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140B1 -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 Google Patents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140B1
KR101505140B1 KR1020130048882A KR20130048882A KR101505140B1 KR 101505140 B1 KR101505140 B1 KR 101505140B1 KR 1020130048882 A KR1020130048882 A KR 1020130048882A KR 20130048882 A KR20130048882 A KR 20130048882A KR 101505140 B1 KR101505140 B1 KR 10150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rolling
coil
defect index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920A (ko
Inventor
조원재
김용희
하태준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14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18Measures for using chemical processes for influencing the surface composition of castings, e.g. for increasing resistance to acid at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16Closures stopper-rod type, i.e. a stopper-rod being positioned downwardly through the vessel and the metal therein, for selective registry with the pouring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속주조공정에서 용강이 하나의 슬라브로 제조되는 동안의 스토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토퍼의 위치 정보에서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에 따라,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의 두께범위 별로 압연코일의 표면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 결함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의 기 설정된 지시 두께에서 압연코일의 표면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 결함 지수를, 상기 구간 결함 지수 중에서 상기 지시 두께가 속하는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예상 결함 지수를 기 설정된 기준 결함 지수와 비교하여 압연코일의 불량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압연코일의 불량 여부의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이 실제 생산되는 생산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METHODS FOR DECREASING SURFACE DEFECT OF HIGH CARBON STEEL SLAB}
본 발명은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강은 연속주조공정을 거쳐 슬라브(slab), 블룸(bloom), 빌릿(billet) 등의 철강반제품으로 제조된다. 연속주조공정은 액체 상태의 용강을 연속적으로 응고시켜 철강반제품인 슬라브 등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용강은 턴디쉬에서 침지노즐을 통해 주형에 공급되고, 주형을 통과하면서 응고되어 철강반제품, 예를 들어 슬라브로 제조된다. 슬라브는 압연공정을 거쳐 2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압연코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7524호(2012.08.07, 침지노즐 막힘 방지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슬라브에 존재하는 개재물이 압연공정에서 표면으로 드러나면서 발생하는 표면 결함 지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속주조공정에서 용강이 하나의 슬라브로 제조되는 동안의 스토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토퍼의 위치 정보에서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에 따라,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의 두께범위 별로 압연코일의 표면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 결함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의 기 설정된 지시 두께에서 압연코일의 표면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 결함 지수를, 상기 구간 결함 지수 중에서 상기 지시 두께가 속하는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예상 결함 지수를 기 설정된 기준 결함 지수와 비교하여 압연코일의 불량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압연코일의 불량 여부의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이 실제 생산되는 생산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두께범위는 4mm 이하의 제1 두께범위, 4mm 초과 6mm 이하의 제2 두께범위, 6mm 초과의 제3 두께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는 하기 제1 수학식에, 상기 제2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는 하기 제2 수학식에, 상기 제3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는 하기 제3 수학식에 상기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을 대입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Y1 = C1×ln(A) + D1
(수학식 2) Y2 = C2×ln(A) + D2
(수학식 3) Y3 = C3×A2
(A: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 Y1: 제1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 Y2: 제2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 Y3: 제3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 C1, C2, C3, D1, D2: 상수)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4중량부 이상의 탄소를 포함하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일 수 있다.
상기 예상 결함 지수는 상기 지시 두께가 포함되는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생산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이 불량으로 예측되면, 상기 생산 두께를 상기 지시 두께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생산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이 합격으로 예측되면, 상기 생산 두께를 상기 지시 두께로 유지하거나 상기 지시 두께보다 낮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생산 두께는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이 합격으로 예측되는 두께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속주조공정에서의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에 따라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의 생산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압연코일의 표면에서의 결함 지수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압연코일의 합격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다수의 압연코일에 대해 기 설정된 지시 두께의 편성 비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연속주조 및 압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용강이 하나의 슬라브로 제조되는 동안에 스토퍼의 위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압연코일의 두께가 4mm 이하인 경우에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에 따른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지수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압연코일의 두께가 4mm 초과 6mm 이하인 경우에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에 따른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지수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압연코일의 두께가 6mm 초과인 경우에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에 따른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지수를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연속주조 및 압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속주조장치(10)는 턴디쉬(11), 스토퍼(12), 침지노즐(13) 및 연주몰드(14)를 포함한다.
