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355B1 -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355B1
KR100961355B1 KR1020080055900A KR20080055900A KR100961355B1 KR 100961355 B1 KR100961355 B1 KR 100961355B1 KR 1020080055900 A KR1020080055900 A KR 1020080055900A KR 20080055900 A KR20080055900 A KR 20080055900A KR 100961355 B1 KR100961355 B1 KR 100961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lling
temperature
cooling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802A (ko
Inventor
김대현
남구원
박충재
정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55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35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18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ips, sheets, or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Bar 냉각용 수냉장치가 추가된 경우,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 및 폭, RM 압연 종료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 및 폭, RM 압연 종료 온도를 제어 인자로 가지는 다중 회귀식을 통해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압연모델에 따라 계산된 온도값에서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감하여 공냉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의하여 Bar 냉각용 강제 수냉장치의 적용시에도 조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줄 뿐 만 아니라, 제어압연온도 준수를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재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
Figure R1020080055900
TMCP, 가속냉각, Bar, Bar Cooler, 공냉대기시간, 수증기, 체류수, 제어압연

Description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standing time of air cooling to support Controlled Rolling of TMCP}
본 발명은 TMCP(THERMO MECHANICAL CONTROL PROCESS)강의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TMCP 제조 공정에 Bar 냉각용 수냉장치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고 안정성있는 제어압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강도, 고인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TMCP강을 제조하기 위한 TMCP 제조 공정은 가열공정에서부터 압연공정, 가속냉각공정, 열간교정 등의 세부 단위공정들을 필수적으로 구비하며, 후판 고급강재인 TMCP강의 특성상 미세조직(Microstructure)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고강도와 고인성의 물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미세조직을 제어하는 TMCP 제조 공정은 강종별에 따라 특정 마무리 압연(Finishing Mill, 이하 FM) 압연시작온도 및 압연종료온도를 준수해야 하는 제어압연(Controlled Rolling)을 실시하므로, 슬라브(Slab)가 조압연(Roughing Mill, 이하 RM)공정을 거친 후, 중간 바(Bar) 상태에서 FM 압연시작온도를 준수하기 위한 공냉대기시간을 반드시 가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냉대기시간은 생산성 저하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1에서와 같이RM(1)과 FM(2) 사이에 Bar 냉각용 수냉장치(4)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이를 통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Bar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Bar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저하시켜 주고 있다.
그 결과, Bar 냉각용 수냉장치(4)에 의해 인위적으로 저하된 온도만큼 TMCP강의 공냉대기시간은 감소되었으며, 그에 따라 TMCP 제조 공정의 생산성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Bar 냉각용 수냉장치(4)를 TMCP 제조 공정에 추가한 경우에는 온도계(3)를 통해 Bar 표면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어려워져, 온도계(3)를 통해 측정된 온도값을 이용해서는 정확한 공냉대기시간을 계산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RM 작업이 완료된 Bar 두께의 경우, 통상 80t~130t 정도로 두꺼운 편이며, Bar의 온도 또한 약 1050℃~1100℃ 정도로 굉장히 고온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고온 상태의 두꺼운 Bar를 Bar 냉각용 수냉장치(4)를 통해 강제 수냉하는 경우, 많은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며 Bar 냉각이 완료된 후 FM(2)에 도달할 때까지도 여전히 많은 수증기가 Bar 표층부에 잔재하게 된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ar 냉각용 수냉장치(4)의 출측에 측면 스프레이(Side Spray)(5)를 설치하여 수냉 실시 후에도 잔존하는 Bar 표층부의 체류수를 제거하기는 하나 일정량의 체류수가 여전히 잔존할 수 있으며, 측면 스프레이가 미작동하게 되는 최악의 경우에는 Bar 표층부에 상당량의 체류수가 잔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의 체류수는 Bar 표층부에 불균일 냉각 분포 형성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며, 이는 FM 공정 중에도 계속 내포하고 있다가 가속냉각공정을 거치면서 더욱 심화되므로 균일냉각 실현을 위해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이에 Bar 냉각용 수냉장치(4)의 미추가시에는 별도의 체류수 및 수증기가 발생하지 않아 온도계(3)를 통해 Bar 표면 온도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었으나, Bar 냉각용 수냉장치(4)의 추가시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류수 및 수증기로 인해 온도계(3)를 이용하여 Bar 표면 온도를 정확하게 계측하기가 어려워진다.
