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320B1 -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 Google Patents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320B1
KR101414320B1 KR1020120097983A KR20120097983A KR101414320B1 KR 101414320 B1 KR101414320 B1 KR 101414320B1 KR 1020120097983 A KR1020120097983 A KR 1020120097983A KR 20120097983 A KR20120097983 A KR 20120097983A KR 101414320 B1 KR101414320 B1 KR 10141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chute
belt
disability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573A (ko
Inventor
박주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3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장애를 가진 하지마비 아동이 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습득할 수 있도록 실시하는 재활치료 과정에서 장애아동에게 올바른 기립자세를 유지시킬 목적으로 장애아동의 등 뒤에 위치하는 치료사 또는 보호자가 장애아동과의 몸의 크기와 키 차이를 극복하고 보행속도를 동일하게 일치시키고, 보행운동의 축 역시 일치시킨 후 장애아동의 보행 치료를 장애아동의 기능별 수준에 맞추어서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행보조기구의 일종인 보행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장애아동의 겨드랑이 아래쪽에서 견갑대를 감싸는 띠 형상의 견갑대 슈트 및/또는 장애아동의 서혜부를 감싸는 기저귀 형태의 골반대 슈트를 착용시키고 치료사가 파지한 H자 형상의 조정바와 각 슈트를 연결하는 연결벨트를 조작하여 장애아동의 체간을 바르게 세우고 좌우 하지의 비대칭적인 보행 패턴을 유도하여 좀더 반복적이고 자동적인 보행패턴을 발생시키는 CPG(중추패턴발생기)의 이론적인 모델이 되는 장애아동용 보행벨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Gait belt for a handicapped child}
본 발명은 보행장애를 가진 하지마비 아동이 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습득할 수 있도록 실시하는 재활치료 과정에서 장애아동에게 올바른 기립자세를 유지시킬 목적으로 장애아동의 등 뒤에 위치하는 치료사 또는 보호자가 장애아동과의 키 높이를 맞추기 위해 무릎이나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는 편한 기립 자세로 장애아동과의 몸의 크기와 키의 차이를 극복하고 보행속도를 동일하게 일치시키고, 보행운동의 축 역시 일치시킨 후 장애아동의 보행 치료를 장애아동의 기능별 수준에 맞추어서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행보조기구의 일종인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에 관한 것이다.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요인으로 인해 장애를 가진 아동은 대부분 상지에 비해 하지가 약한 특징이 있다. 이는 정상발달 과정에서 머리에서 몸통, 상지, 하지의 순서로 발달하기 때문에 하지의 경우 발달이 미성숙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 근력이 약한 장애아동이 보행을 시도하면 하지의 근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상작용으로 전신의 근육긴장도를 증가시키는 과장된 형태의 보행 패턴이 나타난다. 또한 하지마비 아동이 흔하게 동반하는 복근의 약증을 바로 좌, 우 아래에 있는 고관절 굴곡근육이 대신 보전하여 과긴장됨에 따라 요추전만과 함께 골반을 전방경사시켜서, 엉덩이가 뒤로 빠지는 자세를 만들어 낸다. 또한 하지의 가장 큰 근육인 대퇴사두근의 약증을 종아리에 있는 하퇴삼두근이 대신 보전하게 되어 하퇴삼두근이 과긴장함에 따라 발목이 내회전 되면서 아킬레스건이 짧아지고, 결국에는 무릎이 뒤로 빠지게 된다. 또한 하지의 근력이 심하게 약한 경우에는 장애아동의 발바닥의 아치가 무너져 평발이 되어 평생 장애로 남게 된다.
보호자 등의 타인의 도움을 받으며 보행을 하는 장애아동의 보행을 보면 또 다른 문제점들이 나타난다. 장애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근수축을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보행속도가 느려진다. 하지만 정상적인 보호자와 같이 보행을 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보행속도가 더욱 느린 장애아동은 정상적인 근수축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지거나 아예 기회가 사라져서, 마치 보호자가 장애아동의 손을 잡고 질질 끌고 가는 듯한 형태의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이 많이 관찰된다. 이는 장애아동의 보행장애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게 된다.
