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483B1 -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483B1
KR101505483B1 KR1020140082342A KR20140082342A KR101505483B1 KR 101505483 B1 KR101505483 B1 KR 101505483B1 KR 1020140082342 A KR1020140082342 A KR 1020140082342A KR 20140082342 A KR20140082342 A KR 20140082342A KR 101505483 B1 KR101505483 B1 KR 10150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oolant
space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석
Original Assignee
(주)백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백산하이텍 filed Critical (주)백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8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07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by submerging the tools or work partially or entirely in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를 승강 왕복 또는 승강 왕복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진퇴 왕복하는 격판에 거치된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블록이나 실린더 헤드와 같은 워크피스 표면의 각종 이물질을 디핑(dipping)에 의하여 제2 유닛으로 공급된 쿨런트(coolant)에 담가 1차적으로 제거한 후, 제3 유닛으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하여 2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워크피스 표면의 칩이나 철계 이물질 등을 효율적이며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SIMPLIFIED WASHING APPARATUS AND THE OPERAT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크피스 표면의 칩이나 철계 이물질 등을 효율적이며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척 공정은 자동차의 부품 생산이나 가공 라인에서 발생하는 칩(chip), 슬러지(sludge), 쿨런트(coolant) 또는 기타 이물질 등을 완벽하게 제거할 목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것이다.
최근, 자동차 엔진의 구조는 엔진의 배기 토출량 및 주행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물 소재에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경합금 소재로 경량화되어가며, 이에 따라 그 크기 및 형상도 다양하고 복잡화되어 가는 추세라 할 수 잇다.
따라서, 이러한 엔진의 핵심 부품으로서 실린더 블록이나 실린더 헤드와 같은 것의 세척 청정도는 생산되는 자동차의 품질과 성능 구현에 중요한 것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류의 이물질들을 세척 공정에 투입하기 전에 부품의 기계 가공 도중에 즉시 간이 세척을 실시함으로써 세척 청정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194110호의 "자동차 엔진 실린더블록의 쿨런트 및 에어블로우 간이세척기"와, 등록특허 제10-1194111호의 "쿨런트 및 에어블로우를 이용한 자동차 엔진 실린더헤드의 수직형 간이세척기"와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공히 쿨런트를 엔진 부품의 표면에 분사한 후, 에어를 취출하여 쿨런트를 제거하면서 동시에 엔진 부품의 표면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쿨런트를 분사한 후 에어 블로우에 의하여 엔진 부품의 표면에 묻은 쿨런트 및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이지만, 에어 블로우에 의하여 쿨런트와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기 위하여는 상당한 에어 압력이 필요하므로, 에어 공급원의 가동 부하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완벽하게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해내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공히 엔진 부품을 틸팅 장치에 의하여 위치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틸팅 장치는 최근의 엔진 부품들이 경량화 부품을 사용하는 추세라고 하지만,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틸팅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파손 및 변형이 일어날 우려가 많으며, 교체 및 수리에 따른 유지 관리 비용 등의 상승이 불가피한 문제점 또한 있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194110호 등록특허 제10-11941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워크피스 표면의 칩이나 철계 이물질 등을 효율적이며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을 승강 왕복하면서 상기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면에 워크피스(workpiece)가 거치되는 격판; 상기 워크피스를 상기 내부 공간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시키고, 상기 승강 왕복과 별개로 상기 상부 공간에 배치된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을 상기 상하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제1 유닛; 상기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닛에 의하여 상기 하부 공간으로 하강한 상기 워크피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잠기도록 외부로부터 쿨런트(coolant)를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제2 유닛; 및 상기 상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워크피스에 에어를 분사함과 동시에 상기 워크피스 표면의 이물질을 석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기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이 세척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하부 공간의 일측으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워터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하면서, 상기 워크피스 표면의 이물질이 일방향으로 배출되게 유도하는 제4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격판과 연결된 제1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격판을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 사이로 왕복시키는 승강 왕복부와, 상기 상부 공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과 연결된 제2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을 상기 