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954B1 -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 - Google Patents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954B1
KR101509954B1 KR20130129076A KR20130129076A KR101509954B1 KR 101509954 B1 KR101509954 B1 KR 101509954B1 KR 20130129076 A KR20130129076 A KR 20130129076A KR 20130129076 A KR20130129076 A KR 20130129076A KR 101509954 B1 KR101509954 B1 KR 10150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nsert
cutting
insert
central axis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홍승
박찬규
임효준
김성현
안선용
김영흠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954B1/ko
Priority to DE112014004926.3T priority patent/DE112014004926T5/de
Priority to US15/031,764 priority patent/US10099298B2/en
Priority to PCT/KR2014/008173 priority patent/WO2015064907A1/ko
Priority to CN201480059351.8A priority patent/CN10568283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8Drills combined with tool parts or tools for performing additional wo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2Connections between shanks and removable cu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50Drilling tools comprising cutting inse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44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 Y10T408/4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including Tool with 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10T408/9098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with means to retain Tool to support
    • Y10T408/90987Wed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은, 인덱서블 드릴에 절삭인서트를 장착할 때에 초기에는 쉽게 삽입되고, 장착이 완료되는 시점에는 인덱서블 드릴과 절삭인서트 간의 결속력이 강하게 구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삭인서트는 동일/유사한 절삭 가공을 수행하는 종래의 절삭인서트와 비교하였을 때에, 강성이 취약한 부분을 후육(厚肉)으로 제공함으로써 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 {Cutting insert and Indexable Drill}
본 발명은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인서트가 인덱서블 드릴에 설치되어, 구멍 가공에 그 인덱서블 드릴이 이용되도록 하는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덱서블 드릴은 절삭인서트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로써 절삭인서트가 마모되었을 때에 절삭인서트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절삭인서트가 인덱서블 드릴에 장착될 때, 절삭인서트를 인덱서블 드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써 볼트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볼트 없이 절삭인서트 자체적으로 인덱서블 드릴에 고정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볼트 또는 스크루 등의 체결요소 없이 절삭인서트를 인덱서블 드릴에 고정하는 형식은 자가 고정(self fixing) 형식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자가 고정 형식의 인덱서블 드릴은 금속의 탄성 성질과 마찰력을 이용하거나 결속력을 구현한다. 또한, 자가 고정 형식의 인덱서블 드릴은 상호 결속되는 부분에 요철이 형성되어 요철이 맞물리면서 결속을 구현한다.
그러나 드릴 공구는 고속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홀 가공을 수행하는 동안에 인덱서블 드릴에서 절삭인서트가 헐거워지지 않고, 결속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것이 요구된다.
인덱서블 드릴과 절삭인서트 간의 결속력을 과도하게 높일 경우에 절삭인서트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인덱서블 드릴은 절삭인서트를 고정하기에 적정한 결속력을 구현하면서도 절삭인서트를 분리하거나 장착할 때에 용이할 것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으로, 절삭인서트는 절삭가공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므로 높은 강성이 요구되어 고가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또한, 소망하는 절삭인서트의 형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소재를 연삭가공하게 되는데, 이때 연삭되어 소거되는 부분을 줄임으로써 절삭인서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알려진 절삭인서트의 제조방법은 환봉 형태의 소재를 연삭하므로 버려지는 부분이 많아 소재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0649359호(2006.11.17)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0656265호(2006.12.0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절삭 인서트를 인덱서블 드릴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에 취급이 용이하면서도, 인덱서블 드릴에서 절삭인서트가 고정되는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는, 인서트 바디(110);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하측에 형성된 제1 중심축선(cp)을 가지는 포스트(120);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면(130); 상기 인서트 바디(110)에서 상기 체결면(130)과 직교되는 방향에 형성된 수압면(140);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절삭가공이 수행되는 선단 절인(150);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절삭가공이 수행되는 측면 절인(152); 및 상기 인서트 바디(110)에서 상기 측면 절인(152)의 한쪽에 형성되어 절삭칩의 배출이 유도되는 인서트 플루트(154);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면(130)은, 상측 반경(r1)과 하측 반경(r2)이 동일한 원기둥의 형상에서 상기 원기둥의 표면의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원기둥의 제2 중심축선(cs)은 상기 제1 중심축선(cp)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면 기울기를 갖고, 평면에서 보면 편심 되고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상기 체결면(130)은, 상기 제1 중심축선(cp)을 지나고 상기 체결면(130)의 초입부(131)를 지나는 단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선(cp)과 상기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제1각도(a1);와 상기 제1 중심축선(cp)을 지나고 상기 체결면(130)의 막판부(133)를 지나는 단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선(cp)과 상기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제3각도(a3);로 정의될 때에, 상기 제1각도(a1)가 상기 제3각도(a3)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상기 체결면(130)은, 특정 높이로 기준선(L)이 제시될 때에, 상기 기준선(L) 상에서 상기 체결면(130)의 초입부(131) 표면부터 상기 제1중심축선(cp)까지의 제1거리(b1);와 상기 기준선(L) 상에서 상기 체결면(130)의 막판부(133) 표면부터 상기 제1 중심축선(cp)까지의 제3거리(b3);로 정의될 때에 상기 제1거리(b1)가 상기 제3거리(b3)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상기 체결면(130)은, 상기 제1 중심축선(cp)을 지나고 상기 체결면(130)의 초입부(131)를 지나는 단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선(cp)과 상기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제4각도(d1);와 