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659B1 -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한 낚시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한 낚시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659B1
KR101506659B1 KR1020120104437A KR20120104437A KR101506659B1 KR 101506659 B1 KR101506659 B1 KR 101506659B1 KR 1020120104437 A KR1020120104437 A KR 1020120104437A KR 20120104437 A KR20120104437 A KR 20120104437A KR 101506659 B1 KR101506659 B1 KR 101506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arbon fabric
fishing rod
carbon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122A (ko
Inventor
권오용
Original Assignee
권오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용 filed Critical 권오용
Priority to KR1020120104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6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47Miner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40Fibres of carb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 원단을 소재로 한 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착 수지가 밀착되어 생산되는 카본 원단(111) 양면에 파단방지원단(112)(텐트의 원단으로 사용되어지는 나이론:Nilon)을 합지하여서된 합성카본원단(110)을 이용하여 카본 낚시대를 제조함으로써, 카본 원단만을 이용한 낚시대에 비해 전단강도, 인장강도 및 휨강도가 향상되어 내충격성이 우수하도록 함과 동시에 파단을 근본적으로 해소함과 더불어 꺽임이 발생한 부분에서의 파편조각이 발생하지 않아 종래 카본 낚시대에서 야기되었던 파편에 의한 신체 상해를 예방하였을 뿐만 아니라, 낚시대 본체로부터 낚시대가 떨어져 나가 야기되는 환경파괴를 예방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한 낚시대 제조방법{ rod using synthetic carbon fabric or synthetic carbon fabric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카본 원단을 소재로 한 낚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의 소재로 사용되는 카본 원단의 양면에 파단방지천을 카본 원단의 양측면에 합지한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하여 낚시대를 제조함으로써, 카본 원단만을 이용한 낚시대에 비해 전단강도, 인장강도 및 휨강도가 향상되어 내충격성이 우수하도록 함과 동시에 파단을 근본적으로 해소함과 더불어 꺽임이 발생한 부분에서의 파편조각이 발생하지 않아 종래 카본 낚시대에서 야기되었던 파편에 의한 신체 상해를 예방하였을 뿐만 아니라, 낚시대 본체로부터 낚시대가 떨어져 나가 야기되는 환경파괴를 예방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본을 소재로 제조한 낚시대는, 낚시대의 원재료가 되는 카본 원단을 성형하고자 하는 낚시대 대롱의 크기에 맞추어 재단하고, 재단된 카본 원단을 맨드릴에 부착시켜 대롱형상으로 성형한다.
카본 원단이 대롱형상으로 부착된 금형을 가열로 속에 장입하여 낚시대 대롱을 가열 성형하고, 가열 성형된 낚시대 대롱을 금형에서 탈피하여 낚시대 대롱의 절단, 합세, 도장을 거쳐서 제작되어 진다.
위와 같이 제작되는 낚시대는 카본 원단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카본 원단의 우수한 특성인 고탄성 고인장 강도를 지니고 있으면서 가볍고 강성이 높으며, 내식성과 내피로성, 그리고 진동감쇠성이 우수하여 가볍고 우수한 품질의 낚시대를 얻게 되는 것이다.
카본 원단에 의해 제조된 낚시대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고도의 전단강성을 낚시대에 부여할 수가 없어서 비교적 큰 물고기를 낚아 올릴 때 낚시대로 전달되는 물고기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쉽게 파단되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1a,b,c 는 카본 원단(10)을 이용하여 제조된 낚시대가 구부러져 최극점에 도달하였을 때 파단되어질 수 밖에 없는 원인을 카본 원단을 통해 보인 것으로써, 도1a는 직목 방향으로 최극점에 도달하였을 때의 예이고, 도1b는 역목 방향으로 최극점에 도달하였을 때의 예이며, 도1c는 직목방향과 역목방향으로 파단되어진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2a와 도2b는 상기의 카본 원단(10)을 이용하여 제조된 낚시대(20)로써, 도2a는 포획되는 물고기의 무게가 과도하게 전달되어 구부러짐 발생하였을 때 낚시대가 역목방향으로 파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b는 낚시대에 외주면에 압력이 가해져 직목방향으로 낚시대가 쪼개어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다.
