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925B1 - 무릎보조기 - Google Patents

무릎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925B1
KR101097925B1 KR1020090028476A KR20090028476A KR101097925B1 KR 101097925 B1 KR101097925 B1 KR 101097925B1 KR 1020090028476 A KR1020090028476 A KR 1020090028476A KR 20090028476 A KR20090028476 A KR 20090028476A KR 101097925 B1 KR101097925 B1 KR 101097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thigh
knee
fixing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084A (ko
Inventor
유실근
Original Assignee
유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실근 filed Critical 유실근
Priority to KR1020090028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92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34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orthogonal piv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대퇴부 및 하퇴부에의 고정 장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각자 신체 조건에 정확하게 맞도록 압박부재를 조정하여 착용할 수 있고 보행시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무릎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무릎보조기를 대퇴부와 하퇴부에 고정하는 상하부 압박부재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그의 양단의 내외 표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호형고정돌기들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좌우 대퇴부 및 하퇴부 지지부재에는 가장 끝단부의 내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호형고정돌기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상하 고정부를 형성하되, 상기 상하 고정부는 각기 상기 내측의 호형고정돌기를 수용하는 호 형상의 베이스수용홈과 복수개의 ㄱ 자형 체결구멍 및 걸림턱을 구비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수용홈에 대응되어 상기 외측의 호형고정돌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호 형상의 수용홈과 상기 각각의 ㄱ 자형 체결구멍에 끼워진 후 슬라이드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ㄴ 자 형상의 복수개의 슬라이드 돌기들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덮도록 체결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상기 상하부 압박부재의 일부 호형고정돌기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릎보조기, 상하부 압박부재, 복수개의 호형고정돌기, 베이스부, 덮개부

Description

무릎보조기{Knee Axiliary Machinery}
본 발명은 무릎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십자인대가 파손이나 손상된 상태에서 하퇴가 뒤쪽으로 빠져 2차적인 손상, 즉 좌측십자인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퇴 정강이를 뒤쪽에서 밀어 지지해 주기 위한 분야에 적용되는 후방십자인대 보강기능을 갖는 무릎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인체의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사이의 연골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어 상당한 통증을 가져오는 질병으로서, 특히나 상체의 하중을 집중적으로 받는 무릎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행시에 상당한 고통을 느끼게 됨은 물론, 무릎운동에 제약을 받게 되는 데, 인체의 무릎 부위에는 전방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후방십자인대(PCL;Posterior Cruciate Ligament), 좌측십자인대 및 우측십자인대가 위치되어 있어, 이중에서 후방십자인대의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되면, 무릎을 굽히거나 펴는 과정에서 하퇴의 정강이 상부측이 뒤쪽으로 빠지는 현상, 즉 발목에서 무릎까지 이어지는 축(Alignment)이 고관절(Hip)에서 무릎까지 이어지는 축으로부터 정강이 상부측이 뒤쪽으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방십자인대가 손상 또는 파손된 상태에서 무릎을 계속하게 사용하면, 그 인접된 좌측십자인대가 2차적인 손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후방십자인대가 손상 또는 파손된 환자를 위한 무릎 보조기를 착용하여 하퇴의 정강이 상부측이 뒤쪽으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2차적인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무릎 보조기가 필요하였다.
이처럼 무릎은 대퇴골을 경골에 결합시키고 인대 및 연골에 의해 제어된다. 대퇴골과 경골은 연골을 가로질러 접촉하고, 무릎의 각 측면에 소위 구획 또는 공간이 있다. 무릎의 안쪽에 내측 구획이 위치하며 무릎의 바깥쪽에 외측 구획이 위치한다. 건강한 무릎 관절은 내측과 외측에서의 압력 분포가 균등하다.
내측 구획 또는 외측 구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독 구획의 골관절염은 무릎에 기계적인 기능 장애를 초래할 것이며, 이에 의해 무릎에서 교차하는 압력 분포가 불균등하게 되므로, 내측 구획의 골관절염으로 무릎 관절의 안쪽이나, 외측 골관절염으로 무릎 관절의 바깥쪽에 과도한 마모가 발생한다. 단독 구획의 골관절염은 상해 또는 노화로 인해 유발될 수 있다. 질병이 촉진되면서 대퇴골 및 경골 사이의 공간이 감소된다. 이 문제는 공간이 없어져 대퇴골이 경골과 접촉하게 되는 정도까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경골이 침식될 수 있다.
