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578A - 시공시에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시공시에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578A
KR20110134578A KR1020100054199A KR20100054199A KR20110134578A KR 20110134578 A KR20110134578 A KR 20110134578A KR 1020100054199 A KR1020100054199 A KR 1020100054199A KR 20100054199 A KR20100054199 A KR 20100054199A KR 20110134578 A KR20110134578 A KR 20110134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door frame
support plate
protru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육환
Original Assignee
주육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육환 filed Critical 주육환
Priority to KR1020100054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4578A/ko
Publication of KR2011013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69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Abstract

문틀 수평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평판형상의 부재로서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연장된 상부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돌출부의 양 말단은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상부경사면(14)이 형성된, 상부지지판(10); 평판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연장된 하부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돌출부의 양 말단은 상부항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하부경사면(24)이 형성된, 하부지지판(20); 단면이 쐐기형상이고 상기 쐐기형상이 형성하는 전측쐐기경사면(34)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전측체결홀(32)이 형성된 전측리프트(30); 단면이 쐐기형상이고 상기 쐐기형상이 형성하는 후측쐐기경사면(44)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후측체결홀(42)이 형성된 후측리프트(40); 및 전단부에 나사면이 형성된 볼트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전측체결홀(32)을 통과하여 상기 후측체결홀(42)까지 연장되어 상기 전측리프트와 상기 후측리프트를 체결하는 리프트당김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의 시공시에 기반면 고형화단계없이도 보다 용이하게 수평조절이 가능하고 시공후에 사후 수평조정도 보다 용이하다.

Description

시공시에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Apparatus for leveling a doorframe horizontally dur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틀의 시공시에 문틀하부의 기반공사를 새로할 필요없이 보다 간단하게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고 또한 시공후에도 간단하게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는 문틀의 시공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 는 잘못 시공된 문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문틀(101)은 벽면(102)의 기반면(A1)의 상부에 놓여지고, 문짝(103)은 문틀(101)의 내부에 설치된다. 문틀(101)과 기반면(A1)사이에는 두께 t1 의 시공틈(108)이 존재한다. 시공자는 약간의 시공틈을 두고 시공의 기반면공사 즉 시멘트등의 기반공사를 한 후 문틀을 기반면의 상부에 삽입설치하고 시공면을 고형시킨후 문틀을 영원히 기반면A1 의 상부에 고정시키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 1a 의 공사법에 따르면, 기반면공사가 수평으로 되지 않거나 기반면의 침강등이 있는 경우에는 새로 기반면공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반면이 시공오류각도 a 가 발생하여 기반면의 중앙부에만 두께 t2 의 시공틈이 발생하게되면, 문틀(101)의 저면은 완벽한 수평이 되지 않고 그 결과 문짝(103a, 103b)은 완전히 수직이 되지 않고 한쪽으로 기울게 된다. 이는 문짝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정을 해야하는데, 수정을 위해선 이미 고형된 시멘트를 파쇄하고 새로 기반면공사를 해야하기 때문에 공사가 지연되고 또 재공사를 하더라도 완벽히 수평을 조절된다는 보장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잘못된 기반면공사등을 인해 문틀의 기울어짐현상이 발생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문틀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새로 기반면공사가 필요한 경우라도 공사의 범위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문틀 수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틀의 시공시에 기반면과 문틀사이에서 문틀의 저면을 지지하고 문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100)에 있어서, 상부에 문틀이 놓여지는 평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된 상부지지판(10)으로서, 상기 상부지지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연장된 상부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돌출부의 양 말단은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상부경사면(14)이 형성된, 상부지지판(10); 기반면의 상부에 놓여지는 평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된 하부지지판(20)으로서,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연장된 하부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돌출부의 양 말단은 상부항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하부경사면(24)이 형성된, 하부지지판(20); 단면이 쐐기형상이고 상기 쐐기형상이 형성하는 전측쐐기경사면(34)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전측체결홀(32)이 형성된 전측리프트(30); 단면이 쐐기형상이고 상기 쐐기형상이 형성하는 후측쐐기경사면(44)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후측체결홀(42)이 형성된 후측리프트(40); 및 전단부에 나사면이 형성된 볼트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전측체결홀(32)을 통과하여 상기 후측체결홀(42)까지 연장되어 상기 전측리프트와 상기 후측리프트를 체결하는 리프트당김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은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전측리프트(30) 