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528Y1 - 안전 장구 - Google Patents

안전 장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528Y1
KR200487528Y1 KR2020160002823U KR20160002823U KR200487528Y1 KR 200487528 Y1 KR200487528 Y1 KR 200487528Y1 KR 2020160002823 U KR2020160002823 U KR 2020160002823U KR 20160002823 U KR20160002823 U KR 20160002823U KR 200487528 Y1 KR200487528 Y1 KR 200487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elt
retractor
hoo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072U (ko
Inventor
박정호
김성호
박성원
박진아
이동현
황성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2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2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4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8Full body harnesses covering at least shoulders and thigh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안전 장구가 제공된다. 안전 장구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작업자를 상기 케이스와 고정시키는 제1 벨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1 벨트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벨트의 일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리트랙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출입이 가능한 후크(hook);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관함을 포함한다. 상기 리트랙터와 연결되는 상기 제1 벨트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리트랙터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자동으로 감기고, 상기 리트랙터와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벨트가 당기어지는 속도에 따라 상기 리트랙터에 의해 상기 제1 벨트가 풀리거나 풀리지 않는다.

Description

안전 장구{Safety equipment}
본 고안은 안전 장구에 관한 것이다.
작업 현장에 출입하는 모든 작업자들에게 안전은 필수요소이다. 작업자의 주의 이전에 안전 장구의 착용이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안전 장구의 착용은 매우 번거롭고, 특히 안전벨트의 경우 꼬이는 일이 다반사일 뿐만 아니라 휴대/보관마저 불편하다. 이로 인해 작업 현장에 출입하는 경우, 안전장구의 미착용 상태로 접근하는 일이 가끔 발생한다. 이는 현장에서의 낙마, 추락, 충돌사고뿐만 아니라 낙체(falling body)에 의한 인명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 현장에서 추락사고 방지를 위하여 착용하는 안전 벨트는 허리에만 착용하는 안전 벨트와 다리/허리/어깨부위를 감싸는 그네 식 안전 벨트(Harness)가 있으며, 허리에만 착용하는 안전벨트는 추락 시 인체하중에 의해 작업자의 허리에 충격을 가하여 척추 골절 등의 큰 부상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79069 (공개일: 2014. 06. 26)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벨트, 공구 및 후크를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 장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ELR 방식의 리트랙터를 채용하여 벨트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보관할 수 있는 안전 장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안전 장구의 일 면(aspect)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작업자를 상기 케이스와 고정시키는 제1 벨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1 벨트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벨트의 일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리트랙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출입이 가능한 후크(hook);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리트랙터와 연결되는 상기 제1 벨트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리트랙터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자동으로 감기고, 상기 리트랙터와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벨트가 당기어지는 속도에 따라 상기 리트랙터에 의해 상기 제1 벨트가 풀리거나 풀리지 않는다.
상기 제1 벨트는 상기 케이스의 제1 면과 연결되어 상기 작업자의 어깨를 감싸고, 상기 후크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으로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자의 다리를 감싸는 제2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옷(clothe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벨트는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를 도시한 제1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를 도시한 제2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의 후크의 출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를 도시한 제1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를 도시한 제2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의 후크의 출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안전 장구(100)는 케이스(110), 제1 벨트(120), 제2 벨트(130), 제2 벨트 고정핀(131), 제2 벨트 버클(132), 보관함(140), 보관함 도어(141), 후크(hook)(150), 후크 보관함(160), 후크 보관함 도어(161) 및 리트랙터(retractor)(17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안전 장구(100)의 베이스 구조로 안전 장구(100)의 나머지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는 케이스(110)가 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벨트(120)는 케이스(110)의 제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벨트(120)의 제1 단은 케이스(110)의 제1 면과 연결될 수 있고, 제1 벨트(120)의 제1 단과 반대되는 제2 단은 케이스(110)의 제1 면을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 리트랙터(1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벨트(120)는 작업자(10)의 어깨를 감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0)의 제1 면에 배치된 두 개의 제1 벨트(120)가 각각 작업자(10)의 양 어깨를 감쌀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벨트(120)는 작업자(10)를 케이스(110)와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벨트(130)는 케이스(110)의 제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벨트(130)의 제1 단은 제2 벨트 고정핀(131)과 연결될 수 있고, 제2 벨트(130)의 제1 단과 반대되는 제2 단은 케이스(110)의 제1 면을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2 벨트(130)의 제2 단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리트랙터(170)와 다른 리트랙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는 제2 벨트(130)가 케이스(110)의 제1 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벨트(130)는 케이스(110)의 제1 면과 인접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벨트(130)는 작업자(10)의 다리를 감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0)의 