상기와 같이 카본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낚시대가 파단되어질 때 파단부위에 칼날처럼 날카로운 부위가 발생함과 동시에 날카로운 파편 조각들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한 파편 조각이 낚시대를 파지하고 있는 손에 박혀 상해를 입히게 됨은 물론,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얼굴 등으로 튀어 신체 상해를 입히게 된다.
또한 낚시를 하는 도중 낚시대의 파단이 선단쪽에서 발생하였을 때 부러진 부위가 낚시대 본체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어져 물고기에 의해 물속으로 끌려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고기에 의해 물속으로 끌려들어 간 낚시대는 수중 생태계의 환경 파괴를 초래하게 된다.
그 구체적인 예로 낚시대에 연결된 바늘을 물은 상태에서 물고기가 물속을 돌아다니는 과정에서 수초나 암초에 낚시대 또는 낚시줄이 걸리게 되면, 낚시바늘을 물고 있는 물고기의 활동이 제안되어 결국 폐사하게 됨은 물론, 폐사된 물고기의 부패로 인해 수질 오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물속의 또 다른 생명체가 낚시대의 뾰족한 부분에 찔려 폐사하거나, 낚시줄에 걸려 폐사하게 된다.
더불어 파손된 낚시대의 잔존물이 관리를 통해 수거하기 이전에는 물에 그대로 존재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물속에 존재하는 파손된 낚시대 잔존물들이 쌓이면서 또 다른 환경오염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카본 원단(10)을 소재로 한 낚시대가 상기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낚시대가 가볍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널리 보급 사용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카본 원단을 소재로 제조되어지는 종래 카본 낚시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착 수지가 밀착되어 생산되는 카본 원단 양면에 파단방지천(텐트의 원단으로 사용되어지는 나이론:Nilon)을 합지하여서된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하여 카본 낚시대를 제조함으로써, 낚시를 하는 중에 물고기의 무게가 전달되어 지나친 휘어짐이 발생하고 그 휘어짐의 최극점에서 발생하는 꺽임에 의한 파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낚시대 파손으로 야기되는 파단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여 수중 환경파괴는 물론, 파단되어 물속에 존재하게 되는 낚시대와 낚시대에 연결된 낚시줄에 의하여 수중 생명체가 폐사하게 되는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한 합성카본 원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카본 원단 및 이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한 낚시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휘어짐의 최극점에서 발생하는 꺽임에 의한 낚시대가 파손되었을 때 합성카본원단을 구성하는 파단방지원단이 카본 원단에 의해 발생하는 칼날처럼 날카로운 파편 및 조각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카본 낚시대 파단으로 야기되었던 신체 상해를 예방한 합성카본원단과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카본원단 및 이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한 낚시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낚시대 제조시 카본원단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여 환경오염원인 카본 폐기량을 현저하게 줄임과 더불어 카본 낚시대를 제조하면서 고가의 카본 원단 사용을 최소화함에 따라 낚시대의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낯출 수 있는 합성카본 원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카본 원단 및 이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한 낚시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제조되어지는 낚시대용 카본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면에 접착 수지를 포함하는 카본 원단과 상기 카본 원단의 양면으로 합지되는 파단방지원단을 준비하는 공정과;
준비된 카본 원단의 양면에 파단방지천을 위치시켜 가접착하는 가접착공정과;
카본 원단의 양면에 1m의 폭을 이루며 롤형태로 생산되어진 파단방지원단이 가합지되어서된 합성카본원단을 500㎏~1000㎏의 압력을 가지는 롤형 프레스를 통과시켜 카본 원단의 접착 수지가 파단방지천의 메시 사이로 침착되어지게 하여 파단방지천을 카본 원단에 합지하여 합성카본원단을 성형하는 공정과;
