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288B1 -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 Google Patents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288B1
KR101818288B1 KR1020140050115A KR20140050115A KR101818288B1 KR 101818288 B1 KR101818288 B1 KR 101818288B1 KR 1020140050115 A KR1020140050115 A KR 1020140050115A KR 20140050115 A KR20140050115 A KR 20140050115A KR 101818288 B1 KR101818288 B1 KR 101818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new window
cut
new
finish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567A (ko
Inventor
최영일
윤정득
최창배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05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28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신규창틀을 덧댐 설치하는 개보수 시공 과정에서 신규창틀과 벽체 개구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용이하게 은폐 마감할 수 있도록 한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창틀(10) 위에 개보수용 신규창틀(100)의 덧댐 설치시 상기 신규창틀(100)과 벽체 개구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막아 마감해주는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500)에 있어서,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는, 상기 신규창틀(100)의 실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신규창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끼움부(10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에 스냅핏(snap-fit) 구조의 결합돌기(511)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511)는 상기 이격 공간의 너비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를 상기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Cutting type finishing materials for remodeling window}
본 발명은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신규창틀을 덧댐 설치하는 개보수 시공 과정에서 신규창틀과 벽체 개구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용이하게 은폐 마감할 수 있는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오래된 건축물에 적용된 창호의 구조를 살펴보면, 창틀은 알루미늄 재질의 외부창틀과, 목재로 된 내부창틀의 이중창용 창틀이 주종을 이룬다. 이러한 종래의 창호는 시공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밀, 수밀, 단열 성능 등이 점차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개보수를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창호를 개보수하는 종래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벽체에 장착되어 있는 창을 분리하고 창틀을 벽체로부터 분리한다. 그런 다음, 개구부에 새로운 창틀을 삽입 설치한 다음 창틀의 바깥쪽 둘레와 개구부의 단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창틀을 고정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창틀에 이중창 등을 장착하면 창호의 개보수과정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공방법을 통해 창호를 개보수하는 경우, 창호 전체를 개구부로부터 분리 폐기한 후 새로운 창호를 설치해야함에 따라 많은 비용과 시공기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구부에 장착되어 있던 창호는 철거과정에서 골조들이 휘어져 재사용이 불가능함에 따라 전량이 폐기되고, 이에 따라 막대한 비용과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기존창틀을 철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신규창틀을 덧대어 시공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시공기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구조 및 방법이 등록실용 제0288724호, 등록특허 제0442482호 등으로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개보수 창호 구조는 신규창틀이 일정형태와 규격으로 형성된 구성임에 따라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시공대상 창호가 제한적이다. 즉 종래의 개보수용 창호는 창틀의 규격이 일정한 세대에 적합한 구조이다.
특히, 종래의 개보수 구조는 기존창틀에 신규창틀을 덧대어 설치하는 과정에서 신규창틀과 벽체 개구부 사이의 공간을 은폐시키기 위해 별도의 마감용 몰딩재를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몰딩재는 신규창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이중, 삼중으로 덧대어 고정하거나 현장에서 재단을 하여 시공을 해야 하는 등 그 시공과정이 다소 번잡하다.
