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961A -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961A
KR20070108961A KR1020060041273A KR20060041273A KR20070108961A KR 20070108961 A KR20070108961 A KR 20070108961A KR 1020060041273 A KR1020060041273 A KR 1020060041273A KR 20060041273 A KR20060041273 A KR 20060041273A KR 20070108961 A KR20070108961 A KR 20070108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shaft
support
door
au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채
Original Assignee
이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채 filed Critical 이영채
Priority to KR1020060041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8961A/ko
Publication of KR2007010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매설되어 도어(여닫이문)의 오토 힌지 축과 결합 지지되는 장치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여닫이문{특히, 방화문(防火門)}을 시공 설치할 시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어(여닫이문)의 오토 힌지 장치의 힌지축이 위치될 바닥에 매설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지지체 장착부(2)와; 상기 지지체 장착부(2)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4)과; 상기 지지체 장착부(2)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조절실(5)과; 상기 지지체 장착부(2)에 삽입 장착되어 좌, 우로 이동되고 상측면에 힌지축 홈(15)이 형성된 조절용 지지체(10)와; 상기 가이드 홈(4)에 삽입되어 좌, 우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절용 지지체(10)의 하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나사공(13)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12)과; 상기 나사공(13)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용 지지체(10)를 좌,우로 조절하는 나사축(B)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D)에 설치 구성된 오토 힌지 장치(H)의 힌지 축(S)과 조절용 지지체(10)의 힌지축 홈(15)이 수직선상으로 어긋난 상태로 하우징(1)이 바닥에 매설되어 있다 할지라도 매설되어 있는 하우징(1)을 다시 파내지 않고 상기 힌지축 홈(15)의 위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1) 및 도어(D)의 재시공 없이 시공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 비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Hinge-shaft support apparatus of automatic hinge for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건물의 통로 등에 방화문을 시공 설치하여 사용되는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지지체 장착부
3 : 받침면 4: 가이드 홈
5 : 조절실 6: 돌기턱
7 : 홀더 장착부 8: 나사공
10 : 조절용 지지체 11: 장착면
12 : 가이드 레일 13: 나사공
14: 돌출부 15: 힌지축 홈
16: 홀더 17: 고정판
18: 지지 브라켓트 19: 파지부
17: 고정체 18: 밸브체
20: 관통공 21: 축 관통공
22: 체결 볼트 23: 힌지축 관통공
24: 커버 28: 고정밑판
B: 나사축 D: 도어
H: 오토 힌지 장치 S: 힌지축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에 매설되어 도어(여닫이문)의 오토 힌지 축과 결합 지지되는 장치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여닫이문{특히, 방화문(防火門)}을 시공 설치할 시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힌지축 지지 장치라 함은 건물 바닥에 매설되어 도어(특히, 여 닫이문)의 하측부에 구성되는 오토 힌지 장치의 힌지축을 지지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구조물에는 출입을 위한 통로가 구비되어 있는데, 특히 많은 사람들이 건물내에 상주하는 빌딩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대형건물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와 비상계단 및 복도 등의 여러 통로가 서로 연통하도록 함께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이들 통로를 통해 화염이 급속히 퍼져나가 대형화재 참사로 번질 우려가 대단히 높고, 실제로 아파트 등에서 일어난 많은 화재 사고가 이들 통로를 통해 화염이 급속히 번짐으로써 대형화재로 이어져 인명이나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예컨대 도 6에서와 같이 건물의 통로(T), 특히 빌딩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대형 집단 주거 건물에서는 각종 출입구와 각 통로의 경계부 등에 유사시 화재의 확산을 억제 내지 지연시키기 위해 공간을 차단시키는 방화문(D)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방화문은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평상시에는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가 화재발생 시 자동으로 닫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방화문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장치로서 오토 힌지 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오토 힌지 장치가 구비된 도어(여닫이문)를 시공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물 바닥에 오토 힌지 장치의 힌지축과 결합 지지되는 힌지축 지지 장치를 매몰되게 시공 설치하여 완료한 다음 도어를 시공 설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도어를 시공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물 바닥에 미리 매설한 힌지축 지지 장치의 힌지홈에 오토 힌지 장치의 힌지축을 삽입 결합하여 시공 설치를 하게 되는데 이 경우 힌지축 지지 장치의 힌지홈과 오토 힌지 장치의 힌지축이 수직선상으로 정확히 맞지 않고 어긋나게 되면 문짝과 문틀(또는 벽면)이 틀어져 맞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힌지축 지지 장치를 매설한 건물 바닥을 파내고 힌지축 지지 장치를 드러냄은 물론 문짝도 다시 드러낸 후 재시공을 해야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재시공에 따른 번거로움과 공사기간이 길어짐은 물론 공사비용이 증가 되고 낭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바닥에 매설되어 도어(여닫이문)의 오토 힌지 장치의 힌지축과 결합되는 힌지축 지지 장치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재시공 없이 도어의 시공 설치를 정확하고 편리하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건물 바닥에 매설되고 지지체 장착부와 홀더 장착부 및 조절실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지지체 장착부에 삽입 장착되어 좌,우로 이동되고 상측면에는 힌지축홈이 형성되며 하측부에는 횡방향으로 가이드레일 및 나사공이 형성되고 전방으로는 돌출부가 형성된 조 절용 지지체와, 상기 하우징의 홀더장착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조절용 지지체의 돌출부를 파지하는 고정판과 축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 브라켓트가 구성된 홀더와, 상기 지지 브라켓트의 축 관통공과 조절용 지지체의 나사공에 삽입 결합되어 조절용 지지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나사축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부에 고정 결합하고 힌지축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밑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밑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 내지 도4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여닫이문)의 오토 힌지 장치의 힌지축이 위치될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하우징(1)을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은 일측부에 지지체 장착부(2)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 장착부(2)는 내측으로 경사진 받침면(3)과 상기 받침면(3)의 내측 하부로 가이드홈(4)을 테이퍼지게 형성하며 상기 받침면(3)과 가이드홈(4)은 횡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의 전방에는 조절실(5)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실(5)의 내측벽에는 돌기턱(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 장착부(2)와 조절실(5) 간에는 홀더 장착부(7)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 장착부(7)에는 나사공(8)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4)은 상기 조절실(5)과 연통되도록 형성하고, 하우징(1)의 전후 양측단에는 나사공(9)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의 지지체 장착부(2)에는 조절용 지지체(10)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한다.