직교한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면서 복수회 왕복시키는 진퇴 왕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는 상호 직교를 이루고, 각각 별개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쿨런트가 흐르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공간에 상호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쿨런트 공급 배관과, 상기 쿨런트 공급 배관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 이상의 쿨런트 공급 배관 사이에 하강한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을 향하여 상기 쿨런트의 분사 압력을 가하는 복수의 쿨런트 노즐과, 상기 하부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공간에 일시 수용된 상기 쿨런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쿨런트 배출 배관과, 상기 쿨런트 배출 배관 상에 장착되어 상기 쿨런트 배출 배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상기 상부 공간으로 전달 운반되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에어 공급 배관과, 상기 에어 공급 배관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에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 노즐과, 상기 상부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공간의 에어를 외부로 흡입 배출시키는 석션 포트와, 상기 석션 포트와 배관 연결되어 상기 상부 공간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 발생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에어 공급 배관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에어 공급 배관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유닛 중 상기 상하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부분과 연결되어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왕복부는, 상기 격판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하부 공간을 향하여 연장된 브라켓편과,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출입하여 신축 가능한 제1 로드의 단부와 연결된 상기 격판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편에 이격하여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 롤러가 구름 접촉하는 면적과 공간을 제공하는 승강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진퇴 왕복부는, 상기 상부 공간의 상측에 상기 직교한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이동 지지봉 중 일측의 이동 지지봉을 따라 왕복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에 장착되어 상기 일측의 이동 지지봉에 구름 접촉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롤러와, 상기 이동자 및 상기 제2 실린더로부터 출입하여 신축 가능한 제2 로드의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직교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로드의 출입에 연동하여 전진 및 후퇴 왕복하는 이동 가이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바에 상기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하부 공간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 배출 호퍼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배출 호퍼의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리도록 복수의 드레인 노즐이 이격하여 배치된 도수관과,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 호퍼의 하부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제3 유닛과 함께 상기 배출 호퍼의 외부로 에어를 흡입 배출시키는 복수의 배기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커튼은 상기 배출 호퍼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자유 낙하하는 물에 의하여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워크피스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격판 위에 거치하고 고정한 다음 상기 하우징을 외부로부터 격리 밀폐하는 제1 단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는 상기 격판을 상기 하부 공간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하부 공간에 일시 수용된 쿨런트(coolant)에 상기 워크피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잠기게 하여 상기 워크피스측으로 상기 쿨런트의 분사 압력을 형성하고 와류를 일으켜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을 세척하는 제2 단계; 상기 격판을 상기 상부 공간으로 상승시킨 후, 상기 격판이 승강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상부 공간에 배치된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을 복수회 전진 및 후퇴시키며 고압 에어를 분사하면서 상기 상부 공간의 에어를 석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 단계; 및 세척이 완료된 상기 워크피스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취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단계는, 최초에 상기 하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상기 쿨런트를 주입하여 채워넣는 과정과, 상기 쿨런트로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을 세척한 후, 상기 쿨런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격판을 상기 하부 공간으로 하강시키기 전에 상기 격판과 제1 로드로 연결된 제1 실린더에 유체 압력을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실린더가 상기 제1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격판을 하강시키는 과정과, 상기 쿨런트로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을 세척한 후, 상기 제1 실린더에 유체 압력을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실린더가 상기 제1 로드를 수축시켜 상기 격판을 상승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격판이 승강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을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에 대하여 전진 및 후퇴시키기 전에 상기 격판과 제2 로드로 연결된 제2 실린더에 유체 압력을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실린더가 