질병으로 인하여 대퇴골 및 경골 사이의 정상 각도가 변화하게 된다. 발뒤꿈치 스트라이크에 대한 외측 추력은 종종 대퇴골 및 경골의 오정렬을 증가시키게 된 다. 이는 무릎 관절에 악영향을 미치고 경골의 침식을 두드러지게 하면서 반대편의 인대를 스트레칭시키는 경향이 있다. 추가의 문제는 구획 사이의 공간이 감소됨에 따라 회전 약화(slackness)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인대의 연결점이 골 저하와 함께 더욱 밀접하게 움직임에 따른 인대의 약화에 의해 야기된다.
이에 따라 무릎 관절을 보호하기 위하여 무릎 관절에 대한 다양한 교정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무릎 보조기의 한 유형은 양측성 포지티브 힌지 연결, 즉 외측 및 내측 힌지 메카니즘을 포함하여 무릎 관절이 다소간 자연스럽게 동작하게 할 뿐 아니라, 보행 등에 따른 고통을 경감시키기에 바람직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그러나, 외측 및 내측 힌지 메카니즘으로 인해, 정면에서 교정 장치를 내반 또는 외반으로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른 유형의 교정 장치는 편측성 무릎 관절이며, 편측성 힌지 메카니즘을 갖는 이러한 예는 US 5,277,698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무릎 보조기에서, 시상 조정은 원형 힌지 요소를 포함하는 힌지 요소의 사용을 통해 가능하다. 무릎 보조기는 무릎을 가로질러 단단하게 조여질 수 있는 크로스-스트랩(cross-strap)에 의해 무릎에 힘을 실을 수 있다. 또한 무릎 보조기는 다축 힌지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편측성 무릎 관절의 다른 예는 US 5,458,565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무릎 보조기에서, 복원력은 힌지 어셈블리와 무릎 관절 사이에 위치하여 팽창과 수축을 가능하게 하는 유체 함유 패드와 함께 회전 힌지 어셈블리의 사용을 통해 획득된다. 복원력은 패드의 선택적인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또한 무릎 보조기는 다축 기어 힌지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무릎 보조기의 문제점은 다축 힌지 메카니즘이 무릎 관절을 가장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게 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또한, 크로스-스트랩뿐 아니라 유체 함유 패드는 부피가 크며 정확한 교정력을 제공하기 어렵다.
또 다른 무릎보조기가 한국특허등록 제 10-0630891호에 개시되어 있는 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 보조기(100)가 제 1 지지대(102)의 일단과 제 2지지대(108)의 일단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있으며, 그 축 결합된 부위의 제 1 지지대(102)와 제 2 지지대(108)의 각 단부에는 회전각도 조절구(114)(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회전각도 조절구(114)에는 제 1 지지대(102)와 제 2 지지대(108)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부품들이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지지대(102)의 전방에는 대퇴 압박부(104)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 1 밴드(106)가 해제/ 결속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지지대(108)의 전방에는 하퇴 압박부(11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 2 밴드(112)가 형성되나, 하퇴 압박부(110)와 제 2 밴드(112)가 서로 반대 위치로 바꿀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제 1 지지대(102)와 제 2 지지대(108)는 인체의 다리에 착용할수 있도록 한쪽면이 반구형으로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대(102)와 제 2 지지대(108)의 일측에는 제 1 밴드(106)의 제 1 고정고리(106a)와 제 2 밴드(112)의 제 2 고정고리(112a)가 각각 설치되고 제 1 지지대(102), 제 2 지지대(108), 제 1 밴드(106) 및 제 2 밴드(112)에는 매직 테이프(MT)와 같은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어 도시된 바와 같이, 하퇴 압박부(110)는 상기 제 2 지지대(10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또한 하퇴 압박부(110)의 내측면과 상기 제 2 지지대(108)의 외측면에는 매직 테이프(MT)가 마련되어 있어, 압박부(104)(110)와 밴드(106)(112)를 통해 각각 각각 대퇴부와 하퇴부에 고정 부착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들에 의하면 보조기를 하퇴부 및 대퇴부에 고정 부착하는 수단으로 벨크로테잎의 밴드 등을 사용하게 됨으로서 장착이 견고하지 못해 보조기가 정위치에 있지 아니하고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대퇴압박부와 크로스-스트랩 등의 고정부착 수단이 개인별로 각기 다른 대퇴부와 하퇴부의 신체 사이즈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해 착용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1 지지대(102)와 제 2 지지대(108)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부품들이 형성되어 있을 뿐 환자가 무릎을 구부렸다 펼칠 때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아무런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퇴부 및 하퇴부에의 고정 장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각자 신체 조건에 정확하게 맞도록 압박부재를 조정하여 착용할 수 있고 보행시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의 무릎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릎보조기는 무릎 관절 상부로 대퇴부의 양측을 밀착하여 지지하는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와,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의 하단에 힌지로 회동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 상부링크와, 상기 좌우 상부링크의 하단에 무릎관절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중앙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하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에 힌지로 회동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무릎관절 하부로 하퇴부의 양쪽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와,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대퇴부의 