성형된 합성카본원단을 제조하고자 하는 낚시대 금형인 맨드릴 원주율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재단하되, 작업중에 파단방지원단의 직목과 역목이 쉽게 풀려지지 않게 수직하는 직목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상기 합성카본원단을 재단하여 낚시대용 합성카본원단을 가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단방지원단은 나이론(Nilon) 원단임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첫째, 접착 수지가 밀착되어 생산되는 카본 원단(111) 양면에 파단방지원단(112)(텐트의 원단으로 사용되어지는 나이론:Nilon)을 합지하여서된 합성카본원단(110)을 이용하여 카본 낚시대를 제조함으로써, 낚시를 하는 중에 물고기의 무게가 전달되어 지나친 휘어짐이 발생하고 그 휘어짐의 최극점에서 발생하는 꺽임에 의한 파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낚시대 파손으로 야기되는 파단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여 수중 환경파괴는 물론, 파단되어 물속에 존재하게 되는 낚시대와 낚시대에 연결된 낚시줄에 의하여 수중 생명체가 폐사하게 되는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한 효과가 있고;
둘째, 휘어짐의 최극점에서 발생하는 꺽임에 의한 낚시대가 파손되었을 때 합성카본원단(110)을 구성하는 파단방지원단(112)이 카본 원단(111)에 의해 발생하는 칼날처럼 날카로운 파편 및 조각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카본 낚시대 파단으로 야기되었던 신체 상해를 예방하였으며;
셋째, 낚시대 제조시 카본 원단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여 환경오염원인 카본 폐기량을 현저하게 줄임과 더불어 카본 낚시대를 제조하면서 고가의 카본 원단 사용을 최소화함에 따라 낚시대의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a는 카본 낚시대 소재로 사용되는 카본 원단으로써 직목방향으로 판단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b는 카본 낚시대 소재로 사용되는 카본 원단으로써 역목방향으로 판단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c는 카본 낚시대 소재로 사용되는 카본 원단이 직목과 역목방향으로 판단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a는 카본 낚시대 소재로 사용되는 카본 원단을 주재로 하여 제조한 낚시대가 역목방향으로 파단되었을때의 파단부위의 파단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2b는 카본 낚시대 소재로 사용되는 카본 원단을 주재로 하여 제조한 낚시대가 직목방향으로 파단되었을 때의 파단부위의 파단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본 낚시대의 합성카본섬유를 구성하는 파단방지천이 직목과 역목으로 구성됨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카본 섬유에 파단방지천이 합지하여서된 본 발명의 합성카본 섬유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카본 섬유에 파단방지천이 합지하여서된 본 발명의 합성카본 섬유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은 합지 형성된 본 발명의 합성카본섬유를 경사지게 재단하여 합성카본섬유를 구성하는 파단방지천의 직목과 역목이 제조되는 낚시대 길이에 대하여 엑스자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롤링시 직목과 역목이 쉽게 풀리지 않게 재단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재단된 본 발명의 합성카본 원단을 낚시에 적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합성카본 원단이 적용된 낚시대롱의 예시도로써 일부분 단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합성카본 원단에 의해 제작된 카본 낚시대가 꺽여 파손된 상태의 예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합성카본 원단에 의해 제작된 카본 낚시대가 꺽여 파손된 이후의 파손 부위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양면에 접착 수지를 포함하는 카본 원단과 상기 카본 원단(111)의 양면으로 합지되는 파단방지원단(112)을 준비하는 공정과; 준비된 카본 원단(111)의 양면에 파단방지원단(112)을 위치시켜 가접착하는 가접착공정과; 카본 원단(111)의 양면에 1m의 폭을 이루며 롤형태로 생산되어진 파단방지원단(112)이 가합지되어서된 합성카본원단(110)을 500㎏~1000㎏의 압력을 가지는 롤형 프레스를 통과시켜 카본 원단(111)의 접착 수지가 파단방지원단(112)의 메시 사이로 침착되어지게 하여 파단방지원단(112)을 카본 원단(111)에 합지하여 합성카본원단(110)을 성형하는 공정과; 성형된 합성카본원단(110)을 제조하고자 하는 낚시대 금형인 맨드릴 원주율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재단하되, 작업중에 파단방지원단(112)의 직목과 역목이 쉽게 풀려지지 않게 수직하는 직목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상기 합성카본원단(110)을 재단하여 낚시대용 합성카본원단을 가공하는 공정을 거쳐 합성카본 원단이 제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공정을 통해 제조되어지는 합성카본원단(110)은 먼저 상기 합성카본 원단(110)을 구성하는 재료를 준비하게 되는데, 롤상태의 카본 원단(111)과 롤상태로 1m의 폭을 이루며 생산되어진 파단방지원단(112)을 롤형 프레스로 합지 가능하도록 재단 준비한다.