상기 제2 로드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상기 제2 로드와 연결된 상기 제3 유닛의 에어 공급 배관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고압 에어에 의하여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부 공간으로 하강한 이물질을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배출 과정은, 상기 하부 공간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 배출 호퍼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도수관에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도수관에 공급된 물이 상기 배출 호퍼의 표면에 흘러내리도록, 상기 도수관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드레인 노즐을 통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출 호퍼의 하부측에 복수로 배치된 복수의 배기 포트를 통하여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 호퍼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자유 낙하하는 물에 의하여 워터커튼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를 승강 왕복하는 격판에 거치된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블록이나 실린더 헤드와 같 워크피스 표면의 각종 이물질을 디핑(dipping)에 의하여 제2 유닛으로 공급된 쿨런트(coolant)에 담가 1차적으로 제거한 후, 제3 유닛으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하여 2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칩(chip)과 슬러지(sludge) 및 쿨런트 등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효율적이면서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선행기술에 비하여 동작 패턴을 단순화하여 반복적인 동작에도 불구하고 파손이나 변형을 일으킬 수도 있는 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내구성 및 수명 연한을 늘릴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세척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세척장치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블록 선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세척장치의 운용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세척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세척장치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블록 선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세척장치의 운용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미설명 부호로 Ar은 후술할 제3 유닛(300)에 의하여 고압으로 분사되는 에어가 공급되는 방향을, Cl은 후술할 제2 유닛(200)에 의하여 공급되고 배출되는 쿨란트(coolant)의 공급 및 배출 방향을 각각 나타낸 것으로, 굵은 화살표는 쿨란트의 공급 방향을, 투명한 화살표는 쿨란트의 배출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0)에 격판(600)이 내장되고, 격판(600)과 제1 유닛(100)의 일부가 연결되고, 제2, 3 유닛(200, 300)이 하우징(500)에 장착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하우징(500)은 내부 공간을 구비한 것으로, 후술할 격판(600)이 내장되고 제2, 3 유닛(200, 300)이 장착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격판(600)은 내부 공간을 승강 왕복하면서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501) 및 하부 공간(502)으로 구획하며, 상면에 자동차 엔진 부품인 실린더 헤드 또는 실린더 블록 등과 같은 워크피스(700, workpiece)가 거치되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유닛(100)은 격판(600)을 내부 공간의 상하 방향(화살표 A, B 방향)으로 승강 왕복시키고, 승강 왕복과 별개로 후술할 제3 유닛(300) 중 에어 공급 배관(310)을 상하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화살표 C, D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것이다.
제2 유닛(200)은 하부 공간(502)에 배치되고, 제1 유닛(100)에 의하여 하부 공간(502)으로 하강한 워크피스(7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잠기도록 외부로부터 쿨런트(coolant)를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것이다.
즉, 제2 유닛(200)은 하부 공간(502)에 일시 수용된 쿨런트에 워크피스(700)를 잠기게 하여(dipping) 워크피스(700)가 세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제3 유닛(300)은 상부 공간(501)에 배치되고, 워크피스(700)에 에어를 분사함과 동시에 워크피스(700) 표면의 이물질을 석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워크피스(700)를 쿨런트에 잠기게 하여 1차적으로 세척한 후, 워크피스(700)의 표면에 에어 블로우(air blow)를 실시하여 2차적으로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엔진 부품 등과 같이 다양하고 복잡한 형상의 워크피스(700)의 세척 청정도를 높여 자동차 성능 구현에 차질이 없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워크피스(700)를 쿨런트에 단순히 잠기게 하는 것만이 아닌, 와류를 일으켜 워크피스(700)의 세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상세한 공정 및 작동 메커니즘에 관하여는 후술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워크피스(700)를 쿨런트에 담가 세척하고 에어를 취출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격판(600)과 후술할 제3 유닛(300) 중 에어 공급 배관(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동 방향에 따른 작동 메커니즘이 구분되어야 하는 바, 크게 승강 왕복부(110)와 진퇴 왕복부(1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승강 왕복부(110)는 하우징(500)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어 격판(600)과 연결된 제1 실린더(101)를 포함하며, 격판(600)을 상부 공간(501) 및 하부 공간(502) 사이로 왕복시키는 것이다.
진퇴 왕복부(120)는 상부 공간(501)의 일측에 배치되어 후술할 제3 유닛(300) 중에서 복수의 에어 공급 배관(310) 중 이동 가능한 '┌┐'형상의 에어 공급 배관(310)과 연결된 제2 실린더(102)를 포함하며, 후술할 '┌┐'형상의 에어 공급 배관(310)을 직교한 방향(화살표 C, D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면서 복수회 왕복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실린더(101)와 제2 실린더(102)는 상호 직교를 이루고, 각각 별개로 작동되는 것이다.
