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700B1 -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700B1
KR101511700B1 KR20150026700A KR20150026700A KR101511700B1 KR 101511700 B1 KR101511700 B1 KR 101511700B1 KR 20150026700 A KR20150026700 A KR 20150026700A KR 20150026700 A KR20150026700 A KR 20150026700A KR 101511700 B1 KR101511700 B1 KR 10151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topic dermatitis
composition
hot water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2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창
김정열
김병호
Original Assignee
홍성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창 filed Critical 홍성창
Priority to KR2015002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8Schizonep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꾸지뽕잎 추출물 및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 추출물은 밤, 구기자 및 가지 추출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꾸지뽕잎 추출물과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져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고,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을 억제하며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IMPROVING A ATOPY EPIDERMAL INFLAMM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꾸지뽕잎 추출물과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져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고,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을 억제하며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을 특징으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 재발성 피부염으로, 한의학에서는 내선, 태선(胎癬), 사만풍(四彎風), 침음창(浸淫瘡), 태렴창(胎斂瘡), 습렴창(濕斂瘡) 등의 범주에 해당하고, 현재 중국에서는 이위성 피부염(異位性 皮膚炎)으로 명명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다리의 펼쳐진 쪽 부분에 습진으로 시작되지만, 성장하면서 특징적으로 팔이 굽혀지는 부분과 무릎 뒤의 굽혀지는 부위에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많은 경우에 성장하면서 자연히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어른의 경우 접히는 부위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lichenification)가 나타나고, 유소아기에 비해 얼굴에 습진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아토피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병률이 인구의 20%라는 보고도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로, 임상 증상도 피부건조증,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원인이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될 수는 없지만,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의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산업화로 인한 매연 등 환경 공해, 식품첨가물 사용의 증가, 서구식 주거 형태로 인한 카펫, 침대, 소파의 사용 증가, 실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알레르겐)의 증가 등이 있다.
또한, 실내에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일이 많아지면서 원인 물질에 노출되는 것도 원인이 된다. 한편 아토피 피부염이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 점은 많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이 가족력이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으며, 심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및 피부 병변이 주요 증상이다.
피부건조는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악화시킨다. 낮 동안에는 간헐적으로 가렵다가 대개 초저녁이나 한밤중에 심해진다. 가려워서 긁게 되면 습진성 피부 병변(병리적 변화)이 생기고 이러한 병변이 진행되면서 다시 더 심한 가려움이 유발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피부 병변의 분포와 반응 양상은 환자의 연령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난다. 유아의 경우 병변이 주로 진물이나 딱지가 지는 급성 습진이 나타나며 주로 얼굴, 머리에 잘 생기고 몸통이 거칠고 건조하며, 팔다리의 바깥쪽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2세 이상 10세 이하의 소아기에는 얼굴보다는 오히려 팔다리의 접히는 부분, 목의 접히는 부위에 생기며 건조한 습진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동양인에게는 십대 이후에 잘 낫지 않는 심한 유두 부위 습진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나이가 들면서 호전되거나 없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호전된 후에도 특정 물질이나 자극에 의해 쉽게 가렵거나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성인기에 손 습진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성인기까지 아토피 피부염이 남는 경우에는 몸의 피부 증상은 호전되는 반면 얼굴에 홍반과 홍조 및 습진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접히는 부위는 오랫동안 긁어 피부가 두껍게 보이는 태선화 피부가 나타난다. 성인기라도 만성 습진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만성 습진 위에 진물과 딱지가 앉는 급성 병변이 얼마 동안의 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일어난다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건조한 피부의 보습, 피부염 치료를 위한 부신피질호르몬제, 면역조절제, 국소 면역조절제와 가려움증을 치료하기 위한 항히스타민제가 사용된다. 또한 피부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하는 알레르겐, 자극 물질, 스트레스를 피하도록 하는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환자의 특성에 따라 개별화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약물치료로는 국소 스테로이드, 국소 면역조절제, 전신 스테로이드, 전신 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 인터페론 감마 및 기타 치료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첫째,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법은 아직까지도 아토피 피부염 치료의 기본이 되는 방법으로, 국소 스테로이드에는 여러 강도의 약이 있는데 병변의 부위와 질환의 심한 정도에 따라 약의 강도와 제제 종류를 적절히 선택하여 발라야 한다. 또한 부작용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면서 사용해야 한다. 얼굴에는 약한 강도의 스테로이드를 단기간 사용해야 하고, 손에 발생한 습진의 경우에는 손발의 피부가 두꺼우므로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의 스테로이드를 사용해야 한다.
