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623B1 -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623B1
KR101504623B1 KR20130146267A KR20130146267A KR101504623B1 KR 101504623 B1 KR101504623 B1 KR 101504623B1 KR 20130146267 A KR20130146267 A KR 20130146267A KR 20130146267 A KR20130146267 A KR 20130146267A KR 101504623 B1 KR101504623 B1 KR 10150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r
stiffener
shear stiffener
steel plate
steel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덕우
이종보
김성환
서용표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4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10,20) 사이에 연결되는 전단보강재(100)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강판(10)에 설치되는 접이식 구조로 된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에 대향되도록, 타측 강판(20)에 설치되는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와;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강판 간의 전단보강재 연결을 위한 작업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한쌍의 강판 사이에서 임의의 작업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전단보강재의 연결 및 해체가 가능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시공성 향상과 동시에 그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Shear Bar and Connecting Method of Shear Bar on the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좌,우측 강판의 사이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에서 보다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 콘크리트 구조에는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하기 위해 강판 사이에 전단보강재가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좌,우측 강판(10,20)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좌,우측 강판(10,20)에는 각각 스터드(11,21)가 설치되고, 좌,우측 강판(10,20)의 사이에는 리브(30,40)가 설치되며, 좌,우측 강판(10,20)은 리브 형강(50) 및 전단보강재(60:타이바)로 연결된다.
이때, 전단보강재(60)는 내부 용접 또는 부분 용입 용접 등의 방법으로 좌,우측 강판(10,20)에 연결된다. 그런데,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벽체 사이가 협소하여 작업자가 안으로 들어가서 용접작업을 수행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용접 가능한 부위는 좌,우측 강판(10,20)의 단부 또는 좌,우측 강판(10,20)의 상부 1열 정도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좌,우측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의 경우, 작업공간 확보 및 연결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한편, 종래 관련 특허 기술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70) 등을 구성하는 콘크리트(71)의 적어도 일측면측을, 그 콘크리트(71)의 표면을 덮는 강판(72)과, 그 강판(72))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콘크리트(71)내에 매설되는 다수의 스터드(73)에 의해 보강하고, 또한 대향하는 강판(72)끼리 연결부재(74)에 의해 연결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건물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1998-16088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단보강재의 작업공간 확보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간편하게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 사이에 연결되는 전단보강재로서, 일측 강판에 설치되는 접이식 구조로 된 일측단 전단보강재와;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에 대향되도록, 타측 강판에 설치되는 타측단 전단보강재와;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와 타측단 전단보강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와 타측단 전단보강재는 사전에 용접에 의해 각각 강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는 일측 강판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와 타측단 전단보강재의 선단에는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나사선에 결합되는 실린더형 너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와 타측단 전단보강재의 선단에 결합되는 상,하부 분할형 실린더형 결합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와 타측단 전단보강재의 선단에는 각각 홈 및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홈에 돌기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끼워지는 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 사이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일측 강판에는 접이식 구조로 된 일측단 전단보강재를 설치하고, 타측 강판에는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에 대향되도록 타측단 전단보강재를 설치한 후,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와 타측단 전단보강재를 결합부재로 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와 타측단 전단보강재는 사전에 용접에 의해 각각 강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와 타측단 전단보강재의 선단에는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선에 결합부재로서 실린더형 너트를 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와 타측단 전단보강재의 선단에 결합부재로서 상,하부 분할형 실린더형 결합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와 타측단 전단보강재의 선단에는 각각 홈 및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홈에 돌기를 삽입한 상태에서 결합부재로서 핀을 이들을 관통하여 끼움으로써 한쌍의 강판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 사이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전단보강재의 일측단은 일측 강판에 핀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사전 설치되고, 타측 강판에는 전단보강재 고정장치를 설치한 후, 상기 전단보강재의 타측단을 상기 고정장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장치에 핀을 끼워 전단보강재의 타측단을 설치함으로써 한쌍의 강판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 사이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실린더형 너트를 타측단에 구비한 전단보강재의 일측단은 일측 강판에 핀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사전 설치되고, 타측 강판에는 상기 실린더형 너트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된 전단보강재 고정장치를 설치한 후, 상기 전단보강재의 타측단을 상기 고정장치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 사이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전단보강재의 일측단은 일측 강판에 핀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사전 설치되고, 상기 전단보강재의 타측단은 타측 강판에 용접함으로써 한쌍의 강판에 전단보강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강판 간의 전단보강재 연결을 위한 작업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한쌍의 강판 사이에서 임의의 작업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전단보강재의 연결 및 해체가 가능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시공성 향상과 동시에 그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원자력 발전소의 건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분할형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실린더형 너트가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분할형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실린더형 너트가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분할형 전단보강재의 사용 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라 상,하부 분할형 실린더형 