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932A - 휜 다리 교정용 벨트 - Google Patents
휜 다리 교정용 벨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4932A KR20120034932A KR1020100096328A KR20100096328A KR20120034932A KR 20120034932 A KR20120034932 A KR 20120034932A KR 1020100096328 A KR1020100096328 A KR 1020100096328A KR 20100096328 A KR20100096328 A KR 20100096328A KR 20120034932 A KR20120034932 A KR 201200349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ding
- pieces
- wearing
- belt
- le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휜 다리 교정용 벨트는 골반의 후방 변위로 인해 대퇴골이 내회전하면서 무릎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 "O"자형 다리와 같은 휜 다리 교정용 벨트로서, 양다리의 무릎 위 각 대퇴부에 둘러매기 위한 복수의 착용벨트; 복수의 착용벨트 각각의 일측에 복수의 제1 연결띠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암버클; 복수의 착용벨트 각각의 다른 일측에 복수의 제2 연결띠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수버클; 제2 연결띠에 일단이 결속되고 평면 상에 다수의 연속하는 이빨을 가지며 복수의 착용벨트의 착용시 사용자의 대퇴부에 둘러지면서 상호 이웃하는 착용벨트에 결속되는 조임띠; 복수의 착용벨트가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호 이웃하는 착용벨트의 조임띠와 나란하도록 복수의 착용벨트 각각의 평면 일측에 배치되고 조임띠가 삽입되면 조임띠를 당겨 조이기 위한 당김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O"자형으로 다리가 휘어진 교정이 필요한 사람의 양다리의 대퇴부에 착용하여 양다리의 대퇴부 각각에 착용된 착용벨트가 외측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교정과정을 반복 실시하여 내회전된 대퇴부를 정상 각도로 회복시켜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대형의 기구물을 필요로하지 않고 착용벨트를 양다리의 대퇴부에 착용하여 조임끈을 당기는 동작만으로 대퇴부를 외회전시켜서 대퇴부가 정상 각도로 복원되도록 하는 교정 작업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고,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도 휜 다리의 교정 과정을 실시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휜 다리 교정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O"자형으로 휜 다리를 교정하기 위한 휜 다리 교정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휜 다리(Bow-legs, Knock-knees)이라 함은, 오다리("O"자형 다리) 또는 안장다리로 흔히 알려져 있으며 무릎 사이가 벌어져 보이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신체적 변형은 무릎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무릎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엉덩이관절(Coxa, 고관절)을 비롯하여 골반(骨盤, Pelvis)과 발목관절에서도 변형이 나타나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골반과 하체를 연결해 주고 있는 고관절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면, 허벅지를 이루고 있는 대퇴골(大腿骨, Femur)이 틀어지는 원래의 정렬상태가 깨지게 되어 이와 연결된 무릎관절(Knee joint, 슬관절)에도 변화가 일어나 결국에는 두 슬관절이 활처럼 휘어 다리가 벌어져 보이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발목에도 영향을 주어 발끝이 안쪽을 향해 틀어져 안장 걸음을 걷게 된다.
참고로, 출산 직후의 신생아들은 모두 "O"자형 다리를 가진다. 그러나, 2세 정도로 신체가 성장하면 곧은 다리가 되었다가, 2세부터 6세까지는 약간의 "X"자형 다리를 가지게 되고, 대략 4세에서 6세 정도부터 곧은 다리를 회복한다. 이러한 양다리의 형태변화는, 아래의 그림 [나이에 따라 변화하는 다리의 일직선 모습]을 참조하기로 한다.
