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005B1 -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005B1
KR102255005B1 KR1020190038788A KR20190038788A KR102255005B1 KR 102255005 B1 KR102255005 B1 KR 102255005B1 KR 1020190038788 A KR1020190038788 A KR 1020190038788A KR 20190038788 A KR20190038788 A KR 20190038788A KR 102255005 B1 KR102255005 B1 KR 102255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height
adjustment
sides
slid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117A (ko
Inventor
이용재
여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켐
Priority to KR102019003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00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77Repairing or restoring window or door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창틀을 해체 및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신규창틀을 덧대어 설치하되, 신규창틀의 높낮이 조절은 물론 견고한 지지고정이 가능하며, 높이조절면이 수평이 아니더라도 자동적으로 수평이 맞춰지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개선된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adjuster of windows for non-removal type}
본 발명은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창틀을 해체 및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신규창틀을 덧대어 설치하되, 기존창틀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신규창틀의 높낮이 조절은 물론 견고한 지지고정이 가능하며, 높이조절면이 수평이 아니더라도 자동적으로 수평이 맞춰지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개선된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라 함은 건물을 축조함에 있어 외부의 시야확보 및 실내공기의 환기를 위한 것으로, 창문과 창틀로 이루어지고 개폐방식에 의해 미닫이식과 여닫이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종래 창틀, 특히 단독 주택의 창틀이나 혹은 7,80년대 초에 지어진 아파트와 같은 경우에는 주로 알루미늄으로 된 외부창틀과 목재로 된 내부창틀의 이중창용 창틀이 주종을 이루었다.
그런데, 창틀은 오래될수록 초기에 가졌던 창틀로서의 기본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특히, 동절기에는 외풍이 심해 개보수를 하여야 하며, 그 대상으로는 주로 발코니창, 거실분합문, 복도창 등이 이에 해당된다.
창틀의 개보수는 보통 창문을 제거한 후 창틀을 해제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상 리모델링이라 부르고 있다.
즉, 리모델링라 함은 보통 건축물을 구성하는 골조의 교체 없이 벽체의 외장 또는 실내 구조 등을 변경하거나, 건축물의 구성요소인 창호 및 도어 등을 교체하는 시공을 말하는 것으로, 창호의 경우 먼저 벽체에 장착되어 있는 창문을 분리하고 이어 창틀을 벽체로부터 분리한다.
그런 다음, 개구부에 새로운 창틀을 삽입하고, 창틀의 바깥쪽 둘레와 개구부의 단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창틀을 고정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창틀에 이중창 등의 창문을 장착하는 과정을 통해 창호를 개보수하게 되며, 이러한 형태가 보편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방법은 창호전체를 개구부로부터 분리 폐기한 후 새로운 창호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창호의 개보수시 많은 비용과 시공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해체시 발생되는 폐기물(프로파일, 시공자재 등)이 다량 발생되고 처리비용 부담이 커지고, 해체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은 커다란 민원사유가 되었으며, 이에 최근에는 리모델링 전에 주변 세대들을 일일이 방문하여 허락 혹은 동의를 구하도록 하는 절차들이 의무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므로 공사 자체의 진행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수의 선행기술문헌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창틀을 해체하지 않고 그 위에 새로운 창틀을 덧씌우는 형태로 시공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등 많은 장점들을 확보한 예들이 있다.
그런데, 노후화된 창호의 경우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기존창틀을 경사지게 배치하고 있는데, 신규창틀을 그 위에 바로 올릴 경우 수평이 맞지 않아 별도의 수평조절용 수단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어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시공을 매우 어렵게 한다.