둘째, 국소 면역조절제 치료법은 타크로리무스(tacrolimus), 피메크로리무스(pimecrolimus) 성분으로 만든 도포제(연고)가 있는데, 이는 최근 스테로이드 연고를 대신할 수 있는 약제로서 개발되어 각광을 받고 있다. 장기간 도포 시 기존의 스테로이드 연고에서 나타나던 부작용이 없어 얼굴 등 예민한 피부에 자주 사용되며, 2세 이상의 소아나 성인의 얼굴, 목과 같이 피부가 얇고 약한 부위에 나타나는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적이다. 처음 바르는 경우 피부가 화끈거리는 느낌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대부분 적응이 되어 사용하는 데 큰 문제는 없다.
셋째,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법은 심한 아토피 피부염에서 전신 스테로이드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빠른 호전을 보이는 장점이 있지만 줄이거나 끊게 되면 증상이 급격히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전신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만성적인 질환에서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병이 많이 악화되어 다른 약에 전혀 반응이 없는 경우나 빠른 효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넷째, 전신 면역억제제 치료법은 최근에 기존의 치료법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중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전신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이 사용된다. 저용량으로 사용 가능하며, 소아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효과는 우수하지만 고혈압, 신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투여해야 한다.
다섯째, 항히스타민제 치료법은 가려움증 완화를 위해 사용되며, 대부분 항히스타민제는 심한 부작용이 없는 비교적 안전한 약제이지만 졸리거나 입이 마르는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최근에 새로 개발된 항히스타민제들은 부작용을 줄여 학생들이나 직장인들도 졸음에 대한 걱정 없이 복용할 수 있다.
여섯째, 인터페론 감마 치료법은 lgE의 반응을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내며, 150만 Unit를 주 3회 피하 주사한다. 임상효과는 2~3주부터 나타나며, 보통 8~10주간 치료를 지속한다.
그 외에 기타 치료법으로는 광선 치료, 감마 리놀산 및 치모펜틴(thymopentin) 등이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에 나열한 종래에 치료법은 화학약품 등이 사용되어 피부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한 후에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법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는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꾸지뽕잎 추출물과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져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고,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을 억제하며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꾸지뽕잎 추출물 및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 추출물은 밤, 구기자 및 가지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꾸지뽕잎 추출물 75 내지 95 중량% 및 천연 추출물 5 내지 2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꾸지뽕잎 추출물은 55 내지 65 brix의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천연 추출물은 55 내지 65 brix의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는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한약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백작약, 형개, 죽엽, 사상자, 창출, 진피, 후박 및 대추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꾸지뽕잎을 열수추출하여 꾸지뽕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열수추출단계, 상기 제1열수추출단계를 통해 제조된 꾸지뽕잎추출물을 55 내지 65 brix로 농축하는 제1농축단계, 밤, 구기자 및 가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열수추출단계, 상기 제2열수추출단계를 통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55 내지 65 brix로 농축하는 제2농축단계 및 상기 제1농축단계를 통해 농축된 꾸지뽕잎 추출물과 상기 제2농축단계를 통해 농축된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는 천연추출물혼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혼합단계 이후에는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백작약, 형개, 죽엽, 사상자, 창출, 진피, 후박 및 대추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열수추출하여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한약재추출물혼합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꾸지뽕잎 추출물과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져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고,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을 억제하며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꾸지뽕잎 추출물 및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 추출물은 밤, 구기자 및 가지 추출물로 이루어지는데, 꾸지뽕잎 추출물 75 내지 95 중량% 및 천연 추출물 5 내지 2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꾸지뽕잎 추출물은 75 내지 95 중량%가 함유되며, 꾸지뽕잎 100 중량부 대비 300 내지 1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혼합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는 열수추출법을 통해 꾸지뽕잎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도가 55 내지 65 brix를 나타내도록 농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농축과정은 