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326B1 -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326B1
KR101512326B1 KR1020130064639A KR20130064639A KR101512326B1 KR 101512326 B1 KR101512326 B1 KR 101512326B1 KR 1020130064639 A KR1020130064639 A KR 1020130064639A KR 20130064639 A KR20130064639 A KR 20130064639A KR 101512326 B1 KR101512326 B1 KR 10151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ed ginseng
ginseng extract
re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267A (ko
Inventor
정미란
최경민
최미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06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326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당뇨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체내에서 항산화 작용을 하는 효능, 체내에서 항염증 작용을 하는 효능, 혈당을 강하하는 작용을 하는 효능, 내당능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는 효능,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효능을 보유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A COMPOSO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COMPRISING THE RED GINSENG COMPLEX}
본 발명은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마 추출물, 적하수오 추출물, 상엽 추출물 중 1개 이상의 추출물을 혼합한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당뇨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체내에서 항산화 작용을 하는 효능, 체내에서 항염증 작용을 하는 효능, 혈당을 강하하는 작용을 하는 효능, 내당능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는 효능,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효능을 보유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100 ~ 300 중량부 기준으로, 천마 추출물, 적하수오 추출물 또는 상엽 추출물을 30 ~ 100 중량부로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 내당능 장애,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죽상경화 등의 질환은 여러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이 한 개체 내에서 군집적으로 다양하게 발현되어 발병되는 질환들로, 서로 연관성이 있는 질환들이다. 예를 들어, 당뇨병 발병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가 증폭된다. 이들은 이렇게 상호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는 질환이므로 최근에 들어서는 당뇨병, 내당능 장애, 비만, 고혈압, 죽상경화,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등의 질환을 같은 계통의 질환으로 인식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라는 단어는 이러한 질환들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대사증후군은 유전적 소인, 식생활 습관 및 영양상태, 신체 활동 정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질환이기 때문에 대사증후군을 진단할 수 있는 지표, 즉 진단기준은 매우 다양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은 세계보건기구(1998년), 유럽인슐린저항성연구회(1999년), 미국 국립 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 위원회의 제3차 보고서(2001년) 등에 있는 진단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국제당뇨병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에서도 2005년에 새로운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을 발표하였다. 하단의 [표 1]은 주요 연구 기관에서 각각 제시한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을 비교한 것이다.
구분 세계보건기구(1998년) 미국 국립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 위원회 제3차
보고서(2001년)
국제당뇨병연맹(2005년)
인슐린 저항성 내당능장애,
공복혈당장애,
제2형 당뇨병, 또는 인슐린 감수성 감소
-다음 중 2가지 이상
없음
그러나 다음 5가지 중 3가지 이상
없음
체중 남자 : 허리-엉덩이 둘레비>0.90
여자 : 허리-엉덩이 둘레비>0.85
체질량지수>30kg/m2
허리둘레 102 cm(남)
또는 88 cm(여)
-아시아 기준치 90 cm(남), 80 cm(여)
(인종에 따른) 허리둘레 증가 + 다음 중 2가지 이상
지질
중성지방 150mg/dL
또는 HDL-C<35mg/dL(남), <39mg/dL(여)
중성지방 150 mg/dL 중성지방 150 mg/dL
또는 고중성지방혈증 치료중
HDL-C<40 mg/dL(남) 또는 <50 mg/dL (여) HDL-C<40 mg/dL(남) 또는 <50 mg/dL (여) 또는 저HDL-C 혈증 치료중
혈압 140/90 mmHg 130/85 mmHg 수축기혈압 130 mmHg
또는 이완기혈압 85 mmHg 또는 고혈압 치료중
혈당 내당능장애, 공복혈당, 또는 제2형 당뇨병 110 mg/dL (당뇨병 포함) 100 mg/dL (당뇨병 포함)
기타 미세알부민뇨
대사증후군의 발병 추이에 대해서는 근래에 시행된 1998년과 2001년에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를 근거로 조사하였다.
한국인의 대사증후군의 증가양상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연령보정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1998년 22.5 %에서 2001년 24.1 %로 최근 3년간 약 7.1 % 증가하였다. 최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김현창 교수 연구팀이 조사한 2005년 국민영양건강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60대 이상의 국민 50 % 이상이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젊은층인 30대의 대사증후군 발병률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미국역학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Annals of Epidemiology)에서 강북삼성병원 산업의학과 유승호 교수팀은 2002년 직장건강검진에서 대사증후군이 없었던 30대 직장인 4천779명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한 결과, 평균 2년 1개월 만에 14.8 %(708명)가 새로운 대사증후군 환자로 진단됐다고 밝혔다. 이처럼 대사 증후군은 요인에 관계없이 발병할 수 있는 질환으로,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대사증후군의 치료법으로는 체중감량약제나 PPAR 작용약물, β-3 수용체 효현제, 알파-리포익 산(alpha-lipoic acid), 혈당강하제, 당뇨 치료제, 혈압강하제 등을 쓸 수 있다.
