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885B1 - 열교환기, 냉각제 유도관 및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냉각제 유도관 및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885B1
KR101511885B1 KR1020137017423A KR20137017423A KR101511885B1 KR 101511885 B1 KR101511885 B1 KR 101511885B1 KR 1020137017423 A KR1020137017423 A KR 1020137017423A KR 20137017423 A KR20137017423 A KR 20137017423A KR 101511885 B1 KR101511885 B1 KR 101511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tube
shaped plate
tubular bod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629A (ko
Inventor
키앙 자오
얀싱 리
린지에 후앙
Original Assignee
산후아 홀딩 그룹 컴파니 리미티드
댄포스 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후아 홀딩 그룹 컴파니 리미티드, 댄포스 아/에스 filed Critical 산후아 홀딩 그룹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02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the heat-exchange conduit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tank containing the body of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4Making tubes from double fla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151Making tubes with multip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156Making tubes with wall irregula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156Making tubes with wall irregularities
    • B21C37/157Perf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156Making tubes with wall irregularities
    • B21C37/158Protrusions, e.g. di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16Making tubes with varying diameter in longitudinal direction
    • B21C37/18Making tubes with varying diameter in longitudinal direction conical tubes
    • B21C37/185Making tubes with varying diameter in longitudinal direction conical tubes starting from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7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in the form of distribution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7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in the form of distribution pipes
    • F28F9/0273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in the form of distribution pipes with multiple 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91Tube making or re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 및 당해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한 냉각제 유도관 및 당해 냉각제 유도관을 구비하는 열교환기에 대하여 공개하였다. 당해 냉각제 유도관은 관체(2) 및 관체(2)의 관벽을 관통하는 통로(11, 21, 22)를 포함한다. 관체(2)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에 의해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대어 형성된다. 당해 방법을 사용하여 유도관을 가공할 경우, 당해 방법은 관체(2)가 형성되기 전에 혹은 형성되는 과정에서 유도관의 냉각제 통로(11, 21, 22)를 가공하는 것을 허용하므로, 관체(2)에 직접 통로(11, 21, 22)를 가공하는 것이 회피되어 유도관의 가공 과정이 더욱 편리해진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냉각제 유도관 및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REFRIGERANT GUIDE TUBE OF HEAT EXCHANGER, REFRIGERANT GUIDE TUBE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AND HEAT EXCHANGER WITH THE REFRIGERANT GUIDE TUBE}
본 발명은 2010년 12월 8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1010578458.7이며 발명의 명칭이 “열교환기 및 그 냉각제 유도관 그리고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의 전부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 중에 결부시킨다.
본 발명은 냉각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가공한 냉각제 유도관 및 상기 냉각제 유도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뜨거운 유체의 일부 열량을 차거운 유체에 전달하는 설비로서, 환열기라고도 부르며 냉난방 공기조화 등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도1을 참조하면, 도1은 기존 기술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조도이다.
현재, 비교적 전형적인 열교환기(10)는 일반적으로 평행되게 설치한 두 가닥의 헤더 파이프(101)(도1 중, 일측의 헤더 파이프(101)만 도시함)를 포함하고, 헤더 파이프(101) 사이에 여러 가닥의 대체적으로 평행되게 설치한 열교환 파이프(102)를 구비하며, 열교환 파이프(102) 사이에 방열핀(radiating fin)을 이격 설치하고, 열교환 파이프(102)의 양단은 양측의 헤더 파이프(101)와 연결하며, 냉각제는 일측의 헤더 파이프(101)에서 열교환 파이프(102) 내로 진입함으로써 열교환 과정을 실현한다.
열교환기(10)의 냉각제가 각 열교환 파이프(102) 내에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헤더 파이프(101) 내에 한 가닥의 냉각제 유도관(103)을 삽입한다. 상기 유도관(103)은 헤더 파이프(101)의 밑부분까지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유도관(103)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멍(1031)이 설치된다. 유도관(103)의 단부는 밀봉되고, 유도관(103)의 매개 구멍(1031)은 대응하는 영역 내의 열교환 파이프(102)의 냉각제 분배 혹은 수집을 책임진다. 냉각제는 이러한 구멍(1031)을 통해 각 열교환 파이프(102) 내로 균일하게 분배되어 재유통하거나 혹은 열교환 파이프(102) 내에서 유출하는 냉각제를 균일하게 유도관(103) 내로 수집하여 열교환기로 유출시킨다. 즉, 구멍(1031)은 냉각제가 유도관을 유입 혹은 유출하는 통로로서 작용한다.
구멍(1031)을 냉각제 통로로 하는 유도관(103)을 가공할 경우, 일반적으로 유도관(103) 관체의 표면에 직접 펀칭(punching) 가공한다.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 중에서 유도관(103)의 내측 직경은 비교적 작고, 분배관으로 사용될 경우, 유도관(103)의 직경은 10mm 정도로 더욱 작다. 따라서, 유도관(103) 관체의 아크면 상에 직접 구멍(1031)을 가공하는 것은 기술 상의 어려움이 존재하고 가공 효율이 떨어지며 원가가 상승된다. 또한, 관체에 개설된 구멍(1031)의 내측에 금속 버르(burrs), 금속 부스러기 등이 남아있게 된다. 관의 지름이 작음으로 인해 이러한 내부의 금속 버르와 금속 부스러기는 제거되기 어려워 시스템 운행 과정에서 구멍(1031)을 막을 수 있다. 이는 냉각제 분배의 불균일을 초래하고, 자유 이동하는 금속 부스러기는 심지어 스로틀 수단을 막아 시스템 장애를 초래한다.
