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734B1 -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734B1
KR101510734B1 KR20090012692A KR20090012692A KR101510734B1 KR 101510734 B1 KR101510734 B1 KR 101510734B1 KR 20090012692 A KR20090012692 A KR 20090012692A KR 20090012692 A KR20090012692 A KR 20090012692A KR 101510734 B1 KR101510734 B1 KR 101510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olding
body member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2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648A (ko
Inventor
한성석
김동균
손기석
김형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1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7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Manufacturing or 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폴딩 타입(Folding Type)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하기 용이하고, 도어의 닫침시 도어실링면과의 기밀성능이 향상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통로의 도어실링면에 안착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도어는 본체부재와, 본체부재에 폴딩되면서 공기통로를 여닫는 폴딩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본체부재와 폴딩부재를 폴딩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박판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부재와 폴딩부재가 폴딩되면서 공기통로를 닫아 폐쇄할 시에, 박판 연결부재가 공기통로의 도어실링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박판 연결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링부재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DOO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폴딩 타입(Folding Type)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하기 용이하고, 도어의 닫침시 도어실링면과의 기밀성능이 향상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를 냉, 난방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은, 겨울철에는 히터로부터 온기를 발생시켜 차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여름철에는 증발기로부터 냉기를 발생시켜 차실내를 시원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이러한 공조시스템은, 차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점차적으로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공조유닛을 소형화, 슬림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공조유닛을 소형화, 슬림화하는 방법으로서, 공기통로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도어의 회전반경을 줄여서 불필요한 공간을 줄이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를 폴딩 타입(Folding Type)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폴딩 타입의 도어(10)가 공기통로(20a, 20b)의 개도량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될 경우에 접혀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어(10)의 회전반경을 최대한으로 줄인다.
이러한 기술은, 도어(10)의 회전반경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구조이므로, 도어의 회전에 필요한 공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각 부품들을 밀도 있게 배치할 수 있고, 이로써, 공조유닛을 소형화 및 슬림화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시스템은, 도어(10)를 폴딩 타입으로 구성해야 하므로, 2개의 도어 부재(12, 14)를 제조한 다음, 제조된 2개의 도어 부재(12, 14)를 일일이 폴딩가능하게 조립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폴딩 타입 도어(10)는, 본체부재(12)와, 본체부재(12)에 힌지결합되는 폴딩부재(14)로 구성된다. 따라서, 폴딩 타입의 도어(1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개별적으로 제조한 다음, 개별적으로 제조된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일일이 힌지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개별적으로 제조해야 하고, 개별적으로 제조된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일일이 힌지결합시켜야 하므로, 많은 제조비용이 소요되고, 조립공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제조원가가 많이 들고 조립시간이 지연되며,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밖에도, 폴딩 타입 도어(10)는,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가 힌지결합되므로, 힌지결합부(16)에 많은 간극과 틈새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힌지결합부(16)의 간극과 틈새로 냉,온기가 누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힌지결합부(16)는,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가 접혀질 경우, 공조케이스(22)의 도어실링면(22a)에 밀착되면서 공기통로(20b)를 닫게 되는데, 이때, 도어실링면(22a)에 대한 밀착력이 매우 낮아 기밀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차실내의 냉,난방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본체부재와 폴딩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조하지 않고서도 폴딩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부재와 폴딩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조하지 않고서도 폴딩 타입으로 구성됨으로써, 본체부재와 폴딩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제조된 2개의 부재를 일일이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부재와 폴딩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제조된 2개의 부재를 일일이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줌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부재와 폴딩부재의 힌지결합부에 발생하는 간극과 틈새를 제거함으로써, 힌지결합부를 통해 발생하는 냉,온기의 누출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실링면에 대한 힌지결합부의 밀착력을 최대한 증대시킴으로써, 도어실링면과 힌지결합부 사이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통로의 도어실링면에 안착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에 폴딩되면서 상기 공기통로를 여닫는 폴딩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와 상기 폴딩부재를 폴딩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박판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재와 폴딩부재가 폴딩되면서 상기 공기통로를 닫아 폐쇄할 시에, 상기 박판 연결부재가 상기 공기통로의 도어실링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박판 연결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에 의하면, 본체부재와 폴딩부재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본체부재와 폴딩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조할 필요없이 한번의 성형으로 동시에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재와 폴딩부재를 한번의 성형으로 동시에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이고 제조비용도 저감시키며 생산성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재와 폴딩부재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박판의 연결부재도 동시에 일체로 성형되므로, 별도의 조립공정 없이도 본체부재와 폴딩부재를 폴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조립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여주며, 그 결과, 높은 효율의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재와 폴딩부재가 접혀지면서 공기통로를 닫을 경우, 도어실링면에 대한 밀착도가 높으므로, 도어의 닫침시에 도어와 도어실링면 사이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의 냉,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도어가 공조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폴딩 타입의 도어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폴딩 타입의 도어(10)는, 플랫형 본체부재(12)와, 본체부재(12)의 단부에 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랫형 폴딩부재(14)로 구성된다.
