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846B1 -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846B1
KR101511846B1 KR20130103012A KR20130103012A KR101511846B1 KR 101511846 B1 KR101511846 B1 KR 101511846B1 KR 20130103012 A KR20130103012 A KR 20130103012A KR 20130103012 A KR20130103012 A KR 20130103012A KR 101511846 B1 KR101511846 B1 KR 101511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ection point
vehicle
eco mode
map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878A (ko
Inventor
전병필
여종윤
송창규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8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 또는 경로 안내 서버에 저장된 고정밀 지도를 활용하여 차량의 경로 전방에 위치한 변곡점을 확인하고, 확인된 변곡점의 변곡정보와 차량 주행모드 및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변곡점 이전에 차량의 변속비를 미리 변경함에 있어서, 차량이 에코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에 따라 에코 모드를 해제한 후 변속을 수행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으로 변곡점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는 내비게이션 또는 경로 안내 서버부터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로 모델링을 수행하여 변곡점에 대응하는 변곡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변곡점 추출부와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를 저장하는 운전성향 저장부 및 상기 변곡점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변곡점에서의 상기 차량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변속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변속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ECU가 에코 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에코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운전성향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에 따라 상기 에코 모드를 해제한 후 상기 차량 변속을 수행하는 것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Description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A transmission ratio control device at the inflection section using ecu control and its method of operation}
본 발명은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 또는 경로 안내 서버에 저장된 고정밀 지도를 활용하여 차량의 경로 전방에 위치한 변곡점을 확인하고, 확인된 변곡점의 변곡정보와 차량 주행모드 및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변곡점 이전에 차량의 변속비를 미리 변경함에 있어서, 차량이 에코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에 따라 에코 모드를 해제한 후 변속을 수행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으로 변곡점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등과 같은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상에 표시하여 준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현재 선박, 항공기, 차량 등과 같은 각종의 이동체들에 탑재되어 이동체의 현재 위치와 이동 속도를 확인하거나 이동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로 안내의 도움을 받아 익숙하지 않은 경로에서도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운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비게이션은 경로 탐색에 따른 경로 안내만을 수행할 뿐이며, 이에 대응하여 전방의 도로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음성안내를 수행하고 있다. 즉, 전방에 급커브 구간 등의 위험요소에 대한 안내는 수행되고 있으나, 전방에 오르막 경사로, 내리막 경사로, 급회전구간 등에 대한 변곡점 안내를 수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운전자는 경로 전방에 위치한 변곡점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운행하게 되며, 이러한 결과에 따라 해당 변곡점에서 속도 감속 또는 가속, 변속비 조절 등을 적절하게 조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차량의 종류 및 승차인원(또는 화물)의 탑승(또는 적재) 상태에 따라 각각의 변곡점에서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이 상이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에서는 단순한 변속비 등의 안내만을 수행하는 문제점도 있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27443호의 '에코 드라이빙 유도 장치'에서는 도로의 구배를 근거로 하여 가속페달의 조작을 안내하기 위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후,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해당 구배를 근거로 기어 변속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로의 구배에 따라 가속 또는 감속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오르막 경사 또는 내리막 경사에 진입하기 이전에 기어 변속 안내를 수행함으로써 에코 드라이빙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초보운전자의 경우에는 변속해야 하는 기어단수 또는 감속 또는 가속해야하는 속도를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차량에 추가된 기능인 에코(eco)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에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변속 및 가속이 제어됨에 따라 변곡점 전방에서 가속 또는 변속을 수행하는 동작이 운전자에 의해 제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오르막 경사를 진입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차량 속도를 가속함으로써, 진행되는 탄력을 이용하여 오르막 경사를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으나, 차량이 에코(eco) 모드로 주행되는 경우에는 가속 및 변속 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산악 지형이 많은 국내 도로 현황에 따라 오르막 또는 내리막 경사가 빈번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에코 모드의 주행과 운전자의 운전성향이 서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변곡점 위치에서 변속비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또는 통신형 내비게이션에서는 경로 제공 서버를 통해 지도 데이터를 수신한 후,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곡률, 구배 또는 고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도로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추출되는 변곡점에서의 기어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된 변곡점에 따라 판단된 변속비를 제어함에 있어서, 차량이 에코(eco)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ECU의 에코 모드를 해제한 후, 해당 변속비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고, 변곡점 주행이 완료된 경우에는 ECU의 에코 모드를 다시 설정함으로써 차량이 