및 후측리프트(40)는 상기 전측쐐기경사면(34)과 후측쐐기경사면(44)이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상부경사면 및 하부경사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리프트당김부(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측리프트와 후측리프트의 견인이 발생하고, 상기 견인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간격이 증가됨으로써 문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측리프트(30)의 전측체결홀(32)의 내경은 상기 리프트당김부(50)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후측리프트(40)의 후측체결홀(42)의 내면에는 암나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당김부(50)의 전단부에는 수나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당김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후측리프트가 상기 전측리프트방향으로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돌출부(12)는 판상형태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상부돌출격판(122,124,126,128)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돌출부(22)는 판상형태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하부돌출격판(221,222,223,224,225,226)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돌출격판 및 하부돌출격판은 서로 이격된 공간에 교번하여 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상부돌출부와 하부돌출부가 각각 상기 전측리프트와 후측리프트가 만나는 지점이 분산되어 힘의 전달위치가 수평적으로 고르게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돌출격판 및 하부돌출격판중 가장 중앙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당김부(50)는 상기 빈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반면공사의 고형단계없이도 수평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틀시공시에 간단히 문틀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시공후에도 기반면부근의 적은 위치만의 수정으로도 문틀의 수평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후 조정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제공되어 작업용이성이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돌출격판 및 하부돌출격판의 구조에 의해 지지력이 증가하고 수평적으로 힘을 전달하는 위치가 분산되기 때문에 힘의 전달 효율이 증가되어 보다 용이하게 수평 조절이 가능하다.
도 1a 는 문틀의 시공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 는 잘못 시공된 문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수평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3은 전측리프트(30) 및 후측리프트(40)가 수평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부지지판(10) 및 하부지지판(20)이 수직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평 조절 장치(200)를 나타내느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수평 조절 장치(200)의 I 방향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문틀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통행하기 위한 문틀 및 창문틀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가능한 문틀로서 동작하는한 여닫이 및 미닫이등의 형태에 구속되지 않는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수평 장치(100)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문틀 수평 장치(100)는 상부지지판(10), 하부지지판(20), 전측리프트(30), 후측리프트(40), 리프트당김부(50)를 포함한다.
상부지지판(10)은 상부에 문틀이 놓여지는 평판형상의 부재이다. 상부지지판(10)은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연장된 상부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돌출부(12)의 양 말단은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상부경사면(14)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지지판(20)은 기반면의 상부에 놓여지는 평판형상의 부재이다. 하부지지판(20)은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연장된 하부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돌출부(22)의 양 말단은 상부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하부경사면(2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은 중앙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전측리프트(30)는 단면이 쐐기형상인 부재로서,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판의 중앙에 상기 상부 및 하부 경사면을 대향하여 위치한다. 전측리프트(30)는 상기 쐐기형상이 형성하는 전측쐐기경사면(34)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전측체결홀(32)이 형성되어 있다.
후측리프트(40)는 단면이 쐐기형상인 부재로서, 수직적으로는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판의 중앙에 상기 상부 및 하부 경사면을 대향하여 위치하며, 수평적으로는 상기 전측리프트의 반대방향에 위치한다. 후측리프트(40)는 상기 쐐기형상이 형성하는 후측쐐기경사면(44)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후측체결홀(42)이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당김부(50)는 전단부에 수나사면이 형성된 볼트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전측체결홀(32)을 통과하여 상기 후측체결홀(42)까지 연장되어 상기 전측리프트와 후측리프트를 체결한다.
상기 상부지지판(10) 및 하부지지판(20)은 수직적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상부지지판(10)의 상부돌출부(12)는 하부지지판(20)의 하부돌출부(22)를 대향하도록 하는 위치에서 상부지지판(10)이 하부지지판(2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 때 상부지지판(10)의 상부돌출부(12)와 상기 하부지지판(20)의 하부돌출부(22)는 수평적으로 서로 교번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를 간섭하지 않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측리프트(30) 및 후측리프트(40)는 상기 전측쐐기경사면(34)과 후측쐐기경사면(44)이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상부경사면 및 하부경사면의 사이에 위치한다.
