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059B1 -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059B1
KR101504059B1 KR20140011321A KR20140011321A KR101504059B1 KR 101504059 B1 KR101504059 B1 KR 101504059B1 KR 20140011321 A KR20140011321 A KR 20140011321A KR 20140011321 A KR20140011321 A KR 20140011321A KR 101504059 B1 KR101504059 B1 KR 101504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houlder
safety
garmen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1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영
이상헌
정병진
한석구
신기한
정삼룡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11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059B1/ko
Priority to JP2014229261A priority patent/JP604902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의 고소 작업에 사용되는 낙석 보호용 조끼에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조끼 착복의 신속함과 편리함을 제공하고, 장비 교체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낙석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도록 로프와 연결되며, 등판에 복수개의 보호쿠션을 구비한 의복부와; 추락 방지를 위해 신체 부위별로 감싸도록 착용되는 벨트들이 상기 의복부 내피에 일체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안전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Life Vest Have a Belt for Fall Prevention}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산업현장 특히, 터널 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낙석 보호용 조끼에 추락사고 등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안전대를 탈부착 가능하게 일체로 구성한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낙석 등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업자들에게 낙석 보호용 안전 조끼를 착용하도록 한다.
특히, 터널 내의 고소 작업 시에는 낙석 위험과 추락 위험에 모두 노출되는 환경이므로 추락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낙석 보호용 조끼와 함께 착용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작업자는 부득이 안전대를 우선 착용한 상태에서 낙석 보호용 조끼를 추가로 착용할 경우, 등이나 옆구리에 부착되어 있는 안전대 연결용 고리와 로프로 인하여 착용자가 세심한 신경을 써가며 낙석 보호용 조끼를 착용해야 하므로 시간적인 소모와 번거로움이 생길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착물들로 인해 등이나 옆구리 부분이 불편하여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추락사 등의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사장 등의 산업 현장에서는 일반적인 안전조끼에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착용하고 있는 바, 한국등록실용 제0254284호(2001년11월05일 등록)의 '안전조끼'에서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 조끼에 추락사 방지용 안전대를 일체로 재봉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착용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별도보관으로 인한 분실의 우려를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3-0073557호(2013년07월03일 공개)의 '안전띠 일체형 작업복'에서는 작업복 내측에 안전띠를 일체화함으로써, 안전띠의 착용을 간편하게 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러한 안전대 일체형의 안전 조끼들은 낙석의 위험이 있는 터널 현장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또한 기존의 안전 조끼들은 공사 현장에서의 작업에 의해 쉽게 마모될 수 있으며 추락 방지용 안전대 역시 계속되는 하중에 의해 절단될 수 있으나, 이러한 안전대 일체형의 안전 조끼의 경우 조끼 혹은 안전대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사용할 수 없게 되면 구성품 전체를 버려야 하므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안전대 일체형의 안전 조끼는 다리 벨트식으로 하체를 감싸도록 착용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다리 벨트식이 아닌 허리 벨트식으로는 착용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리 벨트식의 하체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조끼를 착용할 경우 하체 벨트가 꼬일 수 있으며, 특히 조끼를 비 착용할 경우에는 안전대의 각 부위별 벨트가 서로 엉키거나 꼬일 수 있어 보관 및 수납의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 작업용의 낙석 보호용 조끼에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일체형으로 부착하여 동시에 착복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낙석 보호용 조끼에 일체형으로 부착된 추락 방지용 안전대가 탈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수단을 낙석 보호용 조끼 내부에 형성하도록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추락 방지용 안전대가 하체 벨트 혹은 허리 벨트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벨트 결합부를 구성하는 허리 겸용 하체 벨트를 구비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허리 겸용 하체 벨트의 수납 및 길이 조절을 위해 허리 겸용 하체 벨트의 양 측으로 자동 권선이 가능한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낙석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도록 