본체부재(12)는, 회전축(12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공기통로(20a, 20b)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폴딩부재(14)는, 본체부재(12)가 회전됨에 따라 본체부재(12)에 접히거나 또는 펼쳐지면서 공기통로(20a, 20b)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특히, 본체부재(12)로부터 완전히 펼쳐지면서 어느 한쪽의 공기통로(20a)를 닫아 폐쇄하고, 본체부재(12)에 완전히 접혀지면서 다른 쪽의 공기통로(20b)를 닫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폴딩부재(14)의 양쪽 단부에는 가이드 돌기(1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14a)들은 공조케이스(22)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Guide Slot)(14b)을 따라 운동하며, 이렇게 운동하는 가이드 돌기(14a)들은, 본체부재(12)에 대한 폴딩부재(14)의 접힘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폴딩 타입의 도어(10)는,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실링부재(10a)를 구비한다.
실링부재(10a)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며,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가 펼쳐지면서 공기통로(20a)를 닫을 경우, 공조케이스(22)의 도어실링면(22a)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도어(10)의 닫침시에 도어(10)와 도어실링면(22a)을 기밀적으로 밀폐한다.
이러한 실링부재(10a)는, 미리 사출 성형된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2차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보통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도어(10)는,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연결하는 박판 연결부재(30)를 구비한다.
박판 연결부재(30)는,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편(32)들로 구성된다.
다수의 연결편(32)들은,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부분적으로 연결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휨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폴딩가능하게 연결한다.
한편, 이러한 연결편(32)들은, 본체부재(12) 및 폴딩부재(14)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며, 이러한 재질의 연결편(32)들은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사출 성형할 시,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의 사출 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되므로,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하나의 몸체로 성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개별적으로 제조할 필요없이 한꺼번에 동시에 제조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조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이고 제조비용도 저감시키며, 생산성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는,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연결편(32)들로써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폴딩가능하게 연결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연결편(32)으로써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폴딩가능 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연결편(32)은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10)는, 박판 연결부재(30)의 외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40)를 구비한다.
