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251B1 -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251B1
KR101722251B1 KR1020150117572A KR20150117572A KR101722251B1 KR 101722251 B1 KR101722251 B1 KR 101722251B1 KR 1020150117572 A KR1020150117572 A KR 1020150117572A KR 20150117572 A KR20150117572 A KR 20150117572A KR 101722251 B1 KR101722251 B1 KR 10172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upport portion
supporting
reinforcing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500A (ko
Inventor
허승웅
윤승조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2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방법은,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하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보강부재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의 제1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보강부재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의 하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한 다음에 상기 기둥의 상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2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기둥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부에는 상기 기둥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에는 상기 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타측면은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의 외측에서 맞닿도록 하고,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의 외측에서 맞닿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2보강부재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폭과 상기 제2지지부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기 보의 폭보다 상기 지지부의 재료의 폭만큼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은 보에 접촉하고 타측면은 보와의 사이에 상기 재료폭 만큼의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 내로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이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에 맞닿아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보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교차된 상태로 상기 보를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밀착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제1지지부는 분리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접합부의 하부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와 제2지지부는 분리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접합부의 상부로부터 결합된다.

Description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방법{Reinforcing Method for Connecting Part of Timber House}
본 발명은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조 주택의 접합부의 역학적 성능을 보강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시공이 편리한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던 거대한 웰빙 열풍은 점차 로하스(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로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친환경 건축물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목조 주택의 신축 허가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국내의 목구조 주택시장은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이들을 나열하면, 시공기술과 경험 부족, 설계 및 디자인 경험 부족, 경영 및 관리능력의 부족, 검증되지 않은 외국업체 및 시공인력에 대한 무분별한 신뢰, 대기업만을 선호하는 현상에 따른 주택가격의 상승, 건축법, 규정의 부실로 목수의 재량에 따라 품질 수준이 결정되는 점 등이 있다.
한편 국내·외 목조 주택 시장에서는 신축 구조물에 관한 수많은 접합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노후화된 목조 주택에서 발생되는 구조적 처짐과 비틀림 등의 문제로, 접합부의 인장내력 저하와 휨 모멘트에 대한 저항능력이 매우 작아지는 문제점에 노출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접합부 철물 경첩 등 수많은 보강공법을 제안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노후된 접합부에 관한 대응 기술이 미미하며 외국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목구조 주택의 접합부의 접합 방식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목(10a)에 연결목(10b)을 접합시키는 모습이 나타나 있으며, 도 1에서는 끼움 방식의 접합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주목(10a)에 형성된 끼움홈(12)과 연결목(10b)의 끼움돌기(14)를 서로 접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2의 경우, 철물 접합 방식의 접합 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주목(10a)에 구비된 철물 접합재(12)에 연결목(10b)의 연결홈(14)을 서로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이들 각 접합 방식은, 접합부의 강성이 부족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국내의 자연적 환경요소와 소비자들의 친환경 건축자재의 요구를 고려하여 철물 접합재 및 경첩보다는 신소재를 활용한 보강방법과 규격화된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목구조 주택의 접합부의 접합 방식은, 시공이 복잡하고 목재의 재료적 특성상 내식성, 내수성, 및 내화성이 모두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강재를 활용한 보강방법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171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목조 주택의 접합부를 보강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보강방법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국내 현실에 맞는 재료 및 접합 방식을 사용하는 보강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설치가 용이한 보강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내식성, 내수성, 및 내화성이 개선된 보강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방법은,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하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보강부재를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지지부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강재와 FRP의 혼성재료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의 제1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보강부재를 상기 제2고정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강재와 FRP의 혼성재료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의 하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한 다음에 상기 기둥의 상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2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2보강부재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되, 상기 보에 먼저 결합되는 상기 제1지지부의 폭은 상기 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가 상기 제1지지부에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폭은 상기 제1지지부의 폭보다 상기 제1지지부를 형성하는 재료 두께의 2배만큼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1지지부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각각 복수 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의 고정부와 지지부는 FRP 외측판과 FRP 내측판 사이에 강재 철판을 개재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각각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체결부재가 기둥-보와 상기 고정부 및 지지부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다른 보강방법은,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하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보강부재를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지지부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강재와 FRP의 혼성재료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의 제1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보강부재를 상기 제2고정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강재와 FRP의 혼성재료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의 하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한 다음에 상기 기둥의 상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2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2보강부재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폭과 상기 제2지지부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기 보의 폭보다 상기 지지부의 재료의 폭만큼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은 보에 접촉하고 타측면은 보와의 사이에 상기 재료폭 만큼의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 내로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이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에 