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281B1 - 코일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일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281B1
KR101529281B1 KR1020130165100A KR20130165100A KR101529281B1 KR 101529281 B1 KR101529281 B1 KR 101529281B1 KR 1020130165100 A KR1020130165100 A KR 1020130165100A KR 20130165100 A KR20130165100 A KR 20130165100A KR 101529281 B1 KR101529281 B1 KR 101529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slab
intervening material
less
bath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현
박영민
유석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Abstract

코일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강을 연주몰드로 출강하여 슬라브를 제조하는 출강단계; 상기 연주몰드에서 상기 용강의 탕면 레벨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탕면 레벨의 진동 주기 동안 상기 탕면 레벨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범위를 초과하는 상기 탕면 레벨의 진동 횟수인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상기 슬라브의 주조속도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인 주조속도 변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상기 주조속도 변동량의 함수로 정의되는 개재물성 결함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단계; 및 상기 개재물성 결함 지수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슬라브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이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코일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코일제조방법{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
본 발명은 코일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로에서 생산되는 용선은 제강공정을 거친다. 제강공정은 용선예비처리, 전로제강, 2차정련을 통해 용강을 생산한다. 제강공정을 거친 용강은 연속주조공정을 통해 철강 반제품으로 성형된다. 연속주조공정에서는 연주 몰드에 연속적으로 주입되는 용강이 연주 몰드 내에서 냉각됨으로써 슬라브 등의 철강 반제품으로 성형된다. 슬라브는 압연공정을 거쳐 압연코일 등의 최종 제품으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9200호(2011. 10. 06, 연속 주조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슬라브 제조 공정의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주조속도 변동량을 기초로 개재물성 결함 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코일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강을 연주몰드로 출강하여 슬라브를 제조하는 출강단계; 상기 연주몰드에서 상기 용강의 탕면 레벨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탕면 레벨의 진동 주기 동안 상기 탕면 레벨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범위를 초과하는 상기 탕면 레벨의 진동 횟수인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상기 슬라브의 주조속도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인 주조속도 변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상기 주조속도 변동량의 함수로 정의되는 개재물성 결함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단계; 및 상기 개재물성 결함 지수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슬라브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이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코일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용강은 100 중량부 기준으로 탄소(C) 0.01 중량부 ~ 0.08 중량부, 망간(Mn) 1.5 중량부 미만, 규소(Si) 0.05 중량부 미만, 인(P) 0.02 중량부 미만, 황(S) 0.02 중량부 미만,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티타늄(Ti)이 첨가되지 않은 알루미늄 탈산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주몰드는 폭 900mm ~ 1600mm, 두께 225mm인 슬라브를 연속 주조하는 평행 몰드(parallel mol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재물성 결함 지수는 하기 수학식 1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X = 0.44×X1 + 11.1×X2
(X: 개재물성 결함 지수, X1: 상기 제1 범위가 10mm인 경우의 탕면 레벨 초과 횟수, X2: 주조속도 변동량(m/min))
상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은 하기 수학식 2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Y = 0.9×exp(0.1727×X)
(Y: 상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 X: 개재물성 결함 지수)
상기 기 설정값은 0.61일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개재물성 결함 지수가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슬라브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개재물성 결함 지수가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슬라브를 상기 제1 압연 두께 이상으로 압연하는 압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라브 제조 공정의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주조속도 변동량을 기초로 개재물성 결함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슬라브에서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이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코일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연주몰드에서 용강의 탕면 레벨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탕면 레벨 초과 횟수와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 사이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주조속도 변동량과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 사이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슬라브의 주조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개재물성 결함 지수와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 사이의 상관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제조방법은 출강단계(S100), 측정단계(S110), 산출단계(S120), 판단단계(S130) 및 압연단계(S140)를 포함한다.
먼저, 용강을 연주몰드로 출강하여 슬라브를 제조한다(S100).
도 2는 코일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용강(10)은 턴디쉬(100)에서 침지노즐(110)을 통해 연주몰드(120)로 출강되고, 연주몰드(120)와 복수의 피치 롤(130)을 거치면서 냉각됨으로써 슬라브(20)로 제조된다.
용강(10)은 100 중량부 기준으로 탄소(C) 0.01 중량부 ~ 0.08 중량부, 망간(Mn) 1.5 중량부 미만, 규소(Si) 0.05 중량부 미만, 인(P) 0.02 중량부 미만, 황(S) 0.02 중량부 미만,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티타늄(Ti)이 첨가되지 않은 알루미늄 탈산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용강(10)의 성분 중 조성비의 하한치가 기재되지 않은 성분, 예를 들어 망간(Mn), 규소(Si), 인(P) 및 황(S)은 용강(10)의 임의성분에 해당될 수 있다.
연주몰드(120)는 평행 몰드(parallel mold)일 수 있다.
연주몰드(120)는 폭 900mm ~ 1600mm, 두께 225mm인 슬라브(20)를 연속 주조할 수 있다.
슬라브(20)에는 용강(10)에 개재물이 유입됨으로 인해 개재물성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턴디쉬(100) 또는 침지노즐(120)에서 대형 개재물이 탈락되거나 유동 불량으로 인해 용강(10)에 개재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개재물성 결함은 슬라브(20)를 후속 공정에서 6mm 이하의 박형 압연 코일로 압연하는 경우에 압연 코일의 표면에 개재물성 표면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압연 코일의 표면에 형성되는 개재물성 표면 결함은 압연 코일의 불량 율을 높이게 되고, 그로 인해 구매자의 불만 제기 및 원가 상승을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재물성 결함의 대부분은 슬라브(20)의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슬라브(20)를 압연 코일로 압연하기 전에 이를 검출하기는 쉽지 않다.