[나이에 따라 변화하는 다리의 일직선 모습]
허나, 휜 다리가 나타날 나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 휜 다리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우리 몸이 정상적이지 못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몸 스스로가 휜 다리를 만들었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 몸의 정상적이지 못한 변화를 고쳐주기만 한다면 자연스럽게 정상적인 다리 형태를 회복할 수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휜 다리가 단순히 신체적인 변형 정도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신체의 올바르지 못한 정렬은 "부정렬증후군"이라 하여 두발로 섰을 때 체중부하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으로 더 많은 부하를 받는 해당 관절이 빠른 퇴행성 변화와 함께 통증을 함께 유발한다. 또한, 척추의 만곡에도 영향을 주어 "척추후만증(脊椎後彎症)"이 나타날 수 있으며 평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신체적인 질병유발의 문제로써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성들에게 있어 간과할 수 없는 외모적 콤플렉스(Complex)와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로 이어진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0-20대 여성들 10명 중 절반 이상은 "O"자형 다리를 가지고 있으나, 만만치 않은 치료비용 및 치료시간 등등의 여건 때문에 상당수가 교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휜 다리 교정을 위해 최근까지 다양한 휜 다리 교정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휜 다리 교정기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는 중, 대형의 휜 다리 교정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따라, 휜 다리 교정기를 통상적으로 정해진 장소, 즉 병원의 물리치료실 등과 같은 정해진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었으며,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므로 작동 기능을 숙지하여야만 휜 다리 교정기를 사용할 수 있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휜 다리의 교정 실시과정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도 휜 다리의 교정 과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휜 다리 교정용 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는 골반의 후방 변위로 인해 대퇴골이 내회전하면서 무릎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 "O"자형 다리와 같은 휜 다리 교정용 벨트로서, 양다리의 무릎 위 각 대퇴부에 둘러매기 위한 복수의 착용벨트; 상기 복수의 착용벨트 각각의 일측에 복수의 제1 연결띠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암버클; 상기 복수의 착용벨트 각각의 다른 일측에 복수의 제2 연결띠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수버클; 상기 제2 연결띠에 일단이 결속되고 평면 상에 다수의 연속하는 이빨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착용벨트의 착용시 사용자의 대퇴부에 둘러지면서 상호 이웃하는 착용벨트에 결속되는 조임띠; 상기 복수의 착용벨트가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호 이웃하는 착용벨트의 조임띠와 나란하도록 상기 복수의 착용벨트 각각의 평면 상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임띠가 삽입되면 상기 조임띠를 당겨 조이기 위한 당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당김 부재가 상기 착용벨트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며 좌측 및 우측에 제1 리브를 형성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제1 리브에 하단 좌, 우측이 핀체결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되는 당김 레버,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도록 좌, 우측의 수직면 및 수직면 사이의 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당김 레버의 내측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수직면이 상기 당김 레버의 좌, 우측면에 핀체결되고 상기 당김 레버의 회동시 상기 당김 레버를 따라 전, 후로 이동되는 제1 결속편, 상기 제1 결속편과 동축 체결되어 상기 제1 결속편의 상측에서 상기 제1 결속편과 상, 하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결속편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상기 조임띠의 이빨에 선단이 치합되며 상기 당김 레버의 회동시 상기 당김 레버를 따라 전, 후로 이동되는 제2 결속편, 상기 제1 결속편 및 상기 제2 결속편과 체결된 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결속편 및 상기 제2 결속편 각각의 선단이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결속편 및 상기 제2 결속편을 핀 상에 탄설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벨트 상에서 상기 당김 부재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당김 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당김 부재에 의해 당겨지는 상기 조임띠의 당겨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는 상기 고정편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2 리브, 상기 제2 리브에 핀체결되어 상, 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조임띠가 상기 당김 부재에 체결될 때 상기 조임띠의 이빨에 선단이 치합되는 제3 결속편, 상기 제3 결속편을 상기 제2 리브에 체결하는 핀에 체결되어 상기 제3 결속편을 상기 핀 상에 탄설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에 의하면, "O"자형으로 다리가 휘어진 교정이 필요한 사람의 양다리의 대퇴부에 착용하여 양다리의 대퇴부 각각에 착용된 착용벨트가 외측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교정과정을 반복 실시하여 내회전된 대퇴부를 정상 각도로 회복시켜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대형의 기구물을 필요로하지 않고 착용벨트를 양다리의 대퇴부에 착용하여 조임끈을 당기는 동작만으로 대퇴부를 외회전시켜서 대퇴부가 정상 각도로 복원되도록 하는 교정 작업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고,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도 휜 다리의 교정 과정을 실시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가 대퇴부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의 조임띠의 조임 및 풀림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가 대퇴부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의 조임띠의 조임 및 풀림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휜 다리 교정용 벨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가 대퇴부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의 조임띠의 조임 및 풀림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는 복수의 착용벨트(11, 12), 상기 복수의 착용벨트(11, 12) 각각에 구비되는 암버클(13, 14), 수버클(15, 16), 조임띠(21, 22), 당김 부재(31, 32)를 포함한다.
복수의 착용벨트(11, 12)는 제1 착용벨트(11) 및 제2 착용벨트(12)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대퇴부에 감싸질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며, 외피(11a, 12a)와, 외피(11a, 12a) 내의 쿠션재(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암버클(13, 14)은 착용벨트(11, 12)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어 좌, 우 한쌍을 이루는 제1 암버클(13) 및 제2 암버클(14)로 구성되며, 착용벨트(11, 12)의 일측에 고정된 좌, 우 한쌍의 제1 연결띠(17, 17')에 결속되어 착용벨트(11, 12)와 연결되어 있다.