결합부재가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분할형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핀이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분할형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핀이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분할형 전단보강재의 사용 상태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일체형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실린더형 너트가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실린더형 너트가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분할형 전단보강재의 사용 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라 상,하부 분할형 실린더형 결합부재가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핀이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핀이 적용된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분할형 전단보강재의 사용 상태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다른 형태의 전단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은, 전단보강재의 작업공간 확보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간편하게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100)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10,20) 사이에 연결되는 전단보강재로서, 일측단 전단보강재(110), 타측단 전단보강재(120) 및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는 일측 강판(10)에 설치되는데, 접이식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는 일측 강판(1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11) 및 체결부재(112)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1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부재(1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는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에 대향되도록, 타측 강판(20)에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는 사전에 용접 등에 의해 각각 강판(10,2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3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첫째로는,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0)가 실린더형 너트(132)인 경우로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는 각각 나사선(114,121)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형 너트(132)가 상기 나사선(114,121)에 결합됨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즉,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형 너트(132)를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의 선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형 너트(132)를 오른쪽(또는 왼쪽)으로 돌려서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를 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둘째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0)가 상,하부 분할형 실린더형 결합부재(134)인 경우로서, 상기 상,하부 분할형 실린더형 결합부재(134)가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셋째로는,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0)가 핀(136)인 경우로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는 각각 홈(115) 및 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홈(115)에 돌기(122)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들(115,122)을 관통하여 핀(136)이 끼워짐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 때, 상기와 반대의 경우로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의 선단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10,20) 사이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하는 방법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강판(10)에는 접이식 구조로 된 일측단 전단보강재(11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하고, 타측 강판(20)에는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에 대향되도록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를 부분용입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한 후,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를 결합부재(130)로 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로는,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는 각각 나사선(114,12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선(114,121)에 결합부재(130)로서 실린더형 너트(132)를 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할 수 있다.
둘째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 결합부재(130)로서 상,하부 분할형 실린더형 결합부재(134)를 볼트 체결 등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할 수 있다.
셋째로는,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는 각각 홈(115) 및 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홈(115)에 돌기(122)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들(115,122)을 관통하여 핀(136)을 끼움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은 접이식 구조이면서 절단된 2개의 전단보강재를 이용하는 상기 방법과 전혀 다른 방법으로 전단보강재를 연결할 수도 있다.
넷째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보강재(200)의 일측단은 일측 강판(10)에 핀(201)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사전 설치되고, 타측 강판(20)에는 전단보강재 고정장치(202)를 설치한 후, 상기 전단보강재(200)의 타측단을 상기 고정장치(20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장치(202)에 핀(203)을 끼워 전단보강재(200)의 타측단을 설치함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200)를 연결할 수 있다.
다섯째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형 너트(205)를 타측단에 구비한 전단보강재(200)의 일측단은 일측 강판(10)에 핀(201)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사전 설치되고, 타측 강판(20)에는 상기 실린더형 너트(205)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207)이 형성된 전단보강재 고정장치(202)를 설치한 후, 상기 전단보강재(200)의 타측단을 상기 고정장치(202)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200)를 연결할 수 있다.
여섯째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보강재(200)의 일측단은 일측 강판(10)에 핀(201)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사전 설치되고, 상기 전단보강재(200)의 타측단은 타측 강판(20)에 용접함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연결 방법은 비교적 단순하지만 사전 정렬 문제가 고려되지 않아도 되므로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다.
참고적으로, 도 10에 도시한 연결 방법에서 실린더형 너트(205)의 나사선 불량 또는 이물질로 연결이 어려울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연결 방법으로 용접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강판(10,20) 간의 전단보강재(100) 연결을 위한 작업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한쌍의 강판(10,20) 사이에서 임의의 작업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전단보강재(100)의 연결 및 해체가 가능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시공성 향상과 동시에 그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0 : 좌,우측 강판 11,21 : 스터드
12,202 : 전단보강재 고정장치 22 : 삽입홈
30,40 : 리브 50 : 리브형강
60 : 전단보강재 100,200 : 전단보강재
110 : 일측단 전단보강재 111 : 고정부재
112 : 체결부재 113 : 회동부재
114,121,207 : 나사선 115 : 홈
120 : 타측단 전단보강재 122 돌기
130 : 결합부재 132,205 : 실린더형 너트
134 : 상하 분할형 실린더형 결합부재 136,201,203 : 핀

Claims (14)

  1.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10,20) 사이에 연결되는 전단보강재(100)로서,