맞닿아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보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교차된 상태로 상기 보를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밀착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다른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각각 복수 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다른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의 고정부와 지지부는 FRP 외측판과 FRP 내측판 사이에 강재 철판을 개재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다른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각각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체결부재가 기둥-보와 상기 고정부 및 지지부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또 다른 보강방법은,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하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보강부재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의 제1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보강부재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의 하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한 다음에 상기 기둥의 상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2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기둥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부에는 상기 기둥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에는 상기 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 면 중에서 상기 보의 측면을 감싸는 면을 제외하고 상기 보의 상면을 감싸는 부분에만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에 먼저 결합되는 상기 제1지지부의 폭은 상기 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보가 상기 제1지지부에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폭은 상기 제1지지부의 폭보다 상기 제1지지부를 형성하는 재료 두께의 2배만큼 크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1지지부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제1지지부는 분리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접합부의 하부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와 제2지지부는 분리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접합부의 상부로부터 결합한다.
본 발명의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또 다른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2보강부재는 강재와 FRP의 혼성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또 다른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의 고정부와 지지부는 FRP 외측판과 FRP 내측판 사이에 강재 철판을 개재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또 다른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각각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체결부재가 기둥-보와 상기 고정부 및 지지부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추가적으로 다른 보강방법은,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하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보강부재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의 제1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보강부재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의 하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한 다음에 상기 기둥의 상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2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기둥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부에는 상기 기둥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에는 상기 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타측면은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의 외측에서 맞닿도록 하고,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의 외측에서 맞닿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2보강부재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폭과 상기 제2지지부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기 보의 폭보다 상기 지지부의 재료의 폭만큼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은 보에 접촉하고 타측면은 보와의 사이에 상기 재료폭 만큼의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 내로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이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에 맞닿아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보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교차된 상태로 상기 보를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밀착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제1지지부는 분리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접합부의 하부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와 제2지지부는 분리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접합부의 상부로부터 결합된다.
본 발명의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추가적으로 다른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2보강부재는 강재와 FRP의 혼성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추가적인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의 고정부와 지지부는 FRP 외측판과 FRP 내측판 사이에 강재 철판을 개재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추가적으로다른 보강방법에서는,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각각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체결부재가 기둥-보와 상기 고정부 및 지지부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강 효과가 종래에 비해 크게 증가되어 주택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국내 현실에 맞는 재료 및 접합 방식을 사용하므로, 전통식 목조 주택에 보다 적합한 보강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보강재의 설치가 용이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 난이도가 낮아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규격화된 보강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산(Acids), 알칼리(Alkalies), 염(Salts), 용제 류(Solvents) 등에 부식되거나 녹지 않는 내식성을 가지고, 고온에서도 연화하거나 변형되지 않고 또한 저온에서도 부서지지 않는 내열성을 가지며, 물에 접하여도 쉽게 부식하지 않아 내수성을 가지는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목구조 주택의 접합부에 사용되는 끼움 방식의 접합 공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목구조 주택의 접합부에 사용되는 철물 접합 방식의 접합 공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가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가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2보강부재가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 및 제2보강부재가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폭을 비교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폭을 비교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가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가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2보강부재가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가 기둥 및 보의 접합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의 폭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와 보 사이의 결합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보강부재가 FRP 사이에 철판(강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1보강부재가 FRP 사이에 철판(강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 및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전통 목구조의 지붕 하중은 도리가 받아 기둥에 전달하거나 대공 등을 통해 전달된 하중을 보가 받아 기둥에 전달한다. 전통 목구조는 주요 구조부재인 보·도리가 기둥 상부에 결구되므로 보가 아무리 큰 단면을 갖더라도 결구부의 단면은 기둥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현존하는 전통 목구조에서 보의 파손형상을 보면 대부분 단면이 손실된 장부에서 파손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하중에 의한 장부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장부의 두께가 다른 비보강 전단 실험과 철물의 개수·보강 간격 및 모양·삽입·깊이 등의 요인을 둔 보강 전단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장부의 내력과 초기 전단강성은 장부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증가하지만, 장부 두께를 크게 하면 기둥의 사개 부분이 약해져 구조적 안전성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장부의 전단응력은 장부의 두께와 비례 관계를 나타나지 않으며, 철물 2개의 중앙부에 배치한 실험체가 가장 큰 응력을 나타난다. 전단응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장부의 중앙부를 보강하여야 효과가 크다.