또한, 장애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근력이 약하기 때문에 보호자는 안타까운 마음으로 도움을 주기 위해서 장애아동의 손을 잡아 당겨주는데, 이 과정에서 장애아동은 보행의 추진력이 부여받게 되지만, 보호자에 의해 새로운 운동축이 생겨남에 따라 일치하지 않은 2개의 운동축에 의해 장애아동의 몸은 한쪽으로 회전력을 받아서 삐뚤어지면서 상체는 더 구부려지고, 골반은 어느 한쪽으로 더 많이 빠지게 된다.
앞에서 언급한 장애아동의 보행중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회피하기 위해서 장애아동의 보행치료(또는 보행연습)를 실시하는 치료사(또는 보호자)는 일반적으로 장애아동의 등 뒤에서 기립자세를 유지 및 조정하여 주었다. 하지만 장애아동과의 키와 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차이가 많이 날수록 치료사(또는 보호자)는 장애아동의 몸을 등 뒤에서 잡기 위해 허리를 앞으로 더 숙여야만 했고, 이에 따라 요통이 발생하면 허리를 바로 펴기 위해 무릎을 대신 구부려서 장애아동과의 키 높이를 맞춰야만 했다. 이 때문에 치료사(또는 보호자)는 장애아동의 보행치료(또는 보행연습) 중이거나 모두 마친 이후에 요통과 슬관절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치료사(또는 보호자)의 손으로 장애아동의 몸을 놓치지 않고 잘 잡아서 고정하기 위해서는 허리 굴곡근육과 무릎 굴곡근육 뿐만 아니라 전신의 굴곡근육을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육체적으로 심한 피로감을 느껴야만 하였다.
종래 소개된 보행장애를 가진 환자의 재활을 돕기 위한 보행보조기구의 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4233호와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1243호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종래기술은 바퀴가 달린 프레임 상에 환자의 체간부를 감싸면서 견인하는 서포터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체중을 감소시켜서 작은 힘으로도 중력에 대항하여 마비가 있는 하지를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어서 보행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보행보조기구는 보행장애가 있는 성인과 아동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조건의 보행훈련방법만을 제시하였고, 장애아동의 경우에도 개인별 장애의 차이점을 구별하지 않고 동일한 조건의 보행보조기구로 동일한 보행훈련을 하여 동일한 보행치료효과를 억지로 얻으려고 하였기 때문에 치료효과가 개인별로 큰 차이를 보이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정상적인 보행 패턴의 경험을 가진 성인의 자율적인 재활훈련에는 도움을 줄 수 있지만, 태어나서 단 한 번도 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전혀 경험해보지 못한 장애아동의 경우에는 무의미한 보행연습방법에 불과하였으며, 보행치료과정에서 잘못된 보행 패턴을 수정 및 보완하기 위해 또 다른 치료기술을 적극적으로 개입시킬 수 있는 여지를 거의 주지 않기 때문에 보행장애를 가진 아동의 재활치료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보행보조기구는 자발적인 보행 패턴을 유발시키지 못해서 반복적이고 자동적인 중추패턴발생기(Central pattern generators, CPG)를 유도하거나 촉진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423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1243호
본 발명은 보행장애 아동에게 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경험시키고,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교정하기 위해서 종래와 같이 담당치료사가 장애아동의 등 뒤에서 장애아동의 보행 동작에 개입하여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되, 장애아동과 키 높이를 맞추기 위해 치료사가 무릎을 구부리거나 허리를 앞으로 숙이지 않고도 장애아동의 올바른 기립자세를 유지시키면서 보행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행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아동의 안전을 보장하고 치료효과를 배가시키면서 치료사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애아동의 근력과 보행기능을 고려하여 각각의 수준에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전문가인 장애아동의 보호자도 치료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장애아동에게 정상적인 보행을 경험시킬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보행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 역시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는, 장애아동의 겨드랑이 아래쪽에서 견갑대를 감싸는 띠 형상의 견갑대 슈트와, 상기 견갑대 슈트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연결벨트 및 상기 제1 연결벨트의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 견갑대 조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는, 장애아동의 서혜부를 감싸는 기저귀 형태의 골반대 슈트와,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되면서 각각의 일단이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벨트 및 상기 제2 연결벨트의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 골반대 조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는, 장애아동의 겨드랑이 아래쪽에서 견갑대를 감싸는 띠 형상의 견갑대 슈트와, 상기 견갑대 슈트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연결벨트와, 상기 제1 연결벨트의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 견갑대 조정바와, 상기 장애아동의 서혜부를 감싸는 기저귀 형태의 골반대 슈트와,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되면서 각각의 일단이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벨트 