승강 왕복부(110)는 제1 실린더(101)와 연결되어 격판(600)을 승강 왕복시킬 수 있도록 제1 롤러(111)와, 브라켓편(112)과, 승강 가이드 바(113)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브라켓편(112)은 격판(60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공간(502)을 향하여 연장된 것이다.
제1 롤러(111)는 브라켓편(112)에 이격하여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재로서, 제1 실린더(101)로부터 출입하여 신축 가능한 제1 로드(101')의 단부와 연결된 격판(60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구름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승강 가이드 바(113)는 하우징(500)의 상하 방향(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양측 가장자리는 제1 롤러(111)가 구름 접촉하는 면적과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로드(101')가 제1 실린더(101)로부터 출입하여 신장 및 수축을 함에 따라 격판(600)이 승강하되, 이러한 격판(600)의 승강 왕복은 브라켓편(112)에 장착된 제1 롤러(111)들이 승강 가이드 바(113)의 형성 방향을 따라 구름 접촉하면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진퇴 왕복부(120)는 제2 실린더(102)와 연결되어 후술할 '┌┐'형상의 에어 공급 배관(310)을 직교한 방향(화살표 C, D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킬 수 있도록 이동 지지봉(121)과 제2 롤러(122)와 이동자(123)와 이동 가이드바(124)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동 지지봉(121)은 상부 공간(501)의 상측에 직교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부재로 후술할 제2 롤러(122)가 구름 접촉할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지지봉(121)이 봉 형상의 부재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 형상이나 레일 형상으로 제작하여 후술할 제2 롤러(122)의 구름 접촉이 안내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동자(123)는 한 쌍의 이동 지지봉(121) 중 일측의 이동 지지봉(121)을 따라 왕복하는 것이며, 제2 롤러(122)는 이동자(123)에 장착되어 일측의 이동 지지봉(121)에 구름 접촉하는 적어도 한 쌍의 부재이다.
이동 가이드바(124)의 일측은 이동자(123)와 연결되고 이동 가이드바(124)의 타측은 제2 실린더(102)로부터 출입하여 신축 가능한 제2 로드(102')와 연결된 것이다.
이동 가이드바(124)는 제2 실린더(102)로부터 출입하여 신축 가능한 제2 로드(102')의 단부와 결합되어 제2 로드(102')의 출입에 연동하여 직교한 방향(화살표 C, D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 왕복하게 된다.
따라서, 진퇴 왕복부(120)는 후술할 제3 유닛(300)에 의하여 취출되는 고압 에어가 워크피스(700)의 표면 전체에 걸쳐 구석 구석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후술할 제3 유닛(300) 중 에어 공급 배관(310)을 전진 및 후퇴시켜 세척 청정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쿨런트를 공급하고 배출하여 워크피스(700)의 표면을 1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쿨런트 공급 배관(210)과 쿨런트 노즐(220)과 쿨런트 배출 배관(230)과 밸브(24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쿨런트 공급 배관(210)은 쿨런트가 흐르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며 하부 공간(502)에 상호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부재이다.
쿨런트 노즐(220)은 쿨런트 공급 배관(2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한 쌍 이상의 쿨런트 공급 배관(210) 사이에 하강한 워크피스(700)의 표면을 향하여 쿨런트의 분사 압력을 가하는 복수의 부재이다.
즉, 쿨런트 노즐(220)은 쿨런트 공급 배관(210)으로부터 공급된 쿨런트를 하부 공간(502)에 일시 수용한 후, 워크피스(700)가 일시 수용된 쿨런트에 잠기면 워크피스(700)의 표면에 다시 일정 압력으로 쿨런트를 분사함으로써 하부 공간(502)에 수용된 쿨런트의 와류를 활발하게 발생시킴으로써 워크피스(700) 표면의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쿨런트 배출 배관(230)은 하부 공간(502)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부 공간(502)에 일시 수용된 쿨런트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부재이며, 밸브(240)는 쿨런트 배출 배관(230) 상에 장착되어 쿨런트 배출 배관(230)의 유로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쿨런트에 잠겨 1차적으로 세척된 워크피스(700)가 다음 공정의 수행을 위하여 상부 공간(501)으로 상승하고 나면, 밸브(240)가 개방되어 하부 공간(502)에 수용된 쿨런트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배출된 쿨런트는 이물질을 여과하고 정제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버퍼 탱크(이하 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쿨런트에 잠겨 세척된 워크피스(700)의 표면에 남은 쿨런트와 기타 잔여 이물질들을 2차적으로 확실하게 세척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에어 공급 배관(310)과 에어 노즐(320)과 석션 포트(330)와 부압 발생원(이하 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에어 공급 배관(310)은 하우징(500)의 외부에 배치된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상부 공간(501)으로 전달 운반되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것이다.