    일측 강판(10)에 설치되는 접이식 구조로 된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에 대향되도록, 타측 강판(20)에 설치되는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와;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는 사전에 용접에 의해 각각 강판(10,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는 일측 강판(1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11) 및 체결부재(112)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1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부재(1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는 각각 나사선(114,1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나사선(114,121)에 결합되는 실린더형 너트(1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 결합되는 상,하부 분할형 실린더형 결합부재(1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는 각각 홈(115) 및 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홈(115)에 돌기(122)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들(115,122)을 결합시키기 위해 끼워지는 핀(1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7.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10,20) 사이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일측 강판(10)에는 접이식 구조로 된 일측단 전단보강재(110)를 설치하고,
    타측 강판(20)에는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에 대향되도록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를 설치한 후,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를 결합부재(130)로 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는 사전에 용접에 의해 각각 강판(10,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는 각각 나사선(114,12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선(114,121)에 결합부재(130)로서 실린더형 너트(132)를 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 결합부재(130)로서 상,하부 분할형 실린더형 결합부재(134)를 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일측단 전단보강재(110)와 타측단 전단보강재(120)의 선단에는 각각 홈(115) 및 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홈(115)에 돌기(122)를 삽입한 상태에서 결합부재(130)로서 핀(136)을 이들(115,122)을 관통하여 끼움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1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12.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10,20) 사이에 전단보강재(200)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전단보강재(200)의 일측단은 일측 강판(10)에 핀(201)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사전 설치되고,
    타측 강판(20)에는 전단보강재 고정장치(202)를 설치한 후,
    상기 전단보강재(200)의 타측단을 상기 고정장치(20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장치(202)에 핀(203)을 끼워 전단보강재(200)의 타측단을 설치함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2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13.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10,20) 사이에 전단보강재(200)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실린더형 너트(205)를 타측단에 구비한 전단보강재(200)의 일측단은 일측 강판(10)에 핀(201)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사전 설치되고,
    타측 강판(20)에는 상기 실린더형 너트(205)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207)이 형성된 전단보강재 고정장치(202)를 설치한 후,
    상기 전단보강재(200)의 타측단을 상기 고정장치(202)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2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14.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강판(10,20) 사이에 전단보강재(200)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전단보강재(200)의 일측단은 일측 강판(10)에 핀(201)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사전 설치되고,
    상기 전단보강재(200)의 타측단은 타측 강판(20)에 용접함으로써 한쌍의 강판(10,20)에 전단보강재(20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KR20130146267A 2013-11-28 2013-11-28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KR10150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267A KR101504623B1 (ko) 2013-11-28 2013-11-28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267A KR101504623B1 (ko) 2013-11-28 2013-11-28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623B1 true KR101504623B1 (ko) 2015-03-20

Family

ID=5302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6267A KR101504623B1 (ko) 2013-11-28 2013-11-28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49A (ko) 2018-03-27 2019-10-08 호수리페어 주식회사 Pc 세그멘트 패널, pc 내력벽체 및 pc 내력벽체 보강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513A (ja) 2001-05-21 2002-11-27 Penta Ocean Constr Co Ltd 鉄筋用せん断補強具
KR20090033735A (ko) * 2007-10-01 2009-04-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0768U (ko) * 2009-04-24 2010-11-03 배용웅 회전되는 연결구가 구비된 거푸집판넬 지지구
KR20110004496U (ko) * 2009-10-29 2011-05-06 박성운 콘크리트 전단 보강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513A (ja) 2001-05-21 2002-11-27 Penta Ocean Constr Co Ltd 鉄筋用せん断補強具
KR20090033735A (ko) * 2007-10-01 2009-04-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0768U (ko) * 2009-04-24 2010-11-03 배용웅 회전되는 연결구가 구비된 거푸집판넬 지지구
KR20110004496U (ko) * 2009-10-29 2011-05-06 박성운 콘크리트 전단 보강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49A (ko) 2018-03-27 2019-10-08 호수리페어 주식회사 Pc 세그멘트 패널, pc 내력벽체 및 pc 내력벽체 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26505A (zh) 一种组合梁构件
TWI570306B (zh) A beam bracing device with a viewing window
KR20130085647A (ko) 태양광 패널 구조체
KR101504623B1 (ko)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및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KR200452262Y1 (ko) 시멘트 기둥용 유로폼 고정밴드
CN108842915A (zh) 一种钢结构矩形杆件的刚性连接节点及其加工安装方法
CN203769090U (zh) 结构框架及其梁柱框架搭接位置的连接结构
KR101722251B1 (ko)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방법
KR20160019717A (ko) 가설구조물용 수직재와 횡재의 연결구조
CN208965718U (zh) 一种装配式钢结构十字型梁柱节点
KR101603585B1 (ko)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보강재를 고정한 구조물의 내화보강방법
TW201416529A (zh) 混凝土模板固定裝置
KR101302466B1 (ko) 건축용 벽체 가시설 거푸집
CN202899626U (zh) 外箍式拉索张拉工装装置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20160037336A (ko) 컨트롤 센터의 캐비닛 골조용 코너부재
CN211816341U (zh) 一种桥梁围堰结构
KR101575091B1 (ko) 시스템 서포트용 대각재
KR20140044464A (ko) 강판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보강재 연결방법
JP2017141542A (ja) 枠構造体、および枠構造体組立方法
CN102587491A (zh) 一种全装配式预制混凝土结构的连接系统
CN104947855A (zh) 一种钢筋连接器
KR20160087108A (ko) 강판과 콘크리트가 분리 가능한 강판 콘크리트 구조
KR20140093388A (ko)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KR101722250B1 (ko)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