또한, 높낮이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고임목을 대거나 별도의 높낮이 조절수단을 또다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02887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4248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존 창틀을 해체 및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신규창틀을 덧대어 설치하되, 신규창틀의 높낮이 조절은 물론 견고한 지지고정이 가능하며, 높이조절면이 수평이 아니더라도 자동적으로 수평이 맞춰지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개선된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기존창틀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고 용이하게 신규창틀로 개보수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갖도록 한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존창틀(100)의 레일홈(110)에 끼워 고정되는 높낮이조절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조절기(300)의 상면에 신규창틀(200)이 안착 고정된 구조를 갖는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기(300)는 기존창틀(100)의 레일홈(110)에 접지되는 조절기본체(310)와, 상기 조절기본체(31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서로 원근접되게 움직일 수 있는 한 쌍의 슬라이딩블럭(320)과,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블럭(320)의 움직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며 신규창틀(200)이 안착되는 승강블럭(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조절기본체(310)의 내부 양측에는 서로 대칭된 형태로 경사가이드(GD1)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가이드(GD1)와 직교되는 양측면에는 끼움가이드(GD2)가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의 하단면은 수평면이고, 상단면은 일측으로 경사진 인클라인드면(322)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가이드(GD1)를 타고 오르내릴 수 있게 조립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의 길이 중심을 관통하여 조절볼트(324)가 조립되어 조이고 푸는 방향에 따라 한 쌍의 슬라디잉블럭(320)을 원근접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럭(330)은 하부 양측이 경사진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클라인드면(322)에 안착되며, 상기 승강블럭(330)의 양측 중심에는 상기 끼움가이드(GD2)에 끼워지는 가이드홈(333)이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조절기본체(310)의 양측에는 고정편(316)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편(316)에는 고정볼트(BT)가 체결되어 조절기본체(310)를 기존창틀(100)에 결속시며, 상기 조절기본체(310)는 바닥면에는 한 쌍의 수평조절홀(3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평조절홀(312)에는 각각 반구형상의 수평조절부재(314)가 볼조인트 형태로 조립되어 조절기본체(310)의 수평을 조절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기존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신규창틀을 덧대어 설치하되, 신규창틀의 높낮이 조절은 물론 견고한 지지고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높낮이 조절을 위한 고임목과 지지대를 여러개 사용할 필요가 없어 간편하고 용이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셋째, 기존창틀에 신규창틀을 덧대기만 하면 되므로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넷째, 신규창틀을 시공한 후에도 추가로 나사만 회전시키면 수평 및 고정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기존창틀의 바닥이 수평이 아니더라도 자동으로 수평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기존창틀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신규창틀의 원활한 설치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부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조립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서로 각도를 달리하여 분해한 예시적인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기존창틀(100)에 끼워 고정되는 높낮이조절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조절기(300)의 상면에 신규창틀(200)이 안착 고정된다.
그리고, 외부마감재(400)를 이용하여 신규창틀(200)과 기존창틀(100) 사이를 가리게 되면 높낮이조절기(300)가 보이지 않게 마감되어 미려하게 처리된다.
이때, 상기 외부마감재(400)는 일단이 상기 신규창틀(200)에 끼워질 수 있는 일종의 마감캡 형태이고, 실내측이 아닌 실외측에 끼워지게 설치된다.
때문에, 시공 편의성은 물론 저렴함 비용으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높낮이조절기(300)는 기존창틀(100)의 레일홈(110)에 안착고정될 수 있으며, 높낮이 조절을 위해 필요한 경우 상기 기존창틀(100)에 조절홀(120)을 천공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하여, 공구를 조절홀(120)에 관통시킨 후 높낮이조절기(300)를 돌려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높낮이조절기(300)의 조절부가 기존창틀(100)의 높이 보다 위에 위치될 경우에는 당연히 상기 조절홀(120)을 뚫을 필요는 없다.