로프와 연결되며, 등판에 복수개의 보호쿠션을 구비한 의복부와; 추락 방지를 위해 신체 부위별로 감싸도록 착용되는 벨트들이 상기 의복부 내피에 일체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안전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복부 내부에 위치하는 안전대를 구속되게 감싸 부착시키거나 혹은 탈착시키도록 의복부 내피에 형성된 안전대 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호쿠션은, 상기 의복부 외피의 등판 및 앞판과 어깨 부위를 따라 일정 폭의 수평 길이를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쿠션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의복부는, 상기 보호쿠션의 전체 혹은 교번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야광 혹은 형광의 천부재인 발광수단과; 목 뒷 부위를 보호하도록 목 부위로부터 패드 형태로 연장되어 보호쿠션을 형성하며 목을 감싸는 목보호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전대는, 상기 의복부 내부에서, 의복부 전면에서는 양 측이 서로 평행되고 후면에서는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어깨벨트와; 상기 의복부의 가슴판 전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가슴벨트와; 다리 또는 허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어깨벨트 하단에 부착되는 허리 겸용 하체 벨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어깨벨트는, 두 줄의 벨트 일 단이 각각 등판 내부의 하단 양 측으로부터 상부까지 서로 교차되게 사선으로 올라가 어깨 부위를 지나고, 양 측 가슴판에서 각각 수직으로 내려가 그 타단이 벨트 일 단에서 다시 만나도록 서로 좌, 우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허리 겸용 하체 벨트는, 양 단의 벨트를 각각 권선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동일 형상의 하우징 형태를 가지며, 상기 어깨벨트의 일 단과 타 단이 만나는 곳에 부착되는 한 쌍의 벨트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트 결합부는, 하우징 끝단에 형성되어 벨트를 인출 및 인입시키는 관통구인 벨트 인출구와; 상기 벨트 인출구 일 측에 형성되며, 양 측 벨트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벨트 인출구로부터 인출된 벨트의 끝단에 형성된 벨트 걸림부가 양 측 벨트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벨트 걸림부에 대응되는 내부 형태를 가지는 벨트 삽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트 걸림부는, 상기 벨트 삽입부에 걸리도록 양 단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이 출몰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트 결합부는 그 내부에 벨트의 자동 권선 및 정지를 위한 벨트 리트랙터를 구성되는 길이조절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전대 부착수단은 상기 안전대를 감싸도록 양 측에 한 쌍의 벨크로를 부착한 직사각 패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전대를 감싼 안전대 부착수단의 의복부 내피에 닿는 부분은 박음질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전대 부착수단은, 어깨벨트가 좌, 우 가슴부위에서 서로 평행되게 위치하는 것과 대응되게 부착되는 가슴부위 부착패드와; 어깨벨트가 가슴부위에서 등판부위로 갈수록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에 대응되게 부착되는 어깨부위 부착패드와; 어깨부위로부터 거리가 가까워진 어깨벨트가 등판 상부에서 서로 교차되어 하부에서 그 거리가 다시 멀어지는 것에 대응되게 부착되는 등판부위 부착패드와; 등판 상부에 위치하는 어깨벨트의 X자형 교차부위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교차부위 부착패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는 터널 내의 고소 작업에 사용되는 낙석 보호용 조끼에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조끼 착복의 신속함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추락 방지용 안전대의 탈부착에 의해 조끼와 안전대 중 어느 하나가 마모될 경우 마모된 구성품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장비 교체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허리 겸용 하체 벨트의 일 측을 벨트 양 측에 형성된 벨트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일 측 간의 연결로 다리를 감싸거나 타 측의 연결로 허리를 감쌀 수 있게 되며, 상기 허리 겸용 하체 벨트의 길이 조절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허리 겸용 하체 벨트를 사용하지 않거나 조끼를 미 착용할 경우 벨트끼리의 꼬임이나 엉킴 없이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수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낙석 보호용 조끼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의 하체를 감싸기 위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의 허리를 감싸기 위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허리 겸용 하체 벨트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허리 겸용 하체 벨트의 벨트 결합부 장착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의 실시예들을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낙석 보호용 조끼의 후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의 하체를 감싼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의 허리를 감싼 상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허리 겸용 하체 벨트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허리 겸용 하체 벨트의 벨트 결합부 장착 상태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낙석 보호용 조끼인 의복부(10)와, 상기 의복부(10)에 체결되는 안전대(20)와 로프(30)로 구성된다.