여기서, 복수의 에어 공급 배관(310)을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 로드(102')의 단부에 연결된 이동 가이드바(124, 도 1 참조)는, 도 2에서 '┌┐'형상의 에어 공급 배관(310)과 연결된다.
이렇게 이동 가이드바(124)와 연결된 에어 공급 배관(310)은 제2 로드(102')의 신축에 따른 이동 가이드바(124)의 직교한 방향(화살표 C, D 방향)으로 왕복하는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에어 공급 배관(310, 도 1에서 C, D 방향을 따라 길게 도시된 부분)은 고정된 것이다.
에어 노즐(320)은 에어 공급 배관(3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부 공간(501)에 배치되어 워크피스(700)의 표면에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부재이다.
석션 포트(330)는 상부 공간(50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부 공간(501)의 에어를 외부로 흡입 배출시키는 것이다.
부압 발생원은 석션 포트(330)와 배관 연결되어 상부 공간(501)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부압에 따른 진공을 발생시키는 석션 펌프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 공급 배관(310)이 형성되고 배치된 형태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형상의 에어 공급 배관(310)을 따라 에어 노즐(320)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에어 공급 배관(310)의 형상은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에어 공급 배관(310)은 격판(600)에 거치된 워크피스(700)의 외곽 형상에 맞게 직선과 곡선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워크피스(700)가 격판(600) 상에 거치될 경우, 에어 공급 배관(310)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상호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게 하는 등의 응용 및 변형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세척장치는 하우징(50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하부 공간(502)과 연통되고, 하부 공간(502)의 일측으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워터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하면서, 워크피스(700) 표면의 이물질이 일방향으로 배출되게 유도하는 제4 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4 유닛(400)은 하부 공간(502)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 배출 호퍼(51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배출 호퍼(510)의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리도록 복수의 드레인 노즐(이하 미도시)이 이격하여 배치된 도수관(4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4 유닛(400)은 제3 유닛(300)과 연결되고, 배출 호퍼(510)의 하부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제3 유닛(300)과 함께 배출 호퍼(510)의 외부로 에어를 흡입 배출시키는 복수의 배기 포트(420)를 더 포함하며, 배출되는 이물질과 함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를 제공한다.
배기 포트(420)는 원활한 에어 배출을 위하여 4~6개소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도수관(410)과 연결된 물 공급원(이하 미도시)이 일정 압력(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kgf/㎠)으로 물을 공급시키고, 워터커튼은 배출 호퍼(51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자유 낙하하는 물에 의하여 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이 일방향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4 유닛(40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기 포트(420)를 통하여 석션이 진행되는 동안 소음 감소용의 쿨런트를 추가로 투입하는 배관을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세척장치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3의 블록 선도를 참조하면서, 도 4 내지 도 7의 순서를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7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우선, 작업자는 수동으로 또는 컨트롤러(이하 미도시)를 조작하여 하우징(500)의 일측으로부터 워크피스(700)를 투입한 후, 도 4와 같이 워크피스(700)를 하우징(500)에 내장된 격판(600) 위에 거치하고 고정한 다음 하우징(500)을 외부로부터 격리 밀폐하는 작업을 실시한다(S1: 제1 단계).
이후, 격판(600)이 도 5와 같이 하부 공간(502)으로 하강하여 하부 공간(502)에 일시 수용된 쿨런트(coolant)에 워크피스(7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잠기게 하고, 워크피스(700)측으로 쿨런트의 분사 압력을 형성하여 와류를 일으켜 워크피스(700)의 표면을 세척하는 작업을 실시한다(S2: 제2 단계).