따라서, 냉각제 유도관에서의 구멍 가공을 더욱 편리하게 하고 관체에 개설되는 구멍 내측의 버르 및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문제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도관을 가공할 경우에 유도관의 냉각제 통로의 가공 공정이 더욱 편리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한 냉각제 유도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냉각제 유도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체 및 상기 관체의 관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에 의해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대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에 의해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붙여 형성되되, 맞붙이기 전에 적어도 한 장의 상기 띠형 판재에 관통홀을 가공한다.
바람직하게는,상기 관통홀을 맞댐 측변 위치에 가공해 두고, 맞붙일 때 두 개의 상기 맞댐 측변을 표면에 따라 접근시켜 두 개의 상기 맞댐 측변의 가장자리를 밀봉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에 의해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접합해 형성되고, 접합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맞댐 측변에 상기 맞댐 측변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을 가공하고, 접합시 상기 오목홈을 구비하는 맞댐 측변과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을 상기 띠형 판재의 표면에 따라 접합하되, 상기 오목홈의 개구가 이와 접합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을 향하도록 해, 상기 오목홈과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에 의해 상기 통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맞대는 측변 사이에 틈을 남겨두어, 상기 틈에 의해 상기 통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맞댐 측변의 표면을 대향시켜 상기 틈을 형성하되 두 개의 상기 맞댐 측변은 동일한 방향을 따라 굴곡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에 의하면, 적어도 한 장의 띠형 판재를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대어 관체를 형성한다. 당해 방법을 사용하여 유도관을 가공할 경우, 관체가 형성되기 전에 혹은 형성되는 과정에서 유도관의 냉각제 통로를 가공할 수 있어, 관체에 직접 통로를 가공하는 것을 회피하여 유도관의 가공 과정이 더욱 편리해진다.
구체적인 실시방식 중에서, 상기 관체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에 의해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붙여 형성하되, 맞붙이기 전에 적어도 한 장의 상기 띠형 판재에 관통홀을 가공한다. 판재에 관통홀을 직접 가공하는 것은 공예가 비교적 간단하고 여러가지 가공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가지 관통홀 형상을 가공해낼 수 있다. 관통홀을 가공한 후 판재에 대하여 버르, 금속 부스러기 등을 제거하는 공정을 실행할 수 있어 관통홀 가장자리 위치의 처리를 쉽게 진행할 수 있다. 처리한 후 판재의 연결을 진행함으로써 관체를 형성한다.
다른 구체적인 실시방식 중에서, 상기 관체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에 의해 길이방향의 측변을 접합해 형성되고, 접합 전에 적어도 하나의 맞댐 측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을 가공하며, 맞붙일 때 두 개의 상기 맞댐 측면을 상기 띠형 판재의 표면을 따라 접합하고, 상기 오목홈의 개구가 이와 접합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을 향하도록 해, 상기 오목홈과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에 의해 상기 통로를 형성한다. 당해 실시방식에 의하면, 측변에만 오목홈을 가공하면 되고, 측변을 맞붙여 관체를 형성할 경우, 오목홈은 맞댐 측변과 접합되어 즉시 통로를 형성해, 공정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방식 중에서, 두 개의 맞대는 측변 사이에 틈을 남겨두어, 상기 틈에 의해 상기 통로를 형성한다. 당해 실시방식에 의하면, 맞댐 측변 사이의 틈을 직접 이용하여 냉각제의 통로로 함으로써 가공 공정이 더욱 간편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체 및 상기 관체의 관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에 의해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대어 형성된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에 의해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대어 형성된 관체이고, 상기 관체에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은 관체의 맞붙이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홀에 의해 상기 통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상기 관통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의 맞댐 측변의 표면이 서로 대향되어 틈새를 구비하고, 상기 맞댐 측변에 상기 관통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는 상기 띠형 판재의 맞댐 측변이 상기 띠형 판재의 표면을 따라 접합되어 형성되는 관체이고, 상기 관체의 적어도 하나의 맞댐 측변은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이 구비되고, 상기 오목홈의 개구가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을 향하도록 해, 상기 오목홈과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에 의해 상기 통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의 적어도 두 개의 맞댐 측변 사이에는 틈이 구비되고, 상기 틈은 상기 통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틈을 형성하는 두 개의 상기 맞댐 측변의 표면은 서로 대향되되, 두 개의 상기 맞댐 측변은 동일한 방향을 따라 굴곡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는 적어도 두 개의 관강(pipe chamber)을 구비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관체는 적어도 한 장의 띠형 판재가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대어 형성하는 관체이고, 유도관의 통로는 관체가 형성되기 전에 혹은 형성되는 과정에서 가공할 수 있어, 관체에 직접 통로를 가공하는 것이 회피되어 가공 공정이 더욱 간편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교환 파이프, 헤더 파이프 및 상기 헤더 파이프 내에 삽입되는 냉각제 유도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하고, 상기 냉각제 유도관은 상기 임의의 항에서 서술한 유도관이다. 상기 냉각제 유도관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가지므로, 당해 냉각제 유도관을 구비하는 열교환기도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도1은 기존 기술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조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의 제1 구체적 실시방식의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의 제2 구체적 실시방식의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의 제3 구체적 실시방식의 흐름도이다.
도5a 내지 도5d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공방법에 사용되는 4가지 띠형 판재를 각각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1 구체적 실시방식의 구조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1 구체적 실시방식의 다른 구조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1 구체적 실시방식의 또 다른 구조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2 구체적 실시방식의 구조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2 구체적 실시방식의 또 다른 구조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3 구체적 실시방식의 구조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3 구체적 실시방식의 또 다른 구조도이다.
도13a 내지 도13e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단면의 5가지 형상을 각각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4 구체적 실시방식의 구조도이다.
