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810B1 -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810B1
KR101506810B1 KR1020130116480A KR20130116480A KR101506810B1 KR 101506810 B1 KR101506810 B1 KR 101506810B1 KR 1020130116480 A KR1020130116480 A KR 1020130116480A KR 20130116480 A KR20130116480 A KR 20130116480A KR 101506810 B1 KR101506810 B1 KR 101506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ld clamping
mold
movable
displacem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요시 미야자키
야스히로 후루카와
신지 아키모토
다케히로 우메키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13011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6Mechanisms or devices for locking or open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0Accessories for supplying molten metal, e.g. in 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2Controll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간소한 구조이면서, 형 체결 스트로크를 넓은 범위에서 조정 가능한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를 제공한다.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1)는 고정형(2)이 설치된 고정반(10)과, 가동형(3)이 설치된 가동반(20)과, 가동반(20)을 고정반(10)을 향해서 진퇴시키는 형 체결 실린더(30)와, 형 체결 실린더(30)를 내주면(41)으로 보유 지지하는 하우징(40)과, 고정반(10)과 가동반(20)과 하우징(40)을 연결하고, 가동반(20)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타이 바(50)를 구비한다. 형 체결 실린더(30)의 외주면(31)에는 나사부(32)가 형성되고, 하우징(40)의 내주면(41)에는 나사부(32)와 맞물림하는 기어(43)가 고정되어, 기어(43)를 회전시킴으로써, 형 체결 실린더(30)가 하우징(40)에 대하여, X1(X2) 방향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MOLD CLAMPING APPARATUS OF DIE CAST MACHINE}
본 발명은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는 사출이 개시되고 나서 용융 금속이 고화될 때까지의 사이, 금형 내의 용융 금속의 사출 압력으로 인해 금형이 개방되지 않도록 금형을 체결하고 있다. 이러한 형 체결 장치로는 종래부터 토글식 형 체결 장치(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나, 직압식 형 체결 장치(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가 잘 알려져 있다.
여기서, 토글식 형 체결 장치에서는, 토글 링크가 다 늘어났을 때 큰 형체력을 발생시키므로, 형 체결 완료 위치는 반드시 토글 링크가 다 늘어났을 때 조정해야만 한다. 따라서, 금형이 변경되어 금형의 두께가 바뀐 경우에는, 거기에 맞추어 토글 링크가 다 늘어난 위치를 조정해야만 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토글식 형 체결 장치에서는, 4개 각각의 타이 바의 일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이들 나사부를 링크 하우징의 4개의 우각부에 각각 삽입 관통시켜서, 이 링크 하우징의 일 측면에 설치한 형 두께 조정 너트에 의해, 토글 링크가 다 늘어난 위치를 조정하고 있다.
또한, 직압식 형 체결 장치에 있어서도, 금형이 변경되어 고정형과 가동형 사이의 거리가 변해서 가동형의 스트로크를 변경하여 조정하는 경우에는, 금형이 다 체결된 상태에서 형체력을 조정하기 때문에 당해 금형의 고정형과 가동형을 맞추어, 적절하게 금형이 닫히도록 형 체결 스트로크(형 개방 시의 가동형과 고정형의 대향 거리)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2의 직압식 형 체결 장치에서는, 가동반이 이동하는 궤적 상에 4개의 위치 검출 홈이 평행으로 배치되고, 이들 위치 검출 홈의 각각에 리미트 스위치의 압박 캠이나 검출 도그와 같은 검출편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편을 조정함으로써, 특정한 위치에 가동반이 도달했을 때 리미트 스위치나 근접 스윗치의 설정을 개폐할 수 있도록 조절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금형을 개폐 이동하는 가동반의 위치를 검출해서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6212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64-1061호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형 두께 조정 기구는 구조가 복잡해지는 점이나, 타이 바의 나사 가공의 가공 정밀도를 4개 모두 맞출 필요가 있는 점에서, 보다 간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은 직압식 형 체결 장치는, 형 체결 실린더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가동반과 고정반의 사이에 있어서는, 고정반이나 가동반에 플레이트 등을 설치함으로써 형 체결 스트로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가동반 및 고정반의 위치는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형 체결 스트로크의 조정에 한정이 있었다. 예를 들어, 형 체결 스트로크를 가동반과 고정반의 대향 거리보다도 길게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 대응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비교적 간소한 구조이면서, 형 체결 스트로크를 넓은 범위에서 조정 가능한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고정형이 설치된 고정반과,
