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127B1 -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 Google Patents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127B1
KR101508127B1 KR20150015233A KR20150015233A KR101508127B1 KR 101508127 B1 KR101508127 B1 KR 101508127B1 KR 20150015233 A KR20150015233 A KR 20150015233A KR 20150015233 A KR20150015233 A KR 20150015233A KR 101508127 B1 KR101508127 B1 KR 101508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cony
protruding
fixing
projection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1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건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건축
Priority to KR20150015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출몰홀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출몰홀부 주변에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패널본체; 상기 출몰홀부를 통해 발코니의 바닥면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널본체가 발코니의 배수홈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경사돌기부재; 상기 경사돌기부재를 상기 출몰홀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돌기부재 및 상기 안착홈부에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안착홈부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부로부터 연장되는 잠금홈부에 삽입되는 잠금돌기가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경사돌기부재의 돌출정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조작부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위치고정부; 복수 개의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안착되고 상기 커버부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커버부재와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패널본체에 안착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SELF-ASSEMBLY DRYER FOR BALCONY IN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코니의 바닥면 형상에 따라 다양한 경사방향 또는 경사도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립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다세대 공동주택의 전면이나 후면에는 발코니를 가지며, 발코니(Balcony)에는 배수구를 갖는 배수장치를 구비하여 거주자가 발코니 등을 물청소할 때 배수가 용이토록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 등에 있어서 방에 연이어 형성되는 확장형 발코니에는 배수구가 구비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아파트 신축시 빗물이나 오수 등의 배수를 위해 발코니벽체 하방에 파이프를 매립하여 배수구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파트 등에 있어서 방에 연이어 형성되는 확장형 발코니는 건축구조나 건축법상 실외공간에 해당되나, 실제로는 발코니 벽체위에 창문(샤시) 등을 형성하여 실내공간으로 활용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아파트에 있어서 확장형 발코니는 발코니 벽체위에 창문을 형성하여 실내공간으로 탈바꿈시켜 다용도실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코니와 방의 경계선상의 문을 제거하여 발코니 면적을 방에 흡수시켜 방을 확장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아파트 등의 확장형 발코니 시공시 빗물이나 오수 등이 발코니에 고이거나 심할 경우 빗물 등이 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드레인 파이프를 벽체에 매립하여 빗물등을 배수처리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배수를 위해 설치하는 드레인 파이프 등이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막혀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발코니 바닥위에 타일등을 시공할 경우 타일 몰탈등에 의해 드레인 파이프가 매몰되어 발코니에 고인 물등을 용이하게 배수시키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콘크리트 바닥면과 밀접되게 드레인 파이프를 설치할 경우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바닥면 위에 고인 빗물이나 오수 등을 용이하게 배수하게 되나, 콘크리트 바닥위에 타일 몰탈을 도포하고 그 위에 타일을 부착할 경우 타일 몰탈 속으로 드레인 파이프가 매립되어 배수의 곤란함을 갖게 되며, 콘크리트 바닥면 위에 타일 몰탈의 두께 및 타일의 두께를 감안하여 콘크리트 바닥면 위로 일정높이로 드레인 파이프를 형성할 경우 콘크리트 타일 부착 전까지의 배수에 곤란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발코니의 빗물이나 오수의 배수를 위한 설치함에 있어서, 그 높이 설정에 많은 어려움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콘크리트 벽체, 즉 발코니 벽체에 매립하는 드레인 파이프가 갖는 불편함 및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며, 타일이나 창호공사 전후에 발코니의 빗물이나 오수 등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발코니 배수장치에 대한 실용신안등록 제20-0223990호, 명칭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를 볼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안은 다수개의 부속품을 조립 완성할 시 그 형태가 "L"형상을 갖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그 구조로는 배수파이프가 결합되는 배수몸체와 배수몸체 하방에는 높낮이를 조절하는 지지구 및 받침대를 가지며, 배수몸체 상방에는 배수공을 갖는 배수캡 또는 콘크리트 보호캡등이 결합되어지되 배수몸체에 대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발코니 배수장치는 그 부품수가 많아 고가이면서 현장에서 작업설치가 용이하지 않는 결점을 가지며, 특히 발코니 마감공정인 타일을 부착함에 있어서 배수몸체 상방에 결합되는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캡을 지지하는 높이조절구가 끼움고정되게 타일을 절단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함으로 인해 많은 설치시간 및 설치공정을 필요로 하게 되는 불편함을 갖게 된다.
