 때고 기 설정된 패턴으로 움직이면 수화 스피커 대신에 오디오 스피커를 활성화시켜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통화 모드 변환부; 및 상기 통화 모드 변환부에 의해 결정된 통화 모드에 따라 통화 동작을 수행하는 통화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임의로 움직여 볼륨 조절 및 통화 모드 변경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메뉴 또는 버튼을 선택할 수 없는 경우에도 통화 모드 변경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메뉴 또는 버튼을 선택하는 동작에 비해, 스마트 폰을 움직이는 동작이 보다 간단하므로, 사용자 편이성도 크게 향상될 수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 변환 방법에 스마트 폰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 및 도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볼륨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쿠폰 발행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눕혀 스마트 폰의 통화 모드를 수화 모드에서 스피커 폰 모드로 변경하도록 한다.
도1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수화 모드가 디폴트(default)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스마트 폰을 휴대 통신 단말의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하여 도1을 참고하면, 사용자 또는 상대편이 통화 요청하고, 상대편 또는 사용자가 이를 수락하여, 스마트 폰을 이용한 통화가 개시되면(S100), 스마트 폰은 디폴트 통화 모드인 수화 모드로 통화 동작을 수행하기 시작한다(S101).
수화 모드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 얼굴(특히, 귀)을 접촉시켜 통화 동작을 수행하는 통화 모드로, 이를 위해 스마트 폰은 도2에서와 같이 전면 상단에 위치된 수화 스피커를 통해 상대편의 음성을 출력하고, 스마트 폰의 전면 후단 또는 측면 후단에 위치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화 모드로 통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스마트 폰은 사용자가 계속하여 얼굴을 접촉하고 있는지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만약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얼굴을 때어 사용자 얼굴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S102), 사용자의 현재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변화되는 스마트 폰의 움직임을 추적한다(S103).
움직임 추적 결과, 사용자가 스피커 폰 모드 설정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자가 단말을 임계 각도 이상 눕혔음을 확인되면(S104), 스마트 폰은 이에 응답하여 통화 모드를 스피커 폰 모드로 즉각 전환한다(S105). 이때, 임계 각도는 스마트 폰 제조자에 의해 고정된 값일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 동작을 통해 임의로 설정 또는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스피커 폰 모드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기울기 각도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스피커 폰 모드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얼굴을 때고서 통화 동작을 수행하는 통화 모드로, 이를 위해 스마트 폰은 수화 스피커 대신에 스마트 폰의 전면 후단 또는 측면 후단에 위치된 오디오 스피커(도2 참고)를 통해 상대편 통화자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음성은 수화 모드에서와 동일하게 스마트 폰의 전면 후단 또는 측면 후단에 위치된 마이크를 통해 획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피커 폰 모드로 통화 동작이 수행되고 통화 종료 동작이 요청되지 않으면(S106), 사용자 얼굴 접촉 여부를 반복 확인하여, 사용자가 수화 모드로의 재진입을 요청하는 지를 판단하도록 한다(S107). 만약, 사용자가 다시 스마트 폰에 자신의 얼굴을 접촉하면, 스마트 폰은 사용자가 수화 모드로의 재진입을 요청한다고 판단한 후, 단계 S101로 재진입하여 다시 수화 모드로 통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101).
한편, 움직임 추적 결과,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스마트 폰을 얼굴에서 떼었음이 확인되면, 스마트 폰은 수화 스피커의 볼륨을 기 설정된 레벨만큼 증가시켜 준다(S108).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스마트 폰에서 상태에서도 상대편 음성을 잘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통화 종료 동작이 요청되었는 지 확인한 후, 다시 단계 S104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추가로 움직여 스피커 폰 모드 설정을 요청하는지 재확인하도록 한다(S109).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 폰 모드로 통화 시에는 사용자 대부분이 스마트 폰을 눕혀 자신의 입 근처에 오디오 스피커를 위치시켜 통화함을 감안하여, 스마트 폰이 일정 각도 이상 눕혀지면 별도의 메뉴 또는 버튼 선택 동작 없이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 얼굴을 일시 때는 경우, 상대편 음성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운 점도 감안하여, 이러한 경우에는 수화 스피커의 볼륨을 키워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 얼굴을 때고서도 상대편 음성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 변환 방법에 스마트 폰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 얼굴을 대고 통화화면, 수화 모드로 통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스마트 폰에서 때어내면 자동으로 음성 볼륨을 조금 더 커지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아예 눕혀버리면(이는, 스피커 폰 모드로 통화시, 사용자 대부분이 스마트 폰을 눕혀 자신의 입 근처에 오디오 스피커를 위치시키기 때문임), 사용자가 스피커 폰 모드로 통화하기를 원한다고 판단하고, 완전히 스피커 폰 모드로 동작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스마트 폰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수화 스피커의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한다.
도4에서는, 단계 S103의 움직임 추적 결과를 분석하여, 스마트 폰이 사용자 얼굴에서 멀어지는 지 또는 스마트 폰이 사용자 얼굴에 가까워지는 지를 확인한다(S201, S203).