다시 말해, 규격화된 개보수 대상 창호의 세대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마감용 몰딩재를 매 규격마다 다량으로 확보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신규창틀을 덧댐 설치하는 개보수 시공 과정에서 신규창틀과 벽체 개구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용이하게 은폐 마감할 수 있도록 한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는, 기존창틀(10) 위에 개보수용 신규창틀(100)의 덧댐 설치시 상기 신규창틀(100)과 벽체 개구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막아 마감해주는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500)에 있어서,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는, 상기 신규창틀(100)의 실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신규창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끼움부(10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에 스냅핏(snap-fit) 구조의 결합돌기(511)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511)는 상기 이격 공간의 너비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를 상기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그 위에 신규창틀을 덧댐 설치하는 개보수 과정에서, 신규창틀의 실내, 외측면과 벽체 개구부 사이 공간에 맞도록 절단식 마감재를 필요한 만큼 절단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보수 창호의 말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식 마감재를 포함한 개보수용 창호의 실내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식 마감재를 포함한 개보수용 창호의 실외측 입면도,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창틀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창틀과 기존창틀 사이에 개재되는 높낮이조절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지지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측마감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측마감부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식 마감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식 마감재의 측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식 마감재의 결합상태도,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식 마감재를 포함한 개보수용 창호의 시공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식 마감재를 포함한 개보수용 창호의 실내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식 마감재를 포함한 개보수용 창호의 실외측 입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기존창틀(10) 위에 개보수용 신규창틀(100)의 덧댐 설치시 상기 신규창틀(100)과 벽체 개구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막아 마감해주는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500)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식 마감재(500)는 신규창틀(100)의 실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신규창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끼움부(10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에 스냅핏(snap-fit) 구조의 결합돌기(511)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511)는 이격 공간의 너비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를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규창틀(100)은 창호의 개보수시 철거하지 않은 기존창틀(10) 위에 덧대어 설치되는 것으로, 개보수용 창호(1)의 주된 외곽프레임을 이룬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신규창틀(100)의 실내, 외측면에는 실내측마감부(400)와 실외측의 절단식 마감재(500)를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신규창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 형상의 끼움부(101)가 각각 구비된다. 끼움부(101) 내에는 상하 걸림턱(101a)이 형성된다.
아울러 신규창틀(100)의 내주면에는 기존창틀(10) 위에 신규창틀(100)을 얹힌 후 체결부재(109)를 매개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 삽입용 홀(103)이 구비된다. 즉 상기 신규창틀(100) 고정용 체결부재(109)는 신규창틀(100)의 외주면에 노출되지 않고 그 내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재 삽입용 홀(103)은 신규창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 삽입용 홀(103)에는 마감용 캡(105)이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체결부재 삽입용 홀(103)을 은폐시켜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존창틀(10)과 신규창틀(100) 사이에는 높낮이조절부(200)가 개재된다. 이러한 높낮이조절부(200)는 상하로 승강 조작되면서 신규창틀(100)의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높낮이조절부(200)는 기존창틀(1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며 수직방향으로 나사공(211)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2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위치되며 나사공(211)과 연통되는 결합공(221)이 구비되는 승강플레이트(220)와, 상기 결합공(221)에 외주연의 홈부(233)가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의 나사부(235)가 나사공(21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나사공(211)에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고정플레이트(210)의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조절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10)는 기존창틀(10)에 구비된 적어도 한 쌍의 레일(11)(도 5 참조) 상에 얹혀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플레이트(210)의 저면과 기존창틀(10)의 내주면 사이에 조절부재(230) 설치용 공간을 마련해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플레이트(210)는 기존창틀(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절곡 형성되어 레일(11)에 걸림 고정되는 절곡홈부(2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10)가 폭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나사공(211)은 고정플레이트(210)의 절곡홈부(213) 내에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공(211)에 체결되는 조절부재(230)의 머리부(231)가 절곡홈부(213) 내에 매립될 수 있으며, 조절부재(230)와 그 위에 얹혀지는 신규창틀(100)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머리부(231)에는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조절부재(230)를 정, 역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드라이버홈(23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홈부(213) 내에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플레이트(210)를 기존창틀(10)에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공(215)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220)는 고정플레이트(210)의 절곡홈부(213) 내에 상하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부(223)가 대응되게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부재(230)의 