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516B1 -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 Google Patents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516B1
KR101510516B1 KR20130044142A KR20130044142A KR101510516B1 KR 101510516 B1 KR101510516 B1 KR 101510516B1 KR 20130044142 A KR20130044142 A KR 20130044142A KR 20130044142 A KR20130044142 A KR 20130044142A KR 101510516 B1 KR101510516 B1 KR 101510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pport
nervous system
rehabilitation
central nerv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075A (ko
Inventor
김미현
장은미
황영인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44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51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체중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착용자의 양쪽 하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상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환자의 하지를 감싸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을 결속시키는 결속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에 있어서 한쪽의 하지가 바깥돌림 되었을 때 중간위치로 유지하게 하여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기능이 남아있는 비(非)마비측의 손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도 벨트를 착용하고 벗는 것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Rehabilitation Belt for improved sitting posture in patients with impaired central nervous system}
본 발명은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시 뇌손상 환자들이 앉은 자세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추 신경계 손상 환자들(뇌졸중, 뇌성마비 등)의 경우에는 뇌손상으로 인해 앉은 자세의 유지가 곤란하고 수의적으로 근육 조절이 어렵다.
재활과정 중에서 작업치료나 언어치료는 30~40분 동안 주로 앉은 자세에서 재활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환자들은 스스로 자세 조절이 어려워 척추의 측만증이 심해지거나 다리의 정렬이 맞지 않는 이차적인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앉은 자세는 일상생활 중에서 식사하기, 책읽기, 글쓰기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자세이므로 앉은 자세에서의 바른 자세 유지를 위한 보조기의 사용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바르게 앉은 자세가 가능해지면 복근과 다리의 근육이 활성화되어 앉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재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자세 유지를 위해 특정 매체를 사용하는 기술이 공개실용신안 제1998-0006452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0423094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1998-0006452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0423094호에 개시된 다리 고정용 벨트 및 이중 구조의 재활운동용 벨트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공개실용신안 제1998-0006452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다리 고정용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다리 고정용 벨트(1)는, 그 중심부분(3)이 사람이 앉는 의자(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양측단부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5,7)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다리 고정용 벨트(1)는 양쪽 다리를 한번에 고정시켜 양다리의 고정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으므로 한정된 기능을 부여하며, 사용 대상이 정상인이므로 환자 등은 사용이 난해한 단점이 있었다.
도 2는 실용신안등록 제0423094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무릎 모음 밴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무릎 모음 밴드는, 양다리의 무릎 주변에 착용되어, 모여진 무릎이 벌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밴딩수단(11)과; 상기 밴딩수단(1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체결을 통해 밴딩수단(11)이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하는 접속수단(12)과; 상기 밴딩수단(11) 상에 마련되어 밴딩수단(11)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길이가변수단(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무릎 모음 밴드 역시 양쪽 다리를 한번에 고정시켜 양다리의 고정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으므로 한정된 기능을 부여하며, 사용 대상이 정상인이므로 환자 등은 사용이 난해한 단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벨트는 양쪽 하지를 동시에 고정하여 양쪽 다리가 가운데로 몰리거나 양다리가 한쪽으로 비뚤어진 자세를 취하게 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뇌 손상에 의해 올바른 자세에 대한 인식이 떨어지는 중추신경계 환자의 경우 몸통과 다리의 정렬을 더 어긋나게 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KR 1998-0006452 U KR 0423094 Y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에 있어서 한쪽의 하지가 바깥돌림 되었을 때 중간위치로 유지하게 하여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능이 남아있는 비(非)마비측의 손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도 벨트를 착용하고 벗는 것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성이 용이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체중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착용자의 양쪽 하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상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환자의 하지를 감싸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을 결속시키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를 통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부에 착용자의 하지가 유동하지 않도록 유동방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착용자의 하지 밑면 또는 하지 양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결속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의 폭 대비 분할되어 연결되며, 표면 양 끝단에 결속부재가 구비되는 연장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측 단부에 상기 연장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가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결속부재는 암수 벨크로(Velcro) 테이프 또는 암수 똑딱이 단추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착부는 저면에 상기 재활 벨트를 특정 물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보조 벨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에 있어서 한쪽의 하지가 바깥돌림 되었을 때 중간위치로 유지하게 하여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기능이 남아있는 비(非)마비측의 손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도 벨트를 착용하고 벗는 것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다리 고정용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무릎 모음 밴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에 유동방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에 보조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가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가 사용 상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에 유동방지부재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에 보조부재를 구비한 상태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를 착용한 상태가 사진으로 나타나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100)는 안착부(110), 지지부(120) 및 결속부(1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재활 벨트(100)는 의자나 침대 등의 특정 물체에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안착부(110)는 착용자인 뇌손상 환자가 깔고 앉아 재활 벨트(100)가 체중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착용자의 양쪽 하지가 안착되며, 상기 착용자의 양쪽 하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착부(110)는 직물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1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된 판지 등이 내부에 구비되어 접히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0)는 허벅지 부위가 안착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엉덩이 부위까지 안착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의 저면에는 설치 위치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 돌기(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110)가 엉덩이 부위까지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경우는 의자의 바닥면이 미끄러운 재질로 만들어져 마찰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안착부(11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재활 벨트(100)를 의자(좌판) 등의 특정 물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보조 벨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110)에 상기 보조 벨트가 구비되는 경우는 의자의 바닥면이 미끄러운 재질로 만들어져 마찰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지지부(120)는 양단을 절개한 중심이 안착부(110) 상에 편심된 위치에 제봉에 의해 연결되어 바깥 돌림된 환자의 하지를 감싸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20)는 직물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안착부(11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20)는 한쪽 하지를 지지하도록 착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양쪽 하지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착용할 수 있다. 이렇게, 양쪽 하지 모두에 착용할 경우 지지부는 2개 설치된다.