상기 제1단면과 평행하고 상기 체결면(130)의 막판부(133)를 지나는 단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선(cp)과 상기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제6각도(d3);로 정의될 때에, 상기 제4각도(d1)와 상기 제6각도(d3)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상기 체결면(130)은, 상기 체결면(130)을 지나는 평면 단면에서 보면, 상기 제1 중심축선(cp)으로부터 상기 체결면(130)의 초입부(131)까지의 제4, 제6거리(e1, e3)가 상기 제1중심축선(cp)으로부터 상기 체결면(130)의 막판부(133)까지의 제5, 제7거리(e2, e4)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는 렌치공구에 장착되도록 하는 렌치 그루브(16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렌치 그루브(160)는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서 보면, 상기 측면 절인(152)의 기울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하측에는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외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중심축선(cp)과 동심을 이루는 곡면 연삭기준면(114)이 형성되어, 상기 절삭 인서트가 연삭 기계에 장착되어 연삭 가공될 때에, 상기 곡면 연삭기준면(114)이 상기 연삭 기계에 클램핑 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상기 곡면 연삭기준면(114)에는 평탄한 형상의 평면 연삭기준면(116)이 더 형성되고, 상기 평면 연삭기준면(116)은 상기 절삭 인서트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면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상기 수압면(140)은, 상기 절삭 인서트의 측면에서 상기 수압면(140)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보면, 상기 제1 중심축선(cp)에 대하여 상기 선단 절인(150)을 향하는 쪽이 더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드릴은, 홀더 바디(210); 상기 홀더 바디(2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절삭 칩 배출이 유도되는 바디 플루트(220); 상기 홀더 바디(21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절삭인서트(100)가 안착되는 시트(250); 상기 시트(250)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인서트(100)가 장착될 때에 상기 절삭인서트(100)의 회전이 안내되는 센터 보스(240); 상기 시트(250)에 두 갈래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센터보스(240)의 제3 중심축선(cb)과 동심으로 홀더 체결면(262)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절삭인서트(100)를 가압하도록 가압면(264)이 형성된 트윈 핑거(260);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인서트(100)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9항에 기재된 절삭인서트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드릴은, 상기 홀더 바디(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인서트(100)와 절삭가공이 수행되는 부분에 절삭유가 토출되도록 하는 오일 홀(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드릴의 상기 가압면(264)은, 상기 홀더 바디(210)의 측면에서 상기 가압면(264)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보면, 상기 제3 중심축선(cb)에 대하여 상기 트윈 핑거(260)의 선단부를 향하는 쪽이 더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드릴은, 상기 센터보스(240)에 상기 절삭인서트(100)의 포스트(120)가 유격이 있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드릴의 상기 시트(250)에는 상기 절삭인서트(100)가 상기 홀더 바디(210)에서 장착되거나 해체될 때에, 상기 절삭인서트(100)의 회전이 안내되도록 가이드 돌기(270);가 더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은 인덱서블 드릴에 절삭인서트를 장착할 때에, 절삭인서트를 중심축선 방향으로 끼운 후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장착하게 되는데, 이때 절삭인서트를 회전시키는 초기에 회전이 쉽게 이루어지고, 절삭인서트의 회전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결속력이 증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절삭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은 취급이 쉬우면서도 높은 결속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은 절삭인서트의 소재를 연삭가공장비에 장착하여 연삭 가공할 때에 절삭인서트에 형성된 곡면 연삭기준면과 평면 연삭기준면에 의해 쉽게 소재를 붙잡을 수 있음으로써 연삭되어 소거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소재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은 절삭인서트를 인덱서블 드릴에서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에 렌치를 이용하게 되고, 절삭인서트의 절인부분에 마모가 심한 경우에는 재연삭을 수행하여 절삭인서트를 재활용하게 된다. 이때 렌치를 수용하도록 하는 렌치 그루브를 측면 절인과 유사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절삭인서트를 재활용하더라도 절삭인서트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가 인덱서블 드릴에 조립된 상태를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드릴에서 홀더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드릴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드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드릴은 홀더(200)에 절삭인서트(100)가 조립되는 구성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홀더(200)에 절삭인서트(100)를 장착할 때에 축선 방향으로 삽입시킨 후에, 홀더(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절삭인서트(100)를 회전시켜 장착하고, 장착된 상태에서는 홀더(200)와 절삭인서트(100)간에 결속력이 구현되는 것이다.
결속력은 절삭인서트(100)에 형성된 체결면(130)과 홀더(200)에 형성된 홀더 체결면(262)이 밀착되어 구현되는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인서트 바디(110)의 하측에 포스트(120)가 형성된다. 포스트(120)의 중심축선은 제1 중심축선(cp)으로 정의한다.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는 체결면(130)이 형성된다. 또한, 인서트 바디(110)에서 체결면(130)과 직교되는 방향에 수압면(140)이 형성된다.
인서트 바디(110)의 선단부에 선단절인(150)이 형성되고,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는 측면절인(152)이 형성된다. 선단절인(150)은 홀 가공될 때에 구멍의 깊이 방향으로 절삭가공이 수행한다. 측면절인(152)은 홀 가공될 때에 구멍의 내주면에 절삭가공을 수행한다.
또한, 인서트 바디(110)에서 측면 절인(152)의 한쪽에 인서트 플루트(154) 가 형성되고, 인서트 플루트(154)는 절삭가공에서 생성되는 절삭칩의 배출이 유도된다.
한편, 체결면(130)은 기하학적인 도형인 원기둥의 형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에 부연설명하면, 도 3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은 상측 반경(r1)과 하측 반경(r2)이 동일한 직선형 형태일 수 있고, 그 원기둥의 형상에서 표면 일부가 체결면(130)의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원기둥의 제2 중심축선(cs)은 포스트(120)의 제1 중심축선(cp)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면 기울기를 갖고, 평면에서 보면 편심 되고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중심축선(cp)과 제2 중심축선(cs)은 3차원 공간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고, 평행하지 않으며, 원기둥의 상측이 절삭인서트(100)의 제1 중심축선(cp)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형상이다.
반면에 비교예에 따른 절삭인서트(300)는 체결면(330)이 기하학적인 도형으로 설명하면, 원뿔형상의 표면일부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원뿔 형상의 중심 축선은 포스트(322)의 중심축선과 동일한 축선이다.
