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504B1 -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 - Google Patents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504B1
KR100528504B1 KR10-2004-0019708A KR20040019708A KR100528504B1 KR 100528504 B1 KR100528504 B1 KR 100528504B1 KR 20040019708 A KR20040019708 A KR 20040019708A KR 100528504 B1 KR100528504 B1 KR 10052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lushing device
toilet
movable member
automatic fl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542A (ko
Inventor
김지용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504B1/ko
Publication of KR2005009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2Operating automa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물탱크 내의 오버플로우관에 설치되어 위치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어떠한 양변기 구조에도 무리 없이 설치하기 위해 물내림 장치의 상하좌우 위치와 각도 및 회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변기의 물탱크 내의 오버플로우관 외주연에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고정링부재를 끼우고, 이 고정링부재에 부착된 연결브라켓과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으로 고정된 가이드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힌지축에 체결된 조정너트로 각도를 조정하며, 상기 가이드부재 상단부의 결합브라켓에 이동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결합브라켓의 양측면에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상기 이동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위치하도록 하되, 일측면의 가이드돌기에 체결된 또 다른 조정너트를 조정하여 가이드홈이 가이드돌기를 타고 수평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한편, 상기 이동부재의 정면에 부착된 도르래와 배수구를 덮고 있는 배수구 덮개가 개폐줄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도르래가 이동부재 내의 회전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한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AN AUTO DRAINER POSSIBLE INSTALL IN VARIOUS CHAMBER POT}
본 발명은 양변기의 물탱크 내의 오버플로우관에 설치되어 위치와 각도 및 회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상기 오버플로우관에 끼워지는 고정링부재와 이 고정부재와 힌지결합되는 가이드부재 및 이 가이드부재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이동부재로 물내림 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이동부재에 부착된 도르래와 배수구 덮개가 개폐줄로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의 회전에 따라 배수구가 개폐되도록 하되, 상기 물내림 장치의 상하좌우 위치와 각도 및 회전 조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 가정집은 물론 대부분의 건물에 있는 화장실에는 변기로써 양변기가 대체적으로 많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양변기의 물탱크 내에는 적정한 량의 물을 공급하여 저장해주는 급수관과 부레 및 오버플로우관 등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오버플로우관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덮고 있는 배수구 덮개 및 이 배수구 덮개와 개폐줄로 연결되어 있는 레버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레버에 의해 개폐줄이 당겨져 배수구 덮개가 열리면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출해주는 물내림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근래 들어 용변을 보고 난 후의 항문을 자동으로 세정해주는 비데가 양변기에 설치되면서 상기 물내림 장치도 비데의 작동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한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비데와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물내림 장치들은 일률적인 크기를 갖는 상태에서 한번 설치하면 그 자리에 고정되어 버리는 형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양변기의 구조에 모두 똑같이 적용할 수가 없어 설치에 제한이 따를 뿐만 아니라, 어떻게든 설치한다 하더라도 개폐줄을 당겨 배수구를 덮고 있는 배수구 덮개를 여는 작동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변기의 물내림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어떠한 양변기 구조에도 무리 없이 설치하기 위해 물내림 장치의 상하좌우 위치와 각도 및 회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변기의 물탱크 내의 오버플로우관 외주연으로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고정링부재를 끼우고, 이 고정링부재에 부착된 연결브라켓과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으로 고정된 가이드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힌지축에 체결된 조정너트로 각도를 조정하며, 상기 가이드부재 상단부의 결합브라켓에 이동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결합브라켓의 양측면에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상기 이동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위치하도록 하되, 일측면의 가이드돌기에 체결된 또 다른 조정너트를 조정하여 가이드홈이 가이드돌기를 타고 수평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한편, 상기 이동부재의 정면에 부착된 도르래와 배수구를 덮고 있는 배수구 덮개가 개폐줄로 연결되어 있도록 한 다양한 변기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상기 도르래는 이동부재 내의 회전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한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변기의 물탱크 내의 오버플로우관에 설치된 배수구 덮개와 개폐줄로 연결되어 있는 물내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보다 더 큰 직경의 링으로 삽입되어 외주연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오버플로우관에 고정하되, 일측 외주연에 상단부가 힌지부로 