한편, 당뇨는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 질환의 일종이다.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된다.
당뇨는 제1형과 제2형으로 구분된다. 제1형 당뇨는 '소아당뇨'라고도 불리며, 인슐린을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제2형 당뇨는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을 특징으로 한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제2형 당뇨는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의 식단,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외에 특정 유전자의 결함에 의해서도 당뇨가 생길 수 있으며, 췌장 수술, 감염, 약제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당뇨의 증상은 혈당 증가, 그로 인해 유발되는 갈증, 소변량의 증가, 체중 감소 등이다. 또한 오랜 기간 고혈당 상태가 유지되면 신체에서 여러 합병증이 발생하는데, 합병증에는 망막병증, 신기능장애, 신경병증, 심혈관계 질환 등이 있다.
당뇨의 진단은 혈액검사를 통해 이뤄진다. 증상이 없는 경우 8시간 이상 금식 후에 측정한 혈당이 126 mg/dL 이상이거나,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후 혈당이 200 mg/dL 이상인 경우를 당뇨라 한다. 또한 식사와 무관하게 측정한 혈당이 200 mg/dL 이상일 때도 당뇨로 진단한다.
제1형 당뇨의 경우에는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다. 제2형 당뇨의 경우에는 생활 습관 교정을 기본으로 하며 추가로 약물 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
당뇨 치료제는 크게 인슐린 분비 촉진제와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로 나뉜다. 인슐린 분비 촉진제에는 설폰요소제(sulfonylurea)와 메글리티나이드(meglitinide)계가 있다.
설폰요소제는 흔히 처방되는 약으로 췌도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혈당을 낮춘다. 아마릴{성분명: 글리메프라이드(glimepiride)}, 디아미크롱{성분명: 글리클라자이드(gliclazide)} 등이 이에 속한다.
메글리티나이드계 약물은 벤조산 유도체로서 ATP-sensitive 칼륨통로와 결합하며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한다. 약효가 매우 빠른 제제로 식전에 복용하며, 노보넘{성분명: 레파글리나이드(repaglinide)}, 파스틱{성분명: 나테글리나이드 (nateglinide)} 등이 있다.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에는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계와 치아졸리딘다이온(thiazolidinedione)계가 있다.
바이구아나이드계 약물은 말초 조직의 인슐린 작용을 강화시켜 혈당을 강하한다. 메트포르민{성분명: 메트포르민(metformin)} 등이 있다.
치아졸리딘다이온계 약물은 체내의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슐린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아반디아{성분명: 로지글리타존(rosiglitazone)}, 액토스{성분명: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등이 있다.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는 소화되는 과정을 지연시킴으로써 식후 혈당이 천천히 올라가게 하여 혈당을 조절한다. 글루코바이{성분명: 아카보스(acarbose)} 등이 있다.
그러나 각 약물에는 모두 부작용이 있다. 하단의 [표 2]는 각 약물의 부작용을 표기한 것이다.
약물명 부작용
설폰요소제 저혈당증, 오심, 구토, 위장불편, 변비, 두통, 피부발진, 무과립구증, 혈구감소증, 용혈성 빈혈, 황달 등
메글리티나이드계 위장장애, 상기도 감염, 관절통, 요통, 두통 등
바이구아나이드계 유산증, 식욕부진, 오심, 복부 불쾌감, 설사 등
치아졸리딘다이온계 부기, 체중 증가 등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소화기 장애로 인한 복부 팽만감 및 소화 불량, 경미한 저혈당 등
따라서 본 출원인은, 천연 유래의 물질을 활용하여 부작용을 동반하지 않으며, 효과적으로 혈당을 강하함으로써 당뇨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안출하였다.
본 발명은 천연물 소재로 홍삼, 천마, 적하수오 및 상엽을 사용하고 있는바, 이하에서 천연물 소재 및 추출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서술한다.
홍삼은 오가피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을 수증기(증삼)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건조하여 가공한 것을 일컫는다.
인삼은 건조여부와 가공방법에 따라 수삼, 건삼, 홍삼으로 나눌 수 있다. 수삼은 어떠한 가공도 하지 않은 날것의 인삼이며, 건삼은 익히지 않고 햇볕, 열풍 등으로 말린 인삼이다.
본 발명을 안출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홍삼의 소재로서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생산된 홍삼을 이용하였다.
천마(Gastrodia elata)는 난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에 분포하며, 부식질이 많은 계곡의 숲 속에서 식물의 뿌리에 활물기생한다.
높이는 60~100 cm이며, 잎이 없고 감자 모양의 덩이줄기가 있다. 덩이줄기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18 cm, 지름 3.5 cm 정도로 뚜렷하지 않은 테가 있다. 줄기는 붉은 밤색에 조그만 잎이 듬성듬성 난다. 잎집 같은 잎은 막질이며 잔 맥이 있고 밑부분이 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6~7월에 황갈색으로 개화하며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많이 달린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겉에 화피가 남아 있다. 전초를 강장제, 신경쇠약, 현기증, 두통 등에 사용한다.