연속주조장치(10)는 용강(15)을 슬라브(16)로 제조하는 연속주조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용강(15)은 턴디쉬(11)에 수용되었다가, 턴디쉬(11)의 하부에서 연통되는 침지노즐(13)을 통해 연주몰드(14)로 주입되고, 연주몰드(14)를 통과하면서 응고되어 슬라브(16, 17, 18)로 제조된다. 스토퍼(12)는 상하 이동함으로써 턴디쉬(11)에서 침지노즐(13)로 연결되는 통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압연장치(19)는 2개의 압연롤러(19a, 19b)를 포함한다.
슬라브(18)가 2개의 압연롤러(19a, 19b)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연코일(18´)로 제조된다. 2개의 압연롤러(19a, 19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압연코일(18´)의 생산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은 연속주조공정에서 스토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을 검출하는 단계(S200), 구간 결함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300), 예상 결함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400), 압연코일의 불량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S500), 압연코일의 실제 생산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연속주조공정에서 용강이 하나의 슬라브로 제조되는 동안의 스토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100).
도 3은 용강이 하나의 슬라브로 제조되는 동안에 스토퍼의 위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토퍼(12)의 위치 변화는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용강(15)이 하나의 슬라브(18)로 제조되는 동안에 스토퍼(12)의 위치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설명 편의상, 스토퍼(12)의 기준 위치는 스토퍼(12)가 침지노즐(13)을 폐쇄하는 위치로 정한다. 즉, 스토퍼(12)의 위치가 0mm인 때, 침지노즐(13)은 스토퍼(12)에 의해 폐쇄된다.
스토퍼의 위치 정보에서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을 검출한다(S200).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은 스토퍼의 위치 정보에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은 스토퍼(12)의 최대 상하 이동 변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은 8mm - 2mm = 6mm가 된다.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에 따라 압연코일의 표면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 결함 지수를 산출한다(S300).
슬라브(18)는 용강(15)이 연속주조장치(10)를 통과하면서 제조되는데, 제강공정 중에 형성되는 용강(15) 내의 개재물(미도시)은 침지노즐(13)에 부착되었다가 불규칙적으로 탈락하면서 슬라브(18) 내의 개재물 결함(미도시)으로 나타난다. 슬라브(18) 내의 개재물 결함은 슬라브(18)가 압연장치(19)를 통과하게 되면, 압연코일(18´)의 표면으로 드러나면서 표면 결함(미도시)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의 지수는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에 비례하는데, 이는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이 클수록 스토퍼(12)와 침지노즐(13) 사이로 개재물이 통과하여 슬라브(18) 내로 삽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의 지수는 압연코일(18´)의 두께에 반비례하는데, 이는 압연코일(18´)의 두께가 작아질수록 슬라브(18) 내의 개재물 결함이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도 4는 압연코일의 두께가 4mm 이하인 경우에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에 따른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지수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압연코일의 두께가 4mm 초과 6mm 이하인 경우에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에 따른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지수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압연코일의 두께가 6mm 초과인 경우에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에 따른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지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 지수와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 사이에는 압연코일(18´)의 두께범위 별로 일정한 상관관계가 성립되고,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 지수는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에 비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 표시는 실험데이터를 의미하고, □는 후술하는 수학식 1 내지 3에 의해 산출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 지수와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 사이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성립되는 압연코일(18´)의 두께범위를 각각 제1 두께범위, 제2 두께범위 및 제3 두께범위라고 한다면, 제1 두께범위는 압연코일(18´)의 두께범위가 4mm 이하인 경우, 제2 두께범위는 압연코일(18´)의 두께범위가 4mm 초과 6mm 이하인 경우, 제3 두께범위는 압연코일(18´)의 두께범위가 6mm 초과인 경우를 의미한다.