상기 원단준비공정을 거쳐 카본 원단(111)과 파단방지원단(112)이 준비되어지면, 카본 원단(111) 일측면에 파단방지원단(112)을 위치시킨 다음 카본 원단(111) 나머지면에 파단방지원단(112)을 위치시켜 가합지시킨후 롤형 프레스로 통과시켜 압축하게 된다.
상기 롤형 프레스는 500㎏~1000㎏의 압력을 가합지된 카본 원단(111)과 파단방지원단(112)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카본 원단(111) 양면으로 밀착되어 있는 접착 수지가 파단방지원단(112)의 메시 사이로 침착되어지면서 카본 원단(111)에 파단방지원단(112)이 합지되어 합성카본원단(110)이 제조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카본 원단(111)의 양면으로 밀착되어진 접착 수지가 파단방지원단(112)으로 침착되어질 수 있는 것은 접착 수지가 점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접착 수지가 파단방지원단(112)의 메시 사이로의 침착 효율을 높일 수 있기 위해서는 카본원단(111)을 20℃~28의 온도에서 보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어진 합성카본원단(110)은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형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의 합성카본원단(110)을 이용하여 카본낚시대(100)를 제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합성카본원단(110)을 이용하여 카본낚시대(100)를 제작할 때에는 합지 성형된 합성카본원단(110)을 도 6에서와 같이 재단한다.
합성카본원단(110)이 재단되어지는 폭은 제작되어지는 낚시대의 종류에 따라 그 폭이 결정되어 진다.
도 6에서와 같이 재단된 합성카본원단(110)을 구성하는 파단방지원단(112)은 직목과 역목이 경사각을 이루어 롤링하여 낚시대를 제작할 때 직목과 역목이 엇비스듬하게 상태로 롤링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메시의 형상이 마름모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써, 낚시대 제작을 위해 합성카본원단(110)을 취금할 때 도3에서와 같이 직목과 역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일 뿐만 아니라, 직목이 낚시대의 길이방향과 난란하지 않고 역목이 낚시대 원주방향과 나란하지 않고 엇비스듬한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낚시대에 휘어짐이 최극점에 도달하였을 때 합성카본원단(110)을 구성하는 파단방지원단(112)의 직목과 역목에서 최극점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을 동시에 받아 파단이 바랭하지 않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재단되어진 합성카본원단(110)을 1차 성형된 낚시대 대롱(120)의 외주면에 도7에서와 같은 형태로 위치시켜 롤링함에 따라 도8에서와 같이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카본낚시대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합성카본원단(110)을 이용하여 제작한 카본낚시대(100)는 포획되는 물고기의 중량이 낚시대에 과도하게 전달되어 파손이 발생할 경우, 카본낚시대(100)가 도 9에서와 같이 꺽이기는 하나, 파단되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손된 부위에 칼날과 같이 날카롭거나 뾰족한 파편조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카본원단(111) 양면으로 합지되어진 파단방지원단(112)이 카본 원단(111)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도10과 같이 파단이나 날카로운 파편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100 : 낚시대 110 : 합성카본원단
111 : 카본 원단 112 : 파단방지천

Claims (6)

  1. 통상적으로 제조되어지는 낚시대용 카본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면에 접착 수지를 포함하는 카본 원단과 상기 카본 원단(111)의 양면으로 합지되는 파단방지원단(112)을 준비하는 공정과;
    준비된 카본 원단(111)의 양면에 파단방지원단(112)을 위치시켜 가접착하는 가접착공정과;
    카본 원단(111)의 양면에 1m의 폭을 이루며 롤형태로 생산되어진 파단방지원단(112)이 가합지되어서된 합성카본원단(110)을 500㎏~1000㎏의 압력을 가지는 롤형 프레스를 통과시켜 카본 원단(111)의 접착 수지가 파단방지원단(112)의 메시 사이로 침착되어지게 하여 파단방지원단(112)을 카본 원단(111)에 합지하여 합성카본원단(110)을 성형하는 공정과;
    성형된 합성카본원단(110)을 제조하고자 하는 낚시대 금형인 맨드릴 원주율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재단하되, 작업중에 파단방지원단(112)의 직목과 역목이 쉽게 풀려지지 않게 수직하는 직목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상기 합성카본원단(110)을 재단하여 낚시대용 합성카본원단을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카본 원단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방지원단(112)은 나이론(Nilon) 원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카본 원단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104437A 2012-09-20 2012-09-20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한 낚시대 제조방법 KR101506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437A KR101506659B1 (ko) 2012-09-20 2012-09-20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한 낚시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437A KR101506659B1 (ko) 2012-09-20 2012-09-20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한 낚시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122A KR20140038122A (ko) 2014-03-28