스마트 폰과 사용자 얼굴간 거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가변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도5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사용자 반대편으로 기울여 자신의 귀와 수화 스피커간 거리를 증가시키고, 스마트 폰을 사용자쪽으로 기울여 스마트 폰과 사용자 얼굴간 거리간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도6에서와 같이 기울기 변화 없이 스마트 폰을 사용자 얼굴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마트 폰과 사용자 얼굴간 거리간 거리를 증가시키거나, 스마트 폰을 사용자 얼굴 쪽으로 이동시켜 스마트 폰과 사용자 얼굴간 거리간 거리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만약, 단계 S103의 확인 결과, 스마트 폰의 현재 움직임이 사용자 얼굴에서 멀어지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판단되면, 스마트 폰과 사용자 얼굴간 거리 변화량을 산출한 후, 거리 변화량에 비례되도록 수화 스피커의 볼륨을 증가시킨다(S202). 그 결과, 사용자는 스마트 폰(특히, 수화 스피커)이 자신의 얼굴에서 멀어지더라도 증가된 스피커 볼륨에 따라 사용자가 상대편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반면, 단계 S103의 확인 결과, 스마트 폰의 현재 움직임이 사용자 얼굴에 가까워지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판단되면, 스마트 폰과 사용자 얼굴간 거리 변화량을 산출한 후, 거리 변화량에 비례되도록 수화 스피커의 볼륨을 감소시킨다(S204). 즉, 스마트 폰(특히, 수화 스피커)가 사용자 귀에 가까워질수록 스피커 볼륨을 감소시켜, 사용자가 적당한 볼륨을 가지는 상대편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폰의 움직임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할 뿐 만 아니라, 수화 스피커의 볼륨까지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스마트 폰의 사용자 얼굴 접촉 여부, 스마트 폰의 기울기, 스마트 폰과 사용자 얼굴간 거리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하도록 하였으나,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에 상응하는 제스처를 사전에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통화 모드 변환 제스처, 볼륨 증가 제스처, 볼륨 감소 제스처에 상응하는 스마트 폰 움직임을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스마트 폰 움직임을 분석하여 통화 모드 변경, 볼륨 증가, 볼륨 감소 등의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도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90도 이상 눕혀지는 제스처, 스마트 폰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원을 그리는 제스처, 또는 스마트 폰을 오른쪽으로 연속 두번 흔드는 제스처를 통화 모드 변환 제스처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폰을 오른쪽 방향으로 한번 흔드는 제스처, 또는 스마트 폰을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스처를 볼륨 증가 제스처로 설정하고, 스마트 폰을 왼쪽 방향으로 한번 흔드는 제스처, 또는 스마트 폰을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스처를 볼륨 감소 제스처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7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통화 모드 변환 제스처는 스마트 폰을 90도 이상 눕혀지는 제스처, 볼륨 증가 제스처는 스마트 폰을 오른쪽 방향으로 한번 흔드는 제스처, 볼륨 감소 제스처는 스마트 폰을 왼쪽 방향으로 한번 흔드는 제스처로 구현된다고 가정한다.
먼저, 상대편 단말이 통화 개시를 감지하고, 디폴트 통화 모드인 수화 모드를 설정한다(S101).
그리고, 수화 모드로 통화 동작이 수행하는 동안, 스마트 폰과 사용자 얼굴 접촉 상태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만약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얼굴을 때면(S102), 스마트 폰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시작한다(S103).
움직임 추적 결과,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90도 이상 두번 눕히는 통화 모드 변환 제스처를 취하면(S300), 스마트 폰은 이에 응답하여 자신의 통화 모드를 스피커 폰 모드로 즉각 변경하도록 한다(S301).
반면,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오른쪽 방향으로 한번 흔드는 볼륨 증가 제스처를 취하면(S302), 통화 모드 변경 동작 대신에 수화 스피커의 볼륨 증가 동작을 수행하고(S303),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왼쪽 방향으로 한번 흔드는 볼륨 감소 제스처를 취하면(S304), 수화 스피커의 볼륨 감소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S305).
또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오디오 스피커의 볼륨도 증감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8에서와 같은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스피커 폰 모드에서 사용자가 볼륨 증가 제스처 및 볼륨 감소 제스처를 취하여 오디오 스피커의 볼륨을 증가 및 감소시켜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8에서도 도7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볼륨 증가 제스처와 볼륨 감소 제스처가 구현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먼저, 스피커 폰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S301),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오른쪽 방향으로 한번 흔드는 볼륨 증가 제스처를 취하면(S306), 스마트 폰은 통화 모드 변경 동작 대신에 오디오 스피커의 볼륨을 증가하고(S307),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왼쪽 방향으로 한번 흔드는 볼륨 감소 제스처를 취하면(S308), 오디오 스피커의 볼륨을 감소하도록 한다(S309).