한편, 연주몰드(120) 내에서의 용강(10)의 상면을 탕면(11)이라 하고, 용강(10)의 탕면 레벨은 연주몰드(120)의 임의의 높이에서 탕면(11)까지의 높이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용강(10)의 탕면 레벨은 연주몰드(120)의 하단에서 탕면(11)까지의 높이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연주몰드에서 용강의 탕면 레벨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S110).
도 3은 연주몰드에서 용강의 탕면 레벨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용강(10)의 탕면 레벨은 연주몰드(120) 내에서 불규칙적으로 변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용강(10)의 탕면 레벨은 기 설정된 표준 탕면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표준 탕면 레벨을 중심으로 상하로 변동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A로 표시된 것처럼, 용강(10)의 탕면 레벨이 하나의 진동 주기 동안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10mm를 초과하도록 변동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용강(10)의 표준 탕면 레벨은 조업 관리기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주몰드(120)는 900mm의 높이를 가지고, 용강(10)의 표준 탕면 레벨은 연주몰드(120)의 하단으로부터 800mm에 이르는 위치로 설정된다.
용강(10)의 탕면 레벨을 측정하는 시간 간격은 용강(10)의 탕면 레벨의 진동 주기 별로 탕면 레벨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확인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은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용강(10)의 탕면 레벨 측정 데이터는 슬라브(20) 별로 생성될 수 있다.
즉, 용강(10)의 탕면 레벨은 하나의 슬라브(20)를 제조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됨으로써, 일 군의 탕면 레벨 측정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용강의 탕면 레벨 측정 데이터로부터 탕면 레벨 초과 횟수, 주조속도 변동량 및 개재물성 결함지수를 산출한다(S120).
도 4는 탕면 레벨 초과 횟수와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 사이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주조속도 변동량과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 사이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주조속도 변동량은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과 각각 상관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개재물성 결함지수(Inclusion Induced Surface Defect Index)는 슬라브(20)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의 압연 코일을 제조하는 경우에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주조속도 변동량과 해당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 사이의 상관성을 확인하여,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주조속도 변동량을 하나의 지수로 지수화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압연 두께는 6mm로 설정된다.
따라서, 개재물성 결함지수는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주조속도 변동량의 함수로 정의될 수 있다.
탕면 레벨 초과 횟수는 탕면 레벨의 진동 주기 동안, 즉 탕면 레벨이 한 번 진동하는 동안 탕면 레벨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범위를 초과하는 탕면 레벨의 진동 횟수로 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범위는 10mm로 설정된다.
주조속도 변동량은 슬라브(20)의 주조속도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를 의미한다.
도 6은 슬라브의 주조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라브(20)의 주조속도는 슬라브(20)가 제조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지만, 조업 조건에 따라 1회 이상 변동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슬라브(20)의 주조속도가 2회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슬라브(20)의 주조속도가 하나의 슬라브(20)가 제조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주조속도 변동량은 영(zero)이지만, 하나의 슬라브(20)가 제조되는 동안 슬라브(20)의 주조속도가 1회 이상 변동하는 경우 주조속도 변동량은 영(zero)보다 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브(20)의 주조속도는 0.8m/min ~ 1.8m/min에서 설정된다.
개재물성 결함 지수는 하기 수학식 1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X = 0.44×X1 + 11.1×X2
상기 수학식 1에서 X는 개재물성 결함 지수, X1은 제1 범위가 10mm인 경우의 탕면 레벨 초과 횟수, X2는 주조속도 변동량(m/min)을 의미한다.
도 7은 개재물성 결함 지수와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 사이의 상관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산출되는 개재물성 결함 지수는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과 상관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은 하기 수학식 2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Y = 0.9×exp(0.1727×X)
상기 수학식 2에서 Y는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 X는 개재물성 결함 지수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개재물성 결함 지수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슬라브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이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기 설정값은 슬라브(20)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개재물성 결함 지수의 최소값으로 설정된다.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의 허용 범위는 조업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냉연 강판용 열연 코일의 경우에 개재물성 표면 결함의 정도에 상관없이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하면 부적합처리 될 수 있지만,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은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주조속도 변동량 이외의 다른 조업 인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의 허용 범위는 1% 미만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의 허용 범위가 1% 미만인 경우, 개재물성 결함 지수의 기 설정값은 상기 수학식 2의 Y에 1을 대입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그 결과, 기 설정값은 0.61이 된다.
즉, 개재물성 결함 지수가 0.61 이상인 경우, 슬라브(20)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은 1% 이상이 되어 부적합 판정을 받게 된다. 이와 달리, 개재물성 결함 지수가 0.61 미만인 경우, 슬라브(20)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은 1% 미만이 되어 적합 판정을 받게 된다.
다음으로, 슬라브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이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에 따라, 슬라브의 압연 두께를 조절하여 압연한다(S140).
상술한 것처럼, 슬라브(20)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이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는 개재물성 결함 지수를 기 설정값과 비교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개재물성 결함 지수가 기 설정값 미만인 경우, 슬라브(20)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은 허용 범위 내이므로, 슬라브(20)를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하여도 부적합 판정을 받지 않게 된다.
하지만, 개재물성 결함 지수가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슬라브(20)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은 허용 범위를 벗어나게 되므로, 슬라브(20)를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하면 부적합 판정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개재물성 결함 지수가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슬라브(20)의 압연 두께를 제1 압연 두께 이상으로 상향하여 압연함으로써,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을 허용 범위 이내로 낮출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용강
11: 탕면
100: 턴디쉬
110: 침지 노즐
120: 연주몰드
130: 핀치 롤