적하수오(Pleuropterus multflorus)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중국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지리산 능선과 계방산 계곡에 서식한다. 뿌리줄기가 땅속으로 뻗으면서 굵은 덩이뿌리가 생긴다.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면서 길게 벋어가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턱잎은 원통 모양으로 짧다. 잎자루 밑부분에는 짧은 잎집이 있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개화하며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2가화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고 꽃받침으로 싸이며 3개의 날개가 있다. 강장제, 강정제, 완하제 등으로 사용한다.
상엽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뽕나무(Morus alba)의 잎을 일컫는다.
뽕나무는 온대, 아열대 지방에 분포한다. 작은 가지는 회색빛을 띤 갈색 또는 회색빛을 띤 흰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달걀 모양 원형 또는 긴 타원 모양 원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길이 10 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잎자루와 더불어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6월에 개화하며, 열매는 6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열매를 '오디'라고 지칭하며 술을 담그거나 생과로 먹는다. 잎은 발열, 두통, 안구충혈, 해수, 구갈, 피부 두드러기 등의 치료에 사용하며 뿌리껍질은 한방에서 해열, 진해, 이뇨제, 소종에 쓰고 목재는 가구재로 이용한다.
한편, 당뇨에 대한 선행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79490000호에는 당뇨 기능성 음료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살펴 보면, 상엽 추출물 3.5 ~ 7 중량부, 달개비 추출물 3.5 ~ 7 중량부, 솔잎 추출물 3.5 ~ 7 중량부, 감잎 추출물 3.5 ~ 7 중량부, 가시오가피 추출물 3.5 ~ 7 중량부, 홍삼 추출물 0.3 ~ 0.5 중량부, 치커리 식이섬유 5 중량부, 비타민 C 0.5 중량부, 비타민 E 0.5 중량부, 테르펜계 탄화수소류의 착향료 0.5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2.5 ~ 3.0 중량부, 벌꿀 6.0 ~ 7.0 중량부, 구연산 0.1 ~ 0.2 중량부가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 기술은 기능성 음료에 대한 것으로서, 혈당을 강하하기 위한 주요한 인자로서의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를 증가시키는 효능을 밝히고 있지 않다.

또한, 대한본초학회지, 27(6), 2012.11., pp.99-105에는 홍삼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의 혼합물이 혈당 강하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는 홍삼과 상엽만을 소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단백질 IRS-1, GLUT4 및 AMPK를 증가시키는 효능은 밝히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79490000호 (2007.01.26)
대한본초학회지, 27(6), 2012.11., pp.99-105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천연 유래의 물질을 활용하여 부작용 및 세포독성 없이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체내에서 항산화 작용을 하여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체내에서 항염증 작용을 하여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혈당을 강하시킴으로써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내당능을 개선시킴으로써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를 증가시킴으로써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 유래의 물질을 활용하여 부작용 및 세포독성 없이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혈당을 강하하는 작용, 내당능을 개선하는 작용 및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100 ~ 300 중량부 기준으로, 천마 추출물, 적하수오 추출물 또는 상엽 추출물을 30 ~ 100 중량부로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뇨 및 기타 대사증후군 예방,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음료, 건강보조식품, 차, 과자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되기 위하여는 약제학적 분야에서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물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환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환, 과립, 음료, 타블렛, 캅셀 등의 제형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 제형을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물질을 활용하여 부작용 및 세포독성이 없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은 체내에서 항산화 작용을 하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은 체내에서 항염증 작용을 하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은 혈당을 강하하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은 내당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당뇨를 예방, 개선하는 조성물은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홍삼 추출물, 천마 추출물, 적하수오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하였을 시의 항산화 효능을 ABTS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하였을 시의 항산화 효능을 ORAC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하였을 시의 항염증 효능을 NO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하였을 시의 항염증 효능을 NO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병용 처리하였을 시와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병용 처리하였을 시의 NF-kB 전사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상단은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혈당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하단은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내당능 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의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의 상단은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혈당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의 하단은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내당능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의 상단은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혈당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의 하단은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내당능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제조예에서 제조되는 추출물들의 복합물은 모두 '홍삼 복합물'의 범주에 들어가는 의미로 사용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제조예 1. 홍삼 복합물의 제조
① 홍삼, 천마, 적하수오, 상엽을 추출한다.
홍삼, 천마, 적하수오, 상엽 중 1개 이상의 소재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천마, 적하수오 및 상엽 외의 기타 한방 약재가 추가될 수도 있다.
홍삼, 천마, 적하수오, 상엽의 추출에는 용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마이크로 웨이브 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열수 추출법, 발효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 실행될 수 있다. 추출 시간 역시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2가지 이상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2차 이상 추출할 수 있다.