가동형이 설치된 가동반과,
상기 가동반을 상기 고정반을 향해서 진퇴시키는 형 체결 실린더와,
상기 형 체결 실린더를 내주면으로 보유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고정반과 상기 가동반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고, 상기 가동반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타이 바를 구비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형 체결 장치로서,
상기 형 체결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부와 맞물림하는 제1 기어 부재가 지지되고,
상기 제1 기어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형 체결 실린더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타이 바와 평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기어 부재와 맞물림하는 제2 기어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2 기어 부재를 회전 가능한 회전축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평행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면에는 상기 형 체결 실린더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너트 부재에 의해 상기 형 체결 실린더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반에는 상기 평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막대 부재에는 상기 막대 부재에 대하여 상기 평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검출체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형 체결 실린더에는 상기 평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검출체의 상기 평행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검출 가능한 변위 센서가 설치되고,
형 체결 완료 시에 상기 검출체가 상기 변위 센서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되도록, 상기 검출체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검출체와 상기 변위 센서는 상기 평행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고 있고,
형 체결 완료 시에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검출체가 상기 변위 센서와 대향하도록 상기 검출체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검출체가 근접한 것을 검출 가능한 근접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변위 센서와 상기 평행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고 있고,
상기 변위 센서와 상기 근접 센서의 상기 평행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거리는, 상기 검출체의 상기 평행 방향에 있어서의 폭 이하로 설정되고,
형 체결 완료 시에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검출체가 상기 변위 센서 및 상기 근접 센서와 대향하도록 상기 검출체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본 발명의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에 의하면, 형 체결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나사부와 맞물림하는 제1 기어 부재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 기어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타이 바와 평행 방향에 있어서, 형 체결 실린더는 제1 기어 부재가 고정된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교적 간소한 구조이면서, 형 체결 실린더를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형 체결 개시 위치를 조정하여, 형 체결 스트로크(형 체결 완료 위치와 형 체결 개시 위치의 차)를 넓은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검출체 및 변위 센서 주변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1)는 고정형(2)이 설치된 고정반(10)과, 고정형(2)과 대향하도록 가동형(3)이 설치된 가동반(20)과, 가동반(20)을 고정반(10)을 향해서 진퇴시키는 형 체결 실린더(30)와, 형 체결 실린더(30)를 내주면(41)으로 보유 지지하는 하우징(40)과, 고정반(10)과 가동반(20)과 하우징(40)을 연결하고, 또한 가동반(20)을 고정반(10) 및 하우징(40)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타이 바(50)를 구비하는 직압식의 형 체결 장치다. 또한, 형 체결 실린더(30)는 유압에 의해 동작하고, 가동반(20)을 왕복 이동시킨다.