실링부재(40)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며, 박판 연결부재(30)의 상,하면을 따라 설치된다. 특히, 연결편(32)들 사이의 간격을 막아서 차단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실링부재(40)는, 연결편(32)들 사이의 간격을 막아서 차단하므로,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의 사이를 통해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따라서, 공기의 누출로 인한 냉,난방 효율의 저하현상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실링부재(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가 접혀지면서 공기통로(20b)를 닫아 폐쇄할 경우에, 공조케이스(22)의 도어실링면(22a)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10)의 닫침시에 도어(10)와 도어실링면(22a)을 기밀적으로 밀폐한다. 그 결과, 도어(10)의 닫침시에 도어(10)와 도어실링면(22a) 사이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키고, 이로써, 차실내의 냉,난방효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이러한 실링부재(40)는, 미리 사출 성형된 박판 연결부재(30)에 2차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의 둘레를 따라 사출 성형되는 실링부재(10a)와 함께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개별적으로 제조할 필요없이 한번의 성형으로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한번의 성형으로 동시에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이고 제조비용도 저감시키며, 생산성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박판 연결부재(30)도 동시에 일체로 성형되므로, 별도의 조립공정 없이도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를 폴딩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의 조립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여주며, 그 결과, 높은 효율의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가 접혀지면서 공기통로(20b)를 닫을 경우, 도어실링면(22b)에 대한 밀착도가 높은 구조이므로, 도어(10)의 닫침시에 도어(10)와 도어실링면(22a) 사이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차실내의 냉,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시스템의 도어가 공조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어(Door) 12: 본체부재
14: 폴딩부재(Folding) 20a, 20b: 공기통로
22: 공조케이스 22a: 도어실링면
30: 박판 연결부재 32: 연결편
40: 실링부재

Claims (4)

  1. 공기통로(20a, 20b)의 도어실링면(22a)에 안착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도어(1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10)는 본체부재(12)와, 상기 본체부재(12)에 폴딩되면서 상기 공기통로(20b)를 여닫는 폴딩부재(14)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12)와 상기 폴딩부재(14)를 폴딩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박판 연결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재(12)와 폴딩부재(14)가 폴딩되면서 상기 공기통로(20b)를 닫아 폐쇄할 시에, 상기 박판 연결부재(30)가 상기 공기통로(20b)의 도어실링면(22a)에 기밀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박판 연결부재(30)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링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연결부재(30)는,
    상기 본체부재(12)와 상기 폴딩부재(14)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편(32)들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편(32)들은, 상기 본체부재(12)와 상기 폴딩부재(14)를 사출할 시, 양자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40)는, 상기 연결편(32)들 사이의 간격을 막아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KR20090012692A 2009-02-17 2009-02-17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KR101510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2692A KR101510734B1 (ko) 2009-02-17 2009-02-17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2692A KR101510734B1 (ko) 2009-02-17 2009-02-17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648A KR20100093648A (ko) 2010-08-26
KR101510734B1 true KR101510734B1 (ko) 2015-04-10

Family

ID=4275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2692A KR101510734B1 (ko) 2009-02-17 2009-02-17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997B1 (ko) * 2011-11-16 2014-08-1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DE102014113590B4 (de) * 2014-09-19 2023-07-06 Hanon Systems Luftleitvorrichtung für ein Klimatisierungssystem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3123A (ja) * 1996-03-28 1997-10-07 Suzuki Motor Corp ベンチレータ
JP2000038016A (ja) * 1998-07-23 2000-02-08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のドア構造
JP2000168340A (ja) * 1998-12-08 2000-06-20 Denso Corp 空気通路開閉装置
JP2006143126A (ja) 2004-11-24 2006-06-08 Denso Corp 通風路切替ド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3123A (ja) * 1996-03-28 1997-10-07 Suzuki Motor Corp ベンチレータ
JP2000038016A (ja) * 1998-07-23 2000-02-08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のドア構造
JP2000168340A (ja) * 1998-12-08 2000-06-20 Denso Corp 空気通路開閉装置
JP2006143126A (ja) 2004-11-24 2006-06-08 Denso Corp 通風路切替ド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648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7951A (en) Air passage switching system for air conditioner
US10493817B2 (en) Air conditioning unit
EP0983885A2 (en) Air passage switching system for air conditioner
US6669548B2 (en) Inside/outside air switching device with rotary door, and vehicl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BRPI0809328A2 (pt) Coluna de divisão para guiar painel de janela móvel, método de formação de um conjunto de coluna de divisão e método de formação de um conjunto de janela incluindo uma coluna de divisão
KR101510734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KR20120138925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2384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404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51947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150025965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070281599A1 (en)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KR10142211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CN109551994B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145063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484703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080084033A (ko) 로터리형 인테이크 도어용 액츄에이터 조립구조
KR100452225B1 (ko) 자동차용 에어토출 그릴장치
KR101512675B1 (ko) 실링부재 일체형 도어
KR20070068504A (ko) 도어 씰링부의 공기누설 방지구조
KR102220614B1 (ko)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의 밸브 구조체
CN216114629U (zh) 空调室内机的开关门装置及空调室内机
KR101467327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도어 씰링장치
KR20090052040A (ko) 디프로스터
KR101342946B1 (ko) 차량용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