도15a 내지 도15e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통로의 5가지 설치방식을 각각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16a 내지 도16c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통로의 3가지 구조를 각각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핵심은 유도관을 가공할 경우에 유도관의 냉각제 통로의 가공 공정이 더욱 편리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핵심은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한 냉각제 유도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은 상기 냉각제 유도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냉각제 유도관은 관체 및 냉각제가 관체를 유입 혹은 유출되도록 하는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는 냉각제의 유량에 대하여 분배하는 작용을 하고, 또한 상기 통로는 관체의 관벽을 관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에 의하면,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가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금속평판 판재를 사용한다. 판재의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대어 관체를 형성하는데, 맞대는 방식에는 용접, 압착, 리베팅(riveting), 슬립 결합 등 여러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측변은 띠형 판재의 표면에 따라 내측으로 혹은 외측으로 접합할 수 있고 또한 겹치기 이음(lap joint)할 수도 있다. 물론, 측변을 맞대는 방식은 상기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판재의 측변을 연결하여 관체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유도관의 관체를 형성할 경우, 제작 공예가 더욱 자유로워 여러가지 단면 형상의 관체를 형성할 수 있고 실제 필요되는 형상에 따라 맞대는 방식을 통해 관체를 형성할 수 있어 공예상에서 쉽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를 사용함으로 맞댐 공예를 더욱 쉽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띠형 판재의 형상 혹은 측변의 접촉면적을 적당히 조절하는 등 방식으로 관체의 단면 면적이 냉각제의 흐름방향에 따라 점차적으로 변화하도록 함으로써 2상 냉각제가 더욱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띠형 판재로 형성된 유도관은 유도관 내 2상 유체 냉각제의 흐름을 뒤섞을 수 있어 가스-액체 냉각제의 분층현상을 방지하고 냉각제의 더욱 균일한 분배를 실현한다.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유도관을 가공할 경우, 관체가 형성되기 전에 혹은 형성되는 과정에서 유도관의 냉각제 통로를 가공할 수 있어, 관체에 직접 통로를 가공하는 것을 회피하여 가공 공정이 더욱 간편해진다. 또한, 복잡한 단면 형상을 가진 유도관에 있어서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를 사용하여 각각 가공함으로써 가공 난이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특수 금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금형 비용을 절약하여 생산 원가를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로 하여금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도면 및 구체적 실시방식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도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의 제1 구체적 실시방식의 흐름도이다.
제1 구체적 실시방식 중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공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를 제공한다.
단계(S2): 적어도 한 장의 띠형 판재에 관통홀을 가공한다.
일반적으로 펀칭의 방식으로 관통홀을 가공하지만, 기타 가공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관통홀의 수량은 실제 수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유도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관통홀 위치에 냉각제 흐름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 배플판(guide baffle plate)을 가공할 수 있으며, 이는 펀칭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배플판의 구체적인 형상은 가공 공정의 용이성, 띠형 판재의 재질, 띠형 판재의 크기 및 유도 효과 등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단계(S3): 각 띠형 판재의 측변을 맞붙인다.
단계(S4): 각 띠형 판재의 맞붙임 부분에 대하여 고정처리를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관체를 형성한다. 이때, 띠형 판재 상의 관통홀은 관체의 내부와 관통되어 냉각제가 관체를 유입 혹은 유출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띠형 판재 상에서 관통홀을 직접 가공하는 공예는 비교적 간단하여 여러가지 가공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여러가지 관통홀 형상을 가공함으로써 유체의 유출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공예의 국한성으로 인해 관통홀의 가장자리 부위에 버르, 부스러기 등 이물질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이 형성된 후, 측변을 맞붙이기 전에 띠형 판재에 대하여 버르 및 부스러기 등 이물질 제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의 버르, 부스러기 등 이물질은 띠형 판재의 표면에 위치하므로 쉽게 처리될 수 있다. 처리를 마친 후 띠형 판재의 측변을 맞붙여 관체를 형성함으로써 버르와 부스러기 등으로 인해 관통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띠형 판재 상에서 관통홀을 가공하기 비교적 쉽고, 관통홀의 사이즈 및 형상에 대한 제어도를 높일 수 있다.
단계(S2) 중, 각 띠형 판재에 대하여 관통홀을 가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체를 형성한 후 각 띠형 판재는 관체의 각 부분 관벽을 형성하여, 관체의 관벽 상에서 관체 둘레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분포된다.
예를 들어, 4장의 띠형 판재를 사용해 각 띠형 판재에 모두 관통홀을 가공한 후 서로 맞붙여 사각체 관체를 형성할수 있다. 이때, 사각체 관체의 4개 측벽에 모두 관통홀이 구비된다. 물론, 관통홀의 구체적인 위치 및 수량은 실제 수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관체 상의 관통홀이 둘레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것은 유도관의 냉각제 유량 분배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맞댐 측변에 관통홀을 가공할 수 있는데, 맞붙일 때 맞붙게 되는 두 개의 맞댐 측변을 표면에 따라 접근시킨 후, 두 개의 맞댐 측변의 가장자리를 밀봉 고정시킨다. 이는 하나의 맞댐 측변을 굴곡해 다른 하나의 맞댐 측변과의 밀봉 고정을 실현할 수도 있다. 즉, 관체에 챔버를 가지는 옆모서리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옆모서리의 상측 및/혹은 하측에 관통홀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필요에 따라 관통홀의 개구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제의 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도3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의 제2 구체적 실시방식의 흐름도이다.
제2 구체적 실시방식 중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공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21):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를 제공한다.
단계(S22): 띠형 판재의 적어도 하나의 맞댐 측변에 맞댐 측변의 두께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을 가공한다.
펀칭을 통해 오목홈을 형성할 수 있고, 오목홈의 단면 형상은 호형, 사각형 등 일 수 있고 또는 깊이가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오목홈을 가공할 수 있다.
단계(S23): 각 띠형 판재의 맞댐 측변을 띠형 판재의 표면에 따라 접합시킨다.