그 결과 압연모델 에러 및 작업이상 현상이 발생하고, 결국 조업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초래된다.
뿐만 아니라, RM이 종료된 Bar의 두께는 통상 80t~130t 정도로서 매우 두꺼워 Bar 냉각을 실시한 후, 일정 시간을 두고 복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완전 복열 과정은 Bar 냉각 실시후, Bar가 온도계(3)까지 도달한 시점까지도 완료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이하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Bar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온도 저하량이 작아져, Bar가 온도계(3)까지 도달하고도 미완전 복열 상태가 되는 경우가 많다.
<표>
Bar 두께(t) 온도 저하량(℃)
(냉각능력)
사용 뱅크 속도(mpm) 사용 유량
(m3/hr)
85 16 A 뱅크 60 1100/1300
95 15 A 뱅크 60 1100/1300
121 14 A 뱅크 60 1100/13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Bar 냉각용 수냉장치가 추가된 TMCP 제조 공정에 온도계(3)를 통해 계측된 온도값을 이용하여 공냉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위험성의 해소 및 원활한 Bar 냉각용 수냉장치의 활용을 위해서는 Bar 냉각용 수냉장치의 정확한 냉각능의 평가와 함께 그에 따른 Bar 두께별 온도 저하량을 예측할 수 있는 수식모델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운용해오던 FM 전면에 위치한 온도값을 이용한 두께방향대표온도 산출 방식이 아니라Bar 냉각에 따른 정확한 온도 저하량을 압연모델에 반영하여 두께방향 대표값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수식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Bar 냉각용 강제 수냉장치의 원활한 활용 및 궁극적으로 TMCP강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RM과 FM 사이에 Bar 냉각용 수냉장치가 설치된 경우,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 및 폭, RM 압연 종료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 및 폭, RM 압연 종료 온도를 제어 인자로 가지는 다중 회귀식을 통해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압연모델에 따라 계산된 온도값에서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감하여 공냉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중 회귀식은 Temp_Drop = 11.7 + 0.000427 × Width - 0.0383 × Bar_thick + 0.00547 × T2_act으로 정의되며, 상기 Temp_Drop 는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 상기 Width 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폭, 상기 Bar_thick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두께, 상기 T2_act 는 RM 압연종료시 온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은 상기 다중 회귀식에 에러가 발생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회귀식에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를 제어 인자로 가지는 단순 회귀식을 통해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 회귀식은 Temp_Drop = 20.2297 ― 0.0521236 × Bar_thick으로 정의되며, 상기 Temp_Drop 는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 상기 Bar_thick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두께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 및 폭, RM 압연 종료 온도를 제어 인자로 가지는 다중 회귀식을 통해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하는 온도 저하량 계산부; 및 압연모델에 따라 계산된 온도값에서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감하여 공냉대기시간을 계산하는 공냉대기시간 계산부를 구비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중 회귀식은 Temp_Drop = 11.7 + 0.000427 × Width - 0.0383 × Bar_thick + 0.00547 × T2_act으로 정의되며, 상기 Temp_Drop 는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 상기 Width 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폭, 상기 Bar_thick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두께, 상기 T2_act 는 RM 압연종료시 온도이 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온도 저하량 계산부는 상기 다중 회귀식에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를 제어 인자로 가지는 단순 회귀식을 통해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 회귀식은 Temp_Drop = 20.2297 ― 0.0521236 × Bar_thick으로 정의되며, 상기 Temp_Drop 는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 상기 Bar_thick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두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 장치는 Bar 냉각용 강제 수냉장치를 TMCP제조 공정에 적용하여 TMCP강을 생산할 때에도 조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줄 뿐 만 아니라, Bar 냉각용 강제 수냉장치에 따른 온도 저하량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 제어압연온도 준수를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재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본 발명은 Bar 냉각용 강제 수냉장치의 원활한 활용을 통해 TMCP강의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장치는 공정 모니터링부(10), 온도 저하량 계산부(20), 온도 계측부(30) 및 공냉대기시간 계산부(40)를 구비하고, 온도 저하량 계산부(20)는 다중 회귀식 온도 저하량 계산부(21) 및 단순 회귀식 온도 저하량 계산부(22)를 구비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정 모니터링부(10)는 TMCP 제조 공정에 Bar 냉각용 수냉장치가 추가되는지를 확인한 후, 추가시에는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반영하여 공냉대기 시간을 계산하도록 하고, 미추가시에는 종래에서와 같이 온도값을 반영하여 공냉대기 시간을 계산하도록 한다.