계속하여, 격판(600)이 도 6과 같이 상부 공간(501)으로 상승한 후, 격판(600)이 승강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화살표 C, D 방향)으로 제3 유닛(300) 중 일부, 즉 '┌┐'형상의 에어 공급 배관(310)을 복수회 전진 및 후퇴시킴과 동시에 워크피스(700)의 표면에 고압 에어를 분사하면서 상부 공간(501)의 에어를 석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업을 실시한다(S3: 제3 단계).
최종적으로, 세척이 완료된 워크피스(700)를 도 7과 같이 하우징(500)의 외부로 취출하여 다음 공정으로 워크피스(700)를 이송할 수 있을 것이다(S4: 제4 단계).
여기서, 제2 단계(S2)는 최초에 하부 공간(502)에 외부로부터 쿨런트를 주입하여 채워넣는 과정과, 쿨런트로 워크피스(700)의 표면을 세척한 후, 쿨런트를 하우징(5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더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2 단계(S2)에서는 격판(600)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즉, 격판(600)을 하부 공간(502)으로 하강시키기 전에 격판(600)과 제1 로드(101')로 연결된 제1 실린더(101)에 유체 압력을 인가한다.
이후, 제1 실린더(101)가 제1 로드(101')를 신장시켜 도 5와 같이 격판(600)을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쿨런트로 워크피스(700)의 표면을 세척한 후, 제1 실린더(101)에 유체 압력을 인가한다.
계속하여, 제1 실린더(101)가 제1 로드(101')를 수축시켜 도 6과 같이 격판(600)을 상승시킨다.
한편, 제3 단계(S3)에서는 '┌┐'형상의 에어 공급 배관(310)의 전진 및 후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즉, '┌┐'형상의 에어 공급 배관(310)을 직교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기 전에 '┌┐'형상의 에어 공급 배관(310)과 제2 로드(102')로 연결된 제2 실린더(102)에 유체 압력을 인가한다.
다음으로, 제2 실린더(102)가 제2 로드(102')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도 6과 같이 '┌┐'형상의 에어 공급 배관(310)을 전진 및 후퇴시키게 된다.
또한, 제3 단계(S3)에서는 고압 에어에 의하여 워크피스(70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하부 공간(502)으로 하강한 이물질을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 과정을 더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물질 배출 과정은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하부 공간(502)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 배출 호퍼(51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도수관(410)에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후, 도수관(410)에 공급된 물이 배출 호퍼(510)의 표면에 흘러내리도록, 도수관(4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드레인 노즐을 통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배출 호퍼(510)의 하부측에 복수로 배치된 복수의 배기 포트(420)를 통하여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업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배출 호퍼(51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자유 낙하하는 물에 의하여 워터커튼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물질들은 일방향으로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워크피스 표면의 칩이나 철계 이물질 등을 효율적이며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제1 실린더
101'...제1 로드
102...제2 실린더
102'...제2 로드
110...승강 왕복부
111...제1 롤러
112...브라켓편
113...승강 가이드 바
120...진퇴 왕복부
121...이동 지지봉
122...제2 롤러
123...이동자
124...이동 가이드바
200...제2 유닛
210...쿨런트 공급 배관
220...쿨런트 노즐
230...쿨런트 배출 배관
240...밸브
300...제3 유닛
310...에어 공급 배관
320...에어 노즐
330...석션 포트
400...제4 유닛
410...도수관
420...배기 포트
500...하우징
501...상부 공간
502...하부 공간
510...배출 호퍼
600...격판
700...워크피스
S1...제1 단계
S2...제2 단계
S3...제3 단계
S4...제4 단계

Claims (14)

  1.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을 승강 왕복하면서 상기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면에 워크피스(workpiece)가 거치되는 격판;
    상기 워크피스를 상기 내부 공간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 왕복시키고, 상기 승강 왕복과 별개로 상기 상부 공간에 배치된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을 상기 상하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제1 유닛;
    상기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닛에 의하여 상기 하부 공간으로 하강한 상기 워크피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잠기도록 외부로부터 쿨런트(coolant)를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제2 유닛; 및
    상기 상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워크피스에 에어를 분사함과 동시에 상기 워크피스 표면의 이물질을 석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기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이 세척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하부 공간의 일측으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워터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하면서, 상기 워크피스 표면의 이물질이 일방향으로 배출되게 유도하는 제4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격판과 연결된 제1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격판을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 사이로 왕복시키는 승강 왕복부와,
    상기 상부 공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과 연결된 제2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을 상기 직교한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면서 복수회 왕복시키는 진퇴 왕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는 상호 직교를 이루고, 각각 별개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쿨런트가 흐르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공간에 상호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쿨런트 공급 배관과,
    상기 쿨런트 공급 배관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 이상의 쿨런트 공급 배관 사이에 하강한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을 향하여 상기 쿨런트의 분사 압력을 가하는 복수의 쿨런트 노즐과,
    상기 하부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공간에 일시 수용된 상기 쿨런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쿨런트 배출 배관과,