더욱이, 상기 지지부(120)는 뇌손상 환자의 하지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지가 맞닿는 내면에 유동방지부재(1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부재(122)는 착용자의 하지 밑면 또는 하지 양면을 지지하도록 고무, 스펀지 등의 연성 재질로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지 밑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즉, 상기 유동방지부재(122)가 변형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구비되므로 하지 밑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변형되어 뇌손상 환자의 하지 밑면을 감싸게 되고, 하지 옆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변형되어 뇌손상 환자의 하지 옆면을 감싸게 되는 것이다.
결속부(130)는 지지부(120)의 양단을 조이면서 서로 결속시키는 기능을 하며, 연장부(132) 및 고리(136)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32)는 지지부(120)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120)의 폭 대비 다수 분할되어 연장되며, 표면 양 끝단에 결속부재(134)가 구비되어 상호 결속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132)는 2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재(134)는 암수 벨크로(Velcro) 테이프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암수 똑딱이 단추 등과 같이 상호 결속하기 위한 구조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연장부(132)는 결속부재(134)의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고무줄 등과 같은 신축성부재(도면에 미도시)로 연결되어 상기 연장부(132)를 고리(136)에 걸어 고정하여도 환자의 하지를 연속적으로 조일 수 있게 조임력을 제공한다.
고리(136)는 금속재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 단부에 상기 연장부(132)에 각각 대응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연장부(132)가 통과하여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에 의해 하지를 감싸는 경우 상기 지지부(120)의 모양이 대체적으로 원형이 됨을 감안할 때 삼각기둥 형상의 보조부재(140)를 안착부(110)와 지지부(120)와의 맞닿는 틈에 삽입하여 환자의 하지가 바깥 방향으로 돌림되는 것을 보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부재(14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저면과 경사면 그리고 상기 저면 및 경사면과 맞닿는 상기 안착부(110)와 상기 지지부(120)와의 이웃면에 벨크로 테이프 암수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안착부(110) 및 지지부(120)가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 있는 직물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하지와 벨트 사이, 벨트와 의자 사이에 고정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100)는 의자 등의 좌판 앞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환자가 착석하면서 안착부(110)를 깔고 앉게 된다. 이때, 편마비된 하지가 지지부(120) 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양측 중 한쪽만 마비된 편마비 환자의 경우 오른쪽 하지가 마비되었지만 왼쪽의 기능은 남아있으므로 왼손으로 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지지부(120)의 위에 하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결속부(130)를 결속시키기 위해 연장부(132)의 선단을 고리(136)에 삽입시켜 건 후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결속부재(134)를 통해 상기 연장부(132)의 양 끝단을 상호 결속시킨다.