및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의 좌측에 연결된 제2 연결벨트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1 골반대 조정바와,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의 우측에 연결된 제2 연결벨트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2 골반대 조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골반대 조정바 및 제2 골반대 조정바가 상기 견갑대 조정바의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골반대 조정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벨트는 2개이고, 상기 견갑대 슈트의 후면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연결벨트는 4개이고, 상기 견갑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2개씩의 제1 연결벨트가 배치되어 각각의 일단이 상기 견갑대 슈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2개의 제2 연결벨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벨트의 모든 타단이 하나의 골반대 조정바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2개의 제2 연결벨트가 연결되고, 상기 골반대 조정바는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의 좌측에 연결된 제2 연결벨트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1 골반대 조정바 및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의 우측에 연결된 제2 연결벨트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2 골반대 조정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골반대 조정바 및 제2 골반대 조정바가 견갑대 조정바의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골반대 조정바 및 제2 골반대 조정바가 상기 견갑대 조정바에 대해 좌우 비대칭을 이루도록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골반대 조정바 및 제2 골반대 조정바가 상기 견갑대 조정바에 대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애아동의 등 뒤에 위치한 치료사가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를 매개로 하여 무릎을 구부리거나 허리를 앞으로 숙이지 않고도 장애아동의 보행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사의 신체적 피로와 허리와 슬관절의 통증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아동의 체간을 견인하는 견갑대 슈트 및/또는 골반부를 지탱하는 골반대 슈트로 이루어져 있어 장애아동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고, 체중감소 효과와 더불어 정상적인 보행 패턴의 지도가 가능하여 치료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치료사도 편리하고 근골격계 질환으로부터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애아동이 가지고 있는 근력과 보행기능수준을 고려하여 견갑대 슈트와 골반대 슈트 단독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조정바 역시 장애아동의 하지의 상태에 따라 조정바의 배치를 변경하여 다양하게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사(또는 보호자)가 조정바의 비대칭적인 반복움직임으로 유발되는 장애아동의 다리의 모습을 보면서 보행사이클을 만들어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전문가인 장애아동의 보호자도 장애아동에게 정상보행을 경험시키기 위한 보행치료를 손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상 생활에서도 보행연습이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장애아동의 보행기능개선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정바의 아이디어는 전동 트레드밀에서의 장애아동의 반복적이고 자동적인 보행패턴을 발생시키는 전기적인 기계장치(Central pattern generators, CPG; 중추패턴발생기)를 만드는데 기본적인 이론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견갑대 슈트와 골반대 슈트가 결합된 본 발명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A 타입의 견갑대 슈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B 타입의 견갑대 슈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C 타입의 골반대 슈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D 타입의 골반대 슈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견갑대 조정바 및 골반대 조정바의 다양한 결합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견갑대 슈트와 골반대 슈트가 결합된 본 발명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A 타입의 견갑대 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B 타입의 견갑대 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C 타입의 골반대 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D 타입의 골반대 슈트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견갑대 조정바 및 골반대 조정바의 다양한 결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의 특징은 견갑대 슈트(100)로 구성된 것에 있다.
즉, 제1 실시예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는, 장애아동의 겨드랑이 아래쪽에서 견갑대를 감싸는 띠 형상의 견갑대 슈트(100)와, 상기 견갑대 슈트(100)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연결벨트(110)와, 상기 제1 연결벨트(110)의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 견갑대 조정바(120)로 구성된다.