측변 접합 시, 오목홈이 가공되어 있는 맞댐 측변과 다른 하나의 맞댐 측변을 띠형 판재의 표면에 따라 접합시키고, 오목홈의 개구는 이와 접합되는 다른 하나의 맞댐 측변을 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오목홈과 다른 하나의 맞댐 측변은 관체 내부를 관통하는 채널을 형성하고, 냉각제가 열교환 파이프로 유동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깊이가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오목홈과 측변이 결합되어 형성한 채널은 냉각제의 흐름속도 및 흐름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S24): 각 띠형 판재의 접합부분에 대하여 고정처리를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관체를 형성한다. 이때, 띠형 판재 상의 관통홀은 관체의 내부와 관통됨으로써 냉각제가 관체를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단계(S22) 중, 접합되는 두 개의 맞댐 측변에 맞댐 측변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을 각각 가공해 두 개 맞댐 측변의 오목홈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단계(S23) 중, 두 개의 맞댐 측변을 띠형 판재의 표면에 따라 접합시키고 두 오목홈의 개구를 일치시켜 두 오목홈의 접합에 의해 관체 내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오목홈의 깊이 혹은 측변에 따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통로 개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2) 중, 오목홈을 가공할 경우, 동일한 측변의 오목홈 사이의 간격을 점차적으로 변화시켜,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관체 통로의 구멍 간격도 점차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런 유도관을 사용할 경우, 실제 사용요구에 따라 구멍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함으로써, 냉각제의 분배량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교환기 내부에 분배되는 냉각제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일보로, 단계(S22) 중, 오목홈을 가공하는 외에, 띠형 판재 상에 관통홀을 가공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관체 상에는 오목홈과 맞댐 측변으로 구성되는 냉각제 통로가 구비될 뿐만 아니라 관통홀로 구성되는 통로도 구비된다.
상기 실시방식은 띠형 판재의 맞댐 측변에 오목홈만 가공하면 되는 것으로, 측변이 접합되어 관체를 형성할 경우, 오목홈이 맞댐 측변과 즉시 냉각제가 유동하는 통로를 구성하므로, 가공 공정이 아주 간편하다. 또한, 맞댐 측변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 개구의 크기는 쉽게 제어할 수 있어 대량 제품에 대한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 외에, 통로는 두 개의 맞댐 측변이 띠형 판재의 표면을 따라 접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고정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의 면적이 비교적 크다. 따라서, 리베팅(riveting), 용접 혹은 기타 고정방식을 사용하더라도 고정 공정이 쉽게 진행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도4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의 제3 구체적 실시방식의 흐름도이다.
제3 구체적 실시방식 중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공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3):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를 제공한다.
단계(S32): 각 띠형 판재의 측변을 맞대되, 적어도 두 개의 맞댐 측변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단계를 거쳐 측면 틈이 구비되는 관체를 형성한다. 즉, 각 띠형 판재의 측변을 맞댈 경우, 적어도 두 개의 맞댐 측변이 완전히 접합되지 않고 두 개의 맞댐 측변 사이에 일정한 틈새를 남겨둠으로써, 당해 틈에 의해 냉각제가 유도관을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당해 실시방식에 의하면, 맞댐 측변 사이의 틈을 직접 이용하여 냉각제 흐름의 통로로 한다. 관체의 형성 과정이 바로 유도관의 형성 과정임으로 통로를 전문적으로 가공하거나 측변을 고정 및 맞대는 등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가공 공정이 더욱 간편해지도록 한다. 또한, 측변을 직접 맞대어 틈을 형성하는 방식은, 통로 개구에 대한 제어도 쉬워진다.
마찬가지로, 냉각제 분배의 균일성을 진일보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계(32) 중, 맞댐 측변 사이의 틈의 너비가 점차적으로 변화되게 함으로써, 냉각제 흐름방향에서 압력 변화에 따라 유통 통로의 단면이 점차적으로 변화되어 대응되는 냉각제의 유량도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로 설치방식을 사용할 경우, 냉각제의 유도관 유입 혹은 유출의 분배량에 대하여 조절할 수 있어, 냉각제의 분배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단계(32) 중, 적어도 두 개의 맞댐 측변의 표면(즉, 띠형 판재의 표면)이 서로 대향토록 틈을 형성하되, 두 개의 맞댐 측변이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할수 있다. 이럴 경우, 틈의 방향과 유도관의 메인 평면은 일정한 끼인 각을 이루는데, 당해 끼인 각의 범위는 0°~270°일 수 있고, 당해 끼인 각을 조절함으로써 냉매의 유출방향이 필요에 따라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도5a 내지 도5d를 참조하면, 도5a 내지 도5d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공방법에 사용되는 4가지 띠형 판재를 각각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상기 실시방식에 있어서, 띠형 판재의 표면에 냉각제의 흐름을 교란시키는 난류 돌기를 각각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a에 도시된 단일면에 톱니 형상을 구비하는 띠형 판재(1)는 난류 돌기가 톱니구조(12)이고, 도5b에 도시된 단일면에 사인파 형상을 구비하는 띠형 판재(1)는 난류 돌기가 파형 구조(13)이며, 도5c에 도시된 표면에 돌기를 구비하는 띠형 판재(1)는 반구형상, 사각체 형상 등과 같은 돌기(14)가 난류 돌기를 형성하고, 도5d에 도시된 이중면 파문(波紋) 형상을 구비하는 띠형 판재(1)는 난류 돌기가 파문형 구조(15)이다. 물론, 난류 돌기는 상기의 난류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냉각제의 유동을 교란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가능하다. 띠형 판재(1)의 측변을 맞댈 때, 난류 돌기를 구비하는 표면이 안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관체의 내벽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냉각제가 난류 돌기를 구비하는 통로를 경과하도록 한다.
