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724B1 -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724B1
KR102440724B1 KR1020220053708A KR20220053708A KR102440724B1 KR 102440724 B1 KR102440724 B1 KR 102440724B1 KR 1020220053708 A KR1020220053708 A KR 1020220053708A KR 20220053708 A KR20220053708 A KR 20220053708A KR 102440724 B1 KR102440724 B1 KR 10244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fixing
door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화
한기철
Original Assignee
박석화
한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화, 한기철 filed Critical 박석화
Priority to KR1020220053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724B1/ko
Priority to KR1020220104961A priority patent/KR102442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05Y2201/718Bevelled 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Bay Windows, Entrances, And Structural Adjustments Related Thereto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현관 중문 시공 장소의 슬라브(2) 상면에 설치되는 나란한 한 쌍의 브라켓(112)으로 이루어진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 상기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의 한 쌍의 상기 브라켓(112)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120);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방된 가이드홈(134)이 구비되고 양쪽 단부에는 날개부(136)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설치되며 상기 날개부(136)의 상면에는 마루 바닥재가 얹혀지는 레일 프레임(130);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방된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130)의 상기 가이드홈(134)에 삽입되며, 양쪽 단부의 레일 윙편(144)은 상기 레일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얹혀져서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에는 슬라이딩 도어(50)의 롤러(51)가 삽입되어 구름 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140); 상기 고정 프레임(120)을 상기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를 기준으로 수평 상태가 되도록 조정하는 수평 조정 유닛(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Rail installation structure for entrance inner door}
본 발명은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루 시공에 앞서 현관 슬라브의 상면에 정확하게 수평 수직을 맞춘 고정 프레임과 가이드 레이을 설치함으로써 현관 중문이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문은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축물 등에서 외부에 접하는 현관 문과 실내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현관문의 개방시 실내 공간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 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현관문에서 유입되는 외기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 질들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동절기나 하절기에 실내 공간의 온 기와 냉기가 현관문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 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중문은 현관문과 실내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을 현관문으로 부터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과거에는 안팎으로 밀거나 당기는 여닫이 방식으로 주 로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실내 공간의 천장면, 벽면(좌우측) 및 바닥면에 설치된 사각형 구조의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미닫이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중문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는 통상 문틀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바닥에도 문틀을 형성하지 않고 마루에 가이드 레일을 직접 매립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고, 이때의 가이드 레일은 레일 프레임에 안착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즉, 마루 시공이 이루어지기 전에 마루의 하부를 지지하는 시멘트 미장층으로 레일 프레임이 설치되게 하여 이러한 레일 프레임의 양측 날개에 강화 마루가 안치되도록 하면서 레일 프레임의 상향 개방되도록 한 홈을 따라 가이드 레일이 안착 고정되도록 하여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시멘트 미장층은 정확히 수평도를 맞추기가 매우 어렵고 난해하므로 이러한 시멘트 미장층에 레일 프레임과 가이드 레일이 고정되게 하므로써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가 안치되어 구름 이동하게 되는 가이드 레일이 경사지는 상태로 시공 되는 경우가 많아서 슬라이딩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 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15075호(2016년04월18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301965호(2021년09월08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1175호(2002년06월26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1390호(2003년07월15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마루 시공에 앞서 현관 쪽의 슬라브의 상면에 정확하게 수평 수직을 맞춘 고정 프레임과 가이드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현관 중문이 수평한 상태에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관 중문 시공 장소의 슬라브(2) 상면에 설치되는 나란한 한 쌍의 브라켓(112)으로 이루어진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 상기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의 한 쌍의 상기 브라켓(112)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120);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방된 가이드홈(134)이 구비되고 양쪽 단부에는 날개부(136)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설치되며 상기 날개부(136)의 상면에는 마루 바닥재가 얹혀지는 레일 프레임(130);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방된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130)의 상기 가이드홈(134)에 삽입되며, 양쪽 단부의 레일 윙편(144)은 상기 레일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얹혀져서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에는 슬라이딩 도어(50)의 롤러(51)가 삽입되어 구름 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140); 상기 고정 프레임(120)을 상기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를 기준으로 수평 상태가 되도록 조정하는 수평 조정 