전면을 압박하는 상부 압박부재와,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대퇴부의 후면을 압박하는 상부 벨트부재와, 상기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하퇴부의 전면을 압박하는 하부 압박부재와, 상기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하퇴부의 후면을 압박하는 하부 벨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릎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압박부재는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그의 양단의 내외 표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호형고정돌기들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좌우 대퇴부 및 하퇴부 지지부재에는 상기 가장 끝단부의 내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호형고정돌기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상하 고정부를 형성하되, 상기 상하 고정부는 각기 상기 내측의 호형고정돌기를 수용하는 호 형상의 베이스수용홈과 복수개의 ㄱ 자형 체결구멍 및 걸림턱을 구비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수용홈에 대응되어 상기 외측의 호형고정돌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호 형상의 수용홈과 상기 각각의 ㄱ 자형 체결구멍에 끼워진 후 슬라이드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ㄴ 자 형상의 복수개의 슬라이드 돌기들을 구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상기 상하부 압박부재의 일부 호형고정돌기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덮개부에는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요철 형상의 마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의 상단 사이에 얇은 판상의 플라스틱 탄성 스트립을 복수개 적층시켜 형성한 탄성스프링의 상하 양단부를 요홈에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무릎을 구부리는 것에 연동하여 상하 링크부재가 구부러질 때 탄성스프링도 함께 구부러졌다가 구부린 무릎을 펼치게 되면, 탄성스프링이 내부에 축적하였던 탄성력에 의해 일직선으로 펼쳐지게 됨으로써 무릎의 원상 복귀를 돕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릎보조기의 압박부재가 유연성 있는 합성수지(고무재를 포함하는 의미임)로 형성되어 늘어짐 없이 대퇴부와 하퇴부를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더우기 압박부재의 호형고정돌기들을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일부를 절개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신체 조건에 정확하게 맞추어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탄성스프링의 구비로 무릎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무릎보조기(1)는 무릎 관절 상부로 대퇴부(2)의 양측을 밀착하여 지지하는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3)와,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3)의 하단에 힌지(4)로 회동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 상부링크(5)와, 상기 좌우 상부링크(5)의 하단에 무릎관절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중앙힌지부(6)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하부링크(7)와, 상기 하부링크(7)에 힌지(8)로 회동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무릎관절 하부로 하퇴부(9)의 양쪽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10)와,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3) 사이를 연결하여 대퇴부(2)의 전면을 압박하는 상부 압박부재(11)와,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3) 사이를 연결하여 대퇴부(2)의 후면을 압박하는 상부 벨트부재(12)와, 상기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10) 사이를 연결하여 하퇴부(9)의 전면을 압박하는 하부 압박부재(13와, 상기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10) 사이를 연결하여 하퇴부(9)의 후면을 압박하는 하부 벨트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 압박부재(3)(10)(이 상하부 압박부재는 기본 구성이 서로 동일하므로 상부 압박부재의 도면부호 구성에 괄호 부호로 병기한 것은 하부 압박부재의 해당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함) 는 고무류를 포함하는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그의 양단의 내외 표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호형고정돌기들(15a,15b, 16a, 16b, 대표부호로는 15, 16을 사용하며, 부호 15 및 16은 각기 상부 압박부재와 하부 압박부재의 돌기를 나타냄)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좌우 대퇴부 및 하퇴부 지지부재(3)(10)에는 상기 가장 끝단부의 내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호형고정돌기(15)(16)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상하 고정부(17)(18)를 형성하되, 상기 상하 고정부(17)(18)는, 각기 상기 내측의 호형고정돌기(15a,16a)를 수용하는 호 형상의 베이스수용홈(19)(20)과 복수개의 ㄱ 자형 체결구멍(21)(22) 및 걸림턱(23)(24)을 구비하도록 상기 대퇴부 및 하퇴부 지지부재(3)(10)의 두께를 그의 표면으로부터 1~3mm 정도의 깊이 만큼 원호상으로 파낸 형태를 기반으로 한 베이스부(25)(26)와; 상기 베이스수용홈(19)(20)에 대응되어 상기 외측의 호형고정돌기(15b)(16b)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호 형상의 수용홈(27)(28)과, 상기 각각의 ㄱ 자형 체결구멍(21)(22)의 넓은 부분에 끼워진 후 좁은 슬릿 구멍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걸림턱(23)(24)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는 ㄱ 자 형상(도 에 도시한 평단면 상태 기준)으로 끝이 꼬부라진 복수개의 슬라이드 돌기(29)(30)들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부(25)(26)에 