상기 의복부(10)는 낙석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낙석 보호용 조끼에 해당하며, 이를 위해 공사 현장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안전 조끼의 등판 및 어깨 부위에 보호쿠션(11)과 야광 혹은 형광의 발광수단(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쿠션(11)은 의복부(10)의 등판과 앞판 및 어깨 부위의 외피로부터 일정 폭으로 수평 길이를 가지는 쿠션들이 수직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수단(12)은 수직 방향으로 일렬 배열되어 있는 상기 보호쿠션(11)의 전체 혹은 교번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야광 혹은 형광의 천부재이다.
또한 상기 의복부(10)는 작업자의 뒷 목 부위를 보호하도록 의복부(10) 목 부위로부터 패드 형태로 돌출된 목보호패드(13)를 형성하며, 상기 목보호패드(13) 역시 일정 폭으로 수평 길이를 가지는 보호쿠션(11)들이 수직 방향으로 연속되게 일렬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의복부(10)는 등판 상부의 보호쿠션(11) 간의 골부로부터 일정 부분 절개된 틈으로 로프(30)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로프(30)는 양 단에 후크가 부착되어 있으며 탄성력을 가진 소정 길이의 밧줄에 해당한다.
상기 로프(30)는 그 일 단이 하기에 설명될 안전대(20) 어깨벨트(21)의 X자형 교차부위(22)에서 고리(23)에 걸리도록 하고, 타 단은 작업 지지대에 걸리도록 한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깨벨트의 X자형 교차부위(22)에 부착되어 있는 고리(23)는 상기 의복부(10) 등판 상부의 보호쿠션(11) 간의 골부로부터 일정 부분 절개된 틈으로 노출되어 로프(30)의 일 단에 부착된 후크(Hook : 31)에 걸리도록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의복부(10) 내피에는 등판과 가슴판 및 어깨 부위에 각각 안전대(20)의 어깨벨트(21)가 부착되도록 안전대 부착수단(7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안전대 부착수단(70)은 직사각 패드 형태를 가지며, 의복부(10) 내피에 위치하게 되는 어깨벨트(21) 길이 방향을 따라 내피에 닿는 부위가 박음질 처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전대 부착수단(70)은 어깨벨트(21)의 폭에 해당하는 치수의 두 줄의 박음질로 의복부(10) 내피에 부착되어 있으며, 박음질된 부위로부터의 여분의 양 단을 접어 어깨벨트(21)의 소정 마디를 길이 방향으로 감싸고, 그 양 단에 형성된 한 쌍의 벨크로를 서로 맞대어 붙임으로써 어깨벨트(21)를 구속하게 된다.
상기 안전대 부착수단(70)은 의복부(10)의 부착지점에 따라 가슴부위 부착패드(71), 어깨부위 부착패드(72), 등판부위 부착패드(73), 교차부위 부착패드(74)로 구성된다.
상기 가슴부위 부착패드(71)는 어깨벨트(21)가 좌, 우 가슴부위에서 서로 평행되게 위치하는 것에 대응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어깨부위 부착패드(72)는 좌, 우 가슴부위의 양 측 어깨벨트(21)가 등판부위로 갈수록 서로 거리가 가까워지게 위치하는 것에 대응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등판부위 부착패드(73)는 어깨부위의 양 측 어깨벨트(21)가 등판 상부에서 서로 교차되어 하부로 갈수록 서로 거리가 멀어지도록 위치하는 것에 대응되게 등판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교차부위 부착패드(74)는 등판 상부에 위치하는 어깨벨트(21)의 X자형 교차부위(22)를 감싸도록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안전대(20)는 신체가 매달릴 수 있도록, 인장력이 강한 실로 직조된 벨트 형태의 천부재이다.