변곡점을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된 변곡점에 따라 판단된 변속비를 제어함에 있어서,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변속비에 따라 변곡점 이전에 기어 변속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반영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ECU 제어를 이용하여 차량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변속비 제어장치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또는 경로 안내 서버부터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로 모델링을 수행하여 변곡점에 대응하는 변곡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변곡점 추출부와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를 저장하는 운전성향 저장부 및 상기 변곡점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변곡점에서의 상기 차량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변속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변속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ECU가 에코 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에코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운전성향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에 따라 상기 에코 모드를 해제한 후 상기 차량 변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ECU 제어를 이용하여 차량 변속을 제어하기 위한 변속비 제어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또는 경로 안내 서버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도 데이터의 도로 모델링을 이용하여 변곡점을 추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ECU에서 주행모드의 상태가 에코모드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에코모드인 경우에는 저장된 운전성향 정보에 대응하여 에코모드를 해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변속비에 따라 차량의 변속을 제어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변속점을 통과한 이후, 상기 제3 단계에서 해제된 상기 에코모드를 설정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의 변속 제어 결과를 상기 내비게이션으로 전송하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지는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의 운영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도정보를 활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은 내비게이션 또는 통신형 내비게이션에서는 경로 제공 서버를 통해 지도 데이터를 수신한 후,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곡률, 구배 또는 고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도로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추출되는 변곡점에서의 기어 변속을 수행함으로써 변화되는 도로 상황에 따라 차량이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된 변곡점에 따라 판단된 변속비를 제어함에 있어서, 차량이 에코(eco)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ECU의 에코 모드를 해제한 후, 해당 변속비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고, 변곡점 주행이 완료된 경우에는 ECU의 에코 모드를 다시 설정함으로써 차량이 변곡점을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된 변곡점에 따라 판단된 변속비를 제어함에 있어서,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변속비에 따라 변곡점 이전에 기어 변속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반영하는 변속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환경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장치 운영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장치에서 사용되는 변곡점을 나타내기 위한 내비게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지도 데이터 등을 경로 안내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후, 경로 안내 서버(300)와의 연결 없이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도 2의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지도 데이터 등을 통신 연결된 경로 안내 서버(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면서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후자의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통신형 내비게이션(100)(이하, '통신형 내비게이션'이라 함)이라 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120)와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고 경로 안내 등을 수행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제어부(110)와 변속 제어장치(200)로 지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 송신부(130)와 변속 제어장치(200)에서 수행된 변속 제어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결과 수신부(140) 및 수신된 제어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비게이션 제어부(110)는 일반적인 내비게이션을 제어하며, 경로 탐색 및 경로 안내 등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지도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중에서 현재 주행 중인 지도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지도 데이터를 변속 제어장치(200)의 지도 데이터 수신부(220)로 전송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제어부(110)는 변속 제어장치(200)에서 차량의 기어를 변속한 제어 결과를 변속 제어장치(200)의 제어 결과 송신부(250)를 통해 제어 결과 수신부(140)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전송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통신형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차량의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 서버(300)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310)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차량에 전송된 지도 데이터 중에서 경로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 지도 데이터를 추출하여 지도 데이터 송신부(320)를 통해 변속 제어장치(200)의 지도 데이터 수신부(2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변속 제어장치(200)에서 차량의 기어를 변속한 제어 결과는 변속 제어장치(200)의 제어 결과 송신부(250)를 통해 통신형 내비게이션 장치(100)의 제어 결과 수신부(140)로 전송되며, 통신형 내비게이션 장치(100)의 내비게이션 제어부(110)는 수신된 제어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전송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데이터를 내비게이션 장치 내에 저장한 일반 내비게이션 장치와 경로 안내 서버(300)에 저장된 통신형 내비게이션 장치로 분류될 수 있으며, 구비된 각각의 내비게이션 장치(100)의 형태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가 상이할 수 있다.