정역 회전조작시 승강플레이트(220)가 고정플레이트(210)의 상하로 승, 하강 되면서 신규창틀(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창틀지지부(300)는 신규창틀(100)의 실내측 바닥면에 지지대 구조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높낮이조절부(20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된 신규창틀(100)의 저면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틀지지부(300)는 실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310)와, 상기 베이스부재(310)의 상면에 직상부로 설치되며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너트(321)가 구비되는 실린더(320)와, 상기 너트(321)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에 승,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드스크류(330)와, 리드스크류(330)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신규창틀(100)의 저면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3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340)의 상면에는 신규창틀(100)의 저면홈부(107)에 끼움 결합되는 돌기부(3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신규창틀(100)의 안정적인 지지 고정이 가능하며, 지지부재(340)의 이탈을 방지해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신규창틀(100)의 실내측 끼움부(101)에는 실내측마감부(400)가 설치되어 천장과 바닥면, 그리고 양 측벽과의 사이 공간을 막아 마감해준다. 상기 실내측마감부(400)는 연속적인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 하부에 끼움돌기(411)와 끼움홈(413)이 서로 대응되게 구비된 복수의 끼움블록(4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끼움돌기(411)와 끼움홈(413)은 스냅핏(snap-fit) 구조로 형성되어, 탄성적인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스냅핏 구조의 끼움 결합방식은 사출물의 끼움 결합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블록(410)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공간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선택적으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끼움블록(410)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경우 설치대상 공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수많은 끼움블록(410)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이를 조립하는데 소요되는 공수가 증가하는 등 비효율적인 점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끼움블록(410)을 위로부터 상부블록(410a), 중간블록(410b), 하부블록(410c)이 결합된 구조와 같이 필수 구성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끼움블록(410)을 제각기 서로 다른 높이의 조합으로 형성해줌으로써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실내측마감부(400)의 간단한 설치가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상부블록(410a)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돌기(411)는 신규창틀(100)의 끼움부(10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대향면에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끼움블록(410)이 상부, 중간, 하부블록으로 구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끼움블록(410)은 상하로 끼움 결합된 블록간의 이음매를 보강고정해줄 수 있도록 보조고정수단(42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고정수단(420)은 복수의 끼움블록(410)의 실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421)와, 상하로 이웃하도록 결합된 다른 끼움블록(410)의 걸림돌기(421)에 양측이 탄성적으로 각각 끼움 결합되어 고정해주는 'C'자 형상의 클립(4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돌기(421)는 클립(423)의 양측이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끝단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짝을 이루게 되는 고리는 절곡된 방향이 서로 바깥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걸림돌기(421)는 끼움블록(410)에 기본적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데, 중간블록(410b)에 구비된 걸림돌기(421)의 경우 상부블록(410a)과 하부블록(410c)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중간블록(410b)에는 적어도 한 쌍의 걸림돌기(421)가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내측마감부(400)의 맨 하측에 결합된 하부블록(410c)의 끼움홈(413)에는 바닥면과의 사이 틈새를 막아주는 가스켓(415)이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실내측마감부(400)는 상부가 신규창틀(100)에 고정된 상태이고, 하부는 바닥면에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즉 실내측마감부(400)의 하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를 고정해줄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구현해줄 수 있도록 상기 실내측마감부(400)의 하부 실외측면과 인접 배치되는 창틀지지부(300) 사이에는 마감체결수단(430)이 구비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감체결수단(430)은 창틀지지부(30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310)의 실내측변에 직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431)과, 상기 실내측마감부(400)의 하부에 결합된 클립(423)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브라켓(431)과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연장편(433)과, 상기 면접된 브라켓(431)과 연장편(433)을 일체로 체결 고정해주는 체결부재(435)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부라 할 수 있는 절단식 마감재(500)는 신규창틀(100)의 실외측 끼움부(101)에 끼움 설치되어 벽체 개구부 사이의 공간을 막아 마감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는 신규창틀(100)의 실외측 끼움부(101)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5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결합돌기(511)는 끼움부(101)의 상하 걸림턱(101a) 내에 탄성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끝단이 걸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절단식 마감재(500)의 타면에는 필요한 만큼 선택적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노치홈(513)이 형성된다. 노치홈(513)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돌기(511)의 사이 중심부에 배치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신규창틀(100)은 기존창틀(10)의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되되, 상기 끼움부(101)가 구비된 신규창틀(100)의 실외측면은 기존창틀(10)의 실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돌기(511)의 돌출 길이 만큼 이격(t)되게 정렬되고, 상기 신규창틀(100)의 실내측은 상기 기존창틀(10)의 실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신규창틀(100)의 실외측은 구조적으로 벽체 개구부와의 사이 틈새가 실내측에 비해 좁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실외측에 조립되는 절단식 마감재(500)는 실내측마감부(400)에 비해 적게 소요된다. 따라서 결합돌기(511)가 상하 반복적으로 이격 형성되는 절단식 마감재(500)를 이용함으로써 시공 현장에서 필요한 만큼 절단해가며 사용하게 된다.