이렇게, 뇌손상 환자의 오른쪽 하지 정렬이 바르게 되어 안정된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하지의 정렬이 맞지 않아 생길 수 있는 이차적인 장애의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신체 양측 중 한쪽만 마비된 편마비 환자의 경우에는 오른쪽 하지가 마비되었지만 왼쪽의 기능은 남아있으므로 왼손으로 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뇌손상 환자가 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하지가 마비되어 바깥으로 돌림되어 있으므로 하지의 정렬이 맞지 않아 장시간 비정상적인 자세로 생활하면 다리의 바깥쪽 근육은 짧아지고 안쪽 다리는 약해질 수 있고,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렬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 선 자세나 걷기 훈련을 할 때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은 양쪽 하지를 분리하여 고정함으로써 벨트로 고정되지 않은 정상측의 하지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마비측의 하지는 벨트를 사용하여 바른 정렬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인 감각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벨트를 이용하여 마비측의 하지를 고정한 상태에서 무릎 펴기, 굽히기와 같은 동작을 할 때 벨트가 허벅지 부분을 움직이지 않게 해 주므로 안정적인 역할을 하여 하지의 근력강화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하지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지지부(120)는 마비측의 하지를 고정하기 위해 재활 벨트(100)를 착용할 때 비마비측의 상지로 스스로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상기 재활 벨트(1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마비측의 상지로 고리에 결속부재(134)인 벨크로를 끼우고 빼는 연습을 통하여 마비측의 상지 기능회복을 위한 훈련 방법의 하나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활 벨트(100)는 한쪽 하지의 마비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 방향을 돌려 사용하면 마비측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하며 환자의 기능이 회복되어 상기 재활 벨트(100)가 더 이상 재활에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 되었을 때, 벨트의 사용이 필요한 다른 환자에게 재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재활 벨트 110: 안착부
120: 지지부 122: 유동방지부재
130: 결속부 132: 연장부
134: 결속부재 136: 고리

Claims (6)

  1. 체중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착용자의 양쪽 하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상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환자의 하지를 감싸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을 결속시키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와 지지부의 맞닿는 틈사이로 삼각기둥형상의 보조부재가 결합 분리되게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 저면으로 특정물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보조벨트가 더 구비되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착용자의 하지가 유동하지 않도록 유동방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착용자의 하지 밑면 또는 하지 양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의 폭 대비 분할되어 연결되며, 표면 양 끝단에 결속부재가 구비되는 연장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측 단부에 상기 연장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가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리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암수 벨크로(Velcro) 테이프 또는 암수 똑딱이 단추인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6. 삭제
KR20130044142A 2013-04-22 2013-04-22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KR101510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142A KR101510516B1 (ko) 2013-04-22 2013-04-22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142A KR101510516B1 (ko) 2013-04-22 2013-04-22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75A KR20140126075A (ko) 2014-10-30
KR101510516B1 true KR101510516B1 (ko) 2015-04-10

Family

ID=5199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4142A KR101510516B1 (ko) 2013-04-22 2013-04-22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5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331U (ko) * 1989-12-27 1991-09-13
JP3090331U (ja) 2002-05-29 2002-12-06 アイメディア株式会社 O脚矯正用具
KR20040092695A (ko) * 2003-04-25 2004-11-04 권기현 착석자세교정장치
KR20070018628A (ko) * 2005-08-10 2007-02-14 장익춘 피부압박을 방지토록 되는 디스크 벨트
KR20120034932A (ko) * 2010-10-04 2012-04-13 권오태 휜 다리 교정용 벨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331U (ko) * 1989-12-27 1991-09-13
JP3090331U (ja) 2002-05-29 2002-12-06 アイメディア株式会社 O脚矯正用具
KR20040092695A (ko) * 2003-04-25 2004-11-04 권기현 착석자세교정장치
KR20070018628A (ko) * 2005-08-10 2007-02-14 장익춘 피부압박을 방지토록 되는 디스크 벨트
KR20120034932A (ko) * 2010-10-04 2012-04-13 권오태 휜 다리 교정용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75A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00524A1 (en) Patella Stabilizing Method and System
US9044324B2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US991400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assive flexibility training
US20060293623A1 (en) Orthopedic restraint and method for shoulder remediation
JP4960706B2 (ja) 整形外科用ブレース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CA2951238A1 (en) Triple flexion device
JP2008546460A (ja) 人体のための処理装置
JP2005160982A (ja) 運動療法具
US20160030222A1 (en) Ankle-Foot Flexion Device
US10610400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KR20140091257A (ko) 편마비 환자용 상체 지지장치
JP3156790U (ja) 膝痛緩和サポーター
KR101510516B1 (ko)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US201503519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a mechanical joint brace
US20150374572A1 (en) Knee joint rehabilitation assist device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JP2011019737A (ja) 引上げ式自力歩行用装具
JP3200538B2 (ja) 骨盤安定サポータ及び骨盤安定パンツ
KR101882877B1 (ko)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JP2010168677A (ja) 係留部材付き膝カバー弾性保護具。
US20160250058A1 (en) Orthopedic kneepad
CA2850861C (en) Device and method for passive flexibility training
KR101414320B1 (ko)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KR101417353B1 (ko) 휜 다리 교정장치
JP2004016414A (ja) 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