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수평 조정 유닛(150)은, 외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브(2)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조정체(152); 내주면에 구비된 승강측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측 나사부가 상기 베이스 조정체(152)의 나사부에 결합된 조정 승강부재(154); 상기 조정 승강부재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저면에 접촉되는 조정 가이드캡(15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조정 유닛(150)은 상기 슬라브(2)의 상면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 설치되어, 적어도 두 군데의 상기 수평 조정 유닛의 상기 조정 승강부재(154)와 상기 조정 가이드캡(156)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수평 상태를 맞춰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고정 지지부(160)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브라켓(112)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지지부(160)는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양쪽 측면을 한 쌍의 상기 브라켓(112)에 고정하는 용접부 또는 상기 브라켓(112)의 양면으로 관통된 볼트 삽입홀(162)과, 상기 볼트 삽입홀(162)과 만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164)과, 상기 볼트 삽입홀(162)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결합홀(164)에 체결되는 볼트(16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좌우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행거 돌편(122)이 더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 행거 돌편(122)을 상기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의 한 쌍의 브라켓(112)의 상단부에 걸쳐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을 상기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에 거치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니어 돌편(LP)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 프레임(130)의 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니어 그루브(LG)가 구비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130)의 저면이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상면에 얹혀져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리니어 돌편(LP)에 상기 리니어 그루브(LG)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상면에서 상기 레일 프레임(130)이 좌우로 틀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조정 유닛(150)은, 상기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의 한 쌍의 상기 브라켓(112) 중에서 한쪽의 브라켓(112)의 안쪽면에 장착된 박스체(1152); 상기 박스체(11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박스체(1152)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일부가 돌출된 볼스크류(1154); 상기 볼스크류(1154)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저면 아래쪽에 배치된 볼스크류 너트(1155); 상기 박스체(1152)와 상기 브라켓(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어군(1156)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1154)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수평 조정 샤프트(115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112)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조정 샤프트(1157)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기어군(1156)에 의해 상기 수평 조정 샤프트(1157)의 회전력이 상기 볼스크류(1154)에 전달되어 상기 볼스크류(1154)가 상기 박스체(1152)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볼스크류(115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 너트(1155)가 승강되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20)을 수평 상태로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조정 유닛(150)은, 상기 볼스크류 너트(1155)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저면에 접촉되는 수평 조정 작동캡(115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112)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조정 샤프트(1157)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기어군(1156)에 의해 상기 수평 조정 샤프트(1157)의 회전력이 상기 볼스크류(1154)에 전달되어 상기 볼스크류(1154)가 상기 박스체(1152)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볼스크류(115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 너트(1155) 및 상기 수평 조정 작동캡(1158)이 승강되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120)을 수평 상태로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체(1152)와 상기 볼스크류(1154)와 상기 볼스크류 너트(1155)와 상기 수평 조정 작동캡(1158)과 상기 수평 조정 샤프트(1157)는 상기 슬라브(2)의 상면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 설치되어, 적어도 두 군데의 상기 볼스크류 너트(1155)와 상기 수평 조정 작동캡(1158)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수평 상태를 맞춰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는 양단부 사이의 중심 표시선을 기준으로 수평 수준기(170)가 배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20)이 수평 상태로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수준기(170) 내부에 전후로 움직이는 수평 기준 기포(172)의 가운데가 상기 중심 표시선과 일치한 상태를 보고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수평 상태를 정밀하게 맞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군(1156)은 상기 볼스크류(1154)와 상기 수평 조정 샤프트(1157) 사이를 연결하는 베벨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관 중문으로 사용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50)가 설치되는 현관의 슬라브(2)의 상면과 윗층 슬라브(2)의 저면 사이에 어퍼 도어 마운팅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브(2)와 상기 윗층 슬라브(2) 사이의 좌우 현관 벽체에는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이 설치되며, 좌우 현관 벽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완충 패드(183); 상기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버티컬 리브(184); 상기 버티컬 리브(184)의 양면으로 관통된 리브측 관통홀(184H); 상기 리브측 관통홀(184H)을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버티컬 리브(184)의 양면으로 관통된 스프링 통과홀(184SH); 상기 버티컬 리브(184)의 앞쪽과 상기 슬라이딩 도어(50)의 일측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쇽업 