장애아동이 견갑대 슈트(100)를 착용하면, 그 뒤에 서 있는 치료사는 제1 연결벨트(110)로 연결된 견갑대 조정바(120)를 잡고 키가 작은 장애아동을 위쪽으로 경사지게 잡아당기는 형태로 지탱하게 된다. 이로써 장애아동이 부담하는 체중이 감소하여 약한 근력을 보상해주게 되며, 체간을 바르게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장애아동을 안전하고 견실하게 지탱하기 위해서는 견갑대 슈트(100) 및 제1 연결벨트(110)는 신축성이 거의 없는 재질(예를 들면, 인조 피혁 등)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견갑대 슈트(100)가 신축성이 없기 때문에 띠 형태로 만든 후 양단에 스냅 파스너(일명 똑딱단추)나 지퍼 등을 부착하여 착용하기 편하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스냅 파스너와 지퍼는 힘을 적게 받는 위치, 예를 들면 견갑대 슈트(100) 후면의 중앙부에 부착되어 견갑대 조정바(120)를 당기는 힘에 의해 임의로 결속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제1 연결벨트(110)는 벨트나 멜빵, 가방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버클, 또는 스냅 파스너 등을 적용함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실시예는 또다시 2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첫 번째 형태는 4개의 제1 연결벨트(110)가 견갑대 슈트(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 각각 2개씩 연결되는 것이고(이하, 'A 타입'이라 함), 두 번째 형태는 2개의 제1 연결벨트(110)가 견갑대 슈트(100)의 후면에 연결되는 것이다(이하, 'B 타입'이라 함). A 타입의 경우 견갑대 슈트(100)의 전면에 연결된 제1 연결벨트(110)는 장애아동의 어깨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A 타입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는 견갑대 슈트(100)의 앞과 뒤에서 각각 2개씩 총 4개의 제1 연결벨트(110)로 모두 잡아주는 것이며, B 타입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는 2개의 제1 연결벨트(110)로 견갑대 슈트(100)의 뒷부분만 잡아주는 것이다. 이는 장애아동의 체간유지 능력을 고려하여 처음에는 A 타입을 착용하다가 점차적으로 체간유지 능력이 향상되면 B 타입으로 이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바스(bobath) 치료 개념에서 보았을 때, 견갑대 슈트(100)의 주요 기능은 장애아동의 체중을 감소시켜 주어서 약한 근력으로 보행을 시도하였을 때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보상작용을 줄여주고, 또한 보상작용으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인체의 기능적 변화를 감소시켜서 근골격계의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PNF(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치료 개념에서 보았을 때, 견갑대 슈트(100)의 주요 기능은 장애아동의 척추를 견인시키고 보행시 척추가 반대로 압박되는 과정을 반복시키는 과정을 통해 각각의 관절내부에 있는 고유수용성 감각기를 자극하여 마비가 있는 몸의 인식능력을 향상시켜서 올바른 자세유지와 함께 운동감각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실시예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의 특징은 골반대 슈트(200)로 구성된 것에 있다.
즉, 제2 실시예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는, 장애아동의 서혜부를 감싸는 기저귀 형태의 골반대 슈트(200)와, 상기 골반대 슈트(20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되면서 각각의 일단이 상기 골반대 슈트(200)의 전면 및 후면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벨트(210) 및 상기 제2 연결벨트(210)의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 골반대 조정바(220)로 구성된다.
기타 골반대 슈트(200) 및 제2 연결벨트(210)가 신축성이 거의 없는 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으며, 제2 연결벨트(210)에 버클이나 스냅 파스너 등이 적용될 수 있음도 마찬가지이다.
장애아동이 골반대 슈트(200)를 착용하면, 그 뒤에 서 있는 치료사는 제2 연결벨트(210)로 연결된 골반대 조정바(220)를 잡고 장애아동의 하지 운동에 맞춰 골반대 슈트(200)와 연결된 제2 연결벨트(210)를 당겨서 좌,우 골반의 비대칭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내도록 유도한다. 즉, 장애아동의 보행시 앞으로 나가는 하지 쪽의 제2 연결벨트(210)는 느슨하게 풀어주고, 반대쪽 제2 연결벨트(210)는 긴장 상태에 있도록 잡아당김으로써 골반의 움직임을 유도 및 허용하여 정상적인 보행 패턴에 따라 보행하도록 교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치료사의 손은 항상 좌우가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는 비대칭적인 움직임을 보여야 한다.
여기서, 제2 실시예는 역시 2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첫 번째 형태는 골반대 슈트(2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2개의 제2 연결벨트(210)가 연결되고, 제2 연결벨트(210)의 모든 타단이 하나의 골반대 조정바(220)에 연결되는 것이고(이하, 'C 타입'이라 함), 두 번째 형태는 골반대 슈트(2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2개의 제2 연결벨트(210)가 연결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골반대 슈트(200)의 전면 및 후면의 좌측에 연결된 제2 연결벨트(210)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1 골반대 조정바(222)와, 마찬가지로 우측의 제2 연결벨트(210)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2 골반대 조정바(224)의 2개의 분리된 골반대 조정바(220)로 구성하는 것이다(이하, 'D 타입'이라 함).