상기 안전대(20)는 의복부(10)의 전면에서 양 측이 서로 평행되고 후면에서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어깨벨트(21), 의복부(10)의 가슴판 전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가슴벨트(25), 다리 혹은 허리를 감싸는 허리 겸용 하체 벨트(27)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슴벨트(25 : 도 1에 도시)는 의복부(10)의 가슴판 측면과 등판 측면을 연결하고, 가슴판의 좌,우 전면을 연결하도록 체결되는 벨트이다.
상기 어깨벨트(21)는 두 줄의 벨트 일 단이 각각 등판 내부의 하단 양 측으로부터 상부까지 서로 교차되게 사선으로 올라가 어깨 부위를 지나고, 양 측 가슴판에서 각각 수직으로 내려가 그 타단이 벨트 일 단에서 다시 만나도록 위치하여 서로 좌, 우 대칭이 되게 한다.
이때 어깨벨트(21)의 일 단과 타단이 만나는 부위는 하기에 설명될 허리 겸용 하체 벨트(27)와 함께 박음질 처리되어 서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깨벨트(21)가 등판에서 서로 사선으로 교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교차부위(22)를 클립(9) 등으로 꿰어 고정시키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의복부 내부에 착용되는 안전대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허리 겸용 하체 벨트(27)는 그 양 단에 각각 한 쌍의 벨트 결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벨트 결합부(50)는 양 단의 벨트를 권선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동일 형상의 하우징 형태를 가지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하우징 끝단에 형성된 벨트 인출구(51)를 통해 벨트를 인출 및 인입시키도록 한다.
상기 벨트 결합부(50)는 어깨벨트(21)의 일 단과 타단이 만나는 부위에서 박음질로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벨트 결합부(50)는 각각 그 내부에 벨트를 풀고 자동으로 권선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6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길이조절수단(60)은 허리 겸용 하체 벨트(27)의 인출 및 자동 권선과 자동 정지를 위한 벨트 리트랙터이다.
따라서 길이조절수단(60)에 의해 벨트를 당기면 풀어지고 일정 길이 당기다가 살짝 놓으면 그 길이가 유지된 상태로 정지하고 다시 살짝 당겼다가 놓으면 감기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벨트 결합부(50)는 하우징 끝단에 벨트 인출구(51)와 벨트 삽입구(52)를 나란히 형성하고 있어 상기 벨트 인출구(51)로 인출된 벨트 끝단을 벨트 삽입구(52)에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벨트 끝단은 벨트 걸림부(53)를 형성하며, 벨트 삽입구(52)에 삽입되어 그 내부에서 걸리도록 그 양 단에 걸림턱(54)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6의 (a)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턱(54)은 벨트 걸림부(53) 양 측에 형성된 누름 버튼(55)의 누름에 의해 (b)에서와 같이 벨트 걸림부(53) 내부 공간으로 함몰된 상태에서 (c)에서와 같이 벨트 삽입구(52)로 삽입된 후, 누름 버튼(55)의 누름 해제에 따라 걸림턱(54)이 제자리로 돌아와 벨트 삽입구(52)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걸리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걸림턱(54)은 벨트 걸림부(53) 양 측에 형성된 누름 버튼(55)의 누름에 의해 벨트 걸림부(53) 내부 공간으로 함몰된 상태에서 벨트 삽입구(52)로부터 이탈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허리 겸용 하체 벨트(27)가 길이조절수단(60)에 의해 권선된 상태에서 하체인 다리 부위를 감싸기 위해 양 측 벨트 결합부로부터 적정 길이만큼만 인출하여 자동 정지되도록 한 후, 양 측 벨트 결합부(50) 각각의 벨트 삽입구(52)에 벨트 걸림부(53)를 삽입함으로써 하체벨트로 사용되도록 한다.