작동 패드(185); 상기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구비된 리어 완충 패드(186); 상기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설치된 볼케이스(187); 상기 볼케이스(187)의 상면과 하면으로 관통된 볼출몰홀; 상기 볼케이스(187)에 내장되어 상기 볼출몰홀로 일부가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스톱핑볼(188); 한 쌍의 상기 스톱핑볼(188)을 상기 볼케이스(187)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상기 볼출몰홀로 돌출되도록 탄지하는 스톱핑 스프링(188SP); 상기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통과홀(184SH)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 상기 쇽업 작동 패드(185)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50)의 일측단부와 마주하는 프론트 완충 패드(18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50)가 열려 있던 상태에서 슬라이드 되어 닫히는 순간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50)의 일측단부가 상기 프론트 완충 패드(189)에 접촉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프론트 완충 패드(189)와 상기 쇽업 작동 패드(185)와 상기 리어 완충 패드(186)와 상기 볼케이스(187) 및 상기 스톱핑 스프링(188SP)을 상기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부에서 상기 버티컬 리브(184) 쪽으로 밀어서 상기 볼케이스(187)의 내측단이 상기 완충 패드(183)에 접촉되고 상기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은 상기 스프링 통과홀(184SH)을 지나서 상기 완충 패드(183)에 접촉됨과 동시에 압축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50)가 닫히는 순간에 상기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과 충돌하여 생길 수 있는 충격력과 소음을 흡수하여 완충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볼케이스(187)는 상기 케이스 통과홀을 지나서 한 쌍의 상기 스톱핑볼(188)의 일부가 상기 버티컬 리브(184)에 걸려지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50)를 열어줄 때에는 압축되어 있던 상기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이 펼쳐지면서 상기 프론트 완충 패드(189)와 상기 쇽업 작동 패드(185)와 상기 리어 완충 패드(186)와 상기 볼케이스(187) 및 상기 스톱핑 스프링(188SP)과 한 쌍의 상기 스톱핑볼(188)을 상기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부에서 상기 버티컬 리브(184)의 전면 바깥쪽으로 밀어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50)를 닫아줄 때의 완충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을 포함하여 구성
본 발명은 고정 프레임과 레일 프레임과 가이드 레일의 수평 상태를 맞춰주고 현관 중문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딩 도어 하단부의 롤러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가이드홈에 들어가도록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면, 현관 중문인 슬라이딩 도어가 수평한 상태에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레일 프레임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가이드 레일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를 현관 중문의 슬라브 바닥면에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관 중문 레일 설치 구조에 의해 현관 중문인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를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딩 가이드홈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의 수평 조정 유닛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현관 중문 레일 설치 구조의 다른 주요부인 슬라이딩 도어 완충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 완충 구조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를 일부 개방한 상태와 슬라이딩 도어 완충 구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레일 프레임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가이드 레일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를 현관 중문의 슬라브 바닥면에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현관 중문 레일 설치 구조에 의해 현관 중문인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를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딩 가이드홈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의 수평 조정 유닛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현관 중문 레일 설치 구조의 다른 주요부인 슬라이딩 도어 완충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 완충 구조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를 일부 개방한 상태와 슬라이딩 도어 완충 구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는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에 고정 프레임(120)과 레일 프레임(130)과 가이드 레일(140)이 지지되고, 현관 중문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체인 고정 프레임(120)과 가이드 레일(140)의 수평은 수평 조정 유닛에 의해 조절되어, 고정 프레임(120)과 레일 프레임(130) 및 가이드 레일(140)을 정확하게 수평 수직을 맞추어 줌으로써 중문이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는 현관 중문 시공 장소의 슬라브(2) 상면에 설치되는 나란한 한 쌍의 브라켓(112)으로 이루어진다. 브라켓(112)의 하단부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브라켓(112)편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112)편이 현관 중문이 설치되는 슬라브(2)의 상면에 앵커볼트(166)로 고정됨으로써 한 쌍의 나란한 브라켓(112)으로 이루어진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를 상기 슬라브(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의 한 쌍의 브라켓(1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고정 지지부(160)에 의해 한 쌍의 브라켓(112)에 고정된다. 고정 프레임(120)은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일정한 길이의 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며, 고정 지지부(160)에 의해 고정 프레임(120)의 좌우 양쪽 고정 프레임(120)측 사이드벽이 한 쌍의 브라켓(112)에 고정됨으로써, 고정 프레임(120)이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에 지지되어 현관 중문 시공 지역의 슬라브(2) 위에 배치된다. 고정 프레임(120)은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좌우 한 쌍의 L자형 브라켓(112)(10)에 고정된다.
상기 레일 프레임(1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방된 가이드홈(134)이 구비된 일정한 길이의 레일 형상으로 구성된다. 레일 프레임(130)은 서로 나란한 한 쌍의 레일편(132)과, 상기 레이편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134)을 구비한다.
상기 레일 프레임(130)은 양쪽 단부에 날개부(136)를 구비한다. 레일 프레임(130)의 하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날개부(136)가 구비된다. 레일 브레임에 직교하는 좌우 한 쌍의 날개부(136)가 구비된 구조가 된다.