타이 바(50)는, 도 1 중에서는 2개만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고정반(10), 가동반(20) 및 하우징(40)의 네 코너를 각각 관통하는 4개의 타이 바(50)로 구성된다. 또한, 타이 바(50)의 양단부는 고정반(10) 및 하우징(40)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당해 양단부에 나사 결합한 너트(55, 56)에 의해, 타이 바(50)와 고정반(10) 및 하우징(40)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타이 바(5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 방향에 있어서, 고정반(10)측을 향하는 방향을 X1 방향으로 하고, 하우징(40)측을 향하는 방향을 X2 방향으로 하고, X1(X2)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을 Y 방향으로 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 체결 실린더(30)의 외주면(31)은, 나사 홈이 X1(X2)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거리에 걸쳐서 형성된 나사부(32)를 갖고 있다. 나사부(32)는 하우징(40) 및 후술하는 고정 너트(48)와 Y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또한 고정 너트(48)보다도 X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형 체결 실린더(30)는 그 외관(외주면(31))만이 나타나 있지만, 그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이나 피스톤 로드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가동반(20)을 고정하고, 당해 피스톤 로드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가동반(20)을 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40)의 내주면(41)의 X1 방향 단부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홈부(42)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당해 홈부(42)에는 나사부(32)와 맞물림하는 기어(43)(제1 기어 부재)가 X1 방향으로부터 지그(4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지그(49)는 하우징(40)의 X1 방향 단부면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도 1 참조). 따라서, 기어(43)를 회전시키면, 형 체결 실린더(30)는 기어(43)가 고정된 하우징(40)에 대하여, X1 또는 X2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우징(40)의 내부에는 기어(43)와 직경 방향 외측에서 맞물림하는 피니언(44)(제2 기어 부재)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피니언(44)의 중심부에는 X2 방향을 향하는 볼록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0)에는 피니언(44)의 볼록부(44a)를 향해서 X1(X2)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공(空孔)(4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공(45)에는 피니언(44)의 볼록부(44a)와 끼워맞춤 가능한 회전축(46)이 삽입된다. 회전축(46)은 공공(45)보다도 길며, 하우징(40)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수동으로 핸들(46a)을 돌리는 것에 의해, 회전축(46)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축(46)을 공공(45)에 삽입해서 피니언(44)의 볼록부(44a)와 끼워 맞추게 한 후, 회전축(46)을 회전시켜서 피니언(44)을 회전시키면, 피니언(44)과 맞물림하는 기어(43)가 회전하고, 형 체결 실린더(30)를 하우징(40)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반(20)의 형 체결 개시 위치를 조정하여, 형 체결 스트로크 A(형 개방 시의 가동형(3)과 고정형(2)의 대향 거리)를 넓은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축(46)의 회전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수동으로 행해도 좋고, 모터 등에 의한 전동으로 행해도 상관없다.
또한, 하우징(40)의 X2 방향 단부면(47)에는 형 체결 실린더(30)의 나사부(32)와 나사 결합하는 고정 너트(48)(너트 부재)가 배치된다. 그리고, 고정 너트(48)는 형 체결 실린더(30)에 대하여 체결됨으로써, 하우징(40)의 X2 방향 단부면(47)과 접촉하고, 형 체결 실린더(30)의 하우징(40)에 대한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형 체결 스트로크 A를 조정할 때에는 고정 너트(48)를 느슨하게 하여 상기 이동을 허용하고, 형 체결 스트로크 A를 조정한 후에는 고정 너트(48)를 죄어서 상기 이동을 규제하여, 조정이 끝난 형 체결 스트로크 A가 형 체결 시 등에 변화해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 너트(48)는 하우징(40)의 X1 방향 단부면(39)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X1 및 X2 방향 단부면(39, 47)의 양면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반(20)의 X2 방향 단부면(21)에는, X2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막대 부재(23)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2)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막대 부재(23)는 X1 방향 단부가 지지 프레임(22)에 볼트 고정되면서, 또한 X2 방향 단부가 판상 부재(24)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한 쌍의 막대 부재(23)는 검출체(25)의 한 쌍의 구멍(25a)에 각각 삽입되고, 검출체(25)를 X1(X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검출체(25)의 중앙부에는 판상 부재(24)에 나사 결합하는 샤프트(26)의 선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샤프트(26)를 회전시킴으로써, 검출체(25)를 한 쌍의 막대 부재(23)에 대하여 X1(X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샤프트(26)가 나사 결합하는 판상 부재(24)의 나사 구멍과 그 샤프트(26) 부분은 우나사로 하고, 샤프트(26)가 나사 결합하는 검출체(25)의 나사 구멍과 그 샤프트(26) 부분을 좌나사로 함으로써 검출체(25)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40)의 X1 방향 단부면(39)에는 한 쌍의 막대 부재(23)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있어서 X1(X2)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51)가 고정되고, 베이스(51)에는 X1 방향으로부터 순서대로 변위 센서(52), 제1 및 제2 근접 센서(53, 54)가 설치되어 있다.