용매 추출시의 추출 용매 또한 다양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추출 가능한 용매에는 물, 에탄올, 메탄올, 지방유, 글리세린, 마유, 플로필렌글리콜, 에테르, 클로르포름, 석유에테르, 헥산, 벤젠,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분배계수가 다른 2가지 이상의 용매를 동시에 사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2차 이상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용매의 농도는 용매의 종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② 홍삼, 천마, 적하수오, 상엽의 추출물을 선택적으로 혼합한다.
홍삼, 천마, 적하수오, 상엽의 추출물을 선택적으로 혼합할시의 중량비는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설정한다.
여기에서, 실험을 통해 홍삼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을 3:1 및 1:1의 중량비로 혼합할시의 효능, 홍삼 추출물과 적하수오 추출물을 3:1 및 1:1의 중량비로 혼합할시의 효능, 홍삼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을 3:1 및 1:1의 중량비로 혼합할시의 효능이 모두 입증되었다. 이를 통해, 홍삼 추출물의 중량이 상기 3종의 각 소재의 추출물의 3배 이상일 시에도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삼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천마 추출물 10 중량부를 혼합할시에도, 실험 결과에 의거하여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홍삼 추출물과 상기 소재 중 2개 이상의 추출물을 혼합할시에 홍삼 추출물과 각 소재의 추출물의 중량비가 실험 결과에 의거한 수치 범위 내에 포함되면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삼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천마 추출물 30 중량부, 적하수오 추출물 30 중량부를 혼합하거나, 또는 천마 추출물 30 중량부, 적하수오 추출물 30 중량부 및 상엽 추출물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③ 추출된 홍삼, 천마, 적하수오 상엽의 추출물을 건조한다.
건조 방법에는 양건조, 음건조, 동결건조, 열풍건조, 피막건조, 진공건조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결 건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 홍삼 복합물의 제조예는 상기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단계의 순서는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사항과 달리 각 소재의 혼합 후 추출이 실행될 수도 있으며, 각 소재의 건조 후 추출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재에 혼합과 추출의 단계를 실행한 후 건조하여 용매에 혼합할 수도 있다.
최종적인 일 예로, 각 소재들을 50% 에탄올로 추출한 후 혼합하여 동결건조하여 물에 혼합할 수 있다.
실험예 1. ABTS assay 를 통한 홍삼 복합물의 세포 내 항산화 효능 실험
1-1. 실험 과정
ABTS가 산화되어 생성되는 라디칼 양이온인 ABTS+와의 분해를 측정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계산하였다.
1-2. 실험 결과
[표 3]은 홍삼 추출물, 천마 추출물, 적하수오 추출물, 상엽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 시의 항산화 효능을 ABTS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Sample IC50(ug/ml)
홍삼 추출물 414.59
천마 추출물 148.56
적하수오 추출물 >200
상엽 추출물 50<
홍삼 추출물 1000 ug/ml 및 천마 추출물 50<
홍삼 추출물 1000 ug/ml 및 적하수오 추출물 50<
홍삼 추출물 1000 ug/ml 및 상엽 추출물 50<
BHA 3.19
도 1은 홍삼 추출물, 천마 추출물, 적하수오 추출물, 상엽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하였을 시의 항산화 효능을 ABTS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홍삼 추출물, 천마 추출물, 적하수오 추출물, 상엽 추출물의 IC50 값이 414.59 ug/ml, 148.56 ug/ml, 200 ug/ml 이상, 50 ug/ml 이하로 양성 대조군인 BHA (Butylated hydroxyanisole)보다는 다소 낮은 소거작용을 보였지만 천마 추출물, 상엽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200 ug/ml 이하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천마 추출물, 상엽 추출물을 홍삼 추출물과 병용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홍삼 추출물 단독 처리 시보다 효능이 월등히 우수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단독 처리 시 IC50 값이 200 ug/ml 이상으로 효능이 다소 떨어진 적하수오 추출물도 홍삼 추출물 및 병용 처리 시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ORAC assay 를 통한 홍삼 복합물의 세포 내 항산화 효능 실험
2-1. 실험 과정
홍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과산화 라디컬(peroxy radical)의 생성과 소멸에 의한 형광 감소율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실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과산화 라디컬의 생성을 위해 AAPH {2,2'-azobis (2-methylpropionamidine)dihychloride} 를 사용하였고 ORAC 측정 키트(Cell biolabs Co.)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② 각 시료는 500 ug/ml부터 두 배 폴드(fold)로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검량 곡선을 작성하기 위해 항산화 활성 비교 표준액으로 트로록스(Trolox)를 각각 0, 1.65, 3.125, 6.25, 12.5, 25, 50 uM 농도로 희석하였다.
③ 플루오레센트(fluorescent) 표준용액은 1X 플루오레센스 버퍼(fluorescence buffer) 150 ul와 프리 라디칼 이니시에이터 솔루션(Free radical initiator solution)을 25 ul 넣어 플루오로미터(Fluorometer) (PerkinElmer Co., Victor)를 이용하여 형광의 감소 과정을 60분 동안 2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④ 자극은 535 nm에서, 배출은 590 nm에서 실행하였다.