즉, 비교예에 따른 절삭인서트(300)는 체결면(330)의 표면에서 어느 특정한 정점이 있다면, 그 정점은 절삭인서트(300)를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중심축선과의 거리에 변화가 없다. 이는 절삭인서트(300)를 회전할 때에 체결면(330)과 상대하는 홀더의 트윈 핑거와 어떠한 역학관계의 작용이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체결면(130)의 정점의 위치에 따라 홀더(200)의 트윈 핑거(260)와 역학관계를 작용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제1중심축선(cp)을 지난 체결면(130)의 단면에서 체결면(13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의 평면도면이다. 도면에 표기된 도 4의 (a)에 기재된 B 화살표는 절삭인서트(100)를 평면에서 볼때에 수압면(140)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즉, 도 4의 (a)에서 X축과 Y축의 정의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B화살표가 제시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X축, Y축은 도 4의 (a)에 기재된 X축과 Y축을 의미한다.
한편, 도 4의 (b, c, d)는 도 4의 (a)에 각각 기재된 A1-A1선단면도, A2-A2선단면도, A3-A3선단면도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4의 (b)는 체결면(130)이 트윈 핑거(260)에 장착될 때에 먼저 접촉하는 쪽인 초입부(131)의 단면도이다. 도 4의 (d)는 체결면(130)이 트윈 핑거(260)에 장착완료 되었을 때에 막바지에 접촉하는 쪽인 막판부(133)의 단면도이다. 도 4의 (c)는 상술한 초입부(131)와 막판부(133)의 중간을 보인 중간부(132)의 단면도이다.
체결면(130)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각도(a1), 제2각도(a2) 및 제3각도(a3)를 다음과 같이 정의 한다.
제1 각도(a1)는 제1 중심축선(cp)을 지나고 체결면(130)의 초입부(131)를 지나는 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과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제2 각도(a2)는 제1 중심축선(cp)을 지나고 체결면(130)의 중간부(132)를 지나는 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과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제3 각도(a3)는 제1 중심축선(cp)을 지나고 체결면(130)의 막판부(133)를 지나는 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과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면(130)은 제1각도(a1)가 제3각도(a3)보다 크게 구성된다. 또한, 제2각도(a2)가 제1각도(a1)보다 크고 제3각도(a3)보다 작게 구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면(1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징이 있다. 도 4의 (b, c, d)에 기재된 L은 기준선이고, 기준선(L)은 각각의 단면도에서에서 동일한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면(1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높이로 기준선(L)이 제시될 때에, 제1거리(b1), 제2거리(b2) 및 제3거리(b3)로 정의 될 수 있다.
제1거리(b1)는 기준선(L) 상에서, 체결면(130)의 초입부(131) 표면부터 제1중심축선(cp)까지의 최단거리이다.
제2거리(b2)는 기준선(L) 상에서, 체결면(130)의 중간부(132) 표면부터 제1중심축선(cp)까지의 최단거리이다.
제3거리(b3)는 기준선(L) 상에서, 체결면(130)의 막판부(133) 표면부터 제1 중심축선(cp)까지의 최단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면(130)은 제1거리(b1)가 제3거리(b3)보다 작게 제공된다. 제2거리(b2)는 제1거리보다 크고 제3거리(b3)보다 작게 제공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면(1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징이 있다. 도 5의 (a)는 절삭인서트(100)의 정면도이다. 도 5의 (b, c, d)는 도 5의 (a)에 각각 기재된 C1-C1선단면도, C2-C2선단면도, C3-C3선단면도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5의 (b)는 체결면(130)이 트윈 핑거(260)에 장착될 때에 먼저 접촉하는 쪽인 초입부(131)의 단면도이다. 도 5의 (d)는 체결면(130)이 트윈 핑거(260)에 장착완료 되었을 때에 막바지에 접촉하는 쪽인 막판부(133)의 단면도이다. 도 5의 (c)는 상술한 초입부(131)와 막판부(133)의 중간을 보인 중간부(132)의 단면도이다.
체결면(130)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4각도(d1), 제5각도(d2) 및 제6각도(d3)를 다음과 같이 정의 한다.
제4 각도(d1)는 제1 중심축선(cp)을 지나고 체결면(130)의 초입부(131)를 지나는 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과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제5 각도(d2)는 상술한 제1단면과 평행하고, 체결면(130)의 중간부(132)를 지나는 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과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제6 각도(d3)는 상술한 제1단면과 평행하고, 체결면(130)의 막판부(133)를 지나는 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과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면(130)은 제4각도(d1)와 제6각도(d3)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5각도(d2)는 상술한 제4각도(d1)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면(13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징이 있다. 도 6의 (a)는 도 5(a)에 기재된 D1-D1선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5(a)에 기재된 D2-D2선단면도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6의 (a)는 절삭인서트(100)의 선단부에 가까운 쪽의 평면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절삭인서트(100)의 안착면(112)에 가까운 쪽의 평면단면도이다.
체결면(130)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4거리(e1), 제5거리(e2), 제6거리(e3), 제7거리(e4), 제8거리(e5), 제9거리(e6)를 다음과 같이 정의 한다.
제4 거리(e1)는 절삭인서트(100)의 선단부에 가까운 쪽의 평면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부터 초입부(131) 표면까지의 최단거리이다.
제5 거리(e2)는 절삭인서트(100)의 안착면(112)에 가까운 쪽의 평면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부터 초입부(131) 표면까지의 최단거리이다.
제6 거리(e3)는 절삭인서트(100)의 선단부에 가까운 쪽의 평면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부터 막판부(133) 표면까지의 최단거리이다.
제7 거리(e4)는 절삭인서트(100)의 안착면(112)에 가까운 쪽의 평면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부터 막판부(133) 표면까지의 최단거리이다.
제8 거리(e5)는 절삭인서트(100)의 선단부에 가까운 쪽의 평면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부터 체결면(130)의 곡률 중심(cs)까지의 최단거리이다.