구성되는 연결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링부재, 하단부는 힌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링부재의 연결브라켓 상단부의 힌지부와 결합하여 조정너트가 체결된 힌지축으로 연결되고, 상단부는 결합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양쪽 측면에 가이드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및 이 가이드부재와 결합하되 양쪽 측면에 상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 측면 어느 한 쪽의 가이드돌기에 또 다른 조정너트가 체결되어 있으며, 정면으로 상기 개폐줄이 감겨지는 도르래가 부착된 이동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이동부재 내에 설치되어 도르래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회전모터를 더 포함함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내림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내림 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내림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변기의 물탱크 내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관(도 4 참조)의 외주연에 상기 오버플로우관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끼워지는 고정링부재(1)는 일측 외주연을 관통하고 있는 고정볼트(2a)에 의해 상기 고정볼트가 오버플로우관의 외주연에 밀착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고정링부재(1)의 고정볼트(2a)와 직각 위치인 외주연에는 수직으로 판상 형태의 연결브라켓(1a)이 부착되어 상단부가 요(凹) 또는 철(凸) 형상의 힌지부(H1)로 구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연결브라켓(1a)의 힌지부(H1)와 힌지결합되는 철(凸) 또는 요(凹) 형상의 힌지부(H2)로 구성되어 조정너트(3a)가 체결된 힌지축(2b)으로 고정하되, 상단부는 평면이 ㄷ자 형상의 결합브라켓으로 구성된 가이드부재(4)는 양측면의 중심부에 가이드돌기(5)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4)를 덮어씌우는 형태로 결합되는 이동부재(6)는 양측면의 중심부에서 일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7)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부재(4)의 측면 어느 한 쪽으로 돌출되어 볼트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가이드돌기(5)에 체결된 또 다른 조정너트(3b)에 의해 가이드부재(4)와의 결합력을 조정하여, 상기 가이드홈(7)에 가이드돌기(5)가 끼워져 있으므로 가이드홈이 상기 가이드돌기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부재(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이동부재(6)의 정면에는 후술하는 배수구 덮개에 연결된 개폐줄(8)과 연결하는 도드레(9)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르래(9)는 이동부재(6)의 내측에 설치된 회전모터(10)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비데의 제어판(미도시)과 연결된 전선(14)으로 공급됨으로써 발생되는 전기적인 작동에 따른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과 함께 도르래도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내림 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링부재(1)의 내경보다는 작은 모든 형태의 오버플로우관(11)에도 고정볼트(2a)가 있으므로 상기 고정링부재를 끼워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에 설치된 배수구 덮개(12)와 이동부재(6)에 설치된 도르래(9) 사이를 개폐줄(8)로 연결하여 본 발명의 자동 물내림 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고정볼트(2a)로 오버플로우관(11)에 고정된 고정링부재(1)를 풀어 상기 물내림 장치 전체를 상기 오버플로우관(11)의 상하로 이동하거나 또는 회전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다시 상기 고정볼트(2a)로 고정한다.
또, 힌지축(2b)에 의해 고정된 상기 고정링부재(1)의 연결브라켓(1a) 상단부에 형성된 힌지부(H1)와 가이드부재(4)의 힌지부(H2)를 조정너트(3a)로 풀어 상기 가이드부재와 이에 결합된 이동부재(6)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조정너트(3a)로 고정하거나, 또는 가이드돌기(5)에 의해 가이드부재(4)에 고정되어 있는 이동부재(6)를 가이드부재(4) 일측면 어느 한 쪽의 가이드돌기에 체결된 또 다른 조정너트(3b)로 풀어 상기 이동부재의 가이드홈(7)이 가이드부재(4)의 가이드돌기(5)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수평으로 이동되어 원하는 위치에서 다시 또 다른 조정너트(3b)로 고정함으로써, 각 양변기마다 다양한 형상을 갖는 물탱크 내의 구조에 따라 그에 맞는 적절한 위치에 상기 물내림 장치가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형태의 양변기구조에 비데와 함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자동 물내림 장치가 물탱크 내에 설치되어 용변을 보고 난 후 센서 등의 작동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전모터(10)가 회전하여 이와 동시에 도르래(9)도 회전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개폐줄(8)을 감아 배수구 덮개(12)가 열리면서 물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배수구(13)를 통해 배출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양한 변기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에 의하면, 양변기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상기 물내림 장치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거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비데와 함께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더욱이 도르래가 회전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개폐줄을 당기므로 배수구 덮개의 개방도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내림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내림 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내림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내림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고정링부재, 1a...연결브라켓,
2a...고정볼트, 2b...힌지축,
3a,3b...조정너트, 4...가이드부재,
5...가이드돌기, 6...이동부재,
7...가이드홈, 8...개폐줄,
9...도르래, 10...회전모터,
11...오버플로우관, 12...배수구 덮개,
13...배수구, 14...전선.