덮어 씌워 체결되어지는 덮개부(3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상기 상하부 압박부재(3)(10)의 가장 바깥으로부터 일부 호형고정돌기(들)를 절단하여 사용(이로써 상하부 압박부재의 길이가 줄어듬)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 부호 33은 원통형으로 직조된 스판덱스 압박타이즈로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부재이며, 미설명 부호 34,35는 슬라이드 돌기(29)(30)들의 사출 성형을 가능케 하기 위해 천공한 구멍들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31)(32)의 외표면에는 요철의 돌출물로 형성되는 마찰부(37)(38)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덮개부(31)(32)의 개폐를 위해 덮개부(31)(32)를 상하 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드 시킬 때 용이하게 이동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3)의 하단부와 상기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10)의 상단 사이에 도 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얇은 판상의 플라스틱 탄성 스트립(36a)을 복수개 적층시켜 형성한 탄성스프링(36)의 상하 양단부를 요홈에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무릎을 구부리는 것에 연동하여 상하 링크부재(5)(7)가 구부러질 때 탄성스프링(36)도 함께 구부러졌다가 구부린 무릎을 펼치게 되면, 탄성스프링(36)이 내부에 축적하였던 탄성력에 의해 일직선으로 펼쳐지게 됨으로써 원상 복귀를 돕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부호 36b는 탄성스프링(36)의 결속클립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의 무릎보조기(1)를 착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착용자의 허벅지(대퇴부)와 정강이(하퇴부) 둘레에 맞도록 상기 상하부 압박부재(3)(10)의 길이를 조정(그 조정 방법은 고무류 등의 유연성 있는 재질로 된 호형고정돌기들의 일부를 가위를 사용하여 절단해 내는 것임)한 후, 압박타이즈(33)를 무릎 부위에 착용하고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3)의 일 측 덮개부(31)를 분해 방향으로 밀어 열고(이때 타측은 압박부재를 이미 조립한 상태) 압박부재(11)를 잡아 당겨 최바깥단부의 호형고정돌기(15)를 상기 베이스수용홈(19)에 끼워 일치시킨 후 덮개부(31)의 슬라이드 돌기(29)를 ㄱ 자형 체결구멍(21)의 큰구멍부위를 통해 끼운 상태에서 하측의 작은 슬릿구멍부위 측으로 덮개부(31)를 밀게 되면 슬라이드 돌기(29)가 걸림턱(23) 밑에 위치하여 걸려 지지되므로 덮개부(31)가 이탈되지 않게 되며, 이후의 긴박 정도의 조정은 상부벨트부재(12)를 더 잡아당기거나 늦추어 조정한다. 다음에 하측의 하퇴부 압박부재(10)의 체결도 앞선 방법과 동일하게 시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릎보조기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하 압박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하부)고정부를 나타내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 고정부의 덮개부를 분리시킨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 고정부의 덮개부의 표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의 덮개부의 배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탄성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탄성스프링을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무릎보조기의 개략적 정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종래기술
[도면부호의 설명]
1 : 무릎보조기 2 : 대퇴부
3 : 대퇴부 지지부재 4,6,8 : 힌지
5 : 상부링크 7 : 하부링크
9 : 하퇴부 10 : 하퇴부 지지부재
11,13 : 압박부재 12,14 : 벨트부재
15,16 : 호형고정돌기 17,18 : 고정부
19,20 : 베이스스용홈 21,22 : ㄱ 자형 체결구멍걸림턱
23,24 : 걸림턱 25,26 : 베이스부
27,28 : 수용홈 29,30 : 슬라이드 돌기
31,32 : 덮개부 36 : 탄성스프링
37,38 : 마찰부

Claims (3)

  1. 무릎 관절 상부로 대퇴부의 양측을 밀착하여 지지하는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와,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의 하단에 힌지로 회동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 상부링크와, 상기 좌우 상부링크의 하단에 무릎관절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중앙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하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에 힌지로 회동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무릎관절 하부로 하퇴부의 양쪽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와,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대퇴부의 전면을 압박하는 상부 압박부재와,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대퇴부의 후면을 압박하는 상부 벨트부재와, 상기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하퇴부의 전면을 압박하는 하부 압박부재와, 상기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하퇴부의 후면을 압박하는 하부 벨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릎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압박부재는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그의 양단의 내외 표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호형고정돌기들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좌우 대퇴부 및 하퇴부 지지부재에는 상기 복수개의 호형고정돌기들 중 가장 끝단부에 위치하는 호형고정돌기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상하 고정부를 형성하되, 상기 상하 고정부는 각기 상기 호형고정돌기에 있어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수용하는 호 형상의 베이스수용홈과 복수개의 ㄱ 자형 체결구멍 및 걸림턱을 구비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수용홈에 대응되어 상기 호형고정돌기에 