상기 모든 실시방식에 있어서, 유도관의 내부 횡단면적과 통로의 총 면적의 비는 0.003~0.49 내로 제어할 수 있다. 당해 값이 상기 범위 내에 처할 경우 냉각제의 분배 효과가 비교적 좋다.
본 발명은 또한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을 제공하는데, 이는 관체 및 관체의 관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당해 통로는 냉각제가 관체를 유입 혹은 유출되도록 한다. 관체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가 길이방향으로의 측변의 맞댐을 통해 형성된 관체이다. 일반적으로 금속평판 판재를 사용하고, 용접, 압착, 리베팅(riveting), 슬립 결합 등 방식을 사용하여 맞대어 형성된다. 측변은 띠형 판재의 표면에 따라 내측으로 혹은 외측으로 접합할 수 있고 또한 겹치기 이음(lap joint)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관체는 외측 혹은 내측을 향해 돌출된 옆모서리 구조를 형성한다.
당해 유도관의 관체는 띠형 판재의 측변을 맞대어 형성되는 것으로, 관체가 형성되기 전에 혹은 형성되는 과정에서 유도관의 냉각제 통로를 가공할 수 있어, 관체에 직접 통로를 가공하는 것이 회피되어 가공 공정이 더욱 간편해진다.
도6을 참조하면, 도6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1 구체적 실시방식의 구조도이다.
관체(2)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1)가 길이방향으로의 측변 연결을 통해 형성하는 관체(2)일 수 있고, 관체(2) 상에 관통홀(11)을 구비할 수 있으며, 관통홀(11)은 관체(2) 상 연결 부분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고, 관통홀(11)에 의해 냉각제가 유도관을 유입 혹은 유출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당해 관체(2)의 관통홀(11)은 관체(2)가 성형되기 전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11)을 가공할 경우, 관통홀(11) 가장자리 위치에 형성되는 버르, 부스러기 등 이물질에 대하여, 관체(2)를 형성하기 전에 직접 띠형 판재(1)에 대하여 버르 및 부스러기 등 이물질 제거 공정을 실시할 수 있어 관체(2) 내부에 대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공정 상 처리가 더욱 용이하고, 또한 버르와 부스러기 등으로 인해 관통홀(1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도7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1 구체적 실시방식의 다른 구조도이다. 관체(2)의 관벽 상에 관체(2) 둘레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관통홀(11)을 구비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관체(2)의 상반 부분은 두 줄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하반 부분도 두 줄의 관통홀을 구비한다. 관통홀(11)은 관체(2)의 둘레방향을 따라 분포됨으로써 냉각제 흐름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도8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1 구체적 실시방식의 또 다른 구조도이다.
당해 관체(2)의 맞댐 측변의 표면(즉, 띠형 판재(1)의 표면)은 서로 대향되어 틈을 구비하고 또한 맞댐 측변에 관통홀(11)을 구비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2) 옆모서리의 상하측에 모두 두께방향의 관통홀(11)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는 필요에 따라 관통홀(11)의 방향을 조절하여 냉각제의 유출 흐름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도9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2 구체적 실시방식의 구조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2 구체적 실시방식의 또 다른 구조도이다.
관체(2)는 띠형 판재(1)의 측변이 띠형 판재(1)의 표면에 따라 접합하여 형성된 관체(2)일 수 있고, 관체(2)의 적어도 하나의 맞댐 측변은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16)을 구비하며, 오목홈(16)의 개구는 다른 하나의 맞댐 측변을 향하고, 오목홈(16)과 다른 하나의 맞댐 측변이 채널(21)을 형성하여 냉각제가 유동하는 통로로 사용한다. 즉, 관체(2) 상 맞댐 측변에 의해 형성된 옆모서리에 구멍형상의 통로를 구비한다. 도9에 도시된 관체(2)는 3장의 띠형 판재가 접합되어 형성된 것이고, 오목홈(16)의 단면 형상은 호형, 사각형 등 일 수 있으며, 대응하는 통로의 단면 형상도 호형 혹은 사각형이다. 오목홈(16)의 깊이와 길이는 형성되는 통로 단면적의 크기와 연관된다. 오목홈(16)의 깊이는 점차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형성되는 통로의 단면적도 점차적으로 변화될 수 있어, 이를 통해 냉각제의 흐름속도 및 흐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당해 실시방식 중에서 관체(2)도 관통홀(11)을 구비하는 띠형 판재(1)의 측변이 접합하여 형성되는 관체일 수 있고, 당해 관체(2)는 오목홈(16)과 맞댐 측변에 의해 형성되는 냉각제 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관통홀에 의해 형성되는 냉각제 통로를 구비한다.