제1 면에 배치된 두 개의 제2 벨트(130)가 각각 작업자(10)의 양 다리를 감쌀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2 벨트(130)의 제1 단과 연결된 각각의 제2 벨트 고정핀(131)은 케이스(110)의 제1 면과 인접한 면에 배치된 제2 벨트 버클(132) 각각과 결합되어 작업자(10)의 양 다리를 감쌀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벨트(130)는 작업자(10)를 케이스(110)와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는 제2 벨트 버클(132)이 케이스(110)의 제1 면과 인접한 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관함(14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보관함(140)이 케이스(110)의 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관함(140)은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공구 및 도면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 현장에서의 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보관함 도어(141)는 보관함(140) 상에 배치되어 보관함(140)을 밀폐시킬 수 있다. 도 2는 보관함 도어(141)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보관함 도어(141)는 경첩(미도시)을 이용하여 케이스(1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리트랙터(17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트랙터(17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벨트(120)의 제2 단과 연결될 수 있다.
리트랙터(170)는 ELR(Emergency Locking Retractor)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리트랙터(17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의 안전 벨트의 원리와 동일하고, 관성 또는 센서를 통해 기어의 회전을 방해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ELR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벨트(120)는 제1 방향(D1)으로 자유롭게 풀릴 수 있다. 하지만, 제1 벨트(120)가 제1 방향(D1)으로 급격하게 풀리는 경우, 제1 벨트(120)는 ELR 방식의 리트랙터(170)에 의해 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벨트(120)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 제2 방향(D2)으로 리트랙터(170)에 의해 자동으로 감길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트랙터(170)와 연결되는 제1 벨트(120)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리트랙터(170)를 향하는 제1 방향(D1)으로 자동으로 감기고, 리트랙터(170)와 대향하는 제2 방향(D2)으로 제1 벨트(120)가 당기어지는 속도에 따라 리트랙터(170)에 의해 제1 벨트(120)가 풀리거나 풀리지 않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후크(15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150)는 케이스(110)의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의 내부에 배치된 후크 보관함(160)에 연결될 수 있다.
후크 보관함 도어(161)는 후크 보관함(160) 상에 배치되어 후크 보관함(160)을 밀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후크 보관함 도어(161)는 경첩(미도시)을 이용하여 케이스(1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후크(150)가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된 것을 도시한다.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된 후크(150)는 작업 현장의 안전 고리(미도시)와 연결되어 작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1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크(150)는 안전 장구(10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후크 보관함(160)에 보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10)는 케이스(110)와 각각의 제1 벨트(120) 사이에 양 어깨를 위치시킴으로써, 배낭을 매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안전 장구(100)을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10)는 각각의 제2 벨트(130)를 이용하여 양 다리를 감쌈으로써 안전 장구(100)를 작업자(10)와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안전 장구(10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공구 및 도면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140)과, 후크(150)를 보관할 수 있는 후크 보관함(160)를 포함하여,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10)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안전 장구(100)는 ELR 방식의 리트랙터(170)를 채용함으로써, 안전 장구(10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제1 벨트(12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벨트(120)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보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를 설명한다. 도 1의 안전 장구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구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안전 장구(200)는 옷(clothes)(20), 케이스(210), 제1 벨트(220), 제1 벨트 고정핀(221), 제1 벨트 버클(222), 제2 벨트(230), 제2 벨트 고정핀(231), 제2 벨트 버클(232), 보관함(미도시), 보관함 도어(미도시), 후크(250), 후크 보관함(미도시), 후크 보관함 도어(261) 및 리트랙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7의 안전 장구(200)는 도 1의 안전 장구(100)와 달리, 옷(20), 제1 벨트 고정핀(221) 및 제1 벨트 버클(22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안전 장구(200)는 제1 벨트(220)가 작업자(10)의 허리를 감싼다.
옷(20)은 케이스(21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옷(20)의 후면은 케이스(210)의 제1 면과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10)는 케이스(210)와 연결된 옷(20)을 착용함으로써 안전 장구(200)를 착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옷(20)이 작업자(10)의 팔과 얼굴을 제외한 상반신을 감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옷(20)은 작업자의 얼굴을 제외한 상반신과 하반신을 감쌀 수 있다.
제1 벨트(220)는 케이스(210)의 제1 면과 인접한 제2 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벨트(220)는 두 개가 배치될 수 있고, 그 중 하나의 제1 벨트(220)는 제1 벨트 고정핀(221)과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제1 벨트(220)는 제1 벨트 버클(222)과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10)는 옷(20)을 착용하고, 이어서 두 개의 제1 벨트(220)를 이용하여 옷(20) 상으로 작업자(10)의 허리를 감쌀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벨트 고정핀(221)과 제1 벨트 버클(222)이 결합됨으로써 안전 장구(200)를 작업자(10)와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의 안전 장구(200)는 도 1의 안전 장구(100)와 비교하여, 케이스(210)와 연결된 옷(20)을 작업자(10)가 착용하고, 제1 벨트(220)를 이용하여 작업자(10)의 허리를 감쌈으로써, 안전 장구(200)를 작업자(10)와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작업자 110: 케이스
120: 제1 벨트 130: 제2 벨트
131: 제2 벨트 고정핀 132: 제2 벨트 버클
140: 보관함 141: 보관함 도어
150: 후크 160: 후크 보관함
161: 후크 보관함 도어 170: 리트랙터