Claims (2)

  1. 양변기의 물탱크 내의 오버플로우관(11)에 설치된 배수구 덮개(12)와 개폐줄(8)로 연결되어 있는 물내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11)보다 더 큰 직경의 링으로 삽입되어 외주연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볼트(2a)에 의해 오버플로우관(11)에 고정하되, 일측 외주연에 상단부가 힌지부(H1)로 구성되는 연결브라켓(1a)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링부재(1);
    하단부는 힌지부(H2)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링부재의 연결브라켓 상단부의 힌지부(H1)와 결합하여 조정너트(3a)가 체결된 힌지축(2b)으로 연결되고, 상단부는 결합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양쪽 측면에 가이드돌기(5)가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부재(4);
    이 가이드부재와 결합하되 양쪽 측면에 상기 가이드 부재(4)의 가이드 돌기(5)가 끼워지는 가이드홈(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4) 측면 어느 한 쪽의 가이드돌기에 또 다른 조정너트(3b)가 체결되어 있으며, 정면으로 상기 개폐줄(8)이 감겨지는 도르래(9)가 부착된 이동부재(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양변기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6) 내에 설치되어 도르래(9)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회전모터(1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양변기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
KR10-2004-0019708A 2004-03-23 2004-03-23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52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708A KR100528504B1 (ko) 2004-03-23 2004-03-23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708A KR100528504B1 (ko) 2004-03-23 2004-03-23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542A KR20050094542A (ko) 2005-09-28
KR100528504B1 true KR100528504B1 (ko) 2005-11-15

Family

ID=3727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708A KR100528504B1 (ko) 2004-03-23 2004-03-23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3538A (zh) * 2017-07-27 2019-02-05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46B1 (ko) * 2005-09-30 2007-04-09 주식회사 가온메카트로닉스 절수기능이 구비된 변기/비데의 자동 물내림 장치 및 방법
KR101283761B1 (ko) * 2007-06-18 2013-07-08 주식회사 동양매직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3538A (zh) * 2017-07-27 2019-02-05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
CN109303538B (zh) * 2017-07-27 2022-02-18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542A (ko)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4047A (en) Rotating hideaway sanitary fixture
CA2675721C (en) Cable actuated drain
US9340962B2 (en) Operating device for flush water tank assembly
US10081936B2 (en) Flush toilet apparatus and drive unit for same
KR100528504B1 (ko)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
JP4927107B2 (ja) ターントラップ式水洗便器
KR101588426B1 (ko) 양변기의 배수 처리장치
KR200394746Y1 (ko) 수조의 자동 물내림 장치
JP4296843B2 (ja) 水洗便器の洗浄水供給構造
KR20190079084A (ko) 커버 안착형 자동 물내림 장치
JP4214189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100664910B1 (ko) 양변기
JP2004116226A (ja) 水洗便器
JP3132634B2 (ja) 水洗便器
KR200417189Y1 (ko) 수조의 배수구 개폐장치
KR200283477Y1 (ko) 좌변기의 구동부 지지장치
KR200322595Y1 (ko)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KR200379049Y1 (ko) 세면대의 배수장치
JP7190307B2 (ja) 便器洗浄装置
KR200251220Y1 (ko)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301091Y1 (ko) 싸이폰 조작핸들
JP2001348932A (ja) 簡易水洗便器
KR101671809B1 (ko) 양변기용 밸브
KR200350272Y1 (ko) 제수변용 철개뚜껑
KR200374686Y1 (ko)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관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