즉, 발코니의 바닥에 타일을 부착함에 있어서, 배수구의 크기만큼 타일을 커터등으로 절단해야만 하며, 타일 절단시 많은 타일 분진이 발생되는 불편함과 타일절단의 어려움을 수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6891호(2006년 07월 04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다세대 공동주택 확장형 발코니의 배수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수장치는, 발코니 바닥면에 잔존하는 물을 배수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기재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코니 바닥면의 경사가 배수구 측으로 충분히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을 때에는 우수 또는 오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고, 발코니 바닥면에 경사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바닥공사를 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발코니의 바닥면 형상에 따라 다양한 경사방향 또는 경사도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출몰홀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출몰홀부 주변에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패널본체; 상기 출몰홀부를 통해 발코니의 바닥면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널본체가 발코니의 배수홈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경사돌기부재; 상기 경사돌기부재를 상기 출몰홀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돌기부재 및 상기 안착홈부에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안착홈부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부로부터 연장되는 잠금홈부에 삽입되는 잠금돌기가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경사돌기부재의 돌출정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조작부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위치고정부; 복수 개의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안착되고 상기 커버부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커버부재와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패널본체에 안착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출몰홀부는 일부분이 개구되어 절개부를 이루고, 상기 절개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출몰홀부의 테두리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경사돌기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랙부; 및 상기 랙부에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리브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결합리브에 형성되는 고정홀부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이 상기 고정홀부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와 상기 고정홀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축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의 기어치에 걸림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측부에는 상기 고정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은, 발코니에 설치 및 철거를 용이하게 하고, 바닥 경사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배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은, 별도의 공구 없이 경사돌기부재를 출몰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발코니 바닥면의 형상에 따라 요구되는 경사도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은, 복수 개의 출몰홀부(12)가 형성되고 각각의 출몰홀부(12) 주변에 안착홈부(14)가 형성되는 패널본체(10)와, 출몰홀부(12)를 통해 발코니(100)의 바닥면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패널본체(10)가 발코니(100)의 배수홈부(86)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경사돌기부재(30)와, 경사돌기부재(30)를 출몰홀부(12)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경사돌기부재(30) 및 안착홈부(14)에 구비되는 조작부(50)와, 안착홈부(14)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안착홈부(14)로부터 연장되는 잠금홈부(14a)에 삽입되는 잠금돌기(56a)가 구비되는 커버부재(56)와, 조작부(50)에 의해 경사돌기부재(30)의 돌출정도가 유지되도록 조작부(50)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위치고정부(70)와, 복수 개의 커버부재(56) 사이에 안착되고 커버부재(56)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커버부재(56)와 평면을 이루도록 패널본체(10)에 안착되는 마감블록(82)을 포함한다.
패널본체(10)는 건축물의 발코니(100) 바닥면에 안착시켜 경사면을 이룰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경사돌기부재(30)가 발코니(100)의 바닥면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자가 조작부(50)를 조작하여 하나의 패널본체(10)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경사돌기부재(30)를 출몰시키면서 발코니(100) 바닥면의 형상에 따라 배수홈부(86) 측으로 적당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부재(56)에 의해 경사돌기부재(30) 및 조작부(50)가 마감되고, 다수 개의 커버부재(56) 사이의 간격에는 마감블록(82)이 안착되므로 발코니(100)의 바닥면에는 적당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패널본체(10)의 상면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게 된다.