이러한 동작은 통화 종료가 요청될 때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볼륨 증가 제스처 또는 볼륨 감소 제스처를 통해 오디오 스피커의 볼륨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 폰 모드 하에서도 스마트 폰을 움직여 오디오 스피커의 볼륨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도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에 사용자 얼굴이 접촉하고 있는 지를 감지 및 통보하는 터치 스크린(11) 또는 접촉 감지 센서(12), 사용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변화되는 스마트 폰의 움직임을 감지 및 통보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13), 통화 동작이 시작되면 수화 스피커(31)와 마이크(33)를 활성화시켜 수화 모드를 설정하되,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얼굴을 때고 기 설정된 패턴으로 움직이면 수화 스피커(31) 대신에 오디오 스피커(32)를 활성화시켜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통화 모드 변환부(20), 스마트 폰 전면에 귀를 접촉한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크기의 음향을 출력하는 수화 스피커(31), 스마트 폰 인근에 위치한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크기의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 스피커(32), 사용자 음성 획득을 위한 마이크(33), 및 통화 모드 변환부(20)에 의해 결정된 통화 모드에 따라 통화 동작을 수행하는 통화 수행부(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모두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 동작이 시작되면, 수화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수화 모드로 통화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 얼굴 접촉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 얼굴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기 설정된 패턴으로 움직이면,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임계 각도 이상 눕혀지면,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사용자 얼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얼굴간 거리에 비례하여 수화 스피커 볼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사용자 얼굴 쪽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얼굴간 거리에 비례하여 수화 스피커 볼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통화 모드 변환 제스처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수화 모드 시에,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볼륨 증가 제스처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 수화 스피커 볼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수화 모드 시에,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볼륨 감소 제스처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 수화 스피커 볼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스피커 폰 모드 시에,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볼륨 증가 제스처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 오디오 스피커 볼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스피커 폰 모드 시에,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이 볼륨 감소 제스처에 상응하는 패턴으로 움직이는 경우, 오디오 스피커 볼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에 대한 사용자 얼굴 접촉 상태가 해제되었으나, 기 설정된 패턴으로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수화 스피커 볼륨을 일시 증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스피커 폰 모드 시에,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에 사용자 얼굴이 재접촉되면, 수화 모드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용 통신 단말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휴대용 통신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얼굴 접촉 여부를 감지 및 통보하는 터치 스크린 또는 접촉 감지 센서;
    사용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변화되는 단말 움직임을 감지 및 통보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통화 동작이 시작되면 수화 스피커와 마이크를 활성화시켜 수화 모드를 설정하되,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얼굴을 때고 기 설정된 패턴으로 움직이면 수화 스피커 대신에 오디오 스피커를 활성화시켜 스피커 폰 모드를 설정하는 통화 모드 변환부; 및
    상기 통화 모드 변환부에 의해 결정된 통화 모드에 따라 통화 동작을 수행하는 통화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
KR1020120124497A 2011-11-11 2012-11-05 휴대용 통신 단말 및 이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KR102026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7274 2011-11-11
KR1020110117274 2011-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514A true KR20130052514A (ko) 2013-05-22
KR102026802B1 KR102026802B1 (ko) 2019-09-30

Family

ID=4866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497A KR102026802B1 (ko) 2011-11-11 2012-11-05 휴대용 통신 단말 및 이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364A1 (ko) * 2018-07-31 2020-02-06 (주)아이언디바이스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9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거리 센서를 이용한 스피커폰 제어장치와 방법
KR100630215B1 (ko) * 1999-07-21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에서 스피커 폰 모드 자동 절환 방법
KR20070075434A (ko) * 2006-01-13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센서에 의한 볼륨조절방법
KR20090033587A (ko)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215B1 (ko) * 1999-07-21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에서 스피커 폰 모드 자동 절환 방법
KR2005012039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거리 센서를 이용한 스피커폰 제어장치와 방법
KR20070075434A (ko) * 2006-01-13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센서에 의한 볼륨조절방법
KR20090033587A (ko)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364A1 (ko) * 2018-07-31 2020-02-06 (주)아이언디바이스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14023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실리콘마이터스 이동 통신 단말의 음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802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32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73611B2 (en) Use of proximity sensors for interacting with mobile devices
EP3239804B1 (en)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keyboard moveable relative to the display
KR102193129B1 (ko) 해제 이미지 상에서의 제스처 수행에 의한 장치 해제
EP3163404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accidental touch of terminal with touch screen
JP6314286B2 (ja) 音声信号の最適化方法及びその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078111B2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using text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053361B1 (ko) 화면 회전을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330182B2 (en) Damper arrangement for actuator damping
KR102471940B1 (ko) 배터리 충전 방법,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171802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00136649A (ko) 휴대단말기의 근접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130008424A (ko) 휴대 단말기에서 바로 가기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
EP3109741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character
KR20140024721A (ko) 표시범위 변경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910088B2 (en) Increasing sensitivity of a probe sensor for lens position
CN110083266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40089146A (ko) 영상 통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JP7055721B2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その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9011335A1 (zh)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KR20140112911A (ko) 표시부 미확인 모드에서 액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32031A1 (zh) 一种音量调节方法及用户终端
CN112394901A (zh) 音频输出模式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026802B1 (ko) 휴대용 통신 단말 및 이의 통화 모드 변환 방법
CN111656303A (zh) 数据处理装置的手势控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