온도 저하량 계산부(20)는 상기의 다중 회귀식 온도 저하량 계산부(21) 및 단순 회귀식 온도 저하량 계산부(22) 중 하나를 활성화하여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한다.
이때, 온도 저하량 계산부(20)는 다중 회귀식 온도 저하량 계산부(21)를 우선적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하고, 만약 다중 회귀식 온도 저하량 계산부(21)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단순 회귀식 온도 저하량 계산부(22)를 활성화되도록 한다. 또한, 대상재의 투입 크기의 변화 및 조업 여건에 따라 우선적으로 활성화될 계산부를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도 있다.
다중 회귀식 온도 저하량 계산부(21)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 폭 및 두께, 그리고 RM 압연종료시 온도를 제어 인자로 가지는 다중 회귀식을 통해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Temp_Drop)을 계산하여 공냉대기시간 계산부(40)에 제공한다.
이때, 다중 회귀식은 이하의 수학식1으로 정의된다.
Temp_Drop = 11.7 + 0.000427 × Width - 0.0383 × Bar_thick + 0.00547 × T2_act.
이때, Width 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폭, Bar_thick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두께, 그리고 T2_act 는 RM 압연종료시 온도이다.
단순 회귀식 온도 저하량 계산부(22)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두께만을 제 어 인자로 가지는 단순 회귀식을 통해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Temp_Drop)을 계산하여 공냉대기시간 계산부(40)에 제공한다.
이때, 단순 회귀식은 이하의 수학식2으로 정의된다.
Temp_Drop = 20.2297 ― 0.0521236 × Bar_thick
온도 계측부(30)는 종래에서와 같이 FM 압연시작직전 FM 전면에 위치한 온도계(3)에 위치 및 동작하여, RM 압연종료된 Bar의 표면 온도를 계측하고 공냉대기시간 계산부(40)에 제공한다.
공냉대기시간 계산부(40)는 TMCP 제조 공정의 Bar 냉각용 수냉장치가 추가되는 경우에는 온도 저하량 계산부(20)로부터 제공되는 온도 저하량을 반영하여 공냉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TMCP 제조 공정의 Bar 냉각용 수냉장치가 추가되는 않은 경우에는 종래에서와 같이 온도 계측부(30)로부터 제공되는 RM 압연종료된 Bar의 표면 온도를 반영하여 공냉대기 시간을 계산한다.
특히, 온도 저하량 계산부(20)의 온도 저하량을 반영하여 공냉대기 시간을 계산하는 경우, 공냉대기시간 계산부(40)는 기존의 압연 모델을 통해 계산된 온도에서 온도 저하량 계산부(20)의 온도 저하량만큼을 감함으로써, 공냉대기 시간을 계산하여 준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단순 회귀식 및 다중 회귀식의 제어 인자 채택 사유는 다음과 같다.
단순 회귀식의 경우, 동일 조건 하에서 강제 수냉에 의한 온도 저하량 및 최종 복열 시점에 결정적 인자로 작용하는 Bar 두께를 단일 제어 인자로 채택하는데, 이는 Bar의 두께에 따라 강제 수냉을 통해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능력이 달라지고, Bar 두께방향 중심부에서부터 시작되는 최종 복열온도 및 복열시점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반면, 다중 회귀식의 경우, Bar 두께 이외에 Bar 폭 그리고 RM 압연종료시 온도를 추가적으로 더 채택하고 있다.