출몰홀부(12)는 일부분이 개구되어 절개부(12b)를 이루고, 절개부(12b)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12c)가 형성되며, 출몰홀부(12)의 테두리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부(12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조작부(50)는, 경사돌기부재(3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랙부(52)와, 랙부(52)에 기어연결되도록 결합리브(12c)에 회전축(5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54)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커버부재(56)를 개방한 후에 피니언(54)을 회전시키면 피니언(54)의 회전운동이 랙부(52)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면서 경사돌기부재(30)의 출몰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경사돌기부재(30)의 둘레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다수 개의 가이드레일(32)이 형성되고, 출몰홀부(12)의 테두리에는 가이드레일(3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부(12a)가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돌기부재(30)가 회전되지 않게 출몰홀부(12)에 삽입되므로 랙부(52)와 피니언(54)의 기어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고, 랙부(52)는 출몰홀부(12)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12b)를 통해 출몰홀부(12) 외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피니언(54)은 절개부(12b)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12c)에 회전축(5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니언(54)의 일부분이 패널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므로 작업자는 별도의 공구 없이 피니언(54)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경사돌기부재(30)를 발코니(100) 바닥면 측으로 출몰시킬 수 있게 된다.
위치고정부(70)는, 결합리브(12c)에 형성되는 고정홀부(74)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축(72)과, 고정축(7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고 고정축(72)이 고정홀부(74)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72a)와, 스토퍼(72a)와 고정홀부(74)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76)와, 고정축(72)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피니언(54)의 기어치에 걸림결합되는 고정편(78)을 포함한다.
고정축(72)은 한 쌍의 결합리브(12c) 중 어느 하나의 결합리브(12c)에 형성되는 고정홀부(74)에 고정축(72)이 회전 가능하고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축(7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72a)와 고정홀부(74) 내벽 사이에는 탄성부재(76)가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축(72)은 탄성부재(76)에 의해 고정홀부(74)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작업자가 고정축(72)을 회전시켜 고정편(78)이 피니언(54)에 걸림결합되도록 고정편(78)의 위치를 결정하고 작업을 종료하면 탄성부재(76)의 작용에 의해 고정축(72) 및 고정편(78)이 고정홀부(74)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편(78)이 피니언(54)의 기어치에 걸림결합되어 피니언(54)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니언(54)의 회전운동이 구속되므로 피니언(54)과 기어연결되는 랙부(52)의 직선운동이 구속되어 경사돌기부재(30)의 출몰이 이루어지지 않고 경사돌기부재(30)가 돌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고정홀부(74)에는 복수 개의 고정홈부(74a)가 형성되고 고정축(72)의 외측부에는 고정홈부(74a)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부(72b)가 형성된다.
따라서 피니언(54)의 회전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마감블록(82) 또는 커버부재(56)에 하중이 가해지면 경사돌기부재(30)에 하중이 전달되어 경사돌기부재(30)의 직선운동 및 피니언(54)의 회전운동이 유발될 수 있는데, 이때, 고정돌기부(72b)가 고정홈부(74a)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고정축(72)의 회전운동이 구속된다.
따라서 고정축(72)에 설치되는 고정편(78)이 피니언(54)에 걸림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피니언(54)의 회전운동 및 경사돌기부재(30)의 직선운동을 구속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패널본체(10)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돌기부재(30)의 돌출된 상태를 결정한 후에는 커버부재(56)를 닫아 경사돌기부재(30) 및 조작부(50)를 마감하고, 커버부재(56)로부터 연장되는 잠금돌기(56a)가 잠금홈부(1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레버(14b)를 돌출시켜 잠금돌기(56a)가 잠금홈부(14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84는, 패널본체(10)와 배수홈부(86)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84)이다.