따라서, 이와 같이 얻은 결론에 의거하여 이하의 보강재를 고안하였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재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재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100)가 기둥(20a) 및 보(20b)의 접합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제1보강부재(100)가 기둥(20a) 및 보(20b)의 접합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재는, 목조 주택의 기둥(20a)과, 하나 이상의 보(20b) 접합부에 설치하는 보강재로서, 제1보강부재(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부재(100)는 제1고정부(110)와, 제1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110)는 상기 기둥(20a)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P)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하부에서 상기 기둥(20a)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120)는 상기 제1고정부(110)의 둘레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20b)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20b)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합부는 하나의 기둥(20a)에 복수 개의 보(20b)가 접합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120) 역시 복수 개가 상기 제1고정부(110)의 둘레에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1지지부(120)는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보(20b)의 측면을 감싸는 부분 사이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110) 및 상기 제1지지부(120)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H)은 제1보강부재(100)가 접합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은 다수개가 형성되고, 제1고정부(110) 및 제1지지부(120)의 면에 걸쳐서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체결홀을 통하여 제1고정부(110) 및 제1지지부(120)와 기둥 및 보와의 사이를 체결부재로 연결하여 기둥(20a)-보(20b) 접합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체결홀이 제1고정부(110) 및 제1지지부(120)의 면 상에 분포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로 인하여 제1고정부(110) 및 제1지지부(120)와 기둥(20a) 및 보(20b) 사이에 가해지는 체결력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제1고정부(110) 및 제1지지부(120)와 기둥(20a) 및 보(20b)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보강부재(100)의 재질로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와 강재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FRP는 산(Acids), 알칼리(Alkalies), 염(Salts), 용제 류(Solvents) 등에 부식되거나 녹지 않는 내식성을 가지고, 고온에서도 연화하거나 변형되지 않고 또한 저온에서도 부서지지 않는 내열성을 가지며, 비중이 철의 약 1/5로서 1.4 내지 1.9이면서 인장강도는 철의 1/3이 발휘되어 가볍고 내구성이 강하다. 또한, 형틀 작업만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성형작업이 가능하여 다양한 접합부에 변형 제작이 가능하고, 접착성이 강하기 때문에 타 재질과의 혼성이 용이하며, 파손 시 수리 보수가 용이하다.