2-2. 실험 결과
[표 4]는 홍삼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 시의 항산화 효능을 ORAC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Sample 용량(ug/ml) =트로록스 (uM TE)
홍삼 추출물 1000 452.02 (113.17 ug/ml)
2000 466.24 (116.69 ug/ml)
상엽 추출물 50 353.25 (88.41 ug/ml)
100 374.82 (93.81 ug/ml)
200 384.90 (96.33 ug/ml)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 1000+50 458.46 (114.75 ug/ml)
1000+100 457.34 (114.46 ug/ml)
1000+200 447.80 (112.07 ug/ml)
도 2는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 시의 항산화 효능을 ORAC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항산화 활성 측정방법의 일종인 ORAC assay를 통해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예 1의 ABTS assay 결과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상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본 결과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 모두 항산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홍삼 추출물 1000, 2000 ug/ml을 단독 처리한 농도에서는 각각 113.17, 116.69 ug/ml 트로록스의 ORAC 활성을 나타내었고, 상엽 추출물을 단독 처리한 50, 100, 200 ug/ml에서는 88.41, 93.81, 96.33 ug/ml 트로록스와 동등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병용 처리 시 항산화 효능이 상엽 추출물 농도별로 홍삼 단독 처리 시와 같거나 다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DPPH assay 를 통한 홍삼 복합물의 세포 내 항산화 효능 실험
3-1. 실험 과정
실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홍삼 추출물, 천마 추출물, 상엽 추출물과 DPPH를 메탄올에 78 ug/ml이 되게 녹여 여과한 용액을 1:1 비율로 혼합한 뒤 37 ℃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②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IC50 값을 측정하였다.
3-2. 실험 결과
[표 5]는 홍삼 추출물, 천마 추출물, 상엽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DPPH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Sample IC50(ug/ml)
홍삼 추출물 827.36
천마 추출물 1262.6
상엽 추출물 982.4
BHA 3.44
홍삼 추출물, 천마 추출물, 상엽 추출물은 IC50 값이 827.36, 1262.6, 982.4 ug/ml로 양성 대조군인 BHA (Butylated hydroxyanisole, 부틸레이트 하이드)보다는 다소 낮은 소거작용을 보였다. 그러나 ORAC 결과와 동일하게,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측정값이 유사하였으므로 ORAC 활성에 비해 항산화 효능이 적지만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NO 측정을 통한 홍삼 복합물의 항염증 효능 실험
4-1. 실험 과정
배양액 내의 NO(nitrite oxide)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0×105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NO 생성 양성 대조군으로 LPS (lipopolysaccharide, 리포폴리사카라이드) 0.5 u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② 음성 대조군으로 LPS 처리하지 않은 군을 나누어 배지를 갈아준 후 2000 ug/ml부터 62.5 ug/ml까지 두 배 폴드(fold)로 홍삼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③ 천마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은 200 ug/ml부터 6.25 ug/ml까지 처리하고 다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④ 1 M NaNO2 (Sodium Nitrite, 소듐 니트레이트)를 0, 3.12, 6.25, 12.5, 25, 50, 100 uM이 되도록 희석하여 기준 값을 잡아 표준 곡선을 만들었다.
⑤ 시료 상등액과 표준 NaNO2를 50 ul 씩 플레이트에 넣고 1 % 설파닐아미드(sulfanilamide)와 0.1 % N-(1-naphtyl) 에틸렌다이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에이전트(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reagent)를 1:1로 혼합하여 well당 50 ul씩 주입하고 10분간 상온에 방치하였다.
⑥ 시료 상등액과 표준 NaNO2를 540 nm에서 측정한 값을 구하였다. 표준 곡선과 대비하여 샘플의 NO 생성 억제량을 측정하였다.
4-2. 실험 결과
도 3은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 하였을 시의 항염증 효능을 NO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처리하거나 병용 처리 하였을 시의 항염증 효능을 NO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홍삼 추출물의 염증 억제 활성을 NO assay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독성이 발견되지 않은 농도에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 7 세포주에서는 100 ug/ml과 200 ug/ml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났으나, 사람의 신장 세포주인 HEK-293T 세포주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홍삼 추출물에서 독성이 발견되지 않았던 농도인 500 ug/ml을 기준으로 천마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을 처리하여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홍삼 추출물 단독 처리 시 독성이 없던 농도인 500 ug/ml에 천마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시료에서 세포독성이 발생하여 항염증 효능을 측정할 수 없었다.
홍삼 추출물에서와 동일하게,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 7 세포주에서는 200 ug/ml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났으나 사람의 신장 세포주인 HEK-293T 세포주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5. NF - kB 의 전사 활성 분석을 통한 홍삼 복합물의 항염증 효능 시험
5-1. 실험 과정
실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HEK 293T cell에 NF-kB 루시퍼레이즈 리포터(luciferase reporter) 유전자와 pRL-SV-40 플라스미드를 트렌스펙션(transfection) 하였다.