상기 조절용 지지체(10)는 하부 양측으로 상기 받침면(3)에 당접되는 장착면(1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면(11)은 상기 받침면(11)과 같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용 지지체(1)의 하측으로 가이드 레일(1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12)에는 나사공(13)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2)은 상기 가이드 홈(4)과 같이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12)은 조절용 지지체(1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부(14)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4)는 상측면이 호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용 지지체(10)는 상측면에 힌지축 홈(15)을 형성한다.
상기 홀더 장착부(7)에는 홀더(16)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홀더(16)는 고정판(17)과 지지 브라켓트(18)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7)은 하측으로 상기 돌출부(14)와 당접되는 호형의 파지부(19)를 형성하며 또한 양측으로 관통공(20)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브라켓트(18)에는 장공 형상의 축 관통공(2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홀더(16)는 체결 볼트(22)로써 상기 관통공(20)을 통해 홀더 장착부(7)의 나사공(8)에 체결 결합한다.
상기 조절용 지지체(10)의 나사공(13)에는 상기 홀더(16)의 축 관통공(21)을 통해 나사축(B)을 결합한다.
상기 하우징(1)의 상측면에는 힌지축 관통공(23)이 형성된 커버(24)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고정 설치수단으로서 커버(24)의 양측단에 관통공(25)을 형성하고 이에 볼트(26)를 관통시켜 상기 하우징의 나사공(9)에 체결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 관통공(23)은 상기 조절용 지지체(10)의 힌지축 홈(15) 보다 길이 방향으로 크게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의 밑면에는 고정밑판(27)을 다수의 볼트(28)에 의해 체결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조절용 지지체(10)의 돌출부(14)에 홀더(16)의 파지부(19)를 얹혀 당접한 후 나사축(B)으로 홀더(16)의 관통공(21)을 통해 조절용 지지체(10)의 나사공(13)에 결합 한 다음 하우징(1)에 삽입 장착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하우징(1)의 상측부에는 커버(24)를 볼트(26)로써 체결 고정하고 하측면에는 고정밑판(27)을 볼트(28)로써 체결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는 도어(여닫이문)의 오토 힌지 장치의 힌지 축이 위치될 건물 바닥에 매설한다.
그런 다음 도 5에서와 같이 도어(D)를 시공 설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도어(D)의 하측부에 구성된 오토 힌지 장치(H)의 힌지 축(S)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커버(24)의 힌지축 관통공(23)을 관통하여 조절용 지지체(10)의 힌지축 홈(15)에 삽입 장착하여 도어(D)를 시공 설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도어(D)를 시공 설치할 경우 도어(D)에 설치 구성되어 있는 통 상의 오토 힌지 장치(H)의 힌지 축(S)이 건물 바닥에 매설되어 있는 본 발명의 조절용 지지체(10)의 힌지축 홈(15)과 어긋난 상태로 되어 있으면 도어(D)의 시공 설치가 곤란하게 된다.
이 경우 하우징(1)의 상면에 설치된 커버(24)를 분리한 다음 스패너 등의 도구를 사용해 조절실(5)에 넣어 나사축(B)의 볼트 머리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나사축(B)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용 지지체(10)는 지지체 장착부(2) 및 가이드 홈(4)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D)에 설치 구성된 오토 힌지 장치(H)의 힌지 축(S)과 같은 수직선상으로 일치되게 조절한다.