여기서 D 타입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의 제1 골반대 조정바(222)와 제2 골반대 조정바(224)는 그 사이에 견갑대 조정바(120)(여기서의 견갑대 조정바에는 제1 연결벨트의 구성은 없음)가 개재되어 H자 형상으로 연결되고, 양측의 제1/제2 골반대 조정바(222,224)는 견갑대 조정바(12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후술할 제3 실시예의 조정바의 구성에 상당함).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장애아동의 보호자도 손쉽게 좌우측의 제1/제2 골반대 조정바(222,224)가 비대칭적인 움직임을 가지도록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 타입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는 골반대 슈트(200)의 좌우 4개의 제2 연결벨트(210)가 2개의 골반대 조정바(222,224)에 연결된 구조이고, D 타입은 골반대 슈트(200)의 4개의 제2 연결벨트(210)가 1개의 골반대 조정바(220)로 모두 연결된 것인데, 장애아동의 골반과 하지 분리 운동 능력이 향상되면 C 타입의 골반대 슈트(200)를 착용하다가 장애아동의 보행능력의 향상에 맞춰 D 타입의 골반대 슈트(200)로 바꿔갈 수 있다.
보바스(bobath) 치료 개념에서 보았을 때, 골반대 슈트(200)의 주요 기능은 장애아동의 골반과 하지의 분리운동을 촉진시키면서 보행훈련을 할 수 있게 만들고, 또한 CPG(중추패턴발생기)를 촉진하는 보행을 반복적으로 동일한 강도로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PNF 치료 개념에서 보았을 때, 골반대 슈트(200)의 주요 기능은 브리타의 스케이터(skater) 패턴과 스프린터(sprinter) 패턴을 통합패턴으로 적용하여 견갑대와 골반대의 상반교대 운동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PNF의 부분적인 패턴이 아닌 통합패턴을 적용하여 PNF의 전신패턴으로 관절에 있는 고유수용성 감각기를 자극시켜서 올바른 자세유지와 함께 운동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는 견갑대 슈트(100)에 관한 제1 실시예 및 골반대 슈트(200)에 관한 제2 실시예가 통합된 결합된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3 실시예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는, 장애아동의 겨드랑이 아래쪽에서 견갑대를 감싸는 띠 형상의 견갑대 슈트(100)와, 상기 견갑대 슈트(100)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연결벨트(110)와, 상기 제1 연결벨트(110)의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 견갑대 조정바(120)와(이상, 제1 실시예에 대응), 상기 장애아동의 서혜부를 감싸는 기저귀 형태의 골반대 슈트(200)와, 상기 골반대 슈트(20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되면서 각각의 일단이 상기 골반대 슈트(200)의 전면 및 후면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벨트(210) 및 상기 골반대 슈트(200)의 전면 및 후면의 좌측에 연결된 제2 연결벨트(210)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1 골반대 조정바(222)와, 상기 골반대 슈트(200)의 전면 및 후면의 우측에 연결된 제2 연결벨트(210)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2 골반대 조정바(224)를 포함하고(이하, 제2 실시예에 대응), 상기 제1 골반대 조정바(222) 및 제2 골반대 조정바(224)가 상기 견갑대 조정바(120)의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골반대 조정바(220)로 구성되는 것이다.
각 골반대 슈트(200)와 견갑대 슈트(100), 각 연결벨트(110,210) 등의 구성과 기능, 역할 등은 전술한 실시에에서와 동일한데, 특히 1인의 담당치료사가 골반대 슈트(200)와 견갑대 슈트(100)를 동시에 조정할 수 있도록 제1 골반대 조정바(222) 및 제2 골반대 조정바(224)가 견갑대 조정바(120)의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하나의 조정바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제1 연결벨트(110)와 제2 연결벨트(210) 중의 일부에만 버클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 1에는 A 타입의 견갑대 슈트(100)와 C 타입의 골반대 슈트(200)가 복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이 외에도 B 타입의 견갑대 슈트(100)(제 연결벨트가 2개인 구성)와 C 타입의 골반대 슈트(200)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는 가장 초기의 장애아동의 보행훈련을 위하여 체간과 골반부의 제어 능력이 가장 크도록 조합된 것이고, 후자는 어느 정도 보행기능이 향상된 후 체간에 대한 구속을 완화시킨 것이다.