전측리프트와 후측리프트의 체결방법은 2가지이다. 첫째 구성은 후측리프트(40)의 후측체결홀(42)의 내면에 암나사면이 형성되는 구조로서 리프트당김부의 전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면이 후측체결홀(42)과 체결된다. 둘째 구성은 별도의 체결부재 예를 들면 너트가 리프트당김부(50)의 전단부와 체결된다. 어느경우라도 전측리프트(30)의 전측체결홀(320)의 내경은 리프트당김부(50)보다 커야 한다. 리프트당김부(5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은 전측리프트(30) 및 후측리프트(40)가 수평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부지지판(10) 및 하부지지판(20)이 수직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동작원리는 리프트당김부(50)의 회전에 의해 전측리프트(30)와 후측리프트(40)가 견인되고, 상기 견인에 의해 상부지지판(10)과 하부지지판(20)의 간격이 증가됨으로써 결국 문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견인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의 간격이 감소되고 문틀의 높이가 감소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장치(100)가 문틀의 하부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리프트당김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리프트당김부(50)의 전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면(54)과 후측리프트(40)의 후측체결홀에 형성된 암나사면(46)의 결합에 의해, 후측리프트(40)는 전측리프트(30)를 향하는 P방향으로 수평이동거리 L만큼 수평적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미 문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리프트당김부(50)가 회전하더라도 후측리프트(40)는 회전할 수 없고 그 결과 나사면결합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하 도 3의 단계를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의 이동과 관련하여 살펴본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측리프트(30)와 후측리프트(40)가 각각 P1 및 P2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측리프트(30)에 형성된 전측쐐기경사면(34)과 상부경사면(14) 및 하부경사면(24)의 결합, 및 후측리프트(40)에 형성된 후측쐐기경사면(44)과 상부경사면(14) 및 하부경사면(24)의 결합에 의해 수직방향의 힘 M1 및 M2 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은 수직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사이의 사이의 간격 h1 은 h2 로 증가하고, 결국 상부지지판에 놓인 문틀의 높이가 간격차이 h2-h1 만큼 상승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는 본 발명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00a,100b)는 기반면(102)의 상부에 위치하고, 문틀(10)은 본 발명의 장치(100a,100b)의 상부에 위치한다. 즉 기반면(102)의 1차공사가 완료되면, 전측방향에 보았을때 문틀의 양단 하부에 본 발명의 장치(100)가 놓여지고, 그 위에 문틀이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문틀의 설치후에 사용자는 드라이버 D 등을 이용하여 리프트당김부(50)를 m7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의 높이 h7 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100a,100b)는 전측방향에서 보았을 때 문틀의 양 말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결국 문틀의 높이는 좌우위치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며 결국 문틀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문틀의 수평작업이 완전히 완료되면 기반면과 문틀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2차 기반면공사가 시행되고 문틀은 완전히 고정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이 설치되고 난후에도 사용자는 자유롭게 문틀의 좌우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기반면의 공사를 새로할 필요가 없다. 특히 기반면공사는 시멘트등의 고형화단계가 필요한데 한번 고형되면 이를 수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고형화된 시멘트의 제거 -> 수평조절작업 -> 다시 고형화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수평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멘트고형화단계를 거치지 않아도되므로 수평조절작업이 훨씬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이 설치되고 긴 시간이 지난후 장기적이고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문틀의 수평이 어긋난 경우에도 용이하게 수평조절이 가능하다. 문틀의 설치후에도 기반면공사의 잘못 및 지반면의 침강등으로 인해 수평이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문틀의 수평을 재조절하기 위해선 기반면으로부터 문틀을 제거한 후 기반면공사를 새로 실시하고 수평작업을 해야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평조절 장치(100)가 문틀의 하부에 위치한 채로 기반면공사에 매립되게 되므로, 후에 재수평조절시에는 본 발명이 위치하는 높이만큼만 고형화된 시멘트등을 제거하면되고, 특히 문틀의 제거 없이도 본 발명의 리프트당김부의 회전만으로 수평을 재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 비용 및 난이도가 매우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문틀설치장소이외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제공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용이성이 증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평 조절 장치(200)를 나타내느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수평 조절 장치(200)의 I 방향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의 수평 조절 장치(200)는 도 2의 수평 조절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상부지지판(10), 하부지지판(20), 전측리프트(30), 후측리프트(40), 리프트당김부(50)를 포함한다. 전측리프트(30), 후측리프트(40) 및 리프트당김부(50)의 형상 및 구성은 도 2의 수평 조절 장치와 동일하고, 다만 상부지지판(10)에 형성된 상부돌출부(12) 및 하부지지판(20)에 형성된 하부돌출부(22)가 상이하다.