제9 거리(e6)는 절삭인서트(100)의 안착면(112)에 가까운 쪽의 평면단면에서, 제1 중심축선(cp)부터 체결면(130)의 곡률 중심(cs)까지의 최단거리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거리(e1)는 대응되는 제5거리(e2)보다 짧게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6거리(e3)은 대응되는 제7거리(e4)보다 짧음을 알 수 있다. 즉, 제1중심축선(cp)으로부터 체결면(130)의 초입부(131)까지의 제4, 제6거리(e1, e3)가 제1중심축선(cp)으로부터 체결면(130)의 막판부(133)까지의 제5, 제7거리(e2, e4)보다 작은 것이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8거리(e5)는 대응되는 제9거리(e6)보다 크게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체결면(130)의 중심축선(CS)은 Y축을 기준으로 볼 때에도 선단부에서는 제10거리(e7)만큼 크게 편향되지만, 안착면(112)에 가까운 쪽에서는 제11거리(e8)만틈 상대적으로 제10거리(e7)보다 작게 편향 된다. 이는 체결면(130)의 중심축선(cs)이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선단부에 가까운 쪽의 평면단면도에서 체결면(130)의 제1곡률(f1)과, 안착면(112)에 가까운 쪽의 평면단면도에서 체결면(130)의 제2곡률(f2)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즉, 절삭인서트(100)를 체결면(130)의 어느 높이에서든지 평면에서 보면 동일한 체결면(130)의 곡률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성이 취약한 것으로 지적되는 부분을 두껍게 형성시킬 수 있다. 첨부도면 도 7의 (a)는 비교예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비교예는 체결면(330)이 원뿔 형태의 표면으로 형성되고, 체결면(330)의 곡률 중심이 포스트의 중심, 즉, 절삭인서트(300)의 중심축선과 일치된 경우이다.
강성이 가장 취약한 부분은 폭이 좁거나 외형 형상이 급격하게 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절삭인서트(100)는 체결면(130)과 수압면(140)의 경계부분에서 강성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7의 (a)에서 강성이 약한 부분은 제1 두께(g1)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의 (b)에서 대응되는 부분이 제2두께(g2)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절삭성능이 동일하도록 측면절삭의 외경을 동일한 사양으로 비교한 것이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의 제2두께(g2)는 비교예에 따른 제1두께(g1)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 알 수 있다.따라서 강성이 약한 부분을 후육(厚肉)부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고, 나아가 취약한 부분에 대한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절삭인서트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교예에 따른 절삭인서트(300)는 절삭인서트(300)의 외형보다 큰 소재를 절삭가공을 수행하여 제조한다. 비교예에 따른 절삭인서트(300)의 소재는 원통형상일 수 있다. 이로써 소거되어야 할 소재 소거부(320)가 매우 크고 이로써 소재의 낭비가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교예에 따른 절삭인서트(300)는 절삭가공을 수행하여 제조함으로서 소재를 붙잡을 수 있도록 하는 포스트의 크기를 크게 제공하여야 하고, 이로써 절삭인서트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소결에 의해 제조하고, 연삭가공은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비교예에 비교하여 클램프에 필요한 부분을 작게 형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소재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 렌치 그루브(1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는 클램프면(118)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면(118)은 절삭인서트(100)를 취급할 때에 공구로 붙잡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클램프면(118)에 렌치 그루브(160)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렌치공구를 렌치 그루브(160)에 끼워 절삭인서트(100)를 좀 더 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비교예에 따른 종래의 절삭인서트(300)에서 렌치 그루브(360)은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삭인서트(300)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렌치 그루브(160)가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서 보면, 측면 절인(152)의 기울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절삭인서트(100)를 재연삭하여 재활용할 때에 절삭인서트(100)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연삭전의 초기에 렌치 그루브(360)부터 측면절인(352)까지 제1폭(h1)이 형성되지만, 재연삭기준선(E)으로 연삭을 수행하면, 렌치 그루브(360)부터 측면절인(352)까지 제2폭(h2)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에 따른 절삭인서트(300)는 재연삭을 통하여 재활용할 때에 절삭인서트(300)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도 8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연삭전의 초기에 렌치 그루브(160)부터 측면절인(152)까지 제3폭(h3)이 형성되지만, 재연삭기준선(E)으로 연삭을 수행하면, 렌치 그루브(160)부터 측면절인(152)까지 제4폭(h4)이 형성되는데, 제3폭(h3)과 제4폭(h4)의 크기 변화는 매우 작은 값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재연삭을 통하여 재활용할 때에 절삭인서트(100)의 강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연삭기준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연삭기준면은 도 2의 (b, c, d, 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연삭기준면은 곡면 연삭기준면(114)과 평면 연삭기준면(116)으로 제공된다.
곡면 연삭기준면(114)은 인서트 바디(110)의 하측에서 인서트 바디(110)의 외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제1 중심축선(cp)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절삭인서트(100)를 제조할 때에 연삭가공을 수행하는데, 절삭인서트가 연삭 기계에 장착되어 연삭 가공될 때에 곡면 연삭기준면(114)이 연삭기계에 클램핑 되는 데에 이용되는 것이다.