수버클(15, 16)은 착용벨트(11, 12) 각각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좌, 우 한쌍을 이루는 제1 수버클(15) 및 제2 수버클(16)로 구성되며, 착용벨트(11, 12)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 좌, 우 한쌍의 제2 연결띠(18, 18')에 결속되어 착용벨트(11, 12)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암버클(13, 14) 및 수버클(15, 16)은 착용벨트(11, 12)가 사용자의 대퇴부에 둘러진 상태에서 상호 체결되어 착용벨트(11, 12)가 사용자의 대퇴부에 둘러져 착용되도록 한다.
조임띠(21, 22)는 수버클(15, 16)이 결속된 제2 연결띠(18, 18')에 일단이 결속되어 착용벨트(11, 12)들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조임띠(21) 및 제2 조임띠(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평면상에 다수의 연속하는 이빨(21a, 22a)을 형성하고 있다.
당김 부재(31, 32)는 복수의 착용벨트(11, 12) 각각의 평면 상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착용벨트(11, 12)를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할 때 상호 이웃하는 착용벨트(11, 12)의 조임띠(21, 22)와 나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당김 부재(31, 32)는 착용벨트(11, 12)가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호 이웃하는 착용벨트(11, 12)의 조임띠(21, 22)를 당겨 조이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착용벨트(11, 12)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당김 부재(31) 및 제2 당김 부재(32)로 구성되며, 고정편(35, 35'), 당김 레버(36, 36'), 제1 결속편(37, 37'), 제2 결속편(38, 38'), 비틀림 스프링(S1)을 포함한다.
고정편(35, 35')은 복수의 착용벨트(11, 12) 각각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고, 후술할 당김레버(36, 36') 및 제3 결속편(39, 39')을 체결하기 위하여 전방측의 제1 리브(35a, 35a') 및 후방측의 제2 리브(35b, 35b')를 형성하고 있다.
당김 레버(36, 36')는 고정편(35, 35')의 제1 리브(35a, 35a')에 좌, 우측이 핀(P1)체결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1 결속편(37, 37')은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도록 좌, 우측의 수직면(37a, 37a') 및 수직면(37a, 37a') 사이의 수평면(37b, 37b')을 가지며, 당김 레버(36, 36')의 내측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수직면(37a, 37a')이 당김 레버(36, 36')의 좌, 우측면에 핀(P2, P2')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결속편(37, 37')은 당김 레버(36, 36')와 체결되므로 당김 레버(36, 36')의 회동시 당김 레버(36, 36')를 따라 전, 후로 이동된다.
제2 결속편(38, 38')은 제1 결속편과 동축 체결되어 제1 결속편(37, 37')의 상측에서 제1 결속편(37, 37')과 상, 하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 결속편(38, 38')은 제1 결속편(37, 37')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조임띠(21, 22)의 이빨(21a, 22a)에 선단이 치합되며, 제1 결속편(37, 37')과 함께 동축 체결에 의해 당김 레버(36, 36')에 체결되므로 당김 레버(36, 36')의 회동시 당김 레버(36, 36')를 따라 전, 후로 이동된다.
비틀림 스프링(S1)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제1 결속편(37, 37') 및 제2 결속편(38, 38')과 체결된 핀(P2, P2')에 체결되어 제1 결속편(37, 37') 및 제2 결속편(38, 38') 사이에서 핀(P2)의 일측 단부측으로 배치되며, 제1 결속편(37, 37') 및 제2 결속편(38, 38') 각각의 선단이 상호 밀착되도록 제1 결속편(37, 37') 및 제2 결속편(38, 38')을 핀(P2, P2') 상에 탄설한다.
한편, 복수의 착용벨트(11, 12) 각각에는 당김 부재(31, 32)들에 의해 당겨지는 조임띠(21, 22)의 당겨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3, 34)가 구비되어 있다.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3, 34)는 당김 부재(31, 32)들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3) 및 제2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4)로 구성되며, 당김 부재(31, 32)들에 의해 당겨지는 조임띠(21, 22)들의 당겨진 상태를 고정한다.
이러한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3, 34)는 고정편(35, 35')의 후방에 형성된 제2 리브(35b, 35b')와, 제3 결속편(39, 39'), 비틀림 스프링(S2)을 포함한다.