또한, 제3 실시예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에 의한 충분한 보행 훈련이 이루어진 후에는 견갑대 슈트(100) 없이 C 타입의 골반대 슈트(200)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욱 향상되면 D 타입의 골반대 슈트(200)만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골반대 슈트(200) 없이 단지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서 B 타입의 견갑대 슈트(100)만을 착용하여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10)는 장애아동의 보행 수준에 맞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는 것에 장점이 있는데, 더 나아가 제1 골반대 조정바(222), 제2 골반대 조정바(224) 및 견갑대 조정바(120)를 하나의 조정바로 연결하는 기본적인 형태에 약간의 변화를 줌으로써 장애아동의 하지 상태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조정바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8은 이러한 맞춤형 조정바의 가능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하지 근육의 긴장도를 고려하는 맞춤형 조정바를 보여주는 것인데, 가운데의 견갑대 조정바(120)의 길이에 차이가 있는 것이다. 장애아동의 하지 근육이 과긴장이 되면 다리가 X자 형태로 꼬이게 되고, 저긴장이 되면 다리가 좌,우로 벌어지게 된다. 도 6의 (a) 보다 (b)의 견갑대 조정바(1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데, 견갑대 조정바(12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장애아동의 하지 근육이 과긴장 상태에 있을 때 적합하다. 그래서, 장애아동의 하지 근육이 저긴장일 때에는 길이가 짧은 견갑대 조정바(120)를 사용하고, 반대로 과긴장일 때에는 길이가 더 긴 견갑대 조정바(120)를 사용함으로써 장애아동의 양다리의 간격을 조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하지 근육의 전후좌후에 대칭적이거나 비대칭적인 불균형이 있는 경우를 고려한 것인데, 도 7의 (a)는 대칭적으로 양하지 모두의 앞부분(굴곡근육)이 뒷부분(신전근육)보다 약한 전후의 불균형을 보정하기 위해 견갑대 조정바(120)를 기준으로 제1/제2 골반대 조정바(222,224)의 돌출 길이를 대칭적으로 전후가 서로 다르게 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약한 다리 근육이 있는 쪽의 조정바의 돌출길이를 짧게 하여 보행시 움직임을 상대적으로 돕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의 (b)는 전후좌우 하지의 비대칭적인 불균형을 보정하기 위해 제1 골반대 조정바(222)와 제2 골반대 조정바(224) 각각의 전후좌우의 돌출 길이를 다르게 하여 전후좌우 비대칭을 이루도록 한 것인데, 도시된 (b)는 좌측 전방근육과 우측 후방근육에 비대칭적으로 약증이 있을 때 적용할 수 있는 조정바의 구성을 예로서 그려놓은 것이다.
또한, 도 8은 제1 골반대 조정바(222) 및 제2 골반대 조정바(224)가 견갑대 조정바(120)에 대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특정근육에만 섬세한 조절장애가 있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한 맞춤형 조정바로서, 도 6과 도 7의 조정바의 특징을 하나로 복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제1 골반대 조정바(222) 및 제2 골반대 조정바(224) 사이의 전후 간격에 차이를 두어 하지 근육의 긴장도를 어느 한쪽으로 강화하고, 또한 전후 돌출 길이에 차이를 만들어 특정 근육에 주로 작용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맞춤형 조정바의 전후 방향을 바꾸어 적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100: 견갑대 슈트
110: 제1 연결벨트 120: 견갑대 조정바
200: 골반대 슈트 210: 제2 연결벨트
220: 골반대 조정바 222: 제1 골반대 조정바
224: 제2 골반대 조정바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장애아동의 겨드랑이 아래쪽에서 견갑대를 감싸는 띠 형상의 견갑대 슈트;
    상기 견갑대 슈트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연결벨트;
    상기 제1 연결벨트의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 견갑대 조정바;
    상기 장애아동의 서혜부를 감싸는 기저귀 형태의 골반대 슈트;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벨트; 및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의 좌측에 연결된 제2 연결벨트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1 골반대 조정바와,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의 우측에 연결된 제2 연결벨트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2 골반대 조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골반대 조정바 및 제2 골반대 조정바가 상기 견갑대 조정바의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골반대 조정바;
    를 포함하는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벨트는 2개이고, 상기 견갑대 슈트의 후면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벨트는 4개이고, 상기 견갑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2개씩의 제1 연결벨트가 배치되어 각각의 일단이 상기 견갑대 슈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2개의 제2 연결벨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벨트의 모든 타단이 하나의 골반대 조정바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2개의 제2 연결벨트가 연결되고,