이때, 절단된 절단식 마감재(500)의 일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된 결합돌기(511) 중 맨 상측에 위치된 결합돌기(511)가 끼움부(101)에 결합되고, 그 하측에 위치한 결합돌기(511) 중 어느 하나는 기존창틀(10)의 실외측면에 맞닿게 된다. (도 12b 참조) 이러한 구조의 절단식 마감재(500)를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창틀(10) 위에 신규창틀(100)의 배치시 결합돌기(511)의 돌출 길이를 고려하여 이격(t)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c를 참조하면, 상기 노치홈(513)은 절단식 마감재(500)의 절단시 가이드 역할 이외에 비스(V)의 체결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신규창틀(100)의 끼움부(101)에 결합돌기(511)가 끼움 결합된 후, 상기 노치홈(513)에 비스(V)를 체결하는 경우 비스(V)의 선단이 노치홈(513) 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절단식 마감재(500)를 포함한 개보수용 창호의 시공과정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보수대상인 종래의 창호에서 기존창틀(10) 만을 남기고 모두 다 철거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신규창틀(100)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기존창틀(10)의 레일(11) 위에 복수의 높낮이조절부(200)를 기존창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한다. 이 경우 높낮이조절부(200)를 구성하는 고정플레이트(210)는 복수의 체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기존창틀(10)에 고정설치한다. 고정플레이트(210)가 고정되면, 조절부재(230)를 정, 역회전시켜가며 그 위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플레이트(220)이 높낮이를 조절해가며 소정의 높이로 설정해준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20)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후 체결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승강플레이트(220)와 고정플레이트(210)를 기존창틀(10)에 한번에 체결해줌으로써 높낮이조절부(200)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높낮이조절부(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존창틀(10) 위에 높낮이조절부(200)를 사이에 두고 신규창틀(100)을 덧대어 준다. 이 경우 상기 신규창틀(100)은 기존창틀(10)을 은폐시킬 수 있도록 기존창틀(10)의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된다. 즉 신규창틀(100)과 기존창틀(10)의 실외측면을 이격 거리(t)를 고려하여 정렬해주고, 신규창틀(100)의 실내측은 기존창틀(10)의 실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해줌으로써, 신규창틀(100)의 실내측 하부를 지지고정해줄 공간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신규창틀(100)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비된 복수의 체결부재 삽입용 홀(103)을 통해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재(109)를 매개로 기존창틀(10)에 고정 설치해준다. 체결부재(109)가 체결된 체결부재 삽입용 홀(103)에는 마감용 캡(105)을 결합하여 은폐 마감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신규창틀(100)의 설치 고정이 완료되면, 신규창틀(100)의 실내측 저면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실내측 바닥면에 창틀지지부(300)를 설치해준다. 좀더 구체적으로, 창틀지지부(300)는 너트(321)의 정역회전에 의해 리드스크류(33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340)가 신규창틀(100)의 저면을 지지해주는 것으로, 상기 신규창틀(100)의 저면과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에 맞게 지지부재(340)의 높낮이를 조절해가며 신규창틀(100)의 실내측 저면을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지지부재(340)의 상면에는 신규창틀(100)의 저면홈부(107)에 끼움 결합되는 돌기부(341)가 구비되어 신규창틀(100)의 안정적인 지지 고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지지부재(340)의 이탈을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창틀지지부(300)는 신규창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를 이격되게 설치하게 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창틀지지부(300)에 의해 신규창틀(100)이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면, 상기 신규창틀(100)의 실내측 끼움부(101)에 복수의 끼움블록(410)으로 구성된 실내측마감부(400)의 상부를 끼움 결합해줌으로써, 상기 신규창틀(100)의 실내측 저면과 바닥면 및 내벽면 사이 공간을 마감해준다.