    상기 쿨런트 배출 배관 상에 장착되어 상기 쿨런트 배출 배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상기 상부 공간으로 전달 운반되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에어 공급 배관과,
    상기 에어 공급 배관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에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 노즐과,
    상기 상부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공간의 에어를 외부로 흡입 배출시키는 석션 포트와,
    상기 석션 포트와 배관 연결되어 상기 상부 공간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 발생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에어 공급 배관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에어 공급 배관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유닛 중 상기 상하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부분과 연결되어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 왕복부는,
    상기 격판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하부 공간을 향하여 연장된 브라켓편과,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출입하여 신축 가능한 제1 로드의 단부와 연결된 상기 격판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편에 이격하여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 롤러가 구름 접촉하는 면적과 공간을 제공하는 승강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진퇴 왕복부는,
    상기 상부 공간의 상측에 상기 직교한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이동 지지봉 중 일측의 이동 지지봉을 따라 왕복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에 장착되어 상기 일측의 이동 지지봉에 구름 접촉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롤러와,
    상기 이동자 및 상기 제2 실린더로부터 출입하여 신축 가능한 제2 로드의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직교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로드의 출입에 연동하여 전진 및 후퇴 왕복하는 이동 가이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바에 상기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하부 공간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 배출 호퍼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배출 호퍼의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리도록 복수의 드레인 노즐이 이격하여 배치된 도수관과,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 호퍼의 하부측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제3 유닛과 함께 상기 배출 호퍼의 외부로 에어를 흡입 배출시키는 복수의 배기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커튼은 상기 배출 호퍼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자유 낙하하는 물에 의하여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
  9.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워크피스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격판 위에 거치하고 고정한 다음 상기 하우징을 외부로부터 격리 밀폐하는 제1 단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는 상기 격판을 상기 하부 공간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하부 공간에 일시 수용된 쿨런트(coolant)에 상기 워크피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잠기게 하여 상기 워크피스측으로 상기 쿨런트의 분사 압력을 형성하고 와류를 일으켜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을 세척하는 제2 단계;
    상기 격판을 상기 상부 공간으로 상승시킨 후, 상기 격판이 승강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상부 공간에 배치된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을 복수회 전진 및 후퇴시키며 고압 에어를 분사하면서 상기 상부 공간의 에어를 석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 단계; 및
    세척이 완료된 상기 워크피스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취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의 운용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최초에 상기 하부 공간에 외부로부터 상기 쿨런트를 주입하여 채워넣는 과정과,
    상기 쿨런트로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을 세척한 후, 상기 쿨런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의 운용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격판을 상기 하부 공간으로 하강시키기 전에 상기 격판과 제1 로드로 연결된 제1 실린더에 유체 압력을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실린더가 상기 제1 로드를 신장시켜 상기 격판을 하강시키는 과정과,
    상기 쿨런트로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을 세척한 후, 상기 제1 실린더에 유체 압력을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실린더가 상기 제1 로드를 수축시켜 상기 격판을 상승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의 운용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격판이 승강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을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에 대하여 전진 및 후퇴시키기 전에 제2 로드로 연결된 제2 실린더에 유체 압력을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실린더가 상기 제2 로드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상기 제2 로드와 연결된 상기 제3 유닛 중 에어 공급 배관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의 운용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고압 에어에 의하여 상기 워크피스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부 공간으로 하강한 이물질을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의 운용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 과정은,
    상기 하부 공간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 배출 호퍼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도수관에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도수관에 공급된 물이 상기 배출 호퍼의 표면에 흘러내리도록, 상기 도수관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드레인 노즐을 통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배출 호퍼의 하부측에 복수로 배치된 복수의 배기 포트를 통하여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 호퍼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자유 낙하하는 물에 의하여 워터커튼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세척장치의 운용 방법.