상기 레일 프레임(130)은 고정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고정 프레임(120)의 상면에 레일 프레임(130)이 얹혀져서 설치된다. 레일 프레임(130)의 좌우 양쪽 날개부(136)가 고정 프레임(120)의 상면에 얹혀져서 볼트(166)나 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프레임(120)에 고정됨으로써, 고정 프레임(120)의 상면에 레일 프레임(130)이 고정된 구조가 된다. 상기 날개부(136)의 상면에는 마루 바닥재가 얹혀진다. 레일 프레임(130)이 고정되면 현관 중문이 설치되는 슬라브(2)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타설층(200)을 형성한 후 그 위에는 시멘트 미장에 의해서 마감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시멘트 미장에 의한 시멘트 미장층(300)은 상단부가 수평도를 맞춘 고정 프레임(120)의 상단부 높이까지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시멘트 미장층(300)의 상부로 마루 바닥재(400)를 이용한 마루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콘크리트 타설층(200)과 시멘트 미장층(300)에 의한 마루 바닥층의 상부로 마루 바닥재(400)를 사용하여 마루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마루 바닥재(400)의 단부는 레일 프레임(130)의 양측 날개면(32) 상부에 얹혀지도록 하는 동시에 양측의 바깥면에 마루 바닥재(400)의 한쪽 면이 각각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40)은 일정한 길이의 레일 형상으로 구성된다. 가이드 레일(1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방된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40)은 상기 레일 프레임(130)의 가이드홈(134)에 삽입된다. 레일 프레임(130)의 위쪽에서 가이드 레일(140)이 레일 프레임(130)의 가이드홈(134)에 삽입된다. 가이드 레일(140)은 레일 프레임(130)의 가이드홈(1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레일 프레임(130)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40) 양쪽 단부의 레일 윙편(144)은 레일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얹혀져서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140)이 좌우 양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레일 윙편(144)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레일 윙편(144)의 내측단은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의 길이 방향 중심선 쪽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40)이 레일 프레임(130)의 가이드홈(134)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레일 윙편(144)은 수직 방향의 가이드 레일(140)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40)의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에는 슬라이딩 도어(50)의 롤러(51)가 삽입되어 구름 운동되도록 한다. 슬라이딩 도어(50)는 주로 현관 중문으로서, 슬라이딩 도어(50)의 하단부에 롤링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51)가 가이드 레일(140)의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에 삽입되어 롤러(51)의 좌우 양쪽 측면이 한 쌍의 레일 윙편(144)의 내측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50)가 열리고 닫히는 작동을 함에 따라 상기 롤러(51)가 가이드 레일(140)의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에서 구름 운동되도록 하므로, 슬라이딩 도어(50)가 원활하게 열리고 닫히도록 한다.
상기 수평 조정 유닛은 상기 고정 프레임(120)을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를 기준으로 수평 상태가 되도록 조정한다. 고정 프레임(120)을 수평 상태가 되도록 조정하면 가이드 레일(140)도 자동으로 수평 상태로 조정된다. 가이드 레일(140)이 수평 상태로 조정되면 슬라이딩 도어(50)가 수평 상태로 유지되어 원활하게 열리고 닫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50)가 원활하게 열리고 닫히도록 하기 위한 수평 조정 유닛은 베이스 조정체(152), 조정 승강부재(154), 조정 가이드캡(156)을 포함하며, 수평 조정 유닛(150)은 상기 슬라브(2)의 상면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조정체(152)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슬라브(2)의 상면에 고정된다. 베이스 조정체(152)는 원형봉 형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조정체(152)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다. 베이스 조정체(152)의 하단부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직교하는 조정체 고정편이 구비되어, 조정체 고정편의 볼트 삽입홀(162)에 삽입된 앵커볼트(166)가 슬라브(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조정체(152)가 고정 프레임(120)의 아래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브(2)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정 승강부재(154)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정 승강부재(154)의 내주면에는 승강측 나사부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측 나사부가 베이스 조정체(152)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된다. 조정 승강부재(154)를 돌려줌에 따라 상기 승강측 나사부와 나사부로 인하여 조정 승강부재(154)가 베이스 조정체(152)에서 승강된다. 조정 승강부재(154)는 고정 프레임(120)의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조정 가이드캡(156)은 조정 승강부재(154)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정 가이드캡(156)의 외주면에 구비된 걸림홈이 조정 승강부재(154)의 내주면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단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정 가이드캡(156)이 조정 승강부재(154)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조정 승강부재(154)의 상단부 위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조정 가이드캡(156)은 고정 프레임(120)의 저면에 접촉된다. 조정 가이드캡(156)의 상단부가 고정 프레임(120)의 저면에 접촉된다.
상기 수평 조정 유닛(150)은 상기 슬라브(2)의 상면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 설치되어, 적어도 두 군데의 수평 조정 유닛의 조정 승강부재(154)와 조정 가이드캡(156) 및 조정 가이드캡(156)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수평 상태를 맞춰주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한쪽의 조정 승강부재(154)와 조정 가이드캡(156)을 베이스 조정체(152)를 기준으로 회전시켜서 상승시키고 다른 쪽의 조정 승강부재(154)와 조정 가이드캡(156)을 베이스 조정체(152)를 기준으로 회전시켜서 하강시키면,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되고 고정 프레임(120)에 결합된 레일 프레임(130)과 가이드 레일(140)의 상하 높이도 조절되면서 수평 상태를 맞출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고정 프레임(120)에는 양단부 사이의 중심 표시선을 기준으로 수평 수준기(170)가 배치된다. 상기 수평 조정 유닛(150)이 수평 수준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쪽의 조정 승강부재(154)와 조정 가이드캡(156)을 베이스 조정체(152)를 기준으로 회전시켜서 상승시키고 다른 쪽의 조정 승강부재(154)와 조정 가이드캡(156)을 베이스 조정체(152)를 기준으로 회전시켜서 하강시키면,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되고 고정 프레임(120)에 결합된 레일 프레임(130)과 가이드 레일(140)의 상하 높이도 조절되는데, 상기 수평 수준기(170)의 수평 기준 기포(172)의 중심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중심 표시선과 상하 동일 선상에 배치된 상태가 고정 프레임(120)과 레일 프레임(130)과 가이드 레일(140)이 수평 상태이며, 작업자는 수평 수준기(170)의 수평 기준 기포(172)의 중심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중심 표시선과 상하 동일 선상에 배치된 상태를 확인하여 고정 프레임(120)과 레일 프레임(130)과 가이드 레일(140)의 수평 상태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고정 지지부(160)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브라켓(112)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지지부(160)는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양쪽 측면을 한 쌍의 상기 브라켓(112)에 고정하는 용접부 또는 상기 브라켓(112)의 양면으로 관통된 볼트 삽입홀(162)과, 상기 볼트 삽입홀(162)과 만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164)과, 상기 볼트 삽입홀(162)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결합홀(164)에 체결되는 볼트(166)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과 레일 프레임(130)과 가이드 레일(140)의 수평 상태가 맞춰진 다음에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좌우 측면을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의 좌우 한 쌍의 브라켓(112)을 용접하여 형성된 용접부에 의해 상호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120)과 레일 프레임(130)과 가이드 레일(14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용접부가 고정 지지부(160)가 된다.