Claims (7)

  1. 용강을 연주몰드로 출강하여 슬라브를 제조하는 출강단계;
    상기 연주몰드에서 상기 용강의 탕면 레벨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탕면 레벨의 진동 주기 동안 상기 탕면 레벨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범위를 초과하는 상기 탕면 레벨의 진동 횟수인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상기 슬라브의 주조속도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인 주조속도 변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탕면 레벨 초과 횟수 및 상기 주조속도 변동량의 함수로 정의되는 개재물성 결함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단계; 및
    상기 개재물성 결함 지수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슬라브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이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재물성 결함 지수는 하기 수학식 1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조방법.
    (수학식 1)
    X = 0.44×X1 + 11.1×X2
    (X: 개재물성 결함 지수, X1: 상기 제1 범위가 10mm인 경우의 탕면 레벨 초과 횟수, X2: 하나의 상기 슬라브가 제조되는 동안의 주조속도 변동량(m/min))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은 100 중량부 기준으로 탄소(C) 0.01 중량부 ~ 0.08 중량부, 망간(Mn) 1.5 중량부 미만, 규소(Si) 0.05 중량부 미만, 인(P) 0.02 중량부 미만, 황(S) 0.02 중량부 미만,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티타늄(Ti)이 첨가되지 않은 알루미늄 탈산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주몰드는 폭 900mm ~ 1600mm, 두께 225mm인 슬라브를 연속 주조하는 평행 몰드(parallel mol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연 두께는 6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은 하기 수학식 2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조방법.
    (수학식 2)
    Y = 0.9×exp(0.1727×X)
    (Y: 상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 X: 개재물성 결함 지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값은 0.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개재물성 결함 지수가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슬라브로부터 제1 압연 두께 미만으로 제조되는 압연 코일에서 개재물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비율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물성 결함 지수가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슬라브를 상기 제1 압연 두께 이상으로 압연하는 압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조방법.
KR1020130165100A 2013-12-27 2013-12-27 코일제조방법 KR101529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100A KR101529281B1 (ko) 2013-12-27 2013-12-27 코일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100A KR101529281B1 (ko) 2013-12-27 2013-12-27 코일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281B1 true KR101529281B1 (ko) 2015-06-16

Family

ID=5351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100A KR101529281B1 (ko) 2013-12-27 2013-12-27 코일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2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523A (ko) * 2011-01-28 2012-08-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
KR20120110589A (ko) * 2011-03-30 2012-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
KR20120110568A (ko) * 2011-03-29 2012-10-10 강대현 조명장치
KR20130120843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품질 주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523A (ko) * 2011-01-28 2012-08-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
KR20120110568A (ko) * 2011-03-29 2012-10-10 강대현 조명장치
KR20120110589A (ko) * 2011-03-30 2012-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탕면 레벨을 이용한 주편 품질 평가방법
KR20130120843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품질 주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7828C (en) Method for continuous-casting slab
KR101757548B1 (ko) 포정강의 슬라브 제조 방법
KR20170085542A (ko) 강의 연속 주조 방법
CN106811679B (zh) 一种消除高碳钢小方坯表面不规则振痕的方法
JP2015062918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6384679B2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
CN113543907B (zh) 板坯铸坯的连续铸造方法
JP2018530436A (ja) 連連続圧延装置及び方法
KR101529281B1 (ko) 코일제조방법
JP5999294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529287B1 (ko) 연속주조방법
KR101529283B1 (ko) 코일제조방법
KR101529285B1 (ko) 코일제조방법
KR101529277B1 (ko) 코일제조방법
KR20150095378A (ko)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KR101505161B1 (ko) 저탄소강용 몰드 파우더 설계 방법
KR101727803B1 (ko) 고탄소강의 슬라브 제조 방법
JP5716376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片の表面割れ判定方法
KR101505159B1 (ko) 코일제조방법
JP2011152580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546259B1 (ko) 코일제조방법
KR101505143B1 (ko) 코일제조방법
KR102237627B1 (ko) 연속 주조 방법
JP6515291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20040058814A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연주주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