변속 제어장치(200)는 내비게이션 장치(100) 또는 통신형 내비게이션 장치(100)의 경우에는 경로 안내 서버(300)에 각각 구비된 지도 데이터 송신부(130, 320)로부터 차량의 경로 상에 대응하는 부분 지도 데이터(또는 전체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지도 데이터 수신부(220)와 수신된 지도 데이터에서 변곡점을 추출하기 위한 변곡점 추출부(230)와 변곡점에 대응하여 차량의 변속비를 제어하기 위한 변속 제어부(210)와 변속 제어부(210)에서 차량의 변속비를 제어한 제어 결과를 내비게이션 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결과 송신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변속 제어장치(200)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운전성향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지도 데이터 수신부(220)는 내비게이션 장치(100)의 지도 데이터 송신부(130) 또는 경로 안내 서버(300)의 지도 데이터 송신부(320)를 통해 차량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지도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지도 데이터는 차량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전체 지도 데이터일 수 있으며,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소정 반경에 해당하는 부분 지도 데이터일 수도 있다. 따라서, 지도 데이터 수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변곡점 추출부(230)로 전송한다.
변곡점 추출부(230)는 지도 데이터 수신부(220)로부터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곡점을 추출한다. 즉, 변곡점 추출부(230)는 지도 데이터의 도로 모델링을 통해 각각 도로의 곡률, 구배 또는 고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로속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도로속성을 통해 변곡점을 추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변곡점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추출된 변곡점에 해당하는 변곡점 정보에는 해당 변곡점의 위치, 도로 선형의 회전각, 회전반경, 오르막 또는 내리막 경사의 각도, 도로의 폭(차선 개수), 제한속도, 차선별 경사각, 변곡점의 길이(오르막 또는 내리막의 길이)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변곡점 중에서 회전 구간은 차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진입하는 경우, 차량이 진행 및 회전하는 원심력에 의해 차량이 외측으로 미끄러지거나 전복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직진 도로 통과 속도보다 더 낮은 속도로 통과해야 안전하다.
또한, 차량은 오르막 경사에서는 출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미리 속력을 올려서 탄력적으로 오르막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하며, 내리막 경사에서는 차량의 무게로 인해 가속도가 발생하게 되므로 충분한 감속이 이루어진 후에 내리막 경사를 내려오도록 해야 한다.
더욱이 곡선 도로에서는 차량 무게로 인한 차량 쏠림이 발생하여 차량 전복 또는 적재 화물 낙하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충분한 감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변속 제어부(210)는 변곡점 추출부(230)의 변곡점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변곡점에 대한 기어 변속비 제어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변속비 제어값을 이용하여 기어변속을 수행한다.