또는, 상기 고정 지지부(160)는 브라켓(112)의 양면으로 관통된 볼트 삽입홀(162)과, 상기 볼트 삽입홀(162)과 만나도록 고정 프레임(12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164)과, 상기 볼트 삽입홀(162)을 관통하여 볼트 결합홀(164)에 체결되는 볼트(166)로 구성된다. 이때, 볼트 삽입홀(162)은 브라켓(112)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과 레일 프레임(130)과 가이드 레일(140)의 수평 상태가 맞춰진 다음에 상기 브라켓(112)의 장홀 형상의 볼트 삽입홀(162)에 상기 볼트(166)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볼트 결합홀(164)에 체결하여 조여주면, 볼트(166)의 헤드가 고정 프레임(120)의 좌우 양쪽 측면에 브라켓(112)이 가압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120)이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의 좌우 한 쌍의 브라켓(112)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 프레임(120)과 레일 프레임(130)과 가이드 레일(140)의 수평 상태를 맞춰주고 현관 중문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딩 도어(50) 하단부의 롤러(51)를 상기 가이드 레일(1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에 들어가도록 슬라이딩 도어(50)를 설치하면, 현관 중문인 슬라이딩 도어(50)가 수평한 상태에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정 프레임(120)의 좌우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행거 돌편(122)이 더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 행거 돌편(122)을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의 한 쌍의 브라켓(112)의 상단부에 걸쳐서 고정 프레임(120)을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에 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행거 돌편(122)에 의해 고정 프레임(120)을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120) 부분의 수평 상태 조절 작업을 시행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도어(50)를 수평 상태로 맞춰서 설치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120) 부분의 수평 상태 조정 작업이 더 쉽게 이루어지고 상기 용접부나 상기 볼트(166)에 의해 고정 프레임(120)을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에 고정하는 작업도 더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사이드 행거 돌편(122)에 의해 고정 프레임(120)을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에 걸쳐놓고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정 프레임(120)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니어 돌편(LP)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 프레임(130)의 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니어 그루브(LG)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 프레임(130)의 저면이 고정 프레임(120)의 상면에 얹혀져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리니어 돌편(LP)에 리니어 그루브(LG)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상면에서 레일 프레임(130)이 좌우로 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상면에서 레일 프레임(130)이 좌우로 틀어지는 경우를 방지함으로 인하여 고정 프레임(120)의 상면에 레일 프레임(130)의 좌우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고정하는 작업이 더욱 쉽고 고정 프레임(120)과 레일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이 똑바로 맞춰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슬라이딩 도어(50)를 좌우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설치할 때에 보다 작업이 쉽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평 조정 유닛(150)은, 상기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의 한 쌍의 브라켓(112) 중에서 한쪽의 브라켓(112)의 안쪽면에 장착된 박스체(1152)와, 상기 박스체(11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박스체(1152)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일부가 돌출된 볼스크류(1154)와, 상기 볼스크류(1154)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고정 프레임(120)의 저면 아래쪽에 배치된 볼스크류 너트(1155)와, 상기 박스체(1152)와 브라켓(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어군(1156)에 의해 볼스크류(1154)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수평 조정 샤프트(115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어군(1156)은 볼스크류(1154)와 수평 조정 샤프트(1157) 사이를 연결하는 베벨기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12)을 기준으로 수평 조정 샤프트(1157)를 회전시킴에 따라 기어군(1156)에 의해 상기 수평 조정 샤프트(1157)의 회전력이 볼스크류(1154)에 전달되어 상기 볼스크류(1154)가 박스체(1152)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볼스크류(1154)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 너트(1155)가 승강되면서 고정 프레임(120)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고정 프레임(120)을 수평 상태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 조정 유닛(150)은, 상기 볼스크류 너트(1155)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부가 고정 프레임(120)의 저면에 접촉되는 수평 조정 작동캡(1158)을 더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12)을 기준으로 수평 조정 샤프트(1157)를 회전시킴에 따라 기어군(1156)에 의해 상기 수평 조정 샤프트(1157)의 회전력이 볼스크류(1154)에 전달되어 상기 볼스크류(1154)가 박스체(1152)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볼스크류(1154)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 너트(1155) 및 수평 조정 작동캡(1158)이 승강되면서 고정 프레임(120)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20)을 수평 상태로 맞출 수 있다.