Bar의 폭의 채택이유는 RM 압연 완료 직후 Bar 냉각을 시작하게 되는데 측면 스프레이에 의한 체류수 제거 전까지 Bar의 폭에 따라 Bar 표층부의 잔류수량이 달라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냉각수와 Bar 표층부의 직접냉각 효과 이외에 추가적인 영향이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RM 압연종료시 온도는 Bar 냉각용 수냉 장치에 의해 강제 수냉된 후 FM 전면까지 Bar가 이송되는 동안 Bar의 온도 상태를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Bar 냉각용 수냉 장치 진입 직전에서의 Bar의 온도 실적을 수식모델에 반영한다면 Bar 냉각용 수냉 장치에 의한 강제 수냉 이후에서 보다 정확도가 높은 계산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다중 회귀식은 단순 회귀식에 비해 보다 많은 제어 인자를 고려하고 있으므로, 단순 회귀식 보다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TMCP 제조 공정에 Bar 냉각용 수냉장치가 추가되었는지를 확인한 후(S1), Bar 냉각용 수냉장치가 추가된 경우에는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 및 폭, RM 압연 종료 온도를 획득한다(S2).
그리고 앞서 설명한 다중 회귀식에 따라 단계 S2를 통해 획득된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 및 폭, RM 압연 종료 온도를 제어인자로 이용하여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한다(S3).
만약, 다중 회귀식을 이용하여 온도 저하량을 정상적으로 계산할 수 없으면, 즉 다중 회귀식에 에라가 발생하면(S4), 다중 회귀식을 상술한 단순 회귀식으로 대체하고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만을 제어인자로 이용하여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한다(S6).
그리고 기존의 압연 모델을 통해 계산된 온도에서 단계 S3 또는 S6를 통해 계산된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만큼을 감하여, 공냉대기 시간을 계산한다(S5).
반면, TMCP 제조 공정에 Bar 냉각용 수냉장치가 추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종래에서와 같이 온도계를 통해 온도를 계측하고(S7), 계측된 온도를 반영하여 공냉대기 시간을 계산한다(S8).
이와 같이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에 따라 공냉대기시간이 계산되면, FM는 이에 따라 중간 Bar를 계산된 공냉대기시간 만큼 대기시켜 FM 압연시작온도를 준수한 후 압연 동작을 수행해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1는 Bar 냉각용 수냉장치가 추가된 TMCP 제조 공정 라인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2는 일반적인 Bar 냉각용 수냉장치의 외관도이다.
도3은 일반적인 측면 스프레이의 외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8)

  1. RM과 FM 사이에 Bar 냉각용 수냉장치가 설치된 경우,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 및 폭, RM 압연 종료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 및 폭, RM 압연 종료 온도를 제어 인자로 가지는 다중 회귀식을 통해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압연모델에 따라 계산된 온도값에서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감하여 공냉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회귀식은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수학식1]
    Temp_Drop = 11.7 + 0.000427 × Width - 0.0383 × Bar_thick + 0.00547 × T2_act.
    상기 Temp_Drop 는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 상기 Width 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폭, 상기 Bar_thick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두께, 상기 T2_act 는 RM 압연종료시 온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회귀식에 에러가 발생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회귀식에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를 제어 인자로 가지는 단순 회귀식을 통해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회귀식은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Temp_Drop = 20.2297 ― 0.0521236 × Bar_thick
    상기 Temp_Drop 는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 상기 Bar_thick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두께.
  5.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 및 폭, RM 압연 종료 온도를 제어 인자로 가지 는 다중 회귀식을 통해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하는 온도 저하량 계산부; 및
    압연모델에 따라 계산된 온도값에서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감하여 공냉대기시간을 계산하는 공냉대기시간 계산부를 구비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회귀식은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장치,
    [수학식1]
    Temp_Drop = 11.7 + 0.000427 × Width - 0.0383 × Bar_thick + 0.00547 × T2_act.