즉, 변곡점 정보에는 해당 변곡점에 해당하는 위치, 도로 선형의 회전각, 회전반경, 오르막 또는 내리막 경사의 각도, 도로의 폭(차선 개수), 제한속도, 차선별 경사각, 변곡점의 길이(오르막 또는 내리막의 길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변속 제어부(210)는 변곡점의 회전, 오르막 경사, 내리막 경사 등의 조건에 따라 기어 변속비를 판단하여 변속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경로 전방에 시속 100㎞의 제한속도로 설정된 회전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회전 구간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반경에 따라 차량의 쏠림이나 차량 전복이 발생할 확률이 있으므로 관련된 변곡점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속도로 감속할 수 있는 변속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고속 주행을 위해 차량의 5단 기어로 주행하는 차량인 경우에는 30% 감속을 위해 차량의 기어를 4단 또는 3단으로 제어하여, 차량의 감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속비는 변곡점 정보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눈 또는 비에 의한 도로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기상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변속비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변속 제어부(210)는 차량에 구비된 ECU와 연결되어, 현재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 차량 제어기술에 따르면 차량의 ECU는 주행 스타일에 따라 일반모드, 에코모드, 스포츠모드 등으로 분류되며, 노면 상태에 따라 비 또는 눈길운행모드, 비포장운행모드, 모래운행모드 등으로 분류되어 기어변속 및 서스펜션 등을 각각 별도로 제어하여 최적의 운행환경을 조성하도록 되어 있다.
만약, 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에코(eco)모드인 경우에는 ECU는 차량 운전자가 급가속을 위해 악셀레이터를 밟는다 하여도 차량의 급가속 등을 제한하여 경제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변속 제어부(210)는 변곡점에 따라 기어 변속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ECU의 주행모드가 에코모드인 경우에는 변속 제어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변속 제어부(210)가 변곡점에 따라 기어 변속을 수행함에 있어서, ECU에 연결되어 차량의 현재 주행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변속 제어부(210)는 ECU에 설정된 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에코모드인 경우에는 운전성향 저장부(240)에 저장된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운전성향 정보에 대응하여 에코모드의 해제 또는 에코모드의 유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운전성향 저장부(240)에 저장된 운전성향 정보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 스타일에 관한 정보로서, 각각의 변곡점을 통과하는 운전습관을 저장하고 있다.
즉, 오르막 경사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오르막 경사 이전에 차량 속도를 가속하여 가속된 탄력으로 변곡점을 통과하는지, 오르막 경사 이전의 차량 속도의 변화없이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는지, 오르막 경사 이전의 차량 속도로 진입하여 경사도에 따라 감속되는 상태로 주행하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이러한 운전성향 정보는 특정 기간동안 누적된 운전성향을 저장할 수 있으며, 특정 시점부터 현재 주행하는 운전성향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 중 오르막 경사인 변곡점에서의 운전성향이 변속을 수행하여 가속 후 변곡점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변속 제어부(210)는 판단된 변속비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고 변곡점을 통과할 수 있으나, 오르막 경사인 변곡점에서 변속을 수행하지 않고 변곡점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변속 제어부(210)는 판단된 변속비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지 않고 변곡점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운전성향 저장부(240)에 저장된 운전성향 정보는 각각의 변곡점에 대한 운전성향을 저장할 수 있으며, 변곡점 종류인 회전 구간, 경사 구간, 위험 구간 등에 따라 운전성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회전 구간은 도로의 선형이 회전 선형에 대응되며, 경사 구간은 도로의 구배가 오르막 또는 내리막인 경사에 대응되며, 위험 구간은 톨게이트, 공사, 어린이 보호구역 등의 감속 구간에 대응한다.
따라서, 변속 제어부(210)는 추출된 운전성향 정보에 따라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이 에코모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코모드를 해제한 후 변곡점에 따른 기어 변속을 수행한다.
한편, 기어 변속에 따라 차량이 변곡점을 통과한 후에는 다시 ECU의 해제된 에코모드를 설정하도록 한다.
제어 결과 송신부(250)는 변속 제어부(210)에서 수행된 변속 제어 결과에 따른 제어 결과를 내비게이션 장치(100)의 제어 결과 수신부(14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장치 운영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제어장치(200)는 내비게이션 장치(100) 또는 경로 안내 서버(300)로부터 차량의 경로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수신한다(S110). 수신되는 지도 데이터는 경로 전체에 대한 지도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일부 구간에 대한 지도 데이터일 수 있다.