통상의 농축기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도가 55 brix 미만이면 아토피 피부염의 억제 및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도가 65 brix를 초과하게 되면 아토피 피부염의 억제 및 개선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농축과정의 시간이 증가하여 제조과정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상기 천연추출물은 5 내지 25 중량%가 함유되며, 밤, 구기자 및 가지 추출물로 이루어지는데, 밤, 구기자 및 가지를 분말화하여 이루어진 분말 100 중량부 대비 300 내지 1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혼합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는 열수추출법을 통해 상기 밤, 구기자 및 가지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도가 55 내지 65 brix를 나타내도록 농축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천연추출물은 밤, 구기자 및 가지의 분말이 1:1:1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는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한약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한약재 추출물이 함유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억제 및 개선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한약재를 분말화하여 이루어진 분말 100 중량부 대비 300 내지 1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혼합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는 열수추출법을 통해 상기 한약재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도가 55 내지 65 brix를 나타내도록 농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약재 추출물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한약재 추출물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향상은 미미한 반면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한약재는 백작약, 형개, 죽엽, 사상자, 창출, 진피, 후박 및 대추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백작약, 형개, 죽엽, 사상자, 창출, 진피, 후박 및 대추가 동일한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꾸지뽕잎을 열수추출하여 꾸지뽕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열수추출단계(S101), 상기 제1열수추출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꾸지뽕잎추출물을 55 내지 65 brix로 농축하는 제1농축단계(S103), 밤, 구기자 및 가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열수추출단계(S101-1), 상기 제2열수추출단계(S101-1)를 통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55 내지 65 brix로 농축하는 제2농축단계(S103-1) 및 상기 제1농축단계(S103)를 통해 농축된 꾸지뽕잎 추출물과 상기 제2농축단계(S103-1)를 통해 농축된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는 천연추출물혼합단계(S10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열수추출단계(S101)는 꾸지뽕잎을 열수추출하여 꾸지뽕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꾸지뽕잎 100 중량부 대비 300 내지 1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혼합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는 열수추출법을 통해 꾸지뽕잎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가 80℃ 미만이면 상기 꾸지뽕잎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이 저하되며, 상기 가열온도가 10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꾸지뽕잎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는 필터 프레스(filter press)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농축단계(S103)는 상기 제1열수추출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꾸지뽕잎 추출물을 55 내지 65 brix로 농축하는 단계로, 상기 제1열수추출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꾸지뽕잎 추출물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55 내지 65 brix의 농도로 농축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농축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농도범위로 농축이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농축과정의 효율성을 위해 진공 농축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열수추출단계(S101-1)는 밤, 구기자 및 가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밤, 구기자 및 가지를 분말화하여 이루어진 분말 100 중량부 대비 300 내지 1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혼합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는 열수추출법을 통해 상기 밤, 구기자 및 가지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여과하는 단계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가 80℃ 미만이면 상기 밤, 구기자 및 가지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이 저하되며, 상기 가열온도가 10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밤, 구기자 및 가지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추출물은 밤, 구기자 및 가지의 분말이 1:1:1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여과는 필터 프레스(filter press)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농축단계(S103-1)는 상기 제2열수추출단계(S101-1)를 통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55 