    상기 Temp_Drop 는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 상기 Width 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폭, 상기 Bar_thick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두께, 상기 T2_act 는 RM 압연종료시 온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저하량 계산부는
    상기 다중 회귀식에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RM 공정이 완료된 Bar의 두께를 제어 인자로 가지는 단순 회귀식을 통해 상기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을 계산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회귀식은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장치,
    Temp_Drop = 20.2297 ― 0.0521236 × Bar_thick
    상기 Temp_Drop 는 Bar 냉각용 수냉장치에 의한 온도 저하량, 상기 Bar_thick는 RM 압연종료 이후 Bar의 두께.
KR1020080055900A 2008-06-13 2008-06-13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장치 KR100961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900A KR100961355B1 (ko) 2008-06-13 2008-06-13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900A KR100961355B1 (ko) 2008-06-13 2008-06-13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802A KR20090129802A (ko) 2009-12-17
KR100961355B1 true KR100961355B1 (ko) 2010-06-04

Family

ID=4168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900A KR100961355B1 (ko) 2008-06-13 2008-06-13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372B1 (ko) 2008-10-10 2010-11-04 주식회사 포스코 바 쿨러를 사용하는 압연 공정을 위한 온도 계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406A (ja) 2002-05-07 2003-11-11 Nippon Steel Corp 熱間圧延における圧延スケジューリングの修正方法
KR100563260B1 (ko) 2001-06-19 2006-03-27 주식회사 포스코 수냉 필요량 재계산에 의해서 설정온도를 보정하는냉각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260B1 (ko) 2001-06-19 2006-03-27 주식회사 포스코 수냉 필요량 재계산에 의해서 설정온도를 보정하는냉각제어방법
JP2003320406A (ja) 2002-05-07 2003-11-11 Nippon Steel Corp 熱間圧延における圧延スケジューリングの修正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372B1 (ko) 2008-10-10 2010-11-04 주식회사 포스코 바 쿨러를 사용하는 압연 공정을 위한 온도 계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802A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579B1 (ko) 냉각 구역에 의해 판금을 냉각하는 방법, 냉각 구역, 및 냉각 구역용 개루프 제어 및 폐루프 제어 장치
JP5647917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516476B1 (ko) 설정치 계산 장치, 설정치 계산 방법, 및 설정치 계산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
JP5391205B2 (ja) 制御装置
KR100961355B1 (ko) Tmcp강의 제어 압연을 위한 공냉대기시간 계산 방법 및장치
KR101119006B1 (ko) 열연강판의 냉각온도 제어방법
JP5493993B2 (ja) 厚鋼板の冷却制御装置、冷却制御方法、及び、製造方法
JPH105868A (ja) 制御冷却鋼板の形状制御方法
KR101431037B1 (ko) 압연소재 냉각장치 및 압연소재 냉각방법
KR101767751B1 (ko) 후판 두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68346B1 (ko) 조압연 후면온도 예측에 의한 바 온도 제어방법
KR100961350B1 (ko) 후판 제어 압연 제어 장치 및 그의 방법
JP2008188604A (ja) 鋼板冷却における温度制御方法
KR100992372B1 (ko) 바 쿨러를 사용하는 압연 공정을 위한 온도 계산 장치 및 방법
JP5966454B2 (ja) 厚板鋼板の採寸制御方法および厚板鋼板の採寸制御装置
JP4931501B2 (ja) 高炭素鋼熱延鋼板の冷却制御方法
JP2003293030A (ja) 鋼板の冷却方法
JP2010194601A (ja) 熱延鋼帯の圧延方法
JP2018069317A (ja) 厚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圧延のパススケジュール設定方法
KR101237080B1 (ko) 소재의 열간압연 방법
JP5434031B2 (ja) 厚板圧延方法、及び圧延装置
JP4609596B2 (ja) 厚鋼板の製造方法及び厚鋼板のリバース圧延機
KR101657826B1 (ko) 조압연기의 역장입 제어 방법
JP3518504B2 (ja) 鋼板の冷却条件設定方法
JP2016182625A (ja) 鋼材剪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