물론, 상기 박스체(1152)와 볼스크류(1154)와 볼스크류 너트(1155)와 수평 조정 작동캡(1158)과 수평 조정 샤프트(1157)는 슬라브(2)의 상면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 설치되어, 적어도 두 군데의 상기 볼스크류 너트(1155)와 수평 조정 작동캡(1158)이 승강됨에 따라 고정 프레임(120)의 수평 상태를 맞춰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고정 프레임(120)에는 양단부 사이의 중심 표시선을 기준으로 수평 수준기(170)가 배치되어, 상기 수평 조정 유닛(150)이 수평 수준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20)을 적어도 두 군데의 상기 수평 조정 샤프트(1157)와 볼스크류(1154)와 볼스크류 너트(1155)와 수평 조정 작동캡(1158)을 이용하여 승강시킬 때에 상기 수평 수준기(170) 내부에 전후로 움직이는 수평 기준 기포(172)의 가운데가 상기 중심 표시선과 일치한 상태를 보고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수평 상태를 정밀하게 맞출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수준기(170)의 수평 기준 기포(172)의 중심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중심 표시선과 상하 동일 선상에 배치된 상태가 고정 프레임(120)과 레일 프레임(130)과 가이드 레일(140)이 수평 상태이며, 작업자는 수평 수준기(170)의 수평 기준 기포(172)의 중심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중심 표시선과 상하 동일 선상에 배치된 상태를 확인하여 고정 프레임(120)과 레일 프레임(130)과 가이드 레일(140)의 수평 상태를 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현관 중문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딩 도어(50)가 설치되는 현관의 슬라브(2)의 상면과 윗층 슬라브(2)의 저면 사이에 어퍼 도어 마운팅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브(2)와 윗층 슬라브(2) 사이의 좌우 현관 벽체에는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이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도어(50)를 닫을 때에 충돌에 의한 소음 방지 등의 완충 기능을 하는 완충 유닛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완충 유닛은 완충 패드(183), 버티컬 리브(184), 리브측 관통홀(184H), 스프링 통과홀(184SH), 쇽업 작동 패드(185), 리어 완충 패드(186), 볼케이스(187), 볼출몰홀, 스톱핑볼(188), 스톱핑 스프링(188SP),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 프론트 완충 패드(189)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 패드(183)는 좌우 현관 벽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완충 패드(183)는 고무와 같이 푹신한 재질이 있는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버티컬 리브(184)는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부에 구비된다. 버티컬 리브(184)는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리브측 관통홀(184H)은 버티컬 리브(184)의 양면으로 관통된다. 버티컬 리브(184)에 리브측 관통홀(184H)이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버티컬 리브(184)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리브측 관통홀(184H)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통과홀(184SH)은 리브측 관통홀(184H)을 벗어난 위치에서 버티컬 리브(184)의 양면으로 관통된다. 스프링 통과홀(184SH)을 버티컬 리브(184)의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상기 쇽업 작동 패드(185)는 버티컬 리브(184)의 앞쪽과 슬라이딩 도어(50)의 일측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쇽업 작동 패드(185)는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쇽업 작동 패드(185)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상부 프레임편과 하부 프레임편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쇽업 작동 패드(185)가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리어 완충 패드(186)는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구비된다. 리어 완충 패드(186)는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에 의해 작업 작동 패드의 후면에 구비된다. 상기 리어 완충 패드(186)는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볼케이스(187)는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설치된다. 용접부나 볼트(166)와 브라켓(112)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볼케이스(187)가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부착된다. 물론, 상기 리어 완충 패드(186)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볼케이스(187)의 전면이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된다. 볼케이스(187)는 버티컬 리브의 양면으로 연통된 리브측 관통홀(184H)을 통과한다.
상기 볼출몰홀은 볼케이스(187)의 상면과 하면으로 관통된다. 볼케이스(187)의 전후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대칭되도록 한 쌍의 볼출몰홀이 볼케이스(187)의 내부에서 볼케이스(187)의 상면과 하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톱핑볼(188)은 볼케이스(187)에 내장되어 볼출몰홀로 일부가 돌출된다. 한 쌍의 스톱핑볼(188)이 볼케이스(187)에 내장되어 한 쌍의 스톱핑볼(188)의 일부가 볼출몰홀로 돌출된다. 상기 볼출몰홀로 스톱핑볼(188)의 일부가 돌출되었을 때에는 스톱핑볼(188)의 중심부는 볼케이스(187)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서 한 쌍의 스톱핑볼(188)이 볼출몰홀의 밖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된다.