변위 센서(52)는 자계나 광, 초음파 등을 매체로 한 비접촉식 센서가 적용되고, 검출체(25)의 X1(X2)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근접 센서(53, 54)는 전자 유도를 이용한 고주파 발진식, 자석을 사용한 자기식,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한 정전 용량식 등의 센서가 적용되고, 검출체(25)가 근접한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변위 센서(52), 및 제1 및 제2 근접 센서(53, 54)와 검출체(25)는, Y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형 체결 시 등에 가동반(20)이 X1(X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또는 샤프트(26)를 회전시킴으로써, 검출체(25)가 X1(X2)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변위 센서(52), 및 제1 및 제2 근접 센서(53, 54)와 검출체(25)의 충돌이 방지된다.
또한, 종래의 형 체결 장치에 있어서는, 형 체결 완료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변위 센서 및 검출체가, 각각 고정반 및 가동반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거나, 고정형 및 가동형에 설치되어 있었다. 전자의 경우에는 고정형 및 가동형의 두께가 작아지면, 변위 센서와 검출체가 충돌할 우려가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고정형 및 가동형을 교환할 때마다, 변위 센서 및 검출체를 다시 설치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 센서(52), 및 제1 및 제2 근접 센서(53, 54)와 검출체(25)는 Y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고 있으므로, 고정형(2) 및 가동형(3)을 교환한 경우에도 변위 센서(52), 및 제1 및 제2 근접 센서(53, 54)와 검출체(25)는 충돌하지 않고, 이들을 다시 설치할 필요도 없다.
여기서, 가동형(3)과 고정형(2)의 형 체결 완료시, 즉 가동반(20)이 가장 X1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검출체(25)도 가장 X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3 중, 파선으로 나타낸 검출체(25)를 참조}. 이때, 검출체(25)가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되도록, 검출체(25)의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의 X1(X2)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거리 B는 검출체(25)의 X1(X2) 방향에 있어서의 폭 C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고(B=C), 형 체결 완료시에 Y 방향에 있어서, 검출체(25)가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와 대향하도록 검출체(25)의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는, 형 체결 완료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된다.
또한, 형 체결 완료시에 Y 방향에 있어서, 검출체(25)가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와 대향하도록, 검출체(25)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면 좋으므로,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의 X1(X2)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거리 B는, 검출체(25)의 X1(X2) 방향에 있어서의 폭 C 이하로 설정되는 한(B≤C), 임의의 값으로 설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근접 센서(53)는 형 체결 완료 위치를 인식하여, 변위 센서(52)의 보조적인 센서로서 기능하므로, 형 체결 완료 시에 있어서의 검출체(25)의 위치를 보다 올바르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근접 센서(53)는 형 개방 도중에 검출체(25)가 당해 제1 근접 센서(53)로부터 이격된 것을 검출함으로써, 제품을 압출해도 좋은 위치까지 가동형(3)이 이동한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적절한 위치에 있어서, 성형된 제품을 가동형(3)으로부터 핀 등에 의해 압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 센서(52) 외에 보조적인 센서인 제1 근접 센서(53)를 사용함으로써, 형 체결 완료 위치의 인식을 보다 정확하게 하고 있지만, 변위 센서(52)만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 경우에도 형 체결 완료 시에, Y 방향에 있어서, 검출체(25)가 변위 센서(52)와 대향하도록 검출체(25)의 위치가 조정된다. 또한, 변위 센서(52)만으로 검출체(25)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검출체(25)의 단부면을 변위 센서(52)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근접 센서(54)는 형 개방 시, 즉, 가동반(20)이 가장 X2 방향으로 이동하고, 검출체(25)가 가장 X2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검출체(25)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다.