진일보로, 관체(2)의 맞댐 측변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16)을 구비하고, 접합된 두 개의 맞댐 측변의 두 개의 오목홈(16)의 개구가 서로 대향되고, 두 개의 오목홈(16)이 공동으로 채널(21)을 형성하여 냉각제의 유동을 실현하는 통로의 작용을 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사각형 오목홈(16)에 의해 사각형 통로를 형성하고, 도10 중에서는 두 개의 호형 오목홈(16)에 의해 원형 통로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오목홈(16)의 깊이 혹은 측변에 따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통로 단면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관체(2)는 각 맞댐 측변의 접합 위치에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삼각체 모양의 관체(2)는 3장의 띠형 판재(1)에 의해 형성되었고, 그 중 3개의 옆모서리은 모두 채널(21)을 구비한다. 도10에 도시된 원통형 관체(2)는 2개의 띠형 판재(1)로 형성되었고, 접합하여 형성된 두 개의 옆모서리도 모두 채널(21)을 구비한다. 이럴 경우, 당해 구조의 관체(2)는 둘레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통로를 구비하여, 유도관의 냉각제 유량에 대한 분배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체(2) 상의 각 통로 사이의 간격은 일단에서부터 점차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관 왼쪽단 통로 사이의 간격은 비교적 크다. 당해 유도관을 사용할 경우, 실제 수요에 따라 냉각제 통로 간격의 밀도를 변화시켜, 냉각제의 질량 유속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적으로 저하되어 분배의 불균일성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냉각제의 유량에 대하여 조절함은 냉각제 분배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당해 실시방식 중에서, 유도관의 통로는 관체(2) 상의 맞댐 측변이 직접 접합되어 형성한 것으로서 공정이 간편하다. 또한, 통로가 맞댐 측변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어 이러한 통로 개구의 크기에 대하여 쉽게 제어할 수 있어 대량 제품에 대한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외에, 당해 통로를 가공할 경우, 고정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이 띠형 판재의 표면 부분으로서, 면적이 비교적 크다. 따라서, 리베팅(riveting), 용접 혹은 기타 고정방식을 사용하더라도 고정 공정이 쉽게 진행될 수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도1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3 구체적 실시방식의 구조도이다.
당해 실시방식 중에서, 관체(2)의 적어도 두 개의 맞댐 측변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가진 틈(22)을 구비한다. 즉, 관체(2) 상에 적어도 하나의 관체(2)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틈(22)이 존재한다. 도11은 2장의 띠형 판재가 맞대어 형성된 2개의 틈(22)을 표시한 것이다. 당해 틈(22)은 냉각제가 유입 혹은 유출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당해 실시방식 중의 유도관은 맞댐 측변 사이의 틈(22)을 직접 이용하여 냉각제 유동 통로로 구성해 통로를 전문 가공하거나 측변을 고정하는 등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가공 공정이 더욱 간편해지도록 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직접 맞대어 틈(22)을 형성하는 것은 통로 개구에 대한 제어도 쉬워진다.
도12를 참조하면, 도1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3 구체적 실시방식의 또 다른 구조도이다.
틈(22)을 형성하는 두 개의 맞댐 측변의 표면이 서로 대향토록 구성하되 2개의 맞댐 측변이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틈(22)의 조향과 유도관의 메인 평면은 일정한 끼인 각을 이루는데, 당해 끼인 각의 범위는 0°~270°일 수 있고, 각 틈(22) 사이의 각도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당해 끼인 각을 조절함으로써 냉매의 유출방향이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냉각제 분배의 균일성을 진일보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관체(2)상의 틈(22)의 너비가 점차적으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제 흐름방향에서의 압력 변화에 따라 유통 통로의 단면이 점차적으로 변화되도록 해, 대응되는 냉각제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어 냉각제 분배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도13a 내지 도13e를 참조하면, 도13a 내지 도13e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단면의 5가지 형상을 각각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 실시방식 중에서, 관체(2)는 원형,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및 “8”자형 등 여러가지 단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제3 구체적 실시방식에 대해서는, 관체(2)의 단면 형상이 개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관체(2)는 비교적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있어 여러가지 유형의 열교환기 및 부동한 작업환경에 적용될 수 있고, 공예상에서도 쉽게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설명해야 할 점은, 도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2)의 단면 형상이 “8”자형을 가지듯이 관체(2)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의 관강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8 및 도11에 도시된 관체(2)에 의하면, 관체(2)는 두 개의 관강을 구비한다. 맞대어 관형 구조를 형성한 후 길이방향에 따라 펀칭 용접하는 것에 의해 두 개의 관강을 형성할 수 있다. 관강 사이는 서로 연통될 수 있고 연통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각 관강 내의 냉각제는 각자 대응하는 통로로부터 유출되어, 냉각제의 유량이 더욱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도14를 참조하면, 도14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제4 구체적 실시방식의 구조도이다.
관체(2)의 단면적이 관체(2) 축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변화되도록 해 관체(2) 내의 2상 냉각제의 혼합이 더욱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체(2)의 내벽에는 관체(2) 내에서의 냉각제의 흐름을 교란시키는 난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류 돌기는 톱니 형상의 구조, 사인파 형상의 구조 혹은 물결 형상의 구조일 수 있고, 또는 관체(2) 내벽에 분포된 반구형상 혹은 사각체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이러한 유도관은 유도관 내의 2상 냉각제의 교란을 증대시킬 수 있어 가스-액체 냉각제의 분층현상이 방지된다.
도15a 내지 도15e를 참조하면, 도15a 내지 도15e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통로의 5가지 단면형상을 각각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1 구체적 실시방식에 있어서, 관체(2)의 맞대는 부분 이외의 관벽에는 관통홀(11)이 구비된다. 당해 관통홀(11)이 바로 냉각제가 유도관을 유입 혹은 유출하는 통로이다. 관통홀(11)은 관체(2)가 성형되기 전에 형성된다. 즉 띠형 판재(1)에 우선 관통홀(11)을 가공한다. 도15a 내지 도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2)의 관통홀(11)의 형상은 원형홀, X형홀, 경사홀, “八”자형형, 직선형홀 등 여러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당해 관체(2)의 가공 공예는 비교적 간단하여 여러가지 가공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각종 관통홀 형상을 가공함으로써 유체의 유출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16a 내지 도16c를 참조하면, 도16a 내지 도16c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냉각제 유도관의 통로의 3가지 구조를 각각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유도 효과를 진일보로 강화하기 위하여, 관체(2)의 관통홀(11) 위치에 냉각제의 흐름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 배플판(guide baffle plate)이 구비될 수 있다. 도16a 내지 도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배플판은 밑부가 관통홀(11)의 일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절곡편(111)일 수 있다. 유출 혹은 유입되는 냉각제의 흐름방향이 절곡편(111)의 제한을 받아, 관통홀(11)로부터 각 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당해 절곡편(111)의 상단은 겹치기 이음에 의해 상기 일부 가장자리와 대향하는 관통홀(11)의 가장자리 위치에 연결되어 호형 덮개판(112) 혹은 원호형 덮판(11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통홀(11)로부터 유출되는 냉각제가 호형 덮판(112) 혹은 원호형 덮개판(113)의 상하방향만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여 냉각제의 흐름방향 및 흐름속도가 제어되도록 한다. 가이드 배플판은 관체(2)의 내벽 혹은 외벽에 위치될 수 있으나 어느 쪽에 위치되든 그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관통홀(11)은 관체(2)의 관벽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관통홀(11) 일 수 있으나, 당해 관통홀(11)도 냉각제의 흐름속도가 제어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모든 실시방식에 있어서, 유도관의 내부 횡단면적과 통로의 총 면적의 비는 0.003~0.49의 범위 내에 처할 수 있다. 당해 값이 상기 범위 내에 처할 경우 냉각제 분배 효과가 비교적 좋다.