제1 두께범위에서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 지수와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 사이의 관계식은 도 4의 데이터에 대해 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는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Y1 = C1×ln(A) + D1
수학식 1에서 A는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 Y1은 제1 두께범위에서의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 지수를 의미하고, C1, D1은 상수이다. C1은 0 < C1 ≤ 10일 수 있고, D1은 0 < D1 ≤ 5일 수 있다.
제2 두께범위에서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 지수와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 사이의 관계식은 도 5의 데이터에 대해 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는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Y2 = C2×ln(A) + D2
수학식 2에서 A는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 Y2는 제2 두께범위에서의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 지수를 의미하고, C2, D2는 상수이다. C2는 0 < C2 ≤ 10일 수 있고, D2는 0 < D2 ≤ 5일 수 있다.
제3 두께범위에서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 지수와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 사이의 관계식은 도 6의 데이터에 대해 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는 하기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
Y3 = C3×A2
수학식 3에서 A는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 Y3은 제3 두께범위에서의 압연코일(18´)의 표면 결함 지수를 의미하고, C3는 상수이다. C3는 0 < C3 ≤ 1일 수 있다.
C1은 1.5, D1은 1.5, C2는 1.5, D2는 0.5, C3는 0.009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수값들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조업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에 따라 압연코일(18´)의 표면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 결함 지수는 수학식 1 내지 3에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을 대입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이 6mm 인 경우, 제1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는 1.5×ln(6) + 1.5 = 4.2, 즉 4이고, 제2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는 1.5×ln(6) + 0.5 = 3. 2, 즉 3이고, 제3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는 0.009×A2 = 0.324, 즉 0이다.
수학식 1 내지 3은 압연코일(18´)이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4중량부 이상의 탄소를 포함하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인 경우에 산출된 관계식이다.
다음으로, 압연코일의 기 설정된 지시 두께에서 압연코일의 표면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 결함 지수를 산출한다(S400).
압연장치(19)를 통해 제조되는 압연코일(18´)의 두께는 고객사의 요구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압연코일(18´)의 기 설정된 두께를 지시 두께라고 하면, 압연코일(18´)의 기 설정된 지시 두께에서의 압연코일의 표면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결함 지수(이하 "예상 결함 지수"라고 한다)는 지시 두께가 포함되는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지시 두께가 5mm인 경우, 예상 결함 지수는 제2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와 동일하다. 즉,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이 6mm인 경우, 수학식 2에 의해 제2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는 3이므로, 예상 결함 지수도 3인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상 결함 지수를 기 설정된 기준 결함 지수와 비교하여 압연코일의 불량 여부를 예측한다(S500).
압연코일(18´)의 불량 여부는 예상 결함 지수와 최소 허용되는 결함 지수(이하 "기준 결함 지수"라고 한다)를 비교하여 예측할 수 있는데, 기준 결함 지수는 고객사의 요구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결함 지수는 2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예상 결함 지수가 2 이하이면, 지시 두께로 제조하는 압연코일(18´)은 합격 판정을 받을 것으로 예측되고, 예상 결함 지수가 3 이상이면, 지시 두께로 제조하는 압연코일(18´)은 불량 판정을 받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 두께가 5mm,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이 6mm, 기준 결함 지수가 2인 경우, 수학식 2에 의해 예상 결함 지수는 3이므로, 압연코일(18´)을 5mm의 두께로 제조하면 불량 판정을 받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연코일의 불량 여부의 예측 결과에 따라, 압연코일의 실제 생산되는 생산 두께를 결정한다(S600).
지시 두께로 제조되는 압연코일(18´)이 불량 판정을 받을 것으로 예측되면, 압연코일(18´)의 실제 생산되는 생산 두께를 지시 두께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실제 생산되는 압연코일(18´)이 합격 판정을 받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 두께가 5mm,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이 6mm, 기준 결함 지수가 2인 경우, 예상 결함 지수는 3으로 불량 판정을 받을 것으로 예측되므로, 생산 두께를 지시 두께인 5mm 보다 큰 7mm로 설정하면, 수학식 3에 의해 생산 두께에서의 압연코일(18´)의 결함 지수는 0.009·62 = 0.324, 즉 0으로 합격 판정을 받을 수 있다.