이로써, 발코니의 바닥면 형상에 따라 다양한 경사방향 또는 경사도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배수시설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패널본체 12 : 출몰홀부
12a : 가이드홈부 12b : 절개부
12c : 결합리브 14 : 안착홈부
14a : 잠금홈부 14b : 잠금레버
30 : 경사돌기부재 32 : 가이드레일
50 : 조작부 52 : 랙부
54 : 피니언 54a : 회전축
56 : 커버부재 56a : 잠금돌기
70 : 위치고정부 72 : 고정축
72a : 스토퍼 72b : 고정돌기부
74 : 고정홀부 74a : 고정홈부
76 : 탄성부재 78 : 고정편
82 : 마감블록 84 : 실링부재
86 : 배수홈부 100 : 발코니

Claims (3)

  1. 복수 개의 출몰홀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출몰홀부 주변에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패널본체;
    상기 출몰홀부를 통해 발코니의 바닥면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널본체가 발코니의 배수홈부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경사돌기부재;
    상기 경사돌기부재를 상기 출몰홀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돌기부재 및 상기 안착홈부에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안착홈부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부로부터 연장되는 잠금홈부에 삽입되는 잠금돌기가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경사돌기부재의 돌출정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조작부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위치고정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안착되고 상기 커버부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커버부재와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패널본체에 안착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출몰홀부는 일부분이 개구되어 절개부를 이루고, 상기 절개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출몰홀부의 테두리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경사돌기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랙부; 및
    상기 랙부에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리브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결합리브에 형성되는 고정홀부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이 상기 고정홀부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와 상기 고정홀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축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의 기어치에 걸림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측부에는 상기 고정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2. 삭제
  3. 삭제
KR20150015233A 2015-01-30 2015-01-30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1508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5233A KR101508127B1 (ko) 2015-01-30 2015-01-30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5233A KR101508127B1 (ko) 2015-01-30 2015-01-30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127B1 true KR101508127B1 (ko) 2015-04-08

Family

ID=5303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15233A KR101508127B1 (ko) 2015-01-30 2015-01-30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1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453B1 (ko) * 2015-02-27 2015-10-30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1641586B1 (ko) * 2015-12-02 2016-07-21 주식회사 티씨엠씨건축사사무소 건축공사용 바닥 배수설비
KR101683847B1 (ko) * 2016-02-29 2016-12-09 (주)에이치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CN113323115A (zh) * 2021-06-11 2021-08-31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适应排水压力的地漏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598B1 (ko) 2012-07-13 2012-12-31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598B1 (ko) 2012-07-13 2012-12-31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453B1 (ko) * 2015-02-27 2015-10-30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1641586B1 (ko) * 2015-12-02 2016-07-21 주식회사 티씨엠씨건축사사무소 건축공사용 바닥 배수설비
KR101683847B1 (ko) * 2016-02-29 2016-12-09 (주)에이치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CN113323115A (zh) * 2021-06-11 2021-08-31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适应排水压力的地漏结构
CN113323115B (zh) * 2021-06-11 2022-07-26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适应排水压力的地漏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127B1 (ko)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US20170130442A1 (en) Drain Assembly With Adjustable Spherical Frame
RU2727725C1 (ru) Напольный слив для отвода воды от проходимого пола в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й трубопровод
CA2782536A1 (en) Cover box for a showering flow system
EP2405062B1 (en) Showerdrain with insert
KR20160040757A (ko)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JP5184496B2 (ja) 建物用庇の取付構造
KR101564453B1 (ko)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1683847B1 (ko)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1169771B1 (ko)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JP6967461B2 (ja) 止水構造
KR101167005B1 (ko) 천정점검구의 개폐장치
JP6480225B2 (ja) 網戸自走防止装置付窓装置
KR101695826B1 (ko) 발코니에 설치된 기존 창틀을 활용한 창호의 리모델링장치
KR102255005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WO2019093516A1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構造及び施工方法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JP5066045B2 (ja) 建具
KR101744946B1 (ko)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JP4901581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192282Y1 (ko) 배수트랩
FI60051B (fi) Anordning vid avloppsbrunnar
KR100528504B1 (ko)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
US10808870B2 (en) Access panel with clean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