이와 같은 FRP를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재에 강재철물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마치 철근과 콘크리트를 함께 사용하여 양 재료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고 장점을 상호간에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재와 강재는 내수성, 내약성, 내열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므로, 이러한 성질을 보완하기 위하여 내수성 등이 양호한 유리섬유와 같은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여 목재와 강재의 재료적 약점을 보완할 수 있고, 유리섬유의 우수한 장력강도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강도성능까지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예시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FRP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에 지름 0.1mm 이하로 가공한 유리섬유를 보강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부재는 도 18 내지 도 19에 설명한 바와 같이, FRP 부재의 양사이에 강재 철판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부재는 내측면과 외측면이 모두 FRP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부재의 외측이나 기둥으로부터 투입되는 물이나, 화학약품이나 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그러한 FRP 사이에 강도와 인장이 우수한 철판을 삽입함으로써 보강부재 단면 전체의 단면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위와 같이 내측과 외측의 FRP 부재 사이에 강판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보강부재를 제작하면 강도와 인장이 우수한 강판이 FRP 사이에 끼어져 있어 내수, 내화, 내열성이 향상되면서도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보강부재(100)의 설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4와 같이 기둥(20a)의 하부에 제1보강부재(10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1보강부재(100)의 제1삽입홀(P)에 기둥(20a)을 삽입하고, 제1보강부재(100)를 접합부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제1지지부(120)는 각 보(20b)에 밀착되며, 제1고정부(110)는 접합부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홀(H)을 이용하여 체결부재를 설치하여, 제1보강부재(100)는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접합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보강부재(100)만을 사용하여 기둥(20a)과 보(20b)의 접합부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제2보강부재(200)가 함께 사용하여 접합부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보강재(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에 기둥과 보를 삽입하는 데 있어서 센터링의 정확성 확보와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재에 있어서, 제2보강부재(200)가 기둥(20a) 및 보(20b)의 접합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재에 있어서, 제2보강부재(200)가 기둥(20a) 및 보(20b)의 접합부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부재(100)가 접합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보강부재(2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재(200)는, 상기 기둥(20a)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P)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20a)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고정부(210)와, 상기 제2고정부(210)의 둘레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보(20b)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100)의 제1지지부(120)와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2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즉 제2보강부재(200)는, 전체적으로 제1보강부재(100)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접합부의 상부로부터 설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220)의 개수, 체결홀 등 세부적인 사항은 전술한 제1보강부재(100)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보강부재(100)와 제2보강부재(200)가 기둥-보 접합부에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보강부재(100)와 제2보강부재(200)가 기둥-보 접합부를 사이에 두고서 연결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재에 있어서, 제1지지부(120)와 제2지지부(220)의 폭을 비교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인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보강부재(200)의 제2지지부(220)는 제1지지부(120)와 다른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지지부(220)의 폭(d0)은 상기 제1지지부(120)의 폭(d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220)는 상기 제1지지부(12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120)의 폭(d2)은, 보(20b)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지지부(220)의 폭이 제1지지부(120)의 폭보다 크다고 설명한 것은, 제1보강부재(100)가 제2보강부재(200)보다 먼저 설치되고 제1지지부(120)가 보(20b)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지지부(220)가 제1지지부(120)를 상부로부터 감싸도록 설치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2보강부재(200)가 제1보강부재(100)보다 먼저 설치된다고 하면 반대로 제2지지부(220)의 폭이 제1지지부(120)의 폭보다 작게 된다.
도 10은 기둥(20a)-보(20b) 접합부에서 위와 같이 지지부의 폭이 서로 다른 제1보강부재(100)와 제2보강부재(200)가 각각 하부와 상부에서 기둥-보 접합부를 향하여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보강부재는 기둥-보 접합부의 하부로부터 연결되고 제2보강부재는 기둥-보 접합부의 상부로부터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220)의 폭(d0)과 상기 제1지지부(120)의 폭(d2) 차이는, 상기 제1지지부(120)를 형성하는 재료 두께의 2배로 하여 제2지지부(220)가 제1지지부(120)의 외측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건발명에서는, 하부의 제1보강부재(100)와 상부의 제2보강부재(200)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기둥-보 접합부에 먼저 설치되는 제1보강부재의 제1지지부는 보(20b)의 폭과 동일하게 하고 나중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의 폭은 보(20b)의 폭보다 제1지지부의 재료폭의 2배만큼 크게 하여 제1보강부재를 기둥-보 접합부에 결합할 때 별도의 센터링 작업이 필요없어 시공이 간편하고, 기둥-보 접합부를 감싸는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보강부재의 제1지지부를 재차 제2보강부재의 제2지지부로 감쌀 수 있게 되어 접합부의 강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 9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20)와 제2지지부(220)는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지지부(320)와 제2지지부(420)의 폭을 비교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320)의 폭(d3)과 제2지지부(420)의 폭(d4)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제1지지부(320)의 폭(d3)과 제2지지부(420)의 폭(d4)은 모두 보(20b)의 폭(d1)보다 재료의 두께(d5)만큼 넓게 형성된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지지부(320)와 제2지지부(420)를 서로 다소 어긋난 상태로 결합하여, 교차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320)의 폭(d3)과 제2지지부(420)의 폭(d4)은 모두 보(20b)의 폭(d1)보다 재료의 두께(d5)만큼 넓게 형성되므로, 보(20b)는 제1지지부(320)와 제2지지부(420)의 사이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보(20b)에 제1지지부(1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지지부(120)의 일측면은 보(20b)에 접촉하고 있고 타측면은 보(20b)의 사이에 간격(g)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g) 내로 상기 제2지지부(220)의 일측면이 삽입되고 제2지지부(220)의 타측면은 상기 제1지지부(120)의 일측면에 맞닿아 결합된다.