KR101506659B1 true KR101506659B1 (ko) 2015-03-30

Family

ID=5064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437A KR101506659B1 (ko) 2012-09-20 2012-09-20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한 낚시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6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654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바낙스 카본시트를 이용한 낚싯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0105A (zh) * 2022-02-15 2022-05-27 王宇 一种用于渔具清洁养护的便携式湿巾及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275U (ja) * 1992-05-29 1993-12-27 リョービ株式会社 釣 竿
JPH07108073A (ja) * 1992-12-23 1995-04-25 Unifiber Us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H10329247A (ja) * 1997-06-02 1998-12-15 Toray Ind Inc 複合材料管状体
KR200315650Y1 (ko) * 2003-03-12 2003-06-09 신우상사주식회사 낚싯대 제작용 카본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275U (ja) * 1992-05-29 1993-12-27 リョービ株式会社 釣 竿
JPH07108073A (ja) * 1992-12-23 1995-04-25 Unifiber Us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H10329247A (ja) * 1997-06-02 1998-12-15 Toray Ind Inc 複合材料管状体
KR200315650Y1 (ko) * 2003-03-12 2003-06-09 신우상사주식회사 낚싯대 제작용 카본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654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바낙스 카본시트를 이용한 낚싯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122A (ko)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16872A (ru) Угловой фитинг и способ образования углового фитинг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ереноса волокон
CN105258567A (zh) 柔性防刺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506659B1 (ko) 합성카본원단을 이용한 낚시대 제조방법
RU2015144364A (ru) Стойкие к проколу и пуленепробиваемые издели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их изделий
RU2012131274A (ru) Лопасть винт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RU2013144411A (ru) Ромбовидное окно для композитного и/или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каркас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JP4748717B2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体
CN105571398A (zh) 一种无间隙排列的柔性防刺材料及其制备方法
RU2016109241A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способ обособления лубяного слоя и деревянистого тела из стебля лубяной культуры
CN108125713B (zh) 长链碳纤维peek外包裹热成型骨固定板及成型方法
Chuang et al. Hybrid-fiber-reinforced composite boards made of recycled aramid fibers: preparation and puncture properties
RU2012127375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яги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одержащей усиленную вилку
CN105571401A (zh) 双面铆接的柔性防刺材料及其制备方法
CN205425982U (zh) 无间隙排列的柔性防刺材料
CN210173816U (zh) 一种竹纤维生产用压碎装置
EP2982233B1 (en) Fruit harvesting beating machine head
CN207876604U (zh) 一种单纬帘面增强的钢丝绳芯输送带
JP2007030793A (ja) アーム状応力伝達部材
JP2007084989A5 (ko)
CN210617476U (zh) 一种保温型无纺布
CN106123690A (zh) 一种单元格可拆卸互换的防弹衣
JP2019044285A (ja) 耐熱性多軸ステッチ基材
CN205940286U (zh) 一种单元格可拆卸互换的防弹衣
CN205556936U (zh) 一种防刺织物及其织造装置
CN207734711U (zh) 一种便于修补的无纺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