그런 다음 도어(D)에 설치 구성된 오토 힌지 장치(H)의 힌지 축(S)을 커버(24)의 힌지축 관통공(23)을 관통하여 조절용 지지체(10)의 힌지축 홈(15)에 삽입 장착하여 도어(D)를 시공 설치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D)에 설치 구성된 오토 힌지 장치(H)의 힌지 축(S)과 조절용 지지체(10)의 힌지축 홈(15)이 수직선상으로 어긋난 상태로 하우징(1)이 바닥에 매설되어 있다 할지라도 매설되어 있는 하우징(1)을 다시 파내지 않고 상기 힌지축 홈(15)의 위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도어의 시공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조절용 지지체(10)의 돌출부(14)를 홀더 장착부(7)에서 홀더(16)의 파지부(19)가 잡아줌에 따라 조절용 지지체(10)의 힌지축 홈(15) 에 상기 오토 힌지 장치(H)의 힌지 축(S)을 통해 가해지는 도어(D)의 하중을 분산시켜 주어 본 발명인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상기 지지체 장착부(2)의 받침면(3)과 가이드 홈(4)의 내측면을 경사면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에 삽입 당접되는 조절용 지지체(10)의 장착면(11)과 가이드 레일(12)의 양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지지체 장착부(2)와 가이드 홈(4)에 조절용 지지체(10)를 삽입 장착할 시 폭 방향으로의 유동 됨이 없이 양호한 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은 상기 조절용 지지체(10)의 돌출부(14)와 홀더(16)를 생략하고 가이드 홈(4)이 연통되는 조절실(5) 입구에 나사축(B)이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한 격벽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어(D)에 설치 구성된 오토 힌지 장치(H)의 힌지 축(S)과 조절용 지지체(10)의 힌지축 홈(15)이 수직선상으로 어긋난 상태로 하우징(1)이 바닥에 매설되어 있다 할지라도 매설되어 있는 하우징(1)을 다시 파내지 않고 상기 힌지축 홈(15)의 위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1) 및 도어(D)의 재시공 없이 시공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도어(여닫이문)의 오토 힌지 장치의 힌지축이 위치될 바닥에 매설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지지체 장착부(2)와;
    상기 지지체 장착부(2)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4)과;
    상기 지지체 장착부(2)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조절실(5)과;
    상기 지지체 장착부(2)에 삽입 장착되어 좌, 우로 이동되고 상측면에 힌지축 홈(15)이 형성된 조절용 지지체(10)와;
    상기 가이드 홈(4)에 삽입되어 좌, 우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절용 지지체(10)의 하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나사공(13)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12)과;
    상기 나사공(13)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용 지지체(10)를 좌,우로 조절하는 나사축(B)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의 상측부에 결합 설치되고 힌지축 홈(15) 보다 큰 힌지축 관통공(23)이 형성된 커버(24)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의 지지체 장착부(2)와 조절실(5) 간에 형성된 홀더 장착부(7)와;
    조절용 지지체(10)의 전방에 돌출 형성한 돌출부(14)와;
    상기 홀더 장착부(7)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14)를 홀딩하는 홀더(16)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홀더(16)는 파지부(19)를 갖는 고정판(17)과 축 관통공(21)을 갖는 지지 브라켓트(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 장착부(2)와 가이드 홈(4)의 내측면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KR1020060041273A 2006-05-09 2006-05-09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KR20070108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73A KR20070108961A (ko) 2006-05-09 2006-05-09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73A KR20070108961A (ko) 2006-05-09 2006-05-09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961A true KR20070108961A (ko) 2007-11-15

Family

ID=3906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273A KR20070108961A (ko) 2006-05-09 2006-05-09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89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127B1 (ko) * 2009-05-27 2011-06-30 이영채 여닫이문용 피벗 고정장치
KR20200097073A (ko) * 2019-02-07 2020-08-18 이대성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KR20220138623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에코플러스 회전 도어용 프레임 커플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127B1 (ko) * 2009-05-27 2011-06-30 이영채 여닫이문용 피벗 고정장치
KR20200097073A (ko) * 2019-02-07 2020-08-18 이대성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KR20220138623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에코플러스 회전 도어용 프레임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5213C (en) Integrated sliding door/panel system
KR20070108961A (ko)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 장치
JP2006524760A (ja) 仕切り壁
JP3474777B2 (ja) 引き戸
JP3211384U (ja) 建物の扉取付構造
WO2007078022A1 (en) Slide type flame spread protecting fireproof plate
KR200466668Y1 (ko) 출입문 열림상태 유지구
KR101496614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JP6335593B2 (ja) 非常解除型開放ストッパー装置付引戸装置
KR20060108016A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문의 설치구조
KR100824258B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콘센트를 구비한 이동식 벽체
KR100638805B1 (ko) 건축물의 안전사고 방지용 창호구조
JP4252517B2 (ja) 引き戸装置
US20240191562A1 (en) Seal Device
JP4874708B2 (ja) 引戸装置
KR20150085615A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ATE440644T1 (de) Brandschutzklappe zum einbau in eine wandíffnung
KR200198730Y1 (ko) 행거
KR102511982B1 (ko) 슬라이딩 도어 본체 프레임
JP2017155480A (ja) 非常解除型開放ストッパー装置付引戸装置
KR19980015183U (ko) 자동문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KR200388127Y1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문의 설치구조
KR920008818Y1 (ko) 자동문용 하부 가이드 로울러장치
KR200191203Y1 (ko) 천정 구조물 지지체용 행거
KR200324021Y1 (ko) 가구용 도어의 상부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