KR1020140082342A 2014-07-02 2014-07-02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150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42A KR101505483B1 (ko) 2014-07-02 2014-07-02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42A KR101505483B1 (ko) 2014-07-02 2014-07-02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483B1 true KR101505483B1 (ko) 2015-03-24

Family

ID=5302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342A KR101505483B1 (ko) 2014-07-02 2014-07-02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816A (ko) * 2016-12-29 2018-07-09 (주)삼기오토모티브 고압 디버링 세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291B1 (ko) 2011-08-03 2012-08-29 주식회사 피알 복합세척 및 에어블로우 장치
KR101194111B1 (ko) 2012-04-19 2012-10-24 주식회사 피알 쿨런트 및 에어블로우를 이용한 자동차 엔진 실린더헤드의 수직형 간이세척기
KR101215193B1 (ko) 2012-07-06 2012-12-24 주식회사 피알 쿨런트 분사 및 에어 블로우를 이용한 v형 엔진 실린더 블록의 로터리형 간이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291B1 (ko) 2011-08-03 2012-08-29 주식회사 피알 복합세척 및 에어블로우 장치
KR101194111B1 (ko) 2012-04-19 2012-10-24 주식회사 피알 쿨런트 및 에어블로우를 이용한 자동차 엔진 실린더헤드의 수직형 간이세척기
KR101215193B1 (ko) 2012-07-06 2012-12-24 주식회사 피알 쿨런트 분사 및 에어 블로우를 이용한 v형 엔진 실린더 블록의 로터리형 간이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816A (ko) * 2016-12-29 2018-07-09 (주)삼기오토모티브 고압 디버링 세척장치
KR101947526B1 (ko) * 2016-12-29 2019-02-15 (주)삼기오토모티브 고압 디버링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068060A (ja) 簡易洗浄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KR101215193B1 (ko) 쿨런트 분사 및 에어 블로우를 이용한 v형 엔진 실린더 블록의 로터리형 간이세척기
KR101886183B1 (ko) 터널 타입의 엔진 실린더 헤드 세척 장치
KR101194099B1 (ko) 시프트 및 틸트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 엔진 실린더 헤드 및 어댑터 플레이트의 간이세척기
CN1911539A (zh) 直线式超声波洗瓶机
KR101505483B1 (ko) 간이 세척장치 및 그 운용 방법
JP2018118230A (ja) 洗浄装置、洗浄方法
KR101910968B1 (ko) 로봇 타입의 엔진 실린더 블록 세척 장치
JP5708274B2 (ja) 洗浄装置
CA2661375A1 (en) Cleaning device including a flood chamber
US20180002218A1 (en) Method for Lubricating Molten Glass Forming Molds and Machine Using Such Molds
KR20170011433A (ko) 다단 유닛을 이용한 간이 세척방법
CN111477570A (zh) 一种再生晶圆加工的处理装置
KR20110006008U (ko) 반도체 부품들을 위한 먼지 제거 장치
KR101614782B1 (ko) 가공품의 다공정 세척장치
KR101435623B1 (ko) 이형제 용해수 도포 장치
CN211437178U (zh) 一种阀门清洗装置
KR20220074304A (ko) 웨이퍼용 카세트 클리닝 장치
KR101584316B1 (ko) 내연기관용 밸브 세척장치
CN113289960B (zh) 一种阳极板自动冲洗设备
JP2019063793A (ja) ワークの洗浄装置及びワークの洗浄方法
JP6672368B2 (ja) 洗浄装置
CN112756339B (zh) 提高lpcvd部品洗净能力的清洗机结构及其清洗方法
JP2006106380A (ja) アルミニウムまたはアルミニウム合金製円筒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863685B1 (ko) 도금욕조용 스나우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