한편, 상기 높낮이조절기(3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창틀(100)의 레일홈(110)에 접지되는 조절기본체(310)와, 상기 조절기본체(31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서로 원근접되게 움직일 수 있는 한 쌍의 슬라이딩블럭(320)과,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블럭(320)의 움직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며 신규창틀(200)이 안착되는 승강블럭(3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승강블럭(330)이 승강됨에 따라 신규창틀(200)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기본체(310)는 바닥면에 한 쌍의 수평조절홀(312)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조절홀(312)에는 각각 반구형상의 수평조절부재(314)가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수평조절부재(314)는 구의 일부가 절삭되어 수평면을 갖는 반구형상으로서 반구형상 부분이 조절기본체(310) 내부에 위치되고, 수평면 부분이 조절기본체(310)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노출된 수평면 부분이 레일홈(110)의 바닥면과 접지된다.
때문에, 레일홈(110)의 바닥면이 기울어지거나 틀어지거나 이물질 등에 의해 경사가 맞지 않더라도 상기 수평조절부재(314)의 반구형상 부분이 일종의 볼조인트 개념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조절기본체(310)는 언제나 쉽고 정확하게 수평상태를 맞출 수 있게 된다.
특히, 신규창틀(200)이 가하는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수평이 맞춰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기본체(310)의 양측, 즉 상기 슬라이딩블럭(3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편(316)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편(316)에는 고정볼트(BT)가 체결되어 조절기본체(310)를 기존창틀(100)에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기본체(310)의 내부 양측, 즉 슬라이딩블럭(320)이 조립되는 방향에는 서로 대칭된 형태로 경사가이드(GD1)가 일정 경사면을 이룬채 일체로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이 조립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조절기본체(310) 양측면 중심에는 끼움가이드(GD2)가 수직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은 상기 경사가이드(GD1)의 경사면을 타고 오르내릴 수 있게 조립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의 하단면은 수평면이고, 상단면은 일측으로 경사진 인클라인드면(322)이 형성되는데, 더 정확하게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의 길이 중심을 관통하여 조절볼트(324)가 조립된다.
상기 조절볼트(324)는 헤드부(HD)가 일측 슬라이딩블럭에 걸려있고, 단부는 타측 슬라이딩블럭을 관통하면서 거기에 매립되어 있는 너트(NT)에 볼트 체결된다.
이 경우, 상기 조절볼트(324)는 상기 조절기본체(310)의 경사가이드(GD1)를 관통하도록 하여 경사가이드(GD1)와 간섭되지 않게 설계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조절볼트(324)는 상기 슬라이딩블럭(320)과 함께 승하강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경사가이드(GD1)의 상측 일부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조절볼트(324)가 위아래로 움직이는데 영향을 주지 말아야 한다.
한편, 상기 승강블럭(330)은 하부 양측이 경사진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경사면(332)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딩경사면(332)은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의 인클라인드면(322)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블럭(330)의 이탈을 막기 위해 상기 승강블럭(330)의 양측 중심에는 상기 끼움가이드(GD2)에 끼워지는 가이드홈(3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블럭(330)이 조립되면 도 3과 같은 형태가 되며, 그 상태에서 설치되면 승강블럭(330)의 상면에는 신규창틀(200)이 안착되기 때문에 강한하중이 작용하므로 상기 승강블럭(330)이 분리이탈되는 일은 없게 된다.
그리하여, 높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볼트(324)를 회전시킨다.
만약, 조절볼트(324)의 회전에 의해 조임되어 두 개의 슬라이딩블럭(320)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슬라이딩블럭(320)이 경사가이드(GD1)를 타고 상승하면서 동시에 좁혀진 만큼 승강블럭(330)을 밀어 올리게 되므로 그 만큼 승강블럭(330)이 높아져 신규창틀(200)의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조절볼트(324)의 회전에 의해 풀림되면 상술한 반대 방향으로 동작되면서 신규창틀(2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주 간단하고 단순해 보이지만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높낮이 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용한 기술이다.