지시 두께로 제조되는 압연코일(18´)이 합격 판정을 받을 것으로 예측되면, 압연코일(18´)의 실제 생산되는 생산 두께를 지시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하면 된다. 즉, 고객사의 요구조건을 그대로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압연코일(18´)의 실제 생산되는 생산 두께를 지시 두께보다 낮게 조절하더라도 압연코일(18´)의 합격 판정이 유지될 것으로 예측된다면, 압연코일(18´)의 실제 생산되는 생산 두께를 지시 두께보다 낮게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고객사의 요구에 따라 다수의 압연코일(18´)을 제조하면서 다수의 압연코일(18´)에 대해 지시 두께의 편성 비율이 정해진 경우에, 지시 두께의 편성 비율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다수의 압연코일(18´) 중에서 이전에 제조한 압연코일(18´)에서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이 예상보다 크게 나와 압연코일(18´)의 생산 두께를 해당 압연코일(18´)의 지시 두께보다 크게 상향 조절한 경우에, 이후에 제조한 압연코일(18´)에서 스토퍼(12)의 최대 변동폭이 예상보다 작게 나오면 압연코일(18´)의 생산 두께를 해당 압연코일(18´)이 합격 판정을 받는 범위 내에서 지시 두께보다 작게 하향 조절함으로써 이전에 제조한 압연코일(18´)의 지시 두께로 생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고객사의 지시 두께의 편성 비율을 맞추면서도 합격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표 1은 다수의 압연코일에 대한 지시두께와 생산두께를 비교한 것이다.
주편번호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mm) 적용 전 적용 후
지시두께 결함지수 결과 생산두께 결함지수 결과
A000001 15 10 2 합격 10 2 합격
A000002 3 4 3 불합격 5 2 합격
A000003 2 4 2 합격 4 2 합격
A000004 2 8 0 합격 4 2 합격
A000005 8 3 5 불합격 7 1 합격
A000006 5 7 0 합격 5 2 합격
A000007 11 5 4 불합격 7 1 합격
A000008 11 5 4 불합격 8 1 합격
A000009 1 4 2 합격 4 2 합격
A000010 1 7 0 합격 3 2 합격
표 1에서 불합격 판정이 예측되는 압연코일인 주편번호 A000002, A000005, A000007, A000008은, 생산 두께를 지시 두께보다 상향 조정하였고, 합격 판정이 예측되는 압연코일 중에서 주편번호 A000004, A000006, A000010은, 합격 판정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생산 두께를 지시 두께보다 하향 조절되었다. 그 결과, 생산 두께의 편성 비율은 지시 두께의 편성 비율과 마찬가지로, 3mm 압연코일이 1개, 4mm 압연코일이 3개, 5mm 압연코일이 2개, 7mm 압연코일이 2개, 8mm 압연코일이 1개, 10mm 압연코일이 1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든 압연코일은 합격 판정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연속주조장치 11: 턴디쉬
12: 스토퍼 13: 침지노즐
14: 연주몰드 15: 용강
16, 17, 18: 슬라브 18´: 압연코일
19: 압연장치 19a, 19b: 압연롤러

Claims (6)

  1. 연속주조공정에서 용강이 하나의 슬라브로 제조되는 동안의 스토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토퍼의 위치 정보에서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에 따라,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의 두께범위 별로 압연코일의 표면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 결함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의 기 설정된 지시 두께에서 압연코일의 표면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 결함 지수를, 상기 구간 결함 지수 중에서 상기 지시 두께가 속하는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예상 결함 지수를 기 설정된 기준 결함 지수와 비교하여 압연코일의 불량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압연코일의 불량 여부의 예측 결과에 따라,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이 실제 생산되는 생산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범위는 4mm 이하의 제1 두께범위, 4mm 초과 6mm 이하의 제2 두께범위, 6mm 초과의 제3 두께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는 하기 제1 수학식에, 상기 제2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는 하기 제2 수학식에, 상기 제3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는 하기 제3 수학식에 상기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을 대입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수학식 1) Y1 = C1×ln(A) + D1
    (수학식 2) Y2 = C2×ln(A) + D2
    (수학식 3) Y3 = C3×A2