    상기 골반대 조정바는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의 좌측에 연결된 제2 연결벨트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1 골반대 조정바 및 상기 골반대 슈트의 전면 및 후면의 우측에 연결된 제2 연결벨트의 각 타단이 연결된 제2 골반대 조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골반대 조정바 및 제2 골반대 조정바가 견갑대 조정바의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9.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골반대 조정바 및 제2 골반대 조정바가 상기 견갑대 조정바에 대해 좌우 비대칭을 이루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10.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골반대 조정바 및 제2 골반대 조정바가 상기 견갑대 조정바에 대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KR1020120097983A 2012-09-05 2012-09-05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KR101414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83A KR101414320B1 (ko) 2012-09-05 2012-09-05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83A KR101414320B1 (ko) 2012-09-05 2012-09-05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573A KR20140031573A (ko) 2014-03-13
KR101414320B1 true KR101414320B1 (ko) 2014-07-01

Family

ID=5064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983A KR101414320B1 (ko) 2012-09-05 2012-09-05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4555A1 (en) * 2021-11-10 2023-05-19 Baby Life Baby diapers containing a therapeutic (supportive) belt and a sponge br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7737A1 (en) * 2002-05-06 2003-11-06 Sherman Tatiana Y. Walking training apparatus
US6910993B1 (en) * 2003-09-15 2005-06-28 Anna Baran Device for use in teaching infants to walk
US20070142185A1 (en) * 2005-12-21 2007-06-21 Teresa Woodman Walking training apparatus
KR20110063945A (ko) * 2009-12-07 2011-06-15 (주)모아베이비 유아용 걸음마 연습 착용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7737A1 (en) * 2002-05-06 2003-11-06 Sherman Tatiana Y. Walking training apparatus
US6910993B1 (en) * 2003-09-15 2005-06-28 Anna Baran Device for use in teaching infants to walk
US20070142185A1 (en) * 2005-12-21 2007-06-21 Teresa Woodman Walking training apparatus
KR20110063945A (ko) * 2009-12-07 2011-06-15 (주)모아베이비 유아용 걸음마 연습 착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4555A1 (en) * 2021-11-10 2023-05-19 Baby Life Baby diapers containing a therapeutic (supportive) belt and a sponge br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573A (ko)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541B1 (ko) 자세 및 운동 기능의 장애 환자의 치료를 위한 장치
US7549948B2 (en) Postural support and exercise jacket
CN102470040A (zh) 姿态改善服装
US20020007133A1 (en) Upper extremity support
US20050010150A1 (en) Customizable orthotic device with adjustable support and forces
US11857395B2 (en) Triple flexion device
US20110282256A1 (en) Orthopedic shoulder system and method
JP4131873B2 (ja) 身体補装具
Regnaux et al. An accelerometry-based comparison of 2 robotic assistive devices for treadmill training of gait
US20090239723A1 (en) Foot Harness to Aid Athletic Stretching Exercises
JP6742612B1 (ja) 着用可能な歩行中の腕運動器具
CN106726373A (zh) 一种临时行走辅助机器人
KR101414320B1 (ko)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RU2289381C1 (ru) Способ нормализации мышечного тонуса у детей со спастическими формами церебрального паралича
JP2011019737A (ja) 引上げ式自力歩行用装具
RU2573535C2 (ru) Способ нейродинамической (нейросенсорной) коррекции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двигательных, позных, сенсорных и когнитивных функций у больных с патологией нервной системы и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костюм для его применения
RU2659132C1 (ru) Модульный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Moon et al. Effects of ankle plantar flexors stretching with closed kinetic chain on pelvic movements and gait speed in hemiplegia patients: a case study
KR101861040B1 (ko) 상체 운동기능을 겸비한 다기능 교정용 상의
RU2040923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пастических форм детского церебрального паралича и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3245549U (ja) 自己引き伸ばし具
JP3245549U6 (ja) 自己引き伸ばし具
RU26877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билитации детей, больных детским церебральным параличом (ДЦП)
CA2850861C (en) Device and method for passive flexibility training
KR20130001136U (ko) 자세교정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