곡면 연삭기준면(114)에는 평면 연삭기준면(11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평면 연삭기준면(116)은 절삭인서트의 치수관리에 이용되는 것이다. 치수관리에 대하여 부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삭인서트(100)는 홀더(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절삭가공을 수행하는 것인데, 절삭가공은 소망하는 수치 값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절삭가공을 수행할 때에 절입 각, 절입 량 등 절삭조건을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을 적정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절삭인서트(100)의 외형적인 수치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절삭인서트(100)의 수치 정밀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정밀하게 연삭가공이 진행될 수 있고, 절삭인서트(100)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기준면이 필요하다. 절삭인서트(100)의 외형 형상은 곡면과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특정한 기준면이 반드시 제시되어야 하고, 이러한 기준면으로서 상술한 평면 연삭기준면(116)이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곡면 연삭기준면(114)과 평면 연삭기준면(116)을 제공함으로써 절삭인서트(100)의 치수관리를 좀 더 쉽고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100)는 수압면(140)이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첨부도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압면(140)은 절삭 인서트의 측면에서 수압면(140)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보면, 제1 중심축선(cp)에 대하여 선단 절인(150)을 향하는 쪽이 더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수압면(140)은 홀더(200)의 트윈 핑거(260)에서 가압면(264)과 맞닿게 된다. 홀 가공을 수행한 후에, 인덱서블 드릴을 홀에서 빼낼 때에 수압면(140)의 경사면은 가압면(264)과 경사진 형태로 닿게 되어 있으므로, 만약 홀더(200)에서 절삭인서트(100)의 결속력이 헐거워지더라도 절삭인서트(100)가 홀더(2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하, 도 1 및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홀더(20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홀더(200)는 홀더 바디(210)의 외주면에 바디 플루트(220)가 형성되고, 바디 플루트(220)는 절삭 칩 배출이 유도된다.
또한, 홀더 바디(210)의 선단부에 시트(250)가 형성되어 상술한 절삭인서트(100)가 안착된다.
시트(250)에는 중앙에 센터 보스(240)가 형성되고, 센터 보스(240)는 상술한 절삭인서트(100)가 홀더(200)에 장착될 때에 절삭인서트(100)의 회전을 안내한다.
또한 시트(250)에 트윈 핑거(260)가 두 갈래로 형성된다. 트윈 핑거(260)의 내주면에는 곡면을 갖는 홀더 체결면(262)이 형성된다. 또한, 트윈 핑거(260)의 측면에는 절삭인서트(100)를 가압하도록 가압면(264)이 형성된다.
또한, 홀더 바디(210)의 내부에 오일 홀(230)이 형성되고, 오일 홀(230)의 단부는 바디 플루트(220)의 어느 곳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오일 홀(230)을 통하여 절삭유가 토출될 수 있고, 토출되는 절삭유는 냉각이 필요한 부분에 뿌려지는 것이다. 예컨대, 절삭인서트(100)와 절삭가공이 수행되는 부분에 절삭유가 뿌려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가압면(264)은, 홀더 바디(210)의 측면에서 가압면(264)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보면, 제3 중심축선(cb)에 대하여 트윈 핑거(260)의 선단부를 향하는 쪽이 더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가압면(264)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더(200)에 절삭인서트(100)가 설치되면 수압면(140)과 밀착된다. 이로써 홀 가공 후에 인덱서블 드릴을 홀에서 빼낼 때에 절삭인서트(100)가 홀더(200)에서 헐거워졌더라도 수압면(140)과 가압면(264)이 경사진 형태로 맞닿아 있음으로써 홀더(200)에서 절삭인서트(100)가 분리 이탈되지 않고 이끌려서 꺼내질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인덱서블 드릴의 조립상태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가 인덱서블 드릴에 조립된 상태를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9는 절삭인서트(100)가 홀더(200)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F1-F1선 단면도로서 체결면(130)과 바디 체결면(262)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F2-F2선 단면도로서 포스트(120)와 센터 보스(240)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250)에 안착면(112)이 밀착된 상태이고, 포스트(120)의 단부는 센터 보스(240)의 바닦과 이격된 상태이다. 또한, 인서트 플루트(154)와 바디 플루트(220)는 조화를 이루어 절삭 칩의 배출의 연속성을 구현한다.
도 10은 체결면(130)과 바디 체결면(262)간의 작용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곡률 반경을 실제보다 과장되게 표현한 것이다.
체결면(130)의 곡률중심(cs)은 Ri로 반경과 중심을 나타내었고, 바디 체결면(262)의 곡률중심은 Rh로 반경과 중심을 나타내었다.
즉, 체결면(130)의 곡률중심(cs)와 바디 체결면(262)의 곡률중심은 편차(p)만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체결면(130)의 곡률중심(cs)와 바디 체결면(262)의 곡률중심은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중심축선(cp) 또는 제3 중심축선(cb)으로부터 편행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술한 체결면(130)의 곡률중심(cs)은 X축 상에 위치되거나 설정된 값만큼 어느 한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편향되는 값이 0.05mm 이하일 수 있다. 즉, 편향되지 않을 때에는 편향 값이 "0"되는 것이고, 편향되는 방향은 어느 방향이든 상관없다. 최대 편향된 값이 0.05mm 이상인 경우에는 체결면(130)과 바디 체결면(262)간에 과도한 밀착력으로 체결됨으로써 홀더(200)가 변형될 우려가 있고, 절삭인서트(100)의 장착에 방해될 수 있으므로 곡률중심(cs)은 X축에서 0.05mm 이내로 제공되는 것이 좋다.
한편, 절삭인서트(100)는 제1중심축선(cp)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절삭인서트(100)가 회전되어 장착될 때에 체결면(130)의 초입부(131)가 바디 체결면(262)에 먼저 마주하게 되는데, 초입부(131)와 바디 체결면(262)간에 간격이 형성됨으로써 바디 체결면(262)의 내측으로 체결면(130)이 쉽게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절삭인서트(100)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중간부(132)에서 바디 체결면(262)과 점진적으로 밀착되고, 바디 체결면(262)에 막판부(133)까지 진입이 완료되면 바디 체결면(262)가 체결면(130)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결속력이 구현된다.