내지 65 brix로 농축하는 단계로, 상기 제2열수추출단계(S101-1)를 통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55 내지 65 brix의 농도로 농축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농축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농도범위로 농축이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농축과정의 효율성을 위해 진공 농축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추출물혼합단계(S105)는 상기 제1농축단계(S103)를 통해 농축된 꾸지뽕잎 추출물과 상기 제2농축단계(S103-1)를 통해 농축된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제1농축단계(S103)를 통해 농축된 꾸지뽕잎 추출물 75 내지 95 중량%에 상기 제2농축단계(S103-1)를 통해 농축된 천연 추출물 5 내지 25 중량%를 혼합하고 150 내지 300rpm의 속도로 30 내지 90분 동안 교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혼합단계(S105) 이후에는 상기 혼합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백작약, 형개, 죽엽, 사상자, 창출, 진피, 후박 및 대추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열수추출하여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한약재추출물혼합단계(S107)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한약재를 분말화하여 이루어진 분말 100 중량부 대비 300 내지 1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혼합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는 열수추출법을 통해 상기 한약재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에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도가 55 내지 65 brix를 나타내도록 농축기로 농축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한약재는 백작약, 형개, 죽엽, 사상자, 창출, 진피, 후박 및 대추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백작약, 형개, 죽엽, 사상자, 창출, 진피, 후박 및 대추가 동일한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는 필터 프레스(filter press)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농축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농도범위로 농축이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농축과정의 효율성을 위해 진공 농축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꾸지뽕잎 추출물의 제조
꾸지뽕잎 100g에 정제수 500ml를 혼합하고 100℃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고, 가열된 혼합물을 필터 프레스(filter press)로 여과하고, 여과된 혼합물을 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60 brix로 농축하여 꾸지뽕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천연 추출물의 제조
밤, 구기자 및 가지가 1:1:1의 중량부로 혼합된 혼합물을 5 밀리미터의 입자크기를 나타내도록 분쇄기로 분쇄하여 제조된 분말 100g에 정제수 500ml를 혼합하고 100℃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고, 가열된 혼합물을 필터 프레스(filter press)로 여과하고, 여과된 혼합물을 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60 brix로 농축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꾸지뽕잎 추출물 85중량%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 15 중량%를 혼합하고, 200rpm의 속도로 60분 동안 교반하여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섭취한 후에 아토피 증상 부위수와 가려움의 정도를 측정하여 아래 표 1 내지 표 7에 나타내었다.
(단, 아토피 증상 부위수와 가려움의 정도는 아토피 증상을 앓고 있는 시험대상자 25명에게 시험의 목적과 내용 및 본 발명에 따른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의 성분과 섭취방법을 충분히 숙지시킨 후에, 15세 미만은 100ml를 아침 및 저녁으로 나누어 1일 2회에 걸쳐 5개월간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15세 이상은 100ml를 아침, 점심 및 저녁으로 나누어 1일 3회에 걸쳐 5개월간 섭취하도록 한 후에 측정하였으며, 가려움의 정도는 0 ; 가려움증 없음, 1 ; 가끔 가려움, 2 ; 자주 가려움, 3 ; 항상 가려움으로 표기하였다.)
<표 1> 시험 대상자의 연령별 및 성별 구성 현황
Figure 112015018856019-pat00001

<표 2> 시험 대상자의 아토피 증상 부위 수
Figure 112015018856019-pat00002

<표 3> 시험 대상자의 가려움증 강도
Figure 112015018856019-pat00003

<표 4>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2개월간 섭취한 후에 시험 대상자의 아토피 증상 부위수
Figure 112015018856019-pat00004
위에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2개월간 섭취한 시험 대상자의 아토피 증상의 부위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5>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2개월간 섭취한 후에 시험 대상자의 가려움증 강도
Figure 112015018856019-pat00005
위에 표 5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2개월간 섭취한 시험 대상자의 가려움증의 정도가 전체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6>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5개월간 섭취한 후에 시험 대상자의 아토피 증상 부위수
Figure 112015018856019-pat00006
위에 표 6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5개월간 섭취한 시험 대상자의 아토피 증상의 부위가 매우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아토피증상이 나타나는 부위의 개수별 변화를 토대로 증상이 개선된 인원수를 전체적으로 합산하여 섭취전과 비교했을 때, 아토피의 억제 및 개선효과는 전체 25명 중 18명이 개선되어 72%의 높은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7>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5개월간 섭취한 후에 시험 대상자의 가려움증 강도