또한 허리 겸용 하체 벨트(27)가 길이조절수단(60)에 의해 권선된 상태에서 복부 및 허리 부위를 감싸기 위해 일 측 벨트 결합부로부터적정 길이만큼만 인출하여 자동 정지되도록 한 후, 타 측 벨트 결합부(50)의 벨트 삽입구(52)에 벨트 걸림부(53)를 삽입함으로써 허리벨트로 사용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의복부 11 : 보호쿠션
20 : 안전대 21 : 어깨벨트
25 : 가슴벨트 27 : 허리 겸용 하체 벨트
30 : 로프 50 : 벨트 결합부
51 : 벨트 인출구 52 : 벨트 삽입구
53 : 벨트 걸림부 54 : 걸림턱
55 : 누름 버튼 60 : 길이조절수단
70 : 안전대 부착수단 71 : 가슴부위 부착패드
72 : 어깨부위 부착패드 73 : 등판부위 부착패드
74 : 교차부위 부착패드

Claims (13)

  1. 낙석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도록 로프와 연결되며, 등판에 복수개의 보호쿠션을 구비한 의복부와;
    추락 방지를 위해 신체 부위별로 감싸도록 착용되는 벨트들이 상기 의복부 내피에 일체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안전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대는,
    상기 의복부 내부에서, 의복부 전면에서는 양 측이 서로 평행되고 후면에서는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어깨벨트와;
    상기 의복부의 가슴판 전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가슴벨트와;
    다리 또는 허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어깨벨트 하단에 부착되는 허리 겸용 하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허리 겸용 하체 벨트는,
    양 단의 벨트를 각각 권선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동일 형상의 하우징 형태를 가지며, 상기 어깨벨트의 일 단과 타 단이 만나는 곳에 부착되는 한 쌍의 벨트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2. 제 1항에 있어서,
    의복부 내부에 위치하는 안전대를 구속되게 감싸 부착시키거나 혹은 탈착시키도록 의복부 내피에 형성된 안전대 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쿠션은,
    상기 의복부 외피의 등판 및 앞판과 어깨 부위를 따라 일정 폭의 수평 길이를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쿠션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부는,
    상기 보호쿠션의 전체 혹은 교번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야광 혹은 형광의 천부재인 발광수단과;
    목 뒷 부위를 보호하도록 목 부위로부터 패드 형태로 연장되어 보호쿠션을 형성하며 목을 감싸는 목보호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벨트는,
    두 줄의 벨트 일 단이 각각 등판 내부의 하단 양 측으로부터 상부까지 서로 교차되게 사선으로 올라가 어깨 부위를 지나고, 양 측 가슴판에서 각각 수직으로 내려가 그 타단이 벨트 일 단에서 다시 만나도록 서로 좌, 우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결합부는,
    하우징 끝단에 형성되어 벨트를 인출 및 인입시키는 관통구인 벨트 인출구와;
    상기 벨트 인출구 일 측에 형성되며, 양 측 벨트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벨트 인출구로부터 인출된 벨트의 끝단에 형성된 벨트 걸림부가 양 측 벨트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벨트 걸림부에 대응되는 내부 형태를 가지는 벨트 삽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걸림부는,
    상기 벨트 삽입부에 걸리도록 양 단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이 출몰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결합부는 그 내부에 벨트의 자동 권선 및 정지를 위한 벨트 리트랙터를 구성되는 길이조절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대 부착수단은 상기 안전대를 감싸도록 양 측에 한 쌍의 벨크로를 부착한 직사각 패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대를 감싼 안전대 부착수단의 의복부 내피에 닿는 부분은 박음질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대 부착수단은,
    어깨벨트가 좌, 우 가슴부위에서 서로 평행되게 위치하는 것과 대응되게 부착되는 가슴부위 부착패드와;
    어깨벨트가 가슴부위에서 등판부위로 갈수록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에 대응되게 부착되는 어깨부위 부착패드와;
    어깨부위로부터 거리가 가까워진 어깨벨트가 등판 상부에서 서로 교차되어 하부에서 그 거리가 다시 멀어지는 것에 대응되게 부착되는 등판부위 부착패드와;
    등판 상부에 위치하는 어깨벨트의 X자형 교차부위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교차부위 부착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KR20140011321A 2014-01-29 2014-01-29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KR101504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321A KR101504059B1 (ko) 2014-01-29 2014-01-29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JP2014229261A JP6049026B2 (ja) 2014-01-29 2014-11-11 着脱可能な墜落防止用安全帯を備えた落石防護用救命胴衣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321A KR101504059B1 (ko) 2014-01-29 2014-01-29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059B1 true KR101504059B1 (ko) 2015-03-18