상부지지판(10)은 상부에 문틀이 놓여지는 평판형상의 부재이다. 상부지지판(10)은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연장된 상부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돌출부(12)의 양 말단은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상부경사면(14)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지지판(20)은 기반면의 상부에 놓여지는 평판형상의 부재이다. 하부지지판(20)은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연장된 하부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돌출부(22)의 양 말단은 상부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하부경사면(2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은 중앙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도 7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돌출부(12)는 판상형태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상부돌출격판(122,124,126,128)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돌출부(22)는 판상형태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하부돌출격판(222,224,226,228)을 포함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돌출격판 및 하부돌출격판은 서로 이격된 공간에 교번하여 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실시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측 및 후측리프트의 견인시에 상부 및 하부지지판이 서로 뒤틀어지는 뒤틀어짐 현상이 방지된다. 리프트당김부가 회전하면 전측 및 후측리프트가 서로 견인되게되는데 견인방향에 대해 가이드역할을 하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일정한 방향으로 견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지지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견인되지 않음으로서 서로 뒤틀어져서 결국 서로의 경로를 이탈하여 분리 및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부 및 하부지지판은 문틀의 엄청나게 큰 무게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한번 뒤틀어짐 현상이 발생하면 이를 수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돌출부를 하나이상의 상부돌출격판 및 하부돌출격판으로 구성하고, 이들 격판들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 교번하여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견인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하여 뒤틀어짐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였다.
둘째, 본 발명의 장치의 지지력 및 부상력의 크기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힘의 원리는 리프트당김부의 회전력-> 전측 및 후측리프트사이의 견인력 ->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사이의 수직이동력(부상력)으로 변환되는 것에 기초한다. 특히 2번째 변환은 서로 대향한 경사면에 의한 힘의 방향이동을 실현하는데, 이때 경사면사이의 힘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힘의 전달위치가 보다 다양하게 분산될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적위치의 관점으로 보았을때 상부 및 하부지지판의 보다 다양한 위치에서 전측 및 후측리프트가 상부 및 하부돌출부의 경사면과 대면할 수 있도록 경사부의 개수를 증가시켰다. 즉 상부돌출부가 1개 및 하부돌출부가 1개로 구성하는 대신 상부돌출부를 2개이상의 상부돌출격판 및 하부돌출부를 2개이상의 하부돌출격판으로 형성함으로써 힘의 전달위치를 수평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분산시킴으로써 힘의 전달이 보다 균등하도록 발생하도록 하였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돌출격판 및 하부돌출격판중 가장 중앙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당김부(50)는 상기 빈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돌출격판과 하부돌출격판의 중앙에 빈공간에 리프트당김부가 위치할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게 되어 도 7의 실시예에서 힘의전달위치를 고르게 함과 동시에 리프트당김부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문틀 수평 조절 장치 10: 상부지지판
20: 하부지지판 30,40: 전측 및 후측리프트
50: 리프트당김부 12, 22: 상부 및 하부돌출부

Claims (4)

  1. 문틀의 시공시에 기반면과 문틀사이에서 문틀의 저면을 지지하고 문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100)에 있어서,
    상부에 문틀이 놓여지는 평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된 상부지지판(10)으로서, 상기 상부지지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연장된 상부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돌출부의 양 말단은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상부경사면(14)이 형성된, 상부지지판(10);
    기반면의 상부에 놓여지는 평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된 하부지지판(20)으로서,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연장된 하부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돌출부의 양 말단은 상부항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하부경사면(24)이 형성된, 하부지지판(20);
    단면이 쐐기형상이고 상기 쐐기형상이 형성하는 전측쐐기경사면(34)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전측체결홀(32)이 형성된 전측리프트(30);
    단면이 쐐기형상이고 상기 쐐기형상이 형성하는 후측쐐기경사면(44)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후측체결홀(42)이 형성된 후측리프트(40); 및
    전단부에 나사면이 형성된 볼트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전측체결홀(32)을 통과하여 상기 후측체결홀(42)까지 연장되어 상기 전측리프트와 상기 후측리프트를 체결하는 리프트당김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은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전측리프트(30) 및 후측리프트(40)는 상기 전측쐐기경사면(34)과 후측쐐기경사면(44)이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상부경사면 및 하부경사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리프트당김부(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측리프트와 후측리프트의 견인이 발생하고, 상기 견인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간격이 증가됨으로써 문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수평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리프트(30)의 전측체결홀(32)의 내경은 상기 리프트당김부(50)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후측리프트(40)의 후측체결홀(42)의 내면에는 암나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당김부(50)의 전단부에는 수나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당김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후측리프트가 상기 전측리프트방향으로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수평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부(12)는 판상형태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상부돌출격판(122,124,126,128)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돌출부(22)는 판상형태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하부돌출격판(221,222,223,224,225,226)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돌출격판 및 하부돌출격판은 서로 이격된 공간에 교번하여 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상부돌출부와 하부돌출부가 각각 상기 전측리프트와 후측리프트가 만나는 지점이 분산되어 힘의 전달위치가 수평적으로 고르게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수평 조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격판 및 하부돌출격판중 가장 중앙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당김부(50)는 상기 빈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수평 조절 장치.