또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모두 보의 폭보다 지지부의 재료 두께만큼 두꺼워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보를 중심으로 어긋나게 배열하여 교차된 상태로 제1지지부-보-제2지지부를 결합하게 되면 제1지지부-보, 보-제2지지부 사이가 정확하게 밀착되게 결합됨으로써 결합이 정확하고 간편할뿐만 아니라 밀착결합으로 인한 결합력 역시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보(20b)가 제1지지부(120)와 제2지지부(220) 사이에서 보의 어느 일면은 제1지지부(120)와 맞닿고 대향하는 면은 제2지지부(220)와 맞닿은 상태로 제1지지부(120)와 제2지지부(220) 사이에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지지부(120)와 제2지지부(220)와 보(20b) 사이에 맞물림 현상이 발휘되어 특허 접합부의 횡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건발명에서는 기둥-보 접합부에서 상부와 하부로부터 각각의 보강부재가 결합되고 상부의 보강부재(제2보강부재)와 하부의 보강부재(제1보강부재) 역시 서로 결합되고 이들이 서로 밀착결합된 상태이므로, 이들의 결합시의 센터링 등이 간편하게 정확하여 보강부재에 보를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어 결합의 정확성과 간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하에서 밀착결합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보강부재(100, 200)의 고정부(110, 210)와 지지부(120, 220)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기둥-보 접합부의 연결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즉, 제1고정부(110)와 제1지지부(1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의 제1보강부재(100)와, 제2고정부(210)와 제2지지부(2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의 제2보강부재(200)가 기둥-보 접합부에 결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기둥-보 접합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연결후에 하부의 제1보강부재와 상부의 제2보강부재로 구성되는 제3실시예를 도 12 내지 도 17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예 1과 실시예 2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1보강부재(6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상기 제1보강부재(600)가 결합되는 기둥(1020a)-보(1020b) 접합부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3실시예는 기둥(1020a)과 보(1020b)에서 상기 제1보강부재(600)의 제1고정부(610)와 제1지지부(620)에 맞닿는 부분에 홈(520a, 52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보강부재(600)의 제1고정부(610)에는 상기 기둥(1020a)의 홈(520a)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611)가 형성되고 제1지지부(620)에는 상기 보(1020b)의 홈(520b)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621)가 형성되어 상기 홈(520a)과 상기 돌출부(611)가 스냅결합되고, 상기 홈(520b)과 상기 돌출부(621)가 스냅결합된다.
도 12에서는 제1고정부(610)와 제1지지부(620)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13의 기둥(1020a)-보(1020b) 접합부에 연결될 때는 상기 제1고정부(610)와 상기 제1지지부(620)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기둥(1020a)-보(1020b) 접합부에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홈(520a)과 상기 돌출부(611)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홈(520b)과 상기 돌출부(621)도 서로 대응된 형태로 형성된다.
도 14는 기둥(1020a)-보(1020b) 접합부에 상기 제1보강부재(600)가 하부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제2보강부재(700)가 상부에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보강부재(700) 역시 제2고정부(710)에는 상기 홈(520a)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711)가 형성되고, 제2지지부(720)에는 상기 홈(520b)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721)가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710)는 상기 기둥(1020a)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부(720)는 상기 홈(1020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10)의 4면에는 모두 상기 돌출부(611)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도 앞서와 마찬가지로 제1고정부재(600)가 기둥-보 접합부의 하부에서 제2고정부재(700)보다 먼저 결합된다고 전제하고 설명한다.