이후, 변속 제어장치(200)는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로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도로의 곡률, 구배 또는 고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로속성에서 변곡점을 추출하고, 대응하는 변곡점 정보를 생성한다(S120).
변속 제어장치(200)는 지도 데이터에서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S130), 변곡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변곡점에 대응하는 변속비를 추출하고(S140), ECU에 접근하여 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에코모드인지를 확인한다(S150).
만약, S150 단계에서 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에코모드인 경우에는 운전성향 저장부(240)에 저장된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에 따라 에코모드를 해제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S160).
S160 단계에서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에 따라 에코모드가 해제된 경우에는 판단된 변속비를 이용하여 변속제어를 수행하며(S170), S160 단계에서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에 따라 에코모드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변속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된다.
한편, S150 단계에서 차량의 현재 주행모드가 에코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S170 단계로 이동하여 변속비에 따른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차량이 변곡점을 통과하면 변속 제어부(210)는 ECU의 해제된 에코모드를 다시 설정하고(S180), 차량 변속이 수행 또는 수행되기 이전에 변속비 제어 결과를 내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S19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장치에서 사용되는 변곡점을 나타내기 위한 내비게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곡점은 경로 상에 존재하는 회전 구간(a, b), 속도 감속구간(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회전 구간(a)의 경우에는 교차로(TBT, Turn-by-turn) 구간에서 방향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 직진하던 속도대로 회전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변속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회전 구간(a)의 경우에는 회전 구간의 반경, 회전 각도 등의 정보에 따라 다양한 속도가 매칭될 수 있다.
한편, 회전 구간(b)의 경우에는 고속도로의 진출입 구간으로써, 회전 구간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반경 등의 개수를 미리 파악하여 연속적인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1차 회전 구간에서 감속된 변속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속도 감속구간(c)의 경우에는 고속도로 톨게이트 구간으로써, 하이패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속도로 감속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변속비로 변속이 수행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오르막 경사, 내리막 경사, 다양한 회전 구간 등에서도 변속 제어를 수행하여 차량이 용이하게 변곡점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내비게이션 장치 110 : 내비게이션 제어부
120, 310 : 지도 데이터 저장부 130, 320 : 지도 데이터 송신부
140 : 제어 결과 수신부 150 : 디스플레이부
200 : 변속 제어장치 210 : 변속 제어부
220 : 지도 데이터 수신부 230 : 변곡점 추출부
240 : 운전성향 저장부 250 : 제어 결과 송신부
300 : 경로 안내 서버

Claims (10)

  1. ECU 제어를 이용하여 차량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변속비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GPS부;
    내비게이션 또는 경로 안내 서버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 수신부;
    상기 내비게이션 또는 상기 경로 안내 서버부터 수신된 상기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경로열에 포함된 도로의 곡률, 구배 또는 고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로속성을 추출하는 도로 모델링을 수행하여 변곡점에 대응하는 변곡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변곡점 추출부;
    상기 차량 운전자가 이전 경로 안내에서 상기 변곡점을 통과한 누적 운전성향 또는 상기 변곡점이 회전 구간, 경사 구간, 위험 구간 중 어느 하나의 변곡점과 매칭되는 경우, 매칭되는 변곡점을 통과하는 누적 운전성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성향 정보를 저장하는 운전성향 저장부;
    상기 변곡점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변곡점에서의 상기 차량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변속 제어부; 및
    상기 차량 변속에 따른 제어 결과를 내비게이션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결과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변속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ECU가 에코 모드인지 판단하고, 상기 에코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운전성향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차량 운전자의 누적되어진 운전성향 정보에 따라 상기 에코 모드를 해제한 후 상기 GPS부에서 측정한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변곡점 이전에 상기 차량 변속을 수행하고, 상기 변곡점을 통과한 이후에는 해제된 상기 에코 모드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ECU 제어를 이용하여 차량 변속을 제어하기 위한 변속비 제어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또는 경로 안내 서버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도 데이터에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경로열에 포함된 도로의 곡률, 구배 또는 고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로속성을 추출하는 도로 모델링을 이용하여 변곡점을 추출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변곡점이 존재하는 경우, ECU에서 주행모드의 상태가 에코 모드인지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에코 모드인 경우에는 저장된 상기 차량 운전자가 이전 경로 안내에서 상기 변곡점을 통과한 누적 운전성향 또는 상기 변곡점이 회전 구간, 경사 구간, 위험 구간 중 어느 하나의 변곡점과 매칭되는 경우, 매칭되는 변곡점을 통과하는 누적 운전성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운전성향 정보에 대응하여 에코 모드를 해제하는 제3 단계;