한편, 인덱서블 드릴이 구멍 가공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10을 기준으로 홀더(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면(264)은 수압면(140)에 토크를 전달한다. 이로써 절삭인서트(100)가 홀더(20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드릴은 센터보스(240)에 절삭인서트(100)의 포스트(120)가 유격이 있게 조립되는 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포스트(120)의 직경(Di)은 센터 보스(240)의 직경(Dh)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절삭인서트(100)가 홀더(200)에 장착될 때에 쉽게 홀더(200)의 축선방향으로 진입시키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장착하게 되는데, 센터 보스(240)와 포스트(120)는 유격이 있게 조립됨으로써 쉽게 진입시킬 수 있고, 절삭인서트(100)를 회전시키는 데에 저항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절삭인서트(100)의 체결면(130)과 홀더(200)의 홀더 체결면(262)이 결착될 때에 센터보스(240)와 포스트(120)의 사이에서 저항력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하, 도 12을 참조하여 인덱서블 드릴의 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덱서블 드릴에서 홀더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200)는 시트(250)에 가이드 돌기(27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70)는 내주면에 가이드 면(272)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 면(272)은 절삭인서트(100)가 홀더 바디(210)에서 장착되거나 해체될 때에, 절삭인서트(100)의 회전이 안내되도록 한다. 이로써 절삭인서트(100)는 홀더(200)에 장착될 때에 정렬되면서 장착될 수 있고 나아가 홀더(200)와 절삭인서트(100)간에 조립 정밀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은 공작물에 구멍가공을 수행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0: 절삭인서트
110: 인서트 바디 112: 안착면
114: 곡면 연삭기준면 116: 평면 연삭기준면
118: 클램프면 120: 포스트
130: 체결면 131: 초입부
132: 중간부 133: 막판부
140: 수압면 150: 선단 절인
152: 측면 절인 154: 인서트 플루트
160: 렌치 그루브
200: 홀더 210: 홀더 바디
220: 바디 플루트 230: 오일 홀
240: 센터 보스 250: 시트
260: 트윈 핑거 262: 홀더 체결면
264: 가압면 270: 가이드 돌기
272: 가이드 면
300: 절삭인서트 320: 소재 소거부
330: 체결면 340: 수압면
352: 측면 절인 360: 렌치 그루브
B: 도면도시 기준면

Claims (14)

  1. 인서트 바디(110);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하측에 형성된 제1 중심축선(cp)을 가지는 포스트(120);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면(130);
    상기 인서트 바디(110)에서 상기 체결면(130)과 직교되는 방향에 형성된 수압면(140);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절삭가공이 수행되는 선단 절인(150);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절삭가공이 수행되는 측면 절인(152); 및
    상기 인서트 바디(110)에서 상기 측면 절인(152)의 한쪽에 형성되어 절삭칩의 배출이 유도되는 인서트 플루트(154);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면(130)은, 상측 반경(r1)과 하측 반경(r2)이 동일한 원기둥의 형상에서 상기 원기둥의 표면의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원기둥의 제2 중심축선(cs)은 상기 제1 중심축선(cp)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면 기울기를 갖고, 평면에서 보면 편심 되고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절삭 인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면(130)은,
    상기 제1 중심축선(cp)을 지나고 상기 체결면(130)의 초입부(131)를 지나는 단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선(cp)과 상기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제1각도(a1);와
    상기 제1 중심축선(cp)을 지나고 상기 체결면(130)의 막판부(133)를 지나는 단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선(cp)과 상기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제3각도(a3);로 정의될 때에,
    상기 제1각도(a1)가 상기 제3각도(a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면(130)은,
    특정 높이로 기준선(L)이 제시될 때에,
    상기 기준선(L) 상에서 상기 체결면(130)의 초입부(131) 표면부터 상기 제1중심축선(cp)까지의 제1거리(b1);와
    상기 기준선(L) 상에서 상기 체결면(130)의 막판부(133) 표면부터 상기 제1 중심축선(cp)까지의 제3거리(b3);로 정의될 때에
    상기 제1거리(b1)가 상기 제3거리(b3)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면(130)은,
    상기 제1 중심축선(cp)을 지나고 상기 체결면(130)의 초입부(131)를 지나는 제1단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선(cp)과 상기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제4각도(d1);와
    상기 제1단면과 평행하고 상기 체결면(130)의 막판부(133)를 지나는 단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선(cp)과 상기 체결면(130)의 표면이 이루는 제6각도(d3);로 정의될 때에,
    상기 제4각도(d1)와 상기 제6각도(d3)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면(130)은,
    상기 체결면(130)을 지나는 평면 단면에서 보면, 상기 제1 중심축선(cp)으로부터 상기 체결면(130)의 초입부(131)까지의 제4, 제6거리(e1, e3)가 상기 제1중심축선(cp)으로부터 상기 체결면(130)의 막판부(133)까지의 제5, 제7거리(e2, e4)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는 렌치공구에 장착되도록 하는 렌치 그루브(16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렌치 그루브(160)는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측면에서 보면, 상기 측면 절인(152)의 기울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하측에는 상기 인서트 바디(110)의 외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중심축선(cp)과 동심을 이루는 곡면 연삭기준면(114)이 형성되어,
    상기 절삭 인서트가 연삭 기계에 장착되어 연삭 가공될 때에, 상기 곡면 연삭기준면(114)이 상기 연삭 기계에 클램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연삭기준면(114)에는 평탄한 형상의 평면 연삭기준면(116)이 더 형성되고,
    상기 평면 연삭기준면(116)은 상기 절삭인서트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면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면(140)은,
    상기 절삭 인서트의 측면에서 상기 수압면(140)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보면, 상기 제1 중심축선(cp)에 대하여 상기 선단 절인(150)을 향하는 쪽이 더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10. 홀더 바디(210);
    상기 홀더 바디(2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절삭 칩 배출이 유도되는 바디 플루트(220);
    상기 홀더 바디(21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절삭인서트(100)가 안착되는 시트(250);
    상기 시트(250)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인서트(100)가 장착될 때에 상기 절삭인서트(100)의 회전이 안내되는 센터 보스(240);
    상기 시트(250)에 두 갈래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센터보스(240)의 제3 중심축선(cb)과 동심으로 홀더 체결면(262)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절삭인서트(100)를 가압하도록 가압면(264)이 형성된 트윈 핑거(260);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인서트(100)는 제1항 내지 제9항에 기재된 절삭인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드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바디(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인서트(100)와 절삭가공이 수행되는 부분에 절삭유가 토출되도록 하는 오일 홀(230);을 더 포함하는 인덱서블 드릴.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264)은,
    상기 홀더 바디(210)의 측면에서 상기 가압면(264)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보면, 상기 제3 중심축선(cb)에 대하여 상기 트윈 핑거(260)의 선단부를 향하는 쪽이 더 넓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드릴.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보스(240)에 상기 절삭인서트(100)의 포스트(120)가 유격이 있게 조립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드릴.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250)에는 상기 절삭인서트(100)가 상기 홀더 바디(210)에서 장착되거나 해체될 때에, 상기 절삭인서트(100)의 회전이 안내되도록 가이드 돌기(27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서블 드릴.