제2지지부(720)의 폭이 제1지지부(620)의 폭보다 재료 폭의 2배만큼 크고, 제1지지부(620)의 폭은 보(1020b)의 폭과 동일한 경우, 제1지지부(620)의 모든 면들에는 돌출부(621)이 형성되지만, 상기 제2지지부(720)에서는 기둥(1020a)에 맞닿는 상면에만 돌출부(7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620)를 외측에서 감싸는 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1지지부(620)와 제2지지부(720)의 폭이 서로 동일하고 보(1020b)의 재료폭만큼만 큰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620)의 일측면에 돌출부(621)가 형성되어 상기 보(1020b)의 홈(520b)에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부(720)의 일측면은 상기 보(1020b)의 또 다른 홈(520b)에 삽입되는 돌출부(7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620)의 타측면과 상기 제2지지부(720)의 타측면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각각 상기 제1지지부(620)와 상기 제2지지부(720)의 외면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620)의 일측면은 보(1020b)에 접촉하고 타측면은 보(1020b)와의 사이에 상기 재료 폭 만큼의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 내로 상기 제2지지부(720)의 일측면이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부(720)의 타측면은 상기 제1지지부(620)의 일측면에 맞닿아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부(620)와 상기 제2지지부(720)를 상기 보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교차된 상태로 상기 보를 상기 제1지지부(620)와 상기 제2지지부(720) 사이에 밀착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앞선 실시예는 제1보강부재(600)와 보(1020b)와 제2보강부재(700가 서로 어긋나게 교차되는 것에 추가하여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지지부(620)의 일면의 돌출부(621)와 상기 제2지지부(720)의 돌출부(721)도 서로 엇갈리게 교차된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결합부의 맞물림의 힘이 더욱 증대되어 결합부의 강성을 더욱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는 휨이나 전단에 대한 구조적 성능을 반강접 접합부로 이음이 가능하여 실용적 가치가 충분하며, 반강접 성능을 고려할 때 모멘트에 대해 개선된 이음법의 주보는 하부 보 보다 4% 높은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반강접 구조의 구조해석 모델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의 각 특징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로 상호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20a, 1020a: 기둥
20b, 1020b: 보
100, 300, 600: 제1보강부재
110, 310, 610: 제1고정부
120, 320, 620: 제1지지부
200, 400, 700: 제2보강부재
210, 410, 710: 제2고정부
220, 420, 720: 제2지지부
520a: 기둥의 홈
520b: 보의 홈
611: 제1고정부의 돌출부
621: 제1지지부의 돌출부
711: 제2고정부의 돌출부
721: 제2지지부의 돌출부
d1: 보의 폭
d0, d2, d3, d4: 지지부의 폭
d5: 지지부의 재료폭
g: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의 간격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하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보강부재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의 제1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보강부재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기둥의 하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한 다음에 상기 기둥의 상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2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기둥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부에는 상기 기둥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에는 상기 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의 면 중에서 상기 보의 측면을 감싸는 면을 제외하고 상기 보의 상면을 감싸는 부분에만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에 먼저 결합되는 상기 제1지지부의 폭은 상기 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보가 상기 제1지지부에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폭은 상기 제1지지부의 폭보다 상기 제1지지부를 형성하는 재료 두께의 2배만큼 크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1지지부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제1지지부는 분리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접합부의 하부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와 제2지지부는 분리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접합부의 상부로부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접합부의 보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2보강부재는 강재와 FRP의 혼성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접합부의 보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의 고정부와 지지부는 FRP 외측판과 FRP 내측판 사이에 강재 철판을 개재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접합부의 보강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각각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체결부재가 기둥-보와 상기 고정부 및 지지부 사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접합부의 보강방법.