상기 스톱핑 스프링(188SP)은 한 쌍의 스톱핑볼(188)을 볼케이스(187)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상기 볼출몰홀로 돌출되도록 탄지한다. 스톱핑 스프링(188SP)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한 쌍의 스톱핑볼(188)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톱핑 스프링(188SP)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스톱핑볼(188)을 밀어주도록 탄지하여, 한 쌍의 스톱핑볼(188)의 일부가 스톱핑 스프링(188SP)의 탄성력에 의해 볼케이스(187)의 상면과 하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은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구비된다. 용접부와 같은 고정수단을 매개로 상기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의 일단부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이 구비된 구조가 된다. 물론,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은 리어 완충 패드(186)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의 일단부가 쇽업 작동 패드(185)의 후면에 용접부 등의 고정수단을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 완충 패드(189)는 쇽업 작동 패드(185)의 전면에 구비된다. 프론트 완충 패드(189)는 쇽업 작동 패드(185)의 전면에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쇽업 작동 패드(185)의 전면에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 완충 패드(189)는 슬라이딩 도어(50)의 일측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50)가 열려 있던 상태에서 슬라이드 되어 닫히는 순간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50)의 일측단부가 프론트 완충 패드(189)에 접촉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프론트 완충 패드(189)와 쇽업 작동 패드(185)와 리어 완충 패드(186)와 볼케이스(187) 및 스톱핑 스프링(188SP)을 상기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부에서 버티컬 리브(184) 쪽으로 밀어주고, 상기 볼케이스(187)의 내측단이 완충 패드(183)에 접촉되고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은 스프링 통과홀(184SH)을 지나서 완충 패드(183)에 접촉됨과 동시에 압축되어 슬라이딩 도어(50)가 닫히는 순간에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과 충돌하여 생길 수 있는 충격력과 소음을 흡수하여 완충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볼케이스(187)는 쇽업 작동 패드(185)의 케이스 통과홀을 지나서 한 쌍의 스톱핑볼(188)의 일부가 버티컬 리브(184)에 걸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50)가 닫혀 있을 때에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50)를 열어줄 때에는 슬라이딩 도어(50)가 프론트 완충 패드(189)에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고 프론트 완충 패드(189)와 쇽업 작동 패드(185)와 리어 완충 패드(186)와 볼케이스(187) 및 스톱핑 스프링(188SP)을 상기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부에서 버티컬 리브(184) 쪽으로 밀어주는 힘이 해제되어 있어서, 압축되어 있던 쇽업 작동 스프링(188SHP)이 펼쳐지면서 상기 프론트 완충 패드(189)와 쇽업 작동 패드(185)와 리어 완충 패드(186)와 상기 볼케이스(187) 및 스톱핑 스프링(188SP)과 한 쌍의 스톱핑볼(188)을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의 내부에서 상기 버티컬 리브(184)의 전면 바깥쪽으로 밀어내준다. 그러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50)를 닫아줄 때의 완충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50)가 열려 있던 상태에서 슬라이드 되어 닫히는 순간에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과 슬라이딩 도어(50)가 충돌(정확하게는 슬라이딩 도어(50)의 일측단부가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182)에 충돌)하여 생길 수 있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슬라이딩 도어(50)에 무리가 가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50)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슬라이딩 도어(50)가 닫힐 때에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슬라브 50. 슬라이딩 도어
51. 롤러 110.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
112. 브라켓 120. 고정 프레임
122. 사이드 행거 돌편 LP. 리니어 돌편
LG. 리니어 그루브 130. 레일 프레임
132. 레일편 134. 가이드홈
136. 날개부 140. 가이드 레일
142. 슬라이딩 가이드홈 144. 레일 윙편
150. 수평 조정 유닛 152. 베이스 조정체
154. 조정 승강부재 156. 조정 가이드캡
160. 고정 지지부 162. 볼트 삽입홀
164. 볼트 결합홀 166. 볼트
170. 수평 수준기 172. 수평 기준 기포
182. 사이드 도어 마운팅 프레임 183. 완충 패드
184. 버티컬 리브 184H. 리브측 관통홀
184SH. 스프링 통과홀 185. 쇽업 작동 패드
186. 리어 완충 패드 187. 볼케이스
188. 스톱핑볼 188SP. 스톱핑 스프링
188SHP. 쇽업 작동 스프링 189. 프론트 완충 패드
1152. 박스체 1154. 볼스크류
1155. 볼스크류 너트 1156. 기어군
1157. 수평 조정 샤프트 1158. 수평 조정 작동캡

Claims (4)

  1. 현관 중문 시공 장소의 슬라브(2) 상면에 설치되는 나란한 한 쌍의 브라켓(112)으로 이루어진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
    상기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의 한 쌍의 상기 브라켓(112)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120);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방된 가이드홈(134)이 구비되고 양쪽 단부에는 날개부(136)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설치되며 상기 날개부(136)의 상면에는 마루 바닥재가 얹혀지는 레일 프레임(130);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방된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130)의 상기 가이드홈(134)에 삽입되며, 양쪽 단부의 레일 윙편(144)은 상기 레일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얹혀져서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홈(142)에는 슬라이딩 도어(50)의 롤러(51)가 삽입되어 구름 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140);
    상기 고정 프레임(120)을 상기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110)를 기준으로 수평 상태가 되도록 조정하는 수평 조정 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정 유닛(150)은,