본 발명은 또한 열교환 파이프, 헤더 파이프(header pipe) 및 상기 헤더 파이프 내에 삽입하는 냉각제 유도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냉각제 유도관은 상기 임의 한 항에서 서술한 유도관이다. 상기 냉각제 유도관이 상기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가지므로, 당해 냉각제 유도관을 구비하는 열교환기도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열교환기 및 그 냉각제 유도관 그리고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시방식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상기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방법 및 그 핵심적인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본 발명에 대하여 일부 개선 및 수정을 진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개선 및 수정도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지적하는 바이다.

Claims (15)

  1. 관체(2) 및 상기 관체(2)의 관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체(2)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1)에 의해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대어 형성되고,
    상기 관체(2)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1)에 의해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접합해 형성되고, 접합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맞댐 측변에 상기 맞댐 측변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16)을 가공하고, 접합시 상기 오목홈(16)을 구비하는 맞댐 측변과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을 상기 띠형 판재(1)의 표면에 따라 접합하되, 상기 오목홈(16)의 개구가 이와 접합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을 향하도록 해, 상기 오목홈(16)과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에 의해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2)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1)에 의해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붙여 형성되되, 맞붙이기 전에 적어도 한 장의 상기 띠형 판재(1)에 관통홀(11)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맞댐 측변 위치에 가공해 두고, 맞붙일 때 두 개의 상기 맞댐 측변을 표면에 따라 접근시켜 두 개의 상기 맞댐 측변의 가장자리를 밀봉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맞대는 측변 사이에 틈(22)을 남겨두어, 상기 틈(22)에 의해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맞댐 측변의 표면을 대향시켜 상기 틈(22)을 형성하되, 두 개의 상기 맞댐 측변은 동일한 방향을 따라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
  7. 관체(2) 및 상기 관체(2)의 관벽을 관통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에 있어서,
    상기 관체(2)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1)에 의해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대어 형성된 관체(2)이고,
    상기 관체(2)는 상기 띠형 판재(1)의 맞댐 측변과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이 상기 띠형 판재(1)의 표면을 따라 접합되어 형성되는 관체(2)이고, 상기 관체(2)의 적어도 하나의 맞댐 측변은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16)이 구비되고, 상기 오목홈(16)의 개구가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을 향하도록 해, 상기 오목홈(16)과 다른 하나의 상기 맞댐 측변에 의해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2)는 한 장 이상의 띠형 판재(1)에 의해 그 길이방향의 측변을 맞붙이는 것에 의해 형성된 관체(2)이고, 상기 관체(2)에는 관통홀(11)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11)은 관체(2)의 맞붙이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홀(11)에 의해 상기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2)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상기 관통홀(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2)의 맞댐 측변의 표면은 서로 대향되어 틈새를 구비하고, 상기 맞댐 측변에 상기 관통홀(1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2)의 적어도 두 개의 맞댐 측변 사이에는 틈(22)이 구비되고, 상기 틈(22)에 의해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틈(22)을 형성하는 두 개의 상기 맞댐 측변의 표면은 서로 대향되되, 두 개의 상기 맞댐 측변은 동일한 방향을 따라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2)는 적어도 두 개의 관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냉각제 유도관.