이 경우 실내측마감부(400)의 상부에 구비된 끼움돌기(411)가 상기 신규창틀(100)의 끼움부(101)에 끼움 결합되고 난 후에는, 이격 형성된 복수의 비스체결공(412)에 비스(V)를 체결하여 실내측마감부(400)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다.
그리고 실내측마감부(400)의 하부는 끼움블록(410)의 실외측면과 인접 배치되는 창틀지지부(300) 사이에 구비된 마감체결수단(430)을 매개로 고정해준다. 즉 창틀지지부(300)의 브라켓(431)과 끼움블록(410)의 클립(423)에 구비된 연장편(433)이 면접하도록 배치한 다음, 체결부재(435)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해준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435)의 체결부위는 실내측마감부(400)의 하단에 결합된 가스켓(415)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체결수단(430)은 실내측마감부(400)의 실외측, 즉 신규창틀(100)의 하부 공간에 은폐된 구조로, 실내측면에서 체결부재(435)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 삽입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레탄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연질로 형성된 가스켓(415)을 들추는 경우 마감체결수단(430)의 체결부위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 체결수단(435)의 체결을 위한 공구 삽입공간을 마련해줄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실내측마감부(400)를 설치하기 이전에 연장편(433)이 구비된 클립(423)을 체결부재(435)를 매개로 브라켓(431)에 미리 체결고정한 후, 클립에 실내측마감부(400)의 끼움블록(410)를 끼워 맞춰주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전에 클립(423)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실내측마감부(400)를 설치한 후에는, 신규창틀(100)의 실외측 저면과 벽체 개구부 사이의 공간에 절단식 마감재(500)를 설치한다. 절단식 마감재(500)는 신규창틀(100)의 실외측 끼움부(101)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511)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절단식 마감재(500)는 일면에 소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노치홈(513)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공간의 너비에 맞게 적당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를 설치하기에 앞서 신규창틀(100)의 실외측면에는 기존창틀(10)과의 사이 틈새에 방수 및 누기 방지용 테이프(T)를 부착해준다.
아울러 상기 실내측마감부(400)와 절단식 마감재(500)가 신규창틀(100)의 실, 내외측면에 구비된 끼움부(101)에 제각기 끼움 결합되고 난 후에는, 비스(V)를 매개로 상기 신규창틀(100)에 체결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내측마감부(400)와 절단식 마감재(500)가 설치된 벽체 개구부 사이의 틈새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마감 처리해줌으로써, 개보수용 창호의 기밀 및 수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개보수용 창호의 신규창틀(100)이 단창 구조로 적용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중창의 경우로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종래에 알루미늄 재질의 외부창틀과, 목재로 된 내부창틀의 이중창용 창틀의 경우 등을 개보수하는 경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하나의 이중창용 신규창틀을 적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1 :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 10 : 기존창틀
11 : 레일 100 : 신규창틀
101 : 끼움부 103 : 체결부재 삽입용 홀
105 : 마감용 캡 107 : 저면홈부
200 : 높낮이조절부 210 : 고정플레이트
211 : 나사공 231 : 절곡홈부
215 : 체결공 220 : 승강플레이트
221 : 결합공 221a : 삽입공
223 : 결합홈부 230 : 조절부재
231 : 머리부 231a : 드라이버홈
233 : 홈부 235 : 나사부
300 : 창틀지지부 310 : 베이스부재
320 : 실린더 321 : 너트
330 : 리드스크류 340 : 지지부재
400 : 실내측마감부 410 : 끼움블록
411 : 끼움돌기 413 : 끼움홈
415 : 가스켓 420 : 보조고정수단
421 : 걸림돌기 423 : 클립
430 : 마감체결수단 431 : 브라켓
433 : 연장편 435 : 체결부재
500 : 절단식 마감재 511 : 결합돌기
513 : 노치홈

Claims (8)

  1. 기존창틀(10) 위에 개보수용 신규창틀(100)의 덧댐 설치시 상기 신규창틀(100)과 벽체 개구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막아 마감해주는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500)에 있어서,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는,
    상기 신규창틀(100)의 실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신규창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끼움부(10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에 스냅핏(snap-fit) 구조의 결합돌기(511)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돌기(511)는 상기 이격 공간의 너비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를 상기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의 타면에는 필요한 만큼 선택적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노치홈(513);이 형성되며,