Figure 112015018856019-pat00007
위에 표 7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5개월간 섭취한 시험 대상자의 가려움증의 정도가 전체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아토피로 인한 가려움증의 강도가 개선된 인원수를 전체적으로 합산하여 섭취전 비교하면 전체 25명 중 16명이 개선되어 약 64%의 높은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꾸지뽕잎 추출물과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져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고,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을 억제하며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S101 ; 제1열수추출단계
S103 ; 제1농축단계
S101-1 ; 제2열수추출단계
S103-1 ; 제2농축단계
S105 ; 천연추출물혼합단계
S107 ; 한약재추출물혼합단계

Claims (1)

  1. 꾸지뽕잎을 열수추출하여 꾸지뽕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열수추출단계;
    상기 제1열수추출단계를 통해 제조된 꾸지뽕잎추출물을 55 내지 65 brix로 농축하는 제1농축단계;
    밤, 구기자 및 가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열수추출단계;
    상기 제2열수추출단계를 통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55 내지 65 brix로 농축하는 제2농축단계;
    상기 제1농축단계를 통해 농축된 꾸지뽕잎 추출물과 상기 제2농축단계를 통해 농축된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는 천연추출물혼합단계; 및
    상기 천연추출물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한약재를 열수추출하여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한약재추출물혼합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약재는, 백작약, 형개, 죽엽, 사상자, 창출, 진피 및 대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26700A 2015-02-25 2015-02-25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1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6700A KR101511700B1 (ko) 2015-02-25 2015-02-25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6700A KR101511700B1 (ko) 2015-02-25 2015-02-25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676 Division 2014-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700B1 true KR101511700B1 (ko) 2015-04-13

Family

ID=5303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26700A KR101511700B1 (ko) 2015-02-25 2015-02-25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10208A1 (es) * 2015-10-22 2017-04-26 Innovativehealth Group, S.L. Formulación cosmética de uso tópico para el cuidado de la piel atópic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블로그, url: http://blog.naver.com/y6248/40155621174(2012.3.29. 게시)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10208A1 (es) * 2015-10-22 2017-04-26 Innovativehealth Group, S.L. Formulación cosmética de uso tópico para el cuidado de la piel atópic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41173A (zh) 一种治疗皮炎、湿疹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60067553A (ko) 한약재를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CN1977899B (zh) 一种治疗类风湿性关节炎的药物
CN110898201B (zh) 一种小儿消积的外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511700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784667A (zh) 风湿骨病外用中草药药酒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20100012913A (ko) 관절염의 국부적인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03191399A (zh) 用于治疗支气管哮喘急性发作期的中药组合物
CN103330837A (zh) 一种治疗绝经妇女骨质疏松症的中药组合物
CN102961633B (zh) 一种用于治疗产后风湿病的制剂
JP2002205954A (ja) 血液循環改善剤
JP2958198B2 (ja) 鎮痛用医薬組成物
CN112386669A (zh) 一种活血化瘀、舒筋活络的草本植物活络膏及其制备方法
CN105535587A (zh) 一种治疗心肾不交型心悸失眠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US20040241259A1 (en) Herbal ointment and method for constipation treatment
CN107661432A (zh) 一种用于缓解艾滋病并发症的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274540B (zh) 含有雷公藤的中药组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Das et al. Phyto-pharmacological review of Portulaca quadrifida Linn.
CN108938718A (zh) 一种用于治疗脑中风的中药组合物及其制剂的制备方法
CN106581180B (zh) 一种治疗腹痛、腹胀、腹泻的中药组合制剂
BR112012031318B1 (pt) Uso da planta gelsemium elegans benth. e da flor da planta datura metel l., e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JP6590233B1 (ja) 皮膚疾患治療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344730A (zh) 一种治疗新生儿黄疸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TWI421086B (zh) 治療或減緩發炎性腸病的醫藥組合物
CN105148136B (zh) 一种风湿热痹型肩周炎的中药配方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