    GPS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에 의하여 상기 변곡점 이전에 상기 변속비에 따라 차량의 변속을 제어하는 제4 단계;
    상기 변곡점을 통과한 이후, 상기 제3 단계에서 해제된 상기 에코 모드를 재설정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의 변속 제어 결과를 상기 내비게이션으로 전송하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지는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의 운영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130103012A 2013-08-29 2013-08-29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1511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012A KR101511846B1 (ko) 2013-08-29 2013-08-29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012A KR101511846B1 (ko) 2013-08-29 2013-08-29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878A KR20150028878A (ko) 2015-03-17
KR101511846B1 true KR101511846B1 (ko) 2015-04-13

Family

ID=5302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3012A KR101511846B1 (ko) 2013-08-29 2013-08-29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3031B2 (en) 2016-07-19 2019-02-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driving modes using navigation and control
KR101850471B1 (ko) * 2018-01-29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스마트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79865B1 (ko) * 2018-01-29 2018-07-18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스마트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09054B1 (ko) * 2018-01-29 2018-10-17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스마트 전력 제어 방법
KR101850472B1 (ko) * 2018-01-29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스마트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567A (ja) * 1996-01-04 1997-07-15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2005098366A (ja) * 2003-09-24 2005-04-14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6126923A (ja) * 2004-10-26 2006-05-18 Honda Motor Co Ltd 車両の走行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567A (ja) * 1996-01-04 1997-07-15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2005098366A (ja) * 2003-09-24 2005-04-14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6126923A (ja) * 2004-10-26 2006-05-18 Honda Motor Co Ltd 車両の走行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878A (ko) 201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9471B2 (en) Driving support methods, apparatus, and programs
KR101511846B1 (ko) Ecu 제어를 이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
US8204665B2 (en) Vehicle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1624289B1 (en) Navigation system
KR101245101B1 (ko) 순항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4294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arameters of a model for the longitudinal guidance and for the determination of a longitudinal guide for a vehicle
US20100023232A1 (en) Vehicle travel speed control method
US20100042314A1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as well as a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and a corresponding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23519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with safe driving, computer program for assisting with safe driving, storage medium upon which the computer program is stored, and navigation device
CN105438181A (zh) 用于控制车辆的行驶模式的装置和方法
CN101923788A (zh) 驾驶支援装置及程序
CN108116413A (zh) 自动驾驶控制装置
JP2006292635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644373B2 (ja) 情報処理装置
JP6733172B2 (ja) 車両走行支援制御装置
JP2016012334A (ja) 運転評価システム及び運転評価方法
EP2068121B1 (en) Navigation system including route guidance function and method of providing route guidance to a user
KR20150028879A (ko) 지도정보를 활용한 변곡구간에서의 변속비 제어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2077436B1 (ko) 경로 안내 방법 및 경로 안내 장치
CN105539444A (zh) 用于显示车辆的驾驶模式的表示的方法和系统
JP2009069938A (ja) 運転支援システム、路上通信装置、および、車載機
JP2017117050A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42904A (ja) 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5207859A (ja) 最適給油案内システム
JP2019113324A (ja) 速度案内システムおよび速度案内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