제3 결속편(39, 39')은 제2 리브(35b, 35b')에 핀(P3)체결되어 상, 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조임띠(21, 22)가 당김 부재(31, 32)에 체결될 때 조임띠(21, 22)의 이빨(21a, 22a)에 선단이 치합된다.
비틀림 스프링(S2)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제3 결속편(39, 39')을 제2 리브(35b, 35b')에 체결하는 핀(P3)에 체결되어 핀(P3)의 일측의 단부측으로 배치되고, 제3 결속편(39, 39')을 핀(P3) 상에 탄설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의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부각되도록 사용 상태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휜 다리 교정의 실시를 위한 사용자가 침대 또는 테이블에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양 대퇴부에 제1 착용벨트(11) 및 제2 착용벨트(12)를 두른 후 각 착용벨트(11, 12)의 암버클(13, 14) 및 수버클(15, 16)을 상호 체결하여 사용자의 양 대퇴부에 착용벨트(11, 12)를 고정하여 도 2와 같이 착용한다. 이때, 각 착용벨트(11, 12)들에 구비된 제1 당김 부재(31) 및 제2 당김 부재(32)는 상측에 놓인다.
이후 제1 착용벨트(11)에 구비된 제1 조임띠(21)을 사용자의 양 대퇴부 아래로 두르면서 선단이 제2 착용벨트(12)의 제2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4)에 대응되도록 하고, 제1 조임띠(21)를 제2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4) 내측으로 삽입한다. 이때, 제2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4)의 제3 결속편(39')의 선단이 도 3과 같이 제1 조임띠(21)의 이빨(21a)에 치합되면서 제1 조임띠(21)가 삽입된다.
이어서 제2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4)를 통과한 제1 조임띠(21)의 선단을 제2 착용벨트(12)의 제2 당김 부재(32)의 제1 결속편(37') 및 제2 결속편(38') 사이로 삽입하고, 사용자 이외의 휜 다리 교정 유도자가 제2 당김 부재(32)의 당김 레버(36')를 전방측으로 반복적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제2 결속편(38')의 선단은 도 3과 같이 제1 조임띠(21)의 이빨(21a)들에 치합되며, 제1 결속편(38')의 선단이 제1 조임띠(21)의 이빨(21a)의 수직면(21a-1)에 대응되어 치합된 상태에서 당김 레버(36')를 전방측으로 당기면 도 4와 같이 제1 결속편(37') 및 제2 결속편(38')이 당김 레버(36')를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제1 결속편(37') 및 제2 결속편(38')을 물고 전진되어 제1 조임띠(21)를 전진시킨다.
그리고 당김 레버(36')를 후방측으로 회동시키면 전방으로 전진된 제1 조임띠(21)는 제2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4)의 제3 결속편(39')의 선단이 제1 조임띠(21)의 이빨(21a)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1 결속편(37') 및 제2 결속편(38')은 당김 레버(36')를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2 당김 부재(32)의 당김 레버(36')를 전, 후로 반복적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제1 조임띠(21)가 제2 당김 부재(32)에 조여지면서 제1 착용벨트(11)가 제1 조임띠(21)의 조임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제1 착용벨트(11)가 착용된 사용자의 대퇴부를 외회전시킨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2 착용벨트(12)의 제2 조임띠(22)를 제1 착용벨트(11)의 제1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3) 및 제1 당김 부재(31)에 삽입하여 제1 당김 부재(31)의 당김 레버(36)를 전, 후로 반복적으로 회동시키면서 조임에 따라 제2 착용벨트(12)가 제2 조임띠(22)의 조임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에 의해 제2 착용벨트(12)가 착용된 사용자의 대퇴부가 외회전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착용벨트(11, 12)를 사용자의 양 대퇴부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양대퇴부를 외회전시킨 상태로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벨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내회전된 양 대퇴부를 외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 "O"자형으로 휘어진 다리를 교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양 대퇴부에 착용된 착용벨트(11, 12)를 풀기 위하여는, 착용벨트(11, 12) 각각의 제1 당김 부재(31) 및 제2 당김 부재(32)의 당김 레버(36, 36')를 후방측으로 누르면 당김 레버(36, 36')의 끝단측이 후방에 배치된 제1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3) 및 제2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4)의 제3 결속편(39, 39')을 누르게 된다.