이렇게 구성된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1)에 있어서, 고정형(2) 및 가동형(3)이 변경된 경우, 형 체결 스트로크 A 및 검출체(25)의 위치는, 이하와 같이 조정된다.
우선, 변경된 고정형(2) 및 가동형(3)에 맞추어, 형 체결 스트로크 A를 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축(46)을 공공(45)에 삽입해서 피니언(44)의 볼록부(44a)와 끼워 맞추게 한 후, 회전축(46)을 회전시켜서 피니언(44)을 회전시킴으로써, 형 체결 실린더(30)를 하우징(40)에 대하여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반(20)의 형 체결 개시 위치를 조정하여, 형 체결 스트로크 A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한다.
형 체결 스트로크 A가 변경된 경우, 가동반(20)의 형 체결 개시 위치가 이동하기 때문에, 가동반(20)에 막대 부재(23)를 개재해서 고정된 검출체(25)의 위치도 이동한다. 또한, 베이스(51)도 이동하고, 각 센서(52, 53, 54)도 이동한다. 따라서, 가동형(3)과 고정형(2)의 형 체결 완료 시에, 검출체(25)가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와 Y 방향에 대향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동형(3)과 고정형(2)을 형 체결한 상태에 있어서, 샤프트(26)를 회전함으로써, 검출체(25)를 한 쌍의 막대 부재(23)에 대하여 X1(X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검출체(25)를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와 Y 방향으로 대향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형(3)과 고정형(2)과의 형 체결이 완료된 상태인 것을,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에 의해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형 체결 동작의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1)에 의하면, 형 체결 실린더(30)의 외주면(31)에는 나사부(32)가 형성되고, 하우징(40)의 내주면(41)에는 나사부(32)와 맞물림하는 기어(43)가 배치된다. 따라서, 기어(43)를 회전시킴으로써, X1(X2) 방향에 있어서, 형 체결 실린더(30)는 기어(43)가 고정된 하우징(40)에 대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교적 간소한 구조이면서, 형 체결 실린더(30)를 하우징(40)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형 체결 개시 위치를 조정하여, 형 체결 스트로크 A를 넓은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40)의 내부에는 기어(43)와 맞물림하는 피니언(44)이 배치되고, 하우징(40)에는 피니언(44)을 회전 가능한 회전축(46)이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축(46)을 회전시켜서 피니언(44)을 회전시키면, 피니언(44)과 맞물림하는 기어(43)가 회전하고, 형 체결 실린더(30)는 하우징(40)에 대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비교적 간소한 구조이면서, 형 체결 스트로크 A를 넓은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40)의 X1 방향 단부면(47)에는 형 체결 실린더(30)의 나사부(32)와 나사 결합하는 고정 너트(48)가 배치되고, 고정 너트(48)에 의해, 형 체결 실린더(30)의 하우징(40)에 대한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형 체결 스트로크 A의 조정 후 등, 형 체결 실린더(30)의 하우징(40)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고 싶을 때, 고정 너트(48)를 사용해서 당해 규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형 체결 완료 시에, 검출체(25)가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되도록, 검출체(25)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형 체결 완료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형 체결 동작의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고정형(2) 및 가동형(3)이 변경되고, 형 체결 완료 위치가 변경된 경우, 즉 형 체결 완료 시에 있어서의 검출체(25)가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난 경우에도, 검출체(2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가 형 체결 완료 시에 있어서의 검출체(25)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검출체(25)와 변위 센서(52) 및 제1 및 제2 근접 센서(53, 54)는 X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Y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고 있으므로, 변위 센서(52) 및 제1 및 제2 근접 센서(53, 54)와 검출체(25)의 충돌이 방지된다. 특히, 고정형(2) 및 가동형(3)을 교환한 경우에도, 변위 센서(52) 및 제1 및 제2 근접 센서(53, 54)와 검출체(25)는 충돌하는 일이 없으므로, 금형 교환 시에 이것들을 다시 설치할 필요도 없어 간편하다. 또한, 형 체결 완료 시에, X1(X2) 방향에 있어서, 검출체(25)가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와 Y 방향에 대향하도록 검출체(25)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검출체(25)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면서, 또한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에 의한 검출체(25)의 검출도 확실하게 된다.