    상기 노치홈(513)은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돌기(51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는,
    상기 신규창틀(100)의 실외측 끼움부(101)에 끼움 결합되는 것인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창틀(100)은,
    상기 기존창틀(10)의 폭에 비해 넓게 형성되되, 상기 끼움부(101)가 구비된 신규창틀(100)의 실외측면은 기존창틀(10)의 실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돌기(511)의 돌출 길이만큼 이격되게 정렬되고, 상기 신규창틀(100)의 실내측은 상기 기존창틀(10)의 실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511)는,
    상기 끼움부(101)의 상하 걸림턱(101a) 내에 탄성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끝단이 걸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01)에 결합돌기(511)가 끼움 결합된 후, 상기 노치홈(513)에 비스(V)가 체결 고정되는 것인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식 마감재(500) 하단과 벽체 개구부와의 사이 틈새는,
    실리콘을 통해 마감 처리되는 것인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KR1020140050115A 2014-04-25 2014-04-25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KR101818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15A KR101818288B1 (ko) 2014-04-25 2014-04-25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15A KR101818288B1 (ko) 2014-04-25 2014-04-25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67A KR20150123567A (ko) 2015-11-04
KR101818288B1 true KR101818288B1 (ko) 2018-01-12

Family

ID=5460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115A KR101818288B1 (ko) 2014-04-25 2014-04-25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67B1 (ko) 2021-05-03 2022-09-26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개보수용 미서기 창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635A (ja) * 2002-02-20 2003-08-27 Katsuhiro Kamijo 樹脂サッシのリフォーム取付構造
KR100473509B1 (ko) 2002-08-16 2005-03-15 (주)삼주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조립식 문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635A (ja) * 2002-02-20 2003-08-27 Katsuhiro Kamijo 樹脂サッシのリフォーム取付構造
KR100473509B1 (ko) 2002-08-16 2005-03-15 (주)삼주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조립식 문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67B1 (ko) 2021-05-03 2022-09-26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개보수용 미서기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67A (ko)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150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65044B1 (ko)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208967B1 (ko)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발코니창호 및 그 시공방법
US9883777B2 (en) Shower enclosure and methods of installation
KR101592152B1 (ko) 구조보강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개보수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101558098B1 (ko) 비철거식 개보수 전용 창호
KR101818289B1 (ko) 개보수 창호용 창틀 지지장치
KR101903826B1 (ko) 개보수 창호 마감용 블록조립체
KR101818288B1 (ko) 개보수 창호용 절단식 마감재
KR101960117B1 (ko) 비철거식 개보수 창호용 실내측 마감재
KR101850575B1 (ko) 개보수 창호용 창틀
JP4938469B2 (ja) 長尺ベース材の腰壁固定構造及び長尺ベース材の腰壁固定方法
KR101903825B1 (ko) 개보수 창호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1975700B1 (ko) 가변형 마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개보수창
KR101885406B1 (ko) 개보수 창호용 실내 마감재
KR102063493B1 (ko)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1945562B1 (ko) 비철거식 개보수 창호용 마감재
KR101818291B1 (ko) 개보수 창호 마감용 조립체
KR101818290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개보수 창호 마감용 조립체
KR20030049114A (ko) 창호의 개보수 구조 및 방법
KR101575670B1 (ko) 단열효과를 극대화한 덧창 및 그 덧창의 설치방법
KR101591896B1 (ko)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리모델링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102255005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64633B1 (ko) 개보수 창호용 마감재 조립체
JPH0913797A (ja) 改装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