이때, 당김 레버(36, 36')를 따라 제1 결속편(37, 37') 및 제2 결속편(38, 38')이 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도 5와 같이 제2 결속편(38, 38')의 선단이 조임띠(21, 22)의 이빨(21a, 22a)에서 이격되고, 이와 동시에 제3 결속편(39, 39')의 선단이 조임띠(21, 22)의 이빨(21a, 22a)에서 이격되어 조임띠(21, 22)들을 당김 부재(31, 32) 및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3, 34)들로부터 인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임띠(21, 22)가 분리된 후 착용벨트(11, 12)를 고정하는 암버클(13, 14) 및 수버클(15, 16)들을 분리하여 착용벨트(11, 12)를 사용자의 양 대퇴부에서 분리한다.
11, 12 : 착용벨트 11a, 12a : 외피
13, 14 : 암버클 15, 16 : 수버클
17, 17' : 제1 연결띠 18, 18' : 제2 연결띠
21, 22 : 조임띠 21a, 22a : 이빨
31, 32 : 당김 부재 33, 34 :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
35, 35' : 고정편 35a, 35a' : 제1 리브
35b, 35b' : 제2 리브 36, 36' : 당김 레버
37, 37' : 제1 결속편 38, 38' : 제2 결속편
39, 39' : 제3 결속편 P1, P1', P2, P2', P3, P3' : 핀
S1, S2 : 비틀림 스프링
13, 14 : 암버클 15, 16 : 수버클
17, 17' : 제1 연결띠 18, 18' : 제2 연결띠
21, 22 : 조임띠 21a, 22a : 이빨
31, 32 : 당김 부재 33, 34 :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
35, 35' : 고정편 35a, 35a' : 제1 리브
35b, 35b' : 제2 리브 36, 36' : 당김 레버
37, 37' : 제1 결속편 38, 38' : 제2 결속편
39, 39' : 제3 결속편 P1, P1', P2, P2', P3, P3' : 핀
S1, S2 : 비틀림 스프링
Claims (3)
- 골반의 후방 변위로 인해 대퇴골이 내회전하면서 무릎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 "O"자형 다리와 같은 휜 다리 교정용 벨트로서,
양다리의 무릎 위 각 대퇴부에 둘러매기 위한 복수의 착용벨트(11, 12);
상기 복수의 착용벨트(11, 12) 각각의 일측에 복수의 제1 연결띠(17, 17')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암버클(13, 14);
상기 복수의 착용벨트(11, 12) 각각의 다른 일측에 복수의 제2 연결띠(18, 18')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수버클(15, 16);
상기 제2 연결띠(18, 18')에 일단이 결속되고 평면 상에 다수의 연속하는 이빨(21a, 22a)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착용벨트(11, 12)의 착용시 사용자의 대퇴부에 둘러지면서 상호 이웃하는 착용벨트(11, 12)에 결속되는 조임띠(21, 22);
상기 복수의 착용벨트(11, 12)가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호 이웃하는 착용벨트(11, 12)의 조임띠(21, 22)와 나란하도록 상기 복수의 착용벨트(11, 12) 각각의 평면 상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임띠(21, 22)가 삽입되면 상기 조임띠(21, 22)를 당겨 조이기 위한 당김 부재(31, 32)를 포함하는 휜 다리 교정용 벨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부재(31, 32)가
상기 착용벨트(11, 12)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며 좌측 및 우측에 제1 리브(35a)를 형성하는 고정편(35, 35'),
상기 고정편(35, 35')의 제1 리브(35a)에 하단 좌, 우측이 핀(P1, P1')체결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되는 당김 레버(36, 36'),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도록 좌, 우측의 수직면(37a, 37a') 및 수직면(37a, 37a') 사이의 수평면(37b, 37b')을 가지며 상기 당김 레버(36, 36')의 내측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수직면(37a, 37a')이 상기 당김 레버(36, 36')의 좌, 우측면에 핀(P2, P2')체결되고 상기 당김 레버(36, 36')의 회동시 상기 당김 레버(36, 36')를 따라 전, 후로 이동되는 제1 결속편(37, 37'),
상기 제1 결속편(37, 37')과 동축 체결되어 상기 제1 결속편(37, 37')의 상측에서 상기 제1 결속편(37, 37')과 상, 하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결속편(37, 37')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상기 조임띠(21, 22)의 이빨(21a, 22a)에 선단이 치합되며 상기 당김 레버(36, 36')의 회동시 상기 당김 레버(36, 36')를 따라 전, 후로 이동되는 제2 결속편(38, 38'),
상기 제1 결속편(37, 37') 및 상기 제2 결속편(38, 38')과 체결된 핀(P2, P2')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결속편(37, 37') 및 상기 제2 결속편(38, 38') 각각의 선단이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결속편(37, 37') 및 상기 제2 결속편(38, 38')을 핀(P2, P2') 상에 탄설하는 비틀림 스프링(S1)을 포함하는 휜 다리 고정용 벨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벨트(11, 12) 상에서 상기 당김 부재(31, 32)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당김 부재(31, 32)와 체결되어 상기 당김 부재(31, 32)에 의해 당겨지는 상기 조임띠(21, 22)의 당겨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3, 3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임띠 풀림 방지 부재(33, 34)는