KR20130129076A 2013-10-29 2013-10-29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 KR10150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9076A KR101509954B1 (ko) 2013-10-29 2013-10-29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
DE112014004926.3T DE112014004926T5 (de) 2013-10-29 2014-09-02 Schneidplatte und Wendeplattenbohrer
US15/031,764 US10099298B2 (en) 2013-10-29 2014-09-02 Cutting insert and indexable drill
PCT/KR2014/008173 WO2015064907A1 (ko) 2013-10-29 2014-09-02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
CN201480059351.8A CN105682836B (zh) 2013-10-29 2014-09-02 切削刀片及可转位钻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9076A KR101509954B1 (ko) 2013-10-29 2013-10-29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954B1 true KR101509954B1 (ko) 2015-04-07

Family

ID=5300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9076A KR101509954B1 (ko) 2013-10-29 2013-10-29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99298B2 (ko)
KR (1) KR101509954B1 (ko)
CN (1) CN105682836B (ko)
DE (1) DE112014004926T5 (ko)
WO (1) WO20150649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421B1 (ko) * 2017-09-25 2019-04-01 노인원 드릴 및 이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1062B4 (de) 2013-01-23 2018-09-13 Kennametal Inc. Bohrspitze
DE102013205889B3 (de) 2013-04-03 2014-05-28 Kennametal Inc. Kupplungsteil, insbesondere Schneidkopf für ein Rotationswerkzeug sowie ein derartiges Rotationswerkzeug
DE102013220884B4 (de) 2013-10-15 2022-02-17 Kennametal Inc. Modulares Trägerwerkzeug sowie Werkzeugkopf
DE102014206796B4 (de) 2014-04-08 2020-10-15 Kennametal Inc. Rotationswerkzeug, insbesondere Bohrer sowie Schneidkopf für ein solches Rotationswerkzeug
DE102015106082A1 (de) * 2014-04-24 2015-10-29 Kennametal India Ltd. Schneidwerkzeug mit auswechselbarem Schneideinsatz und geneigten Befestigungselementen
DE102014212714B4 (de) 2014-07-01 2022-02-17 Kennametal Inc. Bohrerkopf
CN104759664A (zh) * 2015-04-21 2015-07-08 成都锋宜精密工具制造有限公司 自锁式可换头硬质合金钻头
DE102015211744B4 (de) 2015-06-24 2023-07-20 Kennametal Inc. Rotationswerkzeug, insbesondere Bohrer, und Schneidkopf für ein solches Rotationswerkzeug
US10071430B2 (en) 2015-10-07 2018-09-11 Kennametal Inc. Cutting head, rotary tool and support for the rotary tool and for the accommodation of the cutting head
US9937567B2 (en) 2015-10-07 2018-04-10 Kennametal Inc. Modular drill
JP1568742S (ko) * 2016-09-09 2017-02-06
US11235397B2 (en) * 2016-12-16 2022-02-01 Kennametal Inc. Side-activated modular drill
DE102017205166B4 (de) 2017-03-27 2021-12-09 Kennametal Inc. Modulares Rotationswerkzeug und modulares Werkzeugsystem
US10207337B2 (en) 2017-04-04 2019-02-19 Kennametal Inc. Front-loaded, side-activated modular drill
CN108788265B (zh) * 2017-05-05 2020-08-18 张新添 舍弃式倒角刀具
EP3427876B1 (en) * 2017-07-10 2022-06-2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Rotary cutting insert and tool having axial locking member
DE102017212054B4 (de) 2017-07-13 2019-02-21 Kennametal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neidkopfes sowie Schneidkopf
US10799958B2 (en) 2017-08-21 2020-10-13 Kennametal Inc. Modular rotary cutting tool
DE102019116160A1 (de) 2018-06-20 2019-12-24 Kennametal Inc. Seitlich geschlossener modularer Bohrer mit federunterstütztem Auswurf
KR102164828B1 (ko) * 2018-12-07 2020-10-14 주식회사 와이지-원 센터링 능력과 절삭성능을 개선한 드릴 및 드릴용 인서트
US11090736B2 (en) 2018-12-10 2021-08-17 Kennametal Inc. Side-activated modular drill
JP7274692B2 (ja) * 2019-04-23 2023-05-17 株式会社不二越 刃先交換式ドリル
CN112077370A (zh) 2019-06-13 2020-12-15 肯纳金属印度有限公司 可转位钻头刀片
US11471952B2 (en) 2020-03-19 2022-10-18 Kennametal Inc. Cutting tool having replaceable cutting head and method of securing a replaceable cutting head
US11883888B2 (en) 2021-06-28 2024-01-30 Kennametal Inc. Modular drill with enhanced bump-off capability
JP1715992S (ja) * 2021-08-17 2022-05-27 切削工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7539A (ja) 2002-02-21 2005-06-16 ケンナメタ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交換可能な切刃インサートを備えた回転切削工具
KR20100138803A (ko) * 2009-06-23 2010-12-31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칩 제거 기계가공용 드릴링 공구 및 이 드릴링 공구를 위한 루즈 탑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2587A (en) * 1978-04-26 1980-01-08 Ingersoll Maschinen Und Werkzeuge Gmbh Milling cutter and indexable insert therefor
US5387059A (en) * 1993-08-24 1995-02-07 Borzemsky; George E. Drill bit with improved stability
CN1046226C (zh) * 1993-12-20 1999-11-10 韦狄亚有限公司 刀头
IL120948A0 (en) * 1997-05-29 1997-09-30 Iscar Ltd Cutting tool assembly
SE523205C2 (sv) * 2001-06-06 2004-04-06 Sandvik Ab Roterbart verktyg med utbytbar skärspets vid verktygets spånavverkande fria ände