있어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호 형상의 수용홈과 상기 각각의 ㄱ 자형 체결구멍에 끼워진 후 슬라이드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ㄴ 자 형상의 복수개의 슬라이드 돌기들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덮어 체결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상기 상하부 압박부재의 일부 호형고정돌기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상하부 압박부재의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부에는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요철 형상의 마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대퇴부 지지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좌우 하퇴부 지지부재의 상단 사이에 얇은 판상의 플라스틱 탄성 스트립을 복수개 적층시켜 형성한 탄성스프링의 상하 양단부를 요홈에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무릎을 구부리는 것에 연동하여 상하 링크부재가 구부러질 때 탄성스프링도 함께 구부러졌다가 구부린 무릎을 펼치게 되면, 탄성스프링이 내부에 축적하였던 탄성력에 의해 일직선으로 펼쳐지게 됨으로써 원상 복귀를 돕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
KR1020090028476A 2009-04-02 2009-04-02 무릎보조기 KR101097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476A KR101097925B1 (ko) 2009-04-02 2009-04-02 무릎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476A KR101097925B1 (ko) 2009-04-02 2009-04-02 무릎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084A KR20100110084A (ko) 2010-10-12
KR101097925B1 true KR101097925B1 (ko) 2011-12-23

Family

ID=4313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476A KR101097925B1 (ko) 2009-04-02 2009-04-02 무릎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698A (ko)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건호엔지니어링 무릎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679B1 (ko) * 2011-06-01 2013-04-29 서민지 퇴행성 슬관절 보조기
KR101495565B1 (ko) * 2014-03-17 2015-02-25 신종호 무릎질환용 통증완화 보조기구
KR102646609B1 (ko) * 2016-09-07 202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CN109310563B (zh) * 2017-03-07 2022-12-23 佐喜真义肢股份有限公司 膝肘关节辅助装置
KR101947313B1 (ko) * 2018-03-20 2019-02-12 박종완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KR101954028B1 (ko) * 2018-08-29 2019-03-04 이승길 관절 보조 장치
KR102255057B1 (ko) * 2019-04-30 2021-05-24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전방십자인대 보조기
KR20230049300A (ko) 2021-10-06 2023-04-13 곽준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362A (en) 1985-11-25 1988-02-23 Nelson Ronald E Double hinged knee brace with double leg wrap
US4991571A (en) 1988-09-08 1991-02-12 Kausek James H Modular knee brace for control of ligament instability
KR100834074B1 (ko) 2008-01-11 2008-06-02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무릎관절 정형용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362A (en) 1985-11-25 1988-02-23 Nelson Ronald E Double hinged knee brace with double leg wrap
US4991571A (en) 1988-09-08 1991-02-12 Kausek James H Modular knee brace for control of ligament instability
KR100834074B1 (ko) 2008-01-11 2008-06-02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무릎관절 정형용 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698A (ko)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건호엔지니어링 무릎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084A (ko)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925B1 (ko) 무릎보조기
US10898363B2 (en) Orthopedic device for dynamically treating the knee
JP3548121B2 (ja) 矢状調節部を有する膝装具
US4655201A (en) Knee orthosis and joint construction therefor
US7553289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bracing a knee
US8167829B2 (en) Orthotic apparatus
EP1861051B1 (en) Adjustable knee brace
KR101626907B1 (ko) 무릎관절 보조기구
CN106535833B (zh) 膝关节矫形器
WO1999039668A1 (en) Knee brace
US8343083B1 (en) Auto-flex knee brace
WO2003065942A1 (en) Joint brace with limb-conforming arcuately adjustable cuffs
CN105491979A (zh) 具有免荷功能的膝关节矫形器
US20060100561A1 (en) Knee brace having an adaptable thigh pad
WO1997029717A1 (en) Neurophysiologically designed knee orthosis with three-dimensional joint
EP3362007B1 (en) Customizable knee brace intended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US11278439B2 (en) Ankle-foot orthosis
US5286250A (en) Knee joint hinge for brace
US20060229542A1 (en) Orthosis
JP7397013B2 (ja) 整形外科用ブレースの偏心および多中心連結張力ジョイント
KR20190046370A (ko) 관절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