② 유전자들을 하루 동안 발현시킨 후 세포에 홍삼 추출물 500, 1000, 2000 ug/ml과 천마 추출물, 상엽 추출물 시료 50, 100 및 200 ug/ml을 24 시간 동안 함께 처리하였다.
③ 그 후, 홍삼 추출물, 천마 추출물, 상엽 추출물 시료에 의한 NF-kB의 전사 활성 정도를 루시퍼레이즈(luciferase)의 발현 강도를 통해 관찰하였다.
5-2. 실험 결과
도 5는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병용 처리하였을 시와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병용 처리하였을 시의 항염증 효능을 NF-kB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염증에 관여하는 NF-kB 전사 활성도를 측정해 본 결과 NF-kB의 전사 활성도는 천마 추출물, 상엽 추출물을 모두 병용 처리하였을 시에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홍삼 복합물의 α- glucosidase 억제 활성 평가
6-1. 실험 과정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 상엽 추출물의 알파-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알파-글루코시다제를 사용하여 각각 추출물의 각 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항당뇨 효소 활성으로 소장점막의 brush border 효소(maltase, sucrose, glucoamylase)로서 이당류를 단당류로 분해하는 기능을 억제하여 식후 혈당의 상승을 막아주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알파-글루코시다제 분석(α-glucosidase assay)을 실행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아카보스(acarbose)를 사용하였고, 각 시료를 62.5, 125, 250, 500, 1000, 2000 ug/ml로 처리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IC50 값을 측정하였다.
6-2. 실험 결과
[표 6]은 홍삼 추출물, 천마 추출물, 적하수오 추출물, 상엽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시와,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알파-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억제 활성을 나타낸 표이다.
Sample IC50 (ug/ml)
홍삼 추출물 >1000
천마 추출물 >800
적하수오 추출물 >800
상엽 추출물 68.19
홍삼 추출물 1000 ug/ml 및 상엽 추출물 327.36
아카보스 289.42
측정 결과, 홍삼 추출물 단독 처리군과 천마 추출물 단독 처리군, 적하수오 추출물은 억제 효과가 없었고, 상엽 추출물은 68.19 ug/ml의 IC50값을 나타냈으며, 단독 처리시 효능이 없었던 홍삼 추출물도 상엽 추출물과 병용 처리하였을 시에는 327.36 ug/ml의 IC50값으로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 효과를 나타났다.
실험예 7. 홍삼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의 복합물 투여시의 항당뇨 효과
7-1. 실험 과정
대사증후군 유발 식이 모델은 Harlan Teklad (Madison, WI)사의 60% 과당이 포함된 고과당 사료를 약 10주간 투여하였다.
또한 2주 동안 고과당 사료를 투여한 랫드에 본 발명의 제조예의 과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6주간 혼합 투여하였다.
하단의 [표 7]은 정상 식이와 고과당 식이의 성분을 비교한 표이다. [표 6]의 상단은 정상 식이의 성분 표, 하단은 고과당 식이의 성분 표이다.
식이
영양 성분명 정상
수분(%) 10.26
단백질(%) 20.78
지방(%) 4.8
섬유(%) 5.32
ASH(%) 5.82
칼슘(Calcium)(%) 1.16
인산(%) 0.65
식이
영양 성분명 60% 과당
카제인(casein)(g) 207.0
DL-메티오닌(methionine)(g) 3.0
과당(fructose)(g) 600.0
라드(lard)(g) 50.0
셀룰로스(cellulose)(g) 79.8
미네랄 믹스(mineral mix)(g) 50.0
징크 카보네이트
(zinc carbonate)(g)
0.04
비타민 믹스(vitamin mix)(g) 10.0
그린 푸드 컬러(green food color)(g) 0.15
7-2. 실험 결과
도 6의 상단은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혈당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혈당 측정 결과, 대조군과 고과당 식이군을 비교했을 때 유의성있는 혈당 상승 효과를 보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인 로지글리타존 투여군에서는 음성 대조군인 고과당 식이군에서 보인 혈당 상승 효과가 유의성있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홍삼 추출물 240~360 mg/kg 및 천마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서 혈당 강하 효과를 보여주었다.
도 6의 하단은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내당능 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내당능(glucose tolerance)이란 생체의 글루코오스 처리능력을 일컬으며, 당부하 시험시의 혈당곡선으로 나타낸다. 글루코오스 내성을 담당하는 것은 인슐린으로, 내성의 저하는 인슐린 분비 또는 작용의 장애나 길항 호르몬의 과잉을 의미한다. 글루코오스 내성이라고도 한다. 내당능 검사시에 장애가 나타난다면 당뇨의 전 단계인 내당능 장애로 분류할 수 있다.