    (A: 스토퍼의 최대 변동폭(mm), Y1: 제1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 Y2: 제2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 Y3: 제3 두께범위에서의 구간 결함 지수, C1, C2, C3, D1, D2: 상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4중량부 이상의 탄소를 포함하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이 불량으로 예측되면, 상기 생산 두께를 상기 지시 두께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두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이 합격으로 예측되면, 상기 생산 두께를 상기 지시 두께로 유지하거나 상기 지시 두께보다 낮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두께는 상기 슬라브의 압연공정에서의 압연코일이 합격으로 예측되는 두께범위 내에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KR1020130048882A 2013-04-30 2013-04-30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KR101505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882A KR101505140B1 (ko) 2013-04-30 2013-04-30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882A KR101505140B1 (ko) 2013-04-30 2013-04-30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920A KR20140129920A (ko) 2014-11-07
KR101505140B1 true KR101505140B1 (ko) 2015-03-23

Family

ID=5245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882A KR101505140B1 (ko) 2013-04-30 2013-04-30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1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861A (ja) * 1995-10-26 1997-05-13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スラブの二次冷却方法
JPH09122844A (ja) * 1995-11-02 1997-05-13 Nippon Steel Corp 異鋼種連々鋳法
KR20000041658A (ko) * 1998-12-23 2000-07-15 이구택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주조속도를 이용한 탕면높이 제어방법
JP2010508151A (ja) 2006-11-02 2010-03-18 エス・エム・エス・ジーマーク・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鋳型の側板での抜熱量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861A (ja) * 1995-10-26 1997-05-13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スラブの二次冷却方法
JPH09122844A (ja) * 1995-11-02 1997-05-13 Nippon Steel Corp 異鋼種連々鋳法
KR20000041658A (ko) * 1998-12-23 2000-07-15 이구택 쌍롤형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주조속도를 이용한 탕면높이 제어방법
JP2010508151A (ja) 2006-11-02 2010-03-18 エス・エム・エス・ジーマーク・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鋳型の側板での抜熱量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920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39762B (zh) 用于连续制造薄金属带材的方法和设备
JP2007518572A (ja) 溶けた金属、特に溶けた鋼鉄材料の連続鋳造時に鋳造ストランド内の湯溜り尖端部の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7088650B (zh) 一种提高连铸机辊缝精度的控制方法
KR101505140B1 (ko) 고탄소강 압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KR101505161B1 (ko) 저탄소강용 몰드 파우더 설계 방법
JP2015098033A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ロール開度管理方法
RU2713666C2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стали
KR101410130B1 (ko) 후판의 조압연시 패스 라인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779152B1 (ko) 주조 방법 및 주조 설비
KR101727803B1 (ko) 고탄소강의 슬라브 제조 방법
KR101516780B1 (ko) 코일제조방법
JP2019038035A (ja) ハット形鋼矢板、ハット形鋼矢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設備
KR101388219B1 (ko) 슬라브 검사 방법
KR101224970B1 (ko) 연주공정에서 제품의 표면크랙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KR101647207B1 (ko) 연속 주조 방법 및 연속 주조 장치
JP6390589B2 (ja) ロール開度測定装置およびロール開度測定方法
KR101505159B1 (ko) 코일제조방법
KR101303048B1 (ko) 절단속도 설정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29189B1 (ko) 열연코일 제조방법 및 열연코일 에지부 결함 예측방법
KR100961355B1 (ko)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장치
KR101505160B1 (ko) 철강 제품 선별 방법
KR101246195B1 (ko) 열처리 경화강 슬라브 제조방법
KR101376564B1 (ko)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KR101505143B1 (ko) 코일제조방법
KR101529281B1 (ko) 코일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