KR1020100054199A 2010-06-09 2010-06-09 시공시에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 KR20110134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199A KR20110134578A (ko) 2010-06-09 2010-06-09 시공시에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199A KR20110134578A (ko) 2010-06-09 2010-06-09 시공시에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578A true KR20110134578A (ko) 2011-12-15

Family

ID=4550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199A KR20110134578A (ko) 2010-06-09 2010-06-09 시공시에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457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859A (ko) * 2014-05-28 2015-12-08 심경혜 문틀 수평 발란스 조절장치
WO2016129872A1 (ko) * 2015-02-12 2016-08-18 엘지전자(주) 그래프 기반 변환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17117A (ko) * 2019-04-03 2020-10-14 주식회사 제이켐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BE1029045A1 (fr) 2021-06-09 2022-08-19 Cemil Sahin Cale d'épaisseur ajustable
US11933098B1 (en) 2023-03-20 2024-03-19 Pella Corporation Fenestration unit with interior installation featur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859A (ko) * 2014-05-28 2015-12-08 심경혜 문틀 수평 발란스 조절장치
WO2016129872A1 (ko) * 2015-02-12 2016-08-18 엘지전자(주) 그래프 기반 변환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17117A (ko) * 2019-04-03 2020-10-14 주식회사 제이켐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BE1029045A1 (fr) 2021-06-09 2022-08-19 Cemil Sahin Cale d'épaisseur ajustable
EP4102020A1 (fr) 2021-06-09 2022-12-14 Cemil Sahin Cale d épaisseur ajustable
WO2022258626A1 (fr) 2021-06-09 2022-12-15 Cemil Sahin Cale d'épaisseur ajustable
US11933098B1 (en) 2023-03-20 2024-03-19 Pella Corporation Fenestration unit with interior installation featur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4578A (ko) 시공시에 문틀의 수평을 조절하는 장치
CN102853232B (zh) 液晶面板拼接式前维护装置
US8468765B1 (en) Panel fixing device
CN102112795A (zh) 面板显示器悬挂系统和设有面板显示器悬挂系统的面板显示器
JP2007223695A (ja) エレベータの釣合錘装置
CN101662130B (zh) 可调式安装支架和具有所述可调式安装支架的配电箱
US8707636B1 (en) Memorial foundation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KR20190035087A (ko) 지중 삽입용 패널의 연결 시공방법
US3550336A (en) Trench ducts
CN102332691A (zh) 建筑施工中从上向下放电缆的辅助装置及放线方法
KR100634561B1 (ko) 광고프레임용 지지장치
CN208870241U (zh) 一种高强度防风幕墙安装支架
CN217949852U (zh) 一种建筑结构加固装置
CN209787313U (zh) 一种智能化楼宇监控装置
CN112267603A (zh) 一种外挂式玻璃幕墙转角柱及施工方法
KR20180076608A (ko)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CN209429828U (zh) 一种地弹簧的安装机构
CN218911449U (zh) 一种用于深基坑支护的装配式支撑结构
JP3184068U (ja) 平面ディスプレイ用壁面取付け金具
KR20070074533A (ko) 수평조절 장치가 부착된 고정용 브래킷
CN215563652U (zh) 一种建筑幕墙安装结构
CN218510557U (zh) 一种悬吊连接机构
JP2015132088A (ja) 連結部材及び基礎杭と支柱との連結構造
KR101353385B1 (ko) 무대설비의 바튼용 행깅장치
CN218668489U (zh) 易固定耐磨建筑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