내당능 검사 결과, 대조군의 혈당보다 고과당 식이군의 혈당이 더 높았다.
또한 로지글리타존 투여군과 홍삼 추출물 80~120 mg/kg 및 천마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서 고과당 식이군에서보다 혈당이 강하되었으며, 홍삼 추출물 240~360 mg/kg 및 천마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서는 혈당이 더욱 강하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 혼합 투여군이 혈당을 강하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며, 그로 인해 항당뇨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IRS-1은 IRS 단백 구성요소 중 처음으로 확인되었으며 인간의 IRS-1 유전자는 2번 염색체에 존재한다. IRS-1의 소실은 신체 성장의 지연과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키며 췌장 B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은 비정상적인 인슐린 분비와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서 발생하며 IRS-1 유전자의 폴리몰피즘(polymorphism)중 GGG에서 AGG로의 codon972 유전자의 다형성이 당뇨병과 가장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IRS-1 유전자 발현의 감소시 타이로신(tyrosine)의 인산화가 감소되고 PI3K의 활성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PPAR(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퍼옥시좀 프로리퍼레이터-액티베이티드 리셉터)은 핵 내에 존재하는 호르몬 수용체에 속한다. PPAR에는 PPAR-α, PPAR-β, PPAR-γ의 3개의 이성체가 밝혀져 있으며, 이들은 서로 다른 유전자를 발현시키지만 아미노산의 구성, 리간드의 결합 형태 및 DNA 결합 영역은 서로 비슷하다.
PPAR 중에서도 지방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많은 발현을 보이는 PPAR-γ의 주요 기능은 지방 대사, 당 대사, 지방 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세균 LPS에 의해 자극된 대식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인 IL-6과 TNF-α의 분비를 억제하여 항염증 작용을 하는 기능이 알려지고 있다.
GLUT4는 근, 지방조직에서 발현하는 포도당 수송체 단백질이며, 활성화된 AMPK는 인슐린과 무관하게 GLUT4의 세포막으로의 이동과 당의 이용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매개하는 단백질이다.
도 8은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의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근육 조직에서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여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IRS-1(인슐린 수용체 기질-1) 발현 양상을 측정한 결과, 고과당 식이군에서 감소하였으며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서 증가하였다.
IR-β(인슐린 수용체-β) 발현 양상을 측정한 결과, IR-β는 고과당 식이군에서 감소하였으며,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서 증가하지 않았다.
근육 내 PPAR-γ 발현 양상을 측정한 결과, PPAR-γ는 고과당 식이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로지글리타존 투여군 및 홍삼 단독 투여군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근육 내 GLUT4 발현 양상을 측정한 결과, GLUT4는 고과당 식이군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로지글리타존 투여군 및 홍삼 추출물 80~120 mg/kg 및 천마 추출물의 혼합 투여군에서 증가하였다.
근육 내 AMPK의 인산화 양상을 측정한 결과, AMPK는 고과당 식이군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로지글리타존 투여군 및 홍삼 추출물 및 천마 추출물의 혼합 투여군에서 증가하였다.
실험예 8.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의 복합물 투여시의 항당뇨 효과
8-1. 실험 과정
대사증후군 유발 식이 모델은 Harlan Teklad (Madison, WI)사의 60% 과당이 포함된 고과당 사료를 약 10주간 투여하였다.
또한 2주 동안 고과당 사료를 투여한 랫드에 본 발명의 제조예의 과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을 6주간 혼합 투여하였다.
고과당 사료의 조성은 실험예 8과 동일하다.
8-2. 실험 결과
도 9의 상단은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혈당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혈당 측정 결과, 고과당 식이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혈당 증가효과를 보였으며 양성 대조군인 로지글리타존 투여군에서는 음성 대조군인 고과당 식이군에서 보여준 증가 효과를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홍삼 추출물 240~360 mg/kg과 적하수오 추출물의 혼합 투여군은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이며 혈당 강하 효과를 보였다.
도 9의 하단은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내당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고과당 식이 및 약물 투여 7주 후 내당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포도당 투여 30분 후 대조군과 고과당 식이군과의 유의성있는 차이가 보였으며, 60분 후 로지글리타존 투여군과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서 농도의존적인 혈당 강하 효과를 보였다. 즉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 혼합 투여군은 혈당을 강하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항당뇨 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0은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 AMPK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근육 조직에서 웨스턴 블롯을 수행한 결과, 인슐린 수용체 기질(IRS-1)의 발현은 고과당 식이군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 의해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인슐린 수용체-β(IR-β)의 발현 역시 고과당 식이군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 의해서 증가되지 않았다.