DE10235606A1 (de) * 2002-08-02 2004-02-19 Komet Präzisionswerkzeuge Robert Breuning Gmbh Vollbohrer für Werkzeugmaschinen
US6929426B2 (en) * 2003-02-19 2005-08-16 Kennametal Inc. Indexable cutting tool
KR100656265B1 (ko) 2004-08-18 2006-12-11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절삭공구
SE529067C2 (sv) * 2004-08-25 2007-04-24 Seco Tools Ab Vändskär med skärhålsarrangemang med två axlar
IL164888A (en) * 2004-10-28 2009-07-20 Iscar Ltd Cutting tool and cutting head for it
KR100649359B1 (ko) * 2006-01-02 2006-11-28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절삭공구
US8287213B2 (en) * 2006-02-16 2012-10-16 Remark Technologies, Inc. Indexable cutting tool insert for cutting tools
KR100767730B1 (ko) * 2006-06-30 2007-10-18 한국야금 주식회사 인덱서블 인서트 드릴
WO2008014367A1 (en) * 2006-07-26 2008-01-31 Allied Machine & Engineering Corp. Cutting tool with replaceable tip
IL181296A0 (en) * 2007-02-12 2007-07-04 Iscar Ltd Tool with releasably mounted self-clamping cutting head
DE102007044095A1 (de) * 2007-09-14 2009-03-19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Bohrwerkzeug mit Bohrkrone
WO2008072840A2 (en) * 2007-11-05 2008-06-19 Taegutec. Ltd. Rotary cutting tool
SE532280C2 (sv) * 2008-04-14 2009-12-01 Seco Tools Ab Verktyg, verktygskropp och skärhuvud
SE533652C2 (sv) * 2008-04-14 2010-11-23 Seco Tools Ab Verktyg för roterande skärande bearbetning med utbytbart skärhuvud
US7625161B1 (en) * 2008-08-08 2009-12-01 Kennametal Inc. Rotary cutting tool assembly and cutting insert and tool shank therefor
DE102009012725B4 (de) * 2009-03-11 2020-10-15 Kennametal Inc. Bohrerspitze sowie Bohrwerkzeug mit einer Bohrerspitze
DE102009013580A1 (de) * 2009-03-19 2010-09-23 EMUGE-Werk Richard Glimpel GmbH & Co. KG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Modularer Bohrer
SE533850C2 (sv) * 2009-06-23 2011-02-0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orrverktyg av löstoppstyp
SE533851C2 (sv) * 2009-06-23 2011-02-0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orr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samt löstopp och grundkropp härför
JP4870228B2 (ja) * 2009-12-08 2012-02-08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
JP4954331B2 (ja) * 2009-12-08 2012-06-13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
DE102012212146B4 (de) * 2012-07-11 2024-02-01 Kennametal Inc. Kupplungsstelle für ein modulares Rotationswerkzeug sowie Werkzeugkopf und Träger für ein solches modulares Rotationswerkzeug
WO2014103972A1 (ja) * 2012-12-28 2014-07-03 京セラ株式会社 ドリ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7539A (ja) 2002-02-21 2005-06-16 ケンナメタ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交換可能な切刃インサートを備えた回転切削工具
KR20100138803A (ko) * 2009-06-23 2010-12-31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칩 제거 기계가공용 드릴링 공구 및 이 드릴링 공구를 위한 루즈 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421B1 (ko) * 2017-09-25 2019-04-01 노인원 드릴 및 이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4907A1 (ko) 2015-05-07
DE112014004926T5 (de) 2016-07-14
CN105682836B (zh) 2017-06-23
CN105682836A (zh) 2016-06-15
US10099298B2 (en) 2018-10-16
US20160263664A1 (en)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954B1 (ko) 절삭 인서트 및 인덱서블 드릴
EP2922653B1 (en)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with a rearward resilience slit
KR101614568B1 (ko) 인서트 착탈식 절삭 공구
JP6165165B2 (ja) 割出し可能切削インサート、そのための切削工具およびクランプ方法
KR102351870B1 (ko) 회전 절삭 공구와 가변 폭의 부 릴리프 표면을 갖는 회전 절삭 공구용 가역 절삭 인서트
EP2492035B1 (en) Octagonal cutting insert having edge portion with variable wedge angle, and cutting tool
KR102349807B1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나사형 생크-커넥터를 갖는 교체 가능한 정면-밀링 헤드
US8337123B2 (e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cutting method using the cutting tool
US10201855B2 (en) Cutting insert, tool body and cutting tool
EP3040146A1 (en) End mill with coolant hole
WO2016140333A1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EP3144086B1 (en) A tool body and a turning tool for grooving operations
US10507533B2 (en) Drill
JP6423080B2 (ja) タンジェンシャル型フライスインサート及びマルチ刃フライス
JP2019511382A (ja) 金属切削のための面溝入れ工具体
EP2130634B1 (en) Insert
JP5938868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20140026172A (ko) 내경 가공용 선삭 공구
US11040401B2 (en) Throwaway insert and method of grinding cutting edge of throwaway insert
KR20130083928A (ko) 절삭 공구 및 그것을 사용한 절삭 가공물의 제조 방법
JP6458851B1 (ja) リーマ
US20150266101A1 (en) Cutting head and cutting tool having a replaceable cutting head
JP6803472B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CN210702768U (zh) 用于加工石墨工件的铣刀
US10994346B2 (en) Indexable drill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