또한,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의 X1(X2)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거리 B는 검출체(25)의 X1(X2) 방향에 있어서의 폭 C 이하로 설정되고, 형 체결 완료 시에, Y 방향에 있어서, 검출체(25)가 변위 센서(52) 및 제1 근접 센서(53)와 대향하도록 검출체(25)의 위치가 조정된다. 즉, 한 쌍의 센서(52, 53)에 의해 검출체(25)가 검출되므로, 형 체결 완료 위치의 인식이 보다 정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형 체결 실린더(30)의 나사부(32)는 하우징(40) 및 고정 너트(48)와 Y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또한 고정 너트(48)보다도 X2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었지만(도 2 참조), 나사부(32)는 하우징(40)보다도 X1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나사부(32)가 형성되는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형 체결 스트로크 A의 조정할 수 있는 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검출체(25)를 X1(X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막대 부재(23)는 반드시 한 쌍으로 할 필요는 없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막대 부재(23)의 단면은 원형 형상이나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등의 각형이어도 좋고, 검출체(25)가 회전해야만 한다.
또한, 변위 센서(52) 및 제1 및 제2 근접 센서(53, 54)가 설치되는 베이스(51)는 형 체결 시에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한, 어느 부재에 고정되어도 좋고, 예를 들어, 형 체결 실린더(30)의 외주면(31)에 고정되어도 상관없다.
1: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2: 고정형
3: 가동형
10: 고정반
20: 가동반
21: X2 방향 단부면
22: 지지 프레임
23: 막대 부재
24: 판상 부재
25: 검출체
25a: 구멍
26: 샤프트
30: 형 체결 실린더
31: 외주면
32: 나사부
39: X1 방향 단부면
40: 하우징
41: 내주면
42: 홈부
43: 기어(제1 기어 부재)
44: 피니언(제2 기어 부재)
44a: 볼록부
45: 공공
46: 회전축
46a: 핸들
47: X2 방향 단부면
48: 고정 너트(너트 부재)
49: 지그
50: 타이 바
51: 베이스
52: 변위 센서
53, 54: 근접 센서
55, 56: 너트
A: 형 체결 스트로크
B: 이격 거리
C: 폭

Claims (6)

  1. 고정형(2)이 설치된 고정반(10)과,
    가동형(3)이 설치된 가동반(20)과,
    상기 가동반(20)을 상기 고정반(10)을 향해서 진퇴시키는 형 체결 실린더(30)와,
    상기 형 체결 실린더(30)를 내주면(41)으로 보유 지지하는 하우징(40)과,
    상기 고정반(10)과 상기 가동반(20)과 상기 하우징(40)을 연결하고, 상기 가동반(20)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타이 바(50)를 구비하는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1)이며,
    상기 형 체결 실린더(30)의 외주면(31)에는 나사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0)의 내주면(41)에는 상기 나사부(32)와 맞물림하는 제1 기어 부재(43)가 지지되고,
    상기 제1 기어 부재(4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형 체결 실린더(30)가 상기 하우징(40)에 대하여, 상기 타이 바(50)와 평행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동반(20)에는 상기 평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부재(23)가 고정되고,
    상기 막대 부재(23)에는 상기 막대 부재(23)에 대하여 상기 평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검출체(25)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40) 또는 상기 형 체결 실린더(30)에는 상기 평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51)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51)에는 상기 검출체(25)의 상기 평행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검출 가능한 변위 센서(52)가 설치되고,
    형 체결 완료 시에 상기 검출체(25)가 상기 변위 센서(52)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되도록, 상기 검출체(25)의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검출체(25)와 상기 변위 센서(52)는 상기 평행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고 있고,
    형 체결 완료 시에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검출체(25)가 상기 변위 센서(52)와 대향하도록 상기 검출체(25)의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베이스(51)에는 상기 검출체(25)가 근접한 것을 검출 가능한 근접 센서(53)가 설치되고,
    상기 근접 센서(53)는 상기 변위 센서(52)와 상기 평행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고 있고,