근육 내 PPAR-γ 단백질 발현 정도의 변화는 고과당 식이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됨을 보였으며, 로지글리타존 투여군과 홍삼 추출물 80~120 mg/kg 및 적하수오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 의해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근육 내 GLUT4의 발현 정도의 변화는 고과당 식이군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로지글리타존 투여군과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 혼합 투여군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근육 내 AMPK의 인산화 양상을 측정한 결과, AMPK는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 의하여 인산화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홍삼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 혼합 투여군은 인슐린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함으로써 포도당 운반체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당뇨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9.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의 복합물 투여시의 항당뇨 효과
9-1. 실험 과정
대사증후군 유발 식이 모델은 Harlan Teklad (Madison, WI)사의 60% 과당이 포함된 고과당 사료를 약 10주간 투여하였다.
또한 2주 동안 고과당 사료를 투여한 랫드에 본 발명의 제조예의 과정으로 제조된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6주간 혼합 투여하였다.
고과당 사료의 조성은 실험예 8과 동일하다.
9-2. 실험 결과
도 12의 상단은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혈당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혈당 측정 결과, 음성 대조군인 고과당 식이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는 혈당 증가효과를 보였으며 양성 대조군인 로지글리타존 투여군에서는 음성 대조군인 고과당 식이군에서 보여준 증가 효과를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홍삼 추출물 240~360 mg/kg 및 상엽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서 혈당 강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도 12의 하단은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내당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고과당 식이 및 약물 투여 7주 후 내당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포도당 투여 30분 후 대조군의 혈당보다 고과당 식이군의 혈당이 더 높아져 유의성있는 차이가 보였으며, 60분 후 로지글리타존 투여군과 홍삼 추출물 80~120 mg/kg 및 상엽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서 혈당 강하 효과를 보였다.
도 13은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인슐린 수용체 기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근육 조직에서 웨스턴 블롯을 수행한 결과, 인슐린 수용체 기질(IRS-1)의 발현은 고과당 식이군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서는 증가되지 않았다.
인슐린 수용체-β(IR-β)의 발현 역시 고과당 식이군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홍삼 추출물 240~360 mg/kg 및 천마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근육 내 PPAR-α 단백질 발현 정도의 변화는 고과당 식이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됨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군 및 홍삼 단독투여군에 의해서 농도의존적인 증가를 보였다.
근육 내 GLUT4의 발현 변화는 고과당 식이군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로지글리타존 투여군, 홍삼 추출물 240~360 mg/kg과 상엽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 의해서 증가하였다.
도 14는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시의 AMPK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고과당 식이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였을 시 AMPK 활성의 지표인 AMPK 인산화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로지글리타존을 투여 시에는 AMPK의 인산화 정도가 증가한 것을 보였으며,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서는 AMPK 인산화를 유도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홍삼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 혼합 투여군은 PPAR-γ를 활성화함으로써 항당뇨 효과를 보인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홍삼추출물, 천마 추출물, 적하수오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혼합한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홍삼 복합물은 홍삼 추출물 300 중량부 기준으로, 천마 추출물 100 중량부, 적하수오 추출물 100 중량부 및 상엽 추출물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조성물은 체내에서 항산화 작용을 하는 효능, 체내에서 항염증 작용을 하는 효능, 혈당을 강하하는 작용을 하는 효능, 내당능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는 효능 및 단백질 IRS-1, IR-β, PPAR-γ, GLUT4와 AMPK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삭제
KR1020130064639A 2013-06-05 2013-06-05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51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639A KR101512326B1 (ko) 2013-06-05 2013-06-05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639A KR101512326B1 (ko) 2013-06-05 2013-06-05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267A KR20140143267A (ko) 2014-12-16
KR101512326B1 true KR101512326B1 (ko) 2015-04-16

Family

ID=5267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639A KR101512326B1 (ko) 2013-06-05 2013-06-05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326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본초학회지, 27(6), 2012. 11., pp.99-105*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7(4), 2003. 8. 25., pp.962-968*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1(6), 2007. 12. 25., pp.1477-148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267A (ko)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7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20180137174A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1517833B1 (ko)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2013203683A (ja) Ii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US20120148692A1 (en) Novel herbal formulation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ype-2 diabetes mellitus and vascula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diabetes
CN110237117A (zh) 一种女性更年期抗衰老的软胶囊及其制备方法
KR101517836B1 (ko) 홍삼 복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죽상경화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05028995A (zh) 一种配合狗粮及其制备方法
KR20110128384A (ko) 미담 경옥고를 이용한 피부 주름, 보습, 미백을 위한 조성물질 및 제조법
KR101392715B1 (ko) 의이인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859899B1 (ko) 보리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12326B1 (ko)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90137317A (ko)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95834B1 (ko) 체질에 따라 처방되는 변비개선용 차 조성물
KR101517828B1 (ko)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06942561A (zh) 一种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75035B1 (ko) 항당뇨용 보리면
Nandhini et al. Antidiabetic effect of Mallotus philippinensi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R101517823B1 (ko) 홍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20140064067A (ko) 초피 및 흑호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97845B1 (ko) 생약재료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Lim et al. Mimusops elengi
KR101314917B1 (ko) 숙취해소용 기능성 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