100: 기존창틀
200: 신규창틀
300: 높낮이조절기

Claims (3)

  1. 기존창틀(100)의 레일홈(110)에 끼워 고정되는 높낮이조절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조절기(300)의 상면에 신규창틀(200)이 안착 고정된 구조를 갖는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기(300)는 기존창틀(100)의 레일홈(110)에 접지되는 조절기본체(310)와, 상기 조절기본체(31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서로 원근접되게 움직일 수 있는 한 쌍의 슬라이딩블럭(320)과,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블럭(320)의 움직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며 신규창틀(200)이 안착되는 승강블럭(330)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본체(310)의 내부 양측에는 서로 대칭된 형태로 경사가이드(GD1)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가이드(GD1)와 직교되는 양측면에는 끼움가이드(GD2)가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의 하단면은 수평면이고, 상단면은 일측으로 경사진 인클라인드면(322)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가이드(GD1)를 타고 오르내릴 수 있게 조립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럭(320)의 길이 중심을 관통하여 조절볼트(324)가 조립되어 조이고 푸는 방향에 따라 한 쌍의 슬라디잉블럭(320)을 원근접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럭(330)은 하부 양측이 경사진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클라인드면(322)에 안착되며, 상기 승강블럭(330)의 양측 중심에는 상기 끼움가이드(GD2)에 끼워지는 가이드홈(333)이 형성된 것을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본체(310)의 양측에는 고정편(316)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편(316)에는 고정볼트(BT)가 체결되어 조절기본체(310)를 기존창틀(100)에 결속시며, 상기 조절기본체(310)는 바닥면에는 한 쌍의 수평조절홀(3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평조절홀(312)에는 각각 반구형상의 수평조절부재(314)가 볼조인트 형태로 조립되어 조절기본체(310)의 수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190038788A 2019-04-03 2019-04-03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255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788A KR102255005B1 (ko) 2019-04-03 2019-04-03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788A KR102255005B1 (ko) 2019-04-03 2019-04-03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117A KR20200117117A (ko) 2020-10-14
KR102255005B1 true KR102255005B1 (ko) 2021-05-24

Family

ID=7284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788A KR102255005B1 (ko) 2019-04-03 2019-04-03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65229B (zh) * 2023-12-07 2024-02-06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具有耗能效果的安防门窗与主体结构的连接构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4590A (en) 1997-09-05 2000-02-15 Molex Incorporated Self-aligning connector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KR100442482B1 (ko) 2001-12-14 2004-08-04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KR20110134578A (ko) * 2010-06-09 2011-12-15 주육환 시공시에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
KR101903825B1 (ko) * 2014-04-25 2018-10-02 (주)엘지하우시스 개보수 창호용 높낮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117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150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91947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JP6294702B2 (ja) 改修用サッシ
KR101400998B1 (ko) 공동주택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255005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70572B1 (ko) 개보수용 창호
KR102011629B1 (ko) 슬라브 트러스 시스템
KR101818289B1 (ko) 개보수 창호용 창틀 지지장치
DE102004049130A1 (de) Duschwanne mit auf einem höhenverstellbaren Duschwannenträger aufsetzbarer Duschwannenschale
US9580920B1 (en) Hardware mountable blockout apparatus and structural member integrating the same
KR20030049114A (ko)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JP5427941B2 (ja) 免震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床
JP2010196385A (ja) スロープ用支柱の取付構造
JP2019190070A (ja) 開口部建材
EP3587690A1 (en) An adjusting screw, an assembly and a method for levelling an out-of-level flooring
KR101903826B1 (ko) 개보수 창호 마감용 블록조립체
KR101786465B1 (ko) 문지방 탈부착 구조를 갖는 문틀 및 문틀 시공방법
KR200231715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
KR101818290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개보수 창호 마감용 조립체
KR101818288B1 (ko)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KR101818291B1 (ko) 개보수 창호 마감용 조립체
KR101850575B1 (ko) 개보수 창호용 창틀
KR101692594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데크 지지장치
AT508227B1 (de) Unterbausystem für duschwannen und duschböden
KR102440724B1 (ko)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