  13. 목조 주택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보 접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하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보강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의 제1지지부와 연결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보강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기둥의 하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보강부재를 설치한 다음에 상기 기둥의 상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2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기둥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부에는 상기 기둥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에는 상기 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타측면은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의 외측에서 맞닿도록 하고,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의 외측에서 맞닿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2보강부재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폭과 상기 제2지지부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기 보의 폭보다 상기 지지부의 재료의 폭만큼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은 보에 접촉하고 타측면은 보와의 사이에 상기 재료폭 만큼의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 내로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면이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타측면은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면에 맞닿아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보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교차된 상태로 상기 보를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밀착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제1지지부는 분리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접합부의 하부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와 제2지지부는 분리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접합부의 상부로부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접합부의 보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제2보강부재는 강재와 FRP의 혼성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접합부의 보강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의 고정부와 지지부는 FRP 외측판과 FRP 내측판 사이에 강재 철판을 개재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접합부의 보강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각각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체결부재가 기둥-보와 상기 고정부 및 지지부 사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 접합부의 보강방법.
KR1020150117572A 2015-08-20 2015-08-20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방법 KR101722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572A KR101722251B1 (ko) 2015-08-20 2015-08-20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572A KR101722251B1 (ko) 2015-08-20 2015-08-20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00A KR20170022500A (ko) 2017-03-02
KR101722251B1 true KR101722251B1 (ko) 2017-04-03

Family

ID=5842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572A KR101722251B1 (ko) 2015-08-20 2015-08-20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776B1 (ko) * 2019-03-11 2019-08-30 김완근 기둥 및 보 도리 결합형 목구조 조인트 유닛
CN112814161B (zh) * 2019-11-16 2022-05-20 湖南麓上住宅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木结构连接件以及木结构组合
CN114541803B (zh) * 2022-03-11 2024-07-09 鹏森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结构梁底加固装置
CN114603698A (zh) * 2022-04-14 2022-06-10 云南城投中民昆建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网格梁四通连接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798A (ja) * 1998-10-29 2000-05-09 Sanko Techno Co Ltd 木材の接続構造
JP2000273952A (ja) * 1999-03-19 2000-10-03 Yukio Adachi 建築用構造材の接続装置
JP2011184881A (ja) 2010-03-05 2011-09-22 Yuji Fujinaga 接合部補強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224A (ja) * 1996-04-03 1997-10-21 Kazuo Yamagishi 土台および柱との保持装置およびその保持具
KR100911718B1 (ko) 2007-09-17 2009-08-10 서경석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798A (ja) * 1998-10-29 2000-05-09 Sanko Techno Co Ltd 木材の接続構造
JP2000273952A (ja) * 1999-03-19 2000-10-03 Yukio Adachi 建築用構造材の接続装置
JP2011184881A (ja) 2010-03-05 2011-09-22 Yuji Fujinaga 接合部補強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00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251B1 (ko)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방법
JP4922723B2 (ja) 木造建築構造材の補強方法
JP2007254953A (ja) 鋼構造物の柱・梁接合部の補強構造
KR20180042007A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KR101722250B1 (ko) 목조 주택의 접합부 보강재
Otero-Chans et al. Application of a new system of self-tensioning to the design of large-span wood floor framings
KR101298581B1 (ko) 섬유보강 복합소재 데크 튜브 간의 스냅-핏과 접착 혼합 조립에 의한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20160137705A (ko) Cft기둥의 합성거더 접합구조
JP2010180622A (ja) 柱梁接合構造、柱梁接合方法
KR102422489B1 (ko)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앵글과 강봉의 인장력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 보강공법
JP7360924B2 (ja) 木質の柱と木質の梁との接合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2020002641A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柱梁接合方法
KR101675040B1 (ko) 보강재가 결합된 개구재형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과 그 제작 및 시공방법.
JP5516933B2 (ja) 柱梁接合部の補強構造
JP7194634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部材及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複合構造
JP7163560B2 (ja) ブレースの接合構造
KR20160001762A (ko) Pc거더와 pc빔 연결구조
JP2009281011A (ja) 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40105914A (ko) 절곡부재를 거푸집으로 겸용하는 합성거더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160101501A (ko) 이음 작업이 용이한 십자 각형 강관
KR20130092760A (ko) 합판 보강용 목심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거푸집조립체
JP2015510062A (ja) 構造物要素を接続するターンバックル
KR101619126B1 (ko) 합성보
JP7532937B2 (ja) 柱の接合方法
KR102418264B1 (ko) 콘크리트 스토퍼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