  15. 열교환 파이프, 헤더 파이프 및 상기 헤더 파이프 내에 삽입되는 냉각제 유도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 유도관은 제7항에 기재된 유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37017423A 2010-12-08 2011-04-19 열교환기, 냉각제 유도관 및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 KR101511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578458.7 2010-12-08
CN2010105784587A CN102079038B (zh) 2010-12-08 2010-12-08 一种换热器及其制冷剂导流管,以及制冷剂导流管的加工方法
PCT/CN2011/072993 WO2012075766A1 (zh) 2010-12-08 2011-04-19 换热器、制冷剂导流管以及制冷剂导流管的加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629A KR20130102629A (ko) 2013-09-17
KR101511885B1 true KR101511885B1 (ko) 2015-04-13

Family

ID=4408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423A KR101511885B1 (ko) 2010-12-08 2011-04-19 열교환기, 냉각제 유도관 및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85521B2 (ko)
EP (1) EP2650078B1 (ko)
JP (1) JP5809706B2 (ko)
KR (1) KR101511885B1 (ko)
CN (1) CN102079038B (ko)
WO (1) WO2012075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8143A (zh) * 2012-12-19 2013-04-24 江苏安德信超导加速器科技有限公司 连续波射频四级加速器水冷系统及其制造方法
CN104422313B (zh) * 2013-09-10 2017-02-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壳管换热器及具有其的空调机
US10072900B2 (en) * 2014-09-16 2018-09-11 Mahle International Gmbh Heat exchanger distributor with intersecting streams
CN109539852A (zh) * 2017-09-22 2019-03-29 浙江盾安机械有限公司 一种微通道换热器的扁管以及微通道换热器
FR3079291B1 (fr) * 2018-03-22 2020-07-10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Echangeur de chaleur avec dispositif melangeur liquide-gaz ameliore
CN110940220B (zh) * 2018-09-25 2022-03-01 丹佛斯有限公司 用于换热器的分配管组件和具有该分配管组件的集流管组件和换热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820A (ko) * 1999-01-27 2000-08-16 구자홍 플레이트 핀형 열교환기
KR100467339B1 (ko) * 2002-10-30 2005-01-24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열교환기용 튜브 제조방법
KR100988217B1 (ko) * 2009-07-22 2010-10-18 주식회사 엘에치이 판형 열교환기용 인라인 필터 및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4083A (en) * 1927-06-02 1928-09-11 Samuel C Bloom Refrigerating coil
JPS6314091A (ja) * 1986-06-30 1988-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伝熱管
JPH0284250A (ja) 1988-07-14 1990-03-26 Showa Alum Corp ろう付用パイプの製造方法
JP2824308B2 (ja) * 1989-10-20 1998-11-11 サンデン株式会社 ヘッダーパイプの製造方法並びにヘッダーパイプとチューブの接続方法及びヘッダーパイプとチューブの接続構造
JPH04288461A (ja) * 1991-03-14 1992-10-1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媒分流器の製造方法
US5172476A (en) * 1991-08-14 1992-12-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tubing
JPH09166368A (ja) * 1995-12-14 1997-06-24 Sanden Corp 熱交換器
JP3879032B2 (ja) 1997-03-27 2007-02-0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
KR100785229B1 (ko) * 2003-06-23 2007-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형 내지 타원형의 내부 유로를 갖는 난방패널
CN2679473Y (zh) * 2004-01-29 2005-02-16 鑫磊工贸有限公司 一种空气压缩机的储气罐
JP4516967B2 (ja) * 2004-09-08 2010-08-0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熱交換器のヘッダタンク
JP2007078325A (ja) 2005-09-16 2007-03-29 Hitachi Densen Mekutekku Kk 熱交換用多穴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4974327B2 (ja) * 2005-12-15 2012-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器
US7946036B2 (en) 2006-09-28 2011-05-24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manifold for a heat exchanger
US20080223565A1 (en) * 2007-03-13 2008-09-18 Kaori Heat Treatment Co., Ltd. Flow distributor for heat transfer device
JP2008224151A (ja) * 2007-03-14 2008-09-25 Sanden Corp 熱交換器
CN101788213B (zh) * 2009-01-22 2011-09-28 三花丹佛斯(杭州)微通道换热器有限公司 换热器
CN101788243B (zh) * 2009-04-03 2011-09-28 三花丹佛斯(杭州)微通道换热器有限公司 用于热交换器的制冷剂分配器和热交换器
US20100300667A1 (en) 2009-06-01 2010-12-02 Delphi Technologies, Inc. Distributor tube and end cap subassembly
CN101691981B (zh) * 2009-07-23 2011-12-07 三花丹佛斯(杭州)微通道换热器有限公司 具有改进的制冷剂流体分配均匀性的多通道换热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820A (ko) * 1999-01-27 2000-08-16 구자홍 플레이트 핀형 열교환기
KR100467339B1 (ko) * 2002-10-30 2005-01-24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열교환기용 튜브 제조방법
KR100988217B1 (ko) * 2009-07-22 2010-10-18 주식회사 엘에치이 판형 열교환기용 인라인 필터 및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0078A1 (en) 2013-10-16
EP2650078A4 (en) 2017-09-27
US9885521B2 (en) 2018-02-06
CN102079038A (zh) 2011-06-01
JP2014504211A (ja) 2014-02-20
EP2650078B1 (en) 2020-06-17
KR20130102629A (ko) 2013-09-17
JP5809706B2 (ja) 2015-11-11
WO2012075766A1 (zh) 2012-06-14
CN102079038B (zh) 2013-02-13
US20130248158A1 (en)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885B1 (ko) 열교환기, 냉각제 유도관 및 냉각제 유도관의 가공방법
CN108603732B (zh) 板式热交换器及具备板式热交换器的热泵式制热供热水系统
EP2410278B1 (en) Plate-type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ng air-conditioning device
JP2010190561A (ja) 熱交換器、熱交換器ヘッダおよびその形成方法
EP3882556B1 (en) Plate-type heat exchanger, heat pump device, and heat-pump-type cooling/heating hot-water supply system
US11035627B2 (en) Distributor and heat exchanger
EP2998681B1 (en) Stacked heade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device
US20200284520A1 (en) Double Tube for Heat Exchange
AU2014410872A1 (en) Laminated header,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15027783A1 (zh) 微通道换热器及其制造方法
JP2006003070A (ja) 冷凍サイクルの冷媒流通部接続構造
JP2007093199A (ja) 熱交換器コアおよびかかる熱交換器コアを備えた熱交換器
JP2001141379A (ja) 複式熱交換器
JP2003185376A (ja) 冷却液/空気熱交換器コアアセンブリ
JP2007178048A (ja) 熱交換器用ヘッダタンク
JP6207724B2 (ja) ヘッダ分配器、熱交換器、空気調和装置、及び、ヘッダ分配器の製造方法
JPH0593591A (ja) 積層型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20200027773A (ko) 판형 열교환기
JP2004205057A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JPH0443296A (ja) 積層型熱交換器
KR20040001391A (ko) 열교환기용 헤더 파이프의 유체 가이드 구조
JP2007139413A (ja) 熱交換器
JP2009008314A (ja) 熱交換用プレート及び熱交換ユニット
JP2004003863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