Family

ID=5302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1321A KR101504059B1 (ko) 2014-01-29 2014-01-29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49026B2 (ko)
KR (1) KR101504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876A (ko) * 2018-03-15 2019-09-25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KR20240031880A (ko) 2022-09-01 2024-03-08 김태수 프리 사이즈 안전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28Y1 (ko) * 2016-05-24 2018-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장구
CN107252529A (zh) * 2017-08-08 2017-10-17 张永胜 一种用于高层建筑火灾发生现场逃生自救套装
JP7045764B2 (ja) * 2017-09-29 2022-04-01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衣服
JP2019127656A (ja) * 2018-01-22 2019-08-01 株式会社エヌ・エス・ピー 衣服
JP7213402B2 (ja) * 2018-04-02 2023-01-27 リンクサス株式会社 反射チョッキ、安全帯-反射チョッキ組み合わせ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71Y1 (ko) 2000-10-13 2001-05-02 김동만 낙석방지용 안전조끼
KR20060011913A (ko) * 2006-01-19 2006-02-03 주식회사 패션라인 안전벨트가 결합된 안전상의
KR200423872Y1 (ko) 2006-05-18 2006-08-11 정인선 안전 작업복
KR101288774B1 (ko) 2013-03-07 2013-07-22 김성탄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0757U (ja) * 1991-04-09 1992-10-28 藤井電工株式会社 墜落防止用安全帯
JPH1053905A (ja) * 1996-07-31 1998-02-24 Tanizawa Seisakusho:Kk バックプロテクター
JP2949101B1 (ja) * 1998-02-27 1999-09-13 東洋物産株式会社 安全帯を具備した被服
JP2004275581A (ja) * 2003-03-18 2004-10-07 Tanizawa Seisakusho Ltd フルボディ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71Y1 (ko) 2000-10-13 2001-05-02 김동만 낙석방지용 안전조끼
KR20060011913A (ko) * 2006-01-19 2006-02-03 주식회사 패션라인 안전벨트가 결합된 안전상의
KR200423872Y1 (ko) 2006-05-18 2006-08-11 정인선 안전 작업복
KR101288774B1 (ko) 2013-03-07 2013-07-22 김성탄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876A (ko) * 2018-03-15 2019-09-25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KR102034375B1 (ko) 2018-03-15 2019-11-08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KR20240031880A (ko) 2022-09-01 2024-03-08 김태수 프리 사이즈 안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49026B2 (ja) 2016-12-21
JP2015140505A (ja)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059B1 (ko) 탈부착 가능한 추락 방지용 안전대를 구비한 낙석 보호용 조끼
EP2403366B1 (en) Safety harness
EP0744192A2 (en) Fall protection safety suit
CN110225783A (zh) 具有一体式能量吸收器的背带
KR20130092942A (ko) 아기 캐리어
JP5792579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US20120017360A1 (en) Safety net harness
JP2009066259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JP7072823B2 (ja) 安全帯付き作業服
JP3218351U (ja) 工事作業用安全具
KR20190108876A (ko)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US20140096304A1 (en) Internally Belted Coveralls
CN210409285U (zh) 一种新型缓冲式防坠安全带
KR20200133875A (ko) 안전 보호구 조끼
JP5795967B2 (ja) 腿ベルト付き墜落防止用安全帯
JP2020195518A (ja) ランヤード
JP5220932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及び形状保持具
JP2013237955A (ja) 防護服
KR200461050Y1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JP2022034433A (ja) ハーネス型安全帯用パッド
JP6105503B2 (ja) 子守帯
JP2018093914A (ja) ロープ高所作業用装置及びロープ高所作業方法
KR20200114257A (ko) 안전조끼
JP6862077B1 (ja) 墜落制止用器具のハーネス
TWI617335B (zh) Seat belt clothing elastic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