    상기 변위 센서(52)와 상기 근접 센서(53)의 상기 평행 방향에 있어서의 이격 거리(B)는, 상기 검출체(25)의 상기 평행 방향에 있어서의 폭(C) 이하로 설정되고,
    형 체결 완료 시에 상기 수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검출체(25)가 상기 변위 센서(52) 및 상기 근접 센서(53)와 대향하도록, 상기 검출체(25)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기어 부재(43)와 맞물림하는 제2 기어 부재(44)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40)에는 상기 제2 기어 부재(44)를 회전 가능한 회전축(46)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의 상기 평행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면(47, 39)에는 상기 형 체결 실린더(30)의 나사부(32)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48)가 배치되고,
    상기 너트 부재(48)에 의해 상기 형 체결 실린더(30)의 상기 하우징(40)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116480A 2013-09-30 2013-09-30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KR101506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480A KR101506810B1 (ko) 2013-09-30 2013-09-30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480A KR101506810B1 (ko) 2013-09-30 2013-09-30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810B1 true KR101506810B1 (ko) 2015-03-27

Family

ID=5302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480A KR101506810B1 (ko) 2013-09-30 2013-09-30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8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820U (ja) * 1992-09-29 1994-04-19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H0929803A (ja) * 1995-07-13 1997-02-04 Toshiba Mach Co Ltd 射出圧縮成形用複合式型締装置
JP2004090649A (ja) 2003-09-08 2004-03-25 Toshiba Mach Co Ltd タイバー抜き時のタイバー位置追尾方法
JP2004209949A (ja) 2003-01-09 2004-07-29 Meiki Co Ltd 型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820U (ja) * 1992-09-29 1994-04-19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H0929803A (ja) * 1995-07-13 1997-02-04 Toshiba Mach Co Ltd 射出圧縮成形用複合式型締装置
JP2004209949A (ja) 2003-01-09 2004-07-29 Meiki Co Ltd 型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4090649A (ja) 2003-09-08 2004-03-25 Toshiba Mach Co Ltd タイバー抜き時のタイバー位置追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021B1 (ko) 클램핑 장치 및 클램핑 방법
EP1356914B1 (en) Electric closing gear
US4874309A (en) Die clamping apparatus
JP3481760B2 (ja) 複合式型締装置の型厚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3380750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US6945765B2 (en) Hydraulic clamping device for molding machines
JP4531436B2 (ja) 型締装置
US5238394A (en) Mold clamping apparatus for molding apparatus
US20190155247A1 (en) Positioning control device and mold-clamping apparatus
JP2011011379A (ja) 型締装置
US20190299510A1 (en) Mold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molding machine
KR100874846B1 (ko) 형 체결 장치
WO2013155884A1 (zh) 一种机铰直压锁模机构
JP2008307739A (ja) 型締装置
KR101506810B1 (ko)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JP2006321181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5981289B2 (ja) ブロー成形機の金型の型締め装置
JP2007098799A (ja) 型締装置
KR20120083008A (ko) 사출 성형기의 하프넛 잠금장치
JP5269510B2 (ja) 型締装置
JPH06182838A (ja) 型締装置の型厚調整装置
JP2004209949A (ja) 型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534153B2 (ja) 型締装置及び成形機
JP3158923U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KR101486654B1 (ko) 회전형 트랜스퍼 피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