상기 고정편(35, 35')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2 리브(35b, 35b'),
상기 제2 리브(35b, 35b')에 핀(P3, P3')체결되어 상, 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조임띠(21, 22)가 상기 당김 부재(31, 32)에 체결될 때 상기 조임띠(21, 22)의 이빨(21a, 22a)에 선단이 치합되는 제3 결속편(39, 39'),
상기 제3 결속편(39, 39')을 상기 제2 리브(35b, 35b')에 체결하는 핀(P3, P3')에 체결되어 상기 제3 결속편(39, 39')을 상기 핀(P3, P3') 상에 탄설하는 비틀림 스프링(S2)을 포함하는 휜 다리 교정용 벨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6328A KR101207880B1 (ko) | 2010-10-04 | 2010-10-04 | 휜 다리 교정용 벨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6328A KR101207880B1 (ko) | 2010-10-04 | 2010-10-04 | 휜 다리 교정용 벨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4932A true KR20120034932A (ko) | 2012-04-13 |
KR101207880B1 KR101207880B1 (ko) | 2012-12-04 |
Family
ID=4613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6328A KR101207880B1 (ko) | 2010-10-04 | 2010-10-04 | 휜 다리 교정용 벨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788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0516B1 (ko) * | 2013-04-22 | 2015-04-10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
CN117323086A (zh) * | 2023-11-24 | 2024-01-02 | 广州南医宜康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 一种整形外科用腿部矫正器及其矫正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7360A (ko) | 2019-08-08 | 2021-02-17 | 주식회사 쉬즈원 | 다리벨트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16890A (ja) * | 1999-12-06 | 2000-11-21 | Ikko:Kk | O脚矯正用ベルト及びo脚矯正方法 |
-
2010
- 2010-10-04 KR KR1020100096328A patent/KR1012078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0516B1 (ko) * | 2013-04-22 | 2015-04-10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앉은 자세 개선을 위한 재활 벨트 |
CN117323086A (zh) * | 2023-11-24 | 2024-01-02 | 广州南医宜康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 一种整形外科用腿部矫正器及其矫正方法 |
CN117323086B (zh) * | 2023-11-24 | 2024-02-23 | 广州南医宜康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 一种整形外科用腿部矫正器及其矫正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7880B1 (ko) | 2012-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8778B1 (ko) |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 |
JP3740638B2 (ja) | 膝ブレ−ス | |
WO2003065942A1 (en) | Joint brace with limb-conforming arcuately adjustable cuffs | |
KR100831145B1 (ko) | 무릎관절 견인장치 | |
JP7211645B2 (ja) | 男性用機能性パンツ | |
KR101207880B1 (ko) | 휜 다리 교정용 벨트 | |
KR101097925B1 (ko) | 무릎보조기 | |
US8435202B2 (en) | Hip, groin, and thigh support device | |
JP2022542615A (ja) | 曲がった脚変形に対する下部体形及び歩行矯正用圧迫衣類 | |
CN107714254B (zh) | 脊椎侧弯矫正衣 | |
JP3850533B2 (ja) | 腹部サポーター | |
KR20200025903A (ko) | 자세교정벨트 | |
JP7327807B2 (ja) | 農業用アシストスーツ | |
KR20120116264A (ko) | 자세교정용 밴드 | |
JP6116289B2 (ja) | 妊婦帯 | |
JP3204454U (ja) | 腰周り締付けベルト | |
KR101182719B1 (ko) | 무릎관절 교정기 | |
KR200481414Y1 (ko) | 임산부용 복대 | |
JP6296811B2 (ja) | 腰用サポータ | |
US20170273815A1 (en) | Waist supporter structure with an auxiliary belt | |
KR101257679B1 (ko) |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 |
JP3179553U (ja) | 外反母趾及び偏平足の矯正具 | |
KR20170004515A (ko) | 척추 측만증 교정장치 | |
KR100563511B1 (ko) | 착석자세 교정장치 | |
KR200382803Y1 (ko) |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 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