    외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브(2)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조정체(152);
    내주면에 구비된 승강측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측 나사부가 상기 베이스 조정체(152)의 나사부에 결합된 조정 승강부재(154);
    상기 조정 승강부재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저면에 접촉되는 조정 가이드캡(15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정 유닛(150)은 상기 슬라브(2)의 상면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 설치되어, 적어도 두 군데의 상기 수평 조정 유닛의 상기 조정 승강부재(154)와 상기 조정 가이드캡(156)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수평 상태를 맞춰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고정 지지부(160)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브라켓(112)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지지부(160)는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양쪽 측면을 한 쌍의 상기 브라켓(112)에 고정하는 용접부 또는 상기 브라켓(112)의 양면으로 관통된 볼트 삽입홀(162)과, 상기 볼트 삽입홀(162)과 만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164)과, 상기 볼트 삽입홀(162)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결합홀(164)에 체결되는 볼트(16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KR1020220053708A 2022-04-29 2022-04-29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KR10244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708A KR102440724B1 (ko) 2022-04-29 2022-04-29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KR1020220104961A KR102442590B1 (ko) 2022-04-29 2022-08-22 시공성을 향상시킨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708A KR102440724B1 (ko) 2022-04-29 2022-04-29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961A Division KR102442590B1 (ko) 2022-04-29 2022-08-22 시공성을 향상시킨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724B1 true KR102440724B1 (ko) 2022-09-05

Family

ID=832795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708A KR102440724B1 (ko) 2022-04-29 2022-04-29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KR1020220104961A KR102442590B1 (ko) 2022-04-29 2022-08-22 시공성을 향상시킨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961A KR102442590B1 (ko) 2022-04-29 2022-08-22 시공성을 향상시킨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07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75Y1 (ko) 2002-04-13 2002-07-13 김진형 현관도어의 조립식 스텐레즈 스틸프레임
KR200321390Y1 (ko) 2003-04-18 2003-07-28 김진형 현관도어의 조립식 프레임.
KR101615075B1 (ko) 2015-11-12 2016-04-22 박석준 중문용 레일결합체
KR20190002138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유니퍼 슬라이딩 도어용 안내레일
KR102301965B1 (ko) 2021-02-26 2021-09-13 허남 다중 연동 중문 레일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567B1 (ko) * 2013-09-25 2014-03-24 방호근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75Y1 (ko) 2002-04-13 2002-07-13 김진형 현관도어의 조립식 스텐레즈 스틸프레임
KR200321390Y1 (ko) 2003-04-18 2003-07-28 김진형 현관도어의 조립식 프레임.
KR101615075B1 (ko) 2015-11-12 2016-04-22 박석준 중문용 레일결합체
KR20190002138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유니퍼 슬라이딩 도어용 안내레일
KR102301965B1 (ko) 2021-02-26 2021-09-13 허남 다중 연동 중문 레일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590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854B2 (en) Window support and method for room air conditioner installation
US11384584B2 (en) Structuring for cushioning deadbolt and/or latch at door frame
US20060277850A1 (en) Partition panel assembly
KR102440724B1 (ko) 현관 중문의 레일 설치 구조
KR10098363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마루틀 고정장치
JP3474777B2 (ja) 引き戸
KR102011629B1 (ko) 슬라브 트러스 시스템
KR102255005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60067067A (ko) 칸막이용 석고보드 조립체
KR200405599Y1 (ko) 건물의 층간 바닥구조에 적용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방음성공간형성부재
KR102215921B1 (ko)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KR101410539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KR200178217Y1 (ko) 실내용 칸막이의 높낮이 및 수평조절 장치
JP4084536B2 (ja) 根太施工方法
KR100744717B1 (ko) 미닫이 도어용 하부가이드레일 지지구조
KR100579447B1 (ko)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KR200331748Y1 (ko) 단일창호의 창틀 샤시 고정구조
KR20070020546A (ko)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KR20070108961A (ko)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KR200457154Y1 (ko) 건물의 출입문 개폐장치
JP2015086626A (ja) 耐震性間仕切装置
JP4437725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の仮設障壁体装置
KR100562863B1 (ko) 건축물의 창문틀 받침판 구조
KR100562718B1 (ko) 다층 건축물의 층간소음방지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마루 바닥재
JPH05194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