Claims (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작업자를 상기 케이스와 고정시키는 제1 벨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1 벨트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벨트의 일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리트랙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출입이 가능한 후크(hook);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리트랙터와 연결되는 상기 제1 벨트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리트랙터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자동으로 감기고,
    상기 리트랙터와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벨트가 당기어지는 속도에 따라 상기 리트랙터에 의해 상기 제1 벨트가 풀리거나 풀리지 않고,
    상기 케이스는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 상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벨트는 상기 제1 면과 연결되어 상기 작업자의 어깨를 감싸고,
    상기 후크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제2 면으로 출입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보관함을 열거나 닫기 위한 보관함 도어가 배치되고,
    상기 작업자의 다리를 감싸는 제2 벨트는 상기 제1 면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된 제2 벨트 버클과 결합될 수 있는, 안전 장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옷(clothes)을 더 포함하는 안전 장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는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자의 허리를 감싸는 안전 장구.
KR2020160002823U 2016-05-24 2016-05-24 안전 장구 KR200487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23U KR200487528Y1 (ko) 2016-05-24 2016-05-24 안전 장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23U KR200487528Y1 (ko) 2016-05-24 2016-05-24 안전 장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72U KR20170004072U (ko) 2017-12-04
KR200487528Y1 true KR200487528Y1 (ko) 2018-10-01

Family

ID=6125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823U KR200487528Y1 (ko) 2016-05-24 2016-05-24 안전 장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473B1 (ko) * 2019-12-06 2021-09-23 권정수 건물의 비상탈출용 로프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286B1 (ko) * 2007-05-11 2008-09-25 황병선 개인용 라펠 탈출 안전장치
KR101288774B1 (ko) 2013-03-07 2013-07-22 김성탄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JP2015140505A (ja) * 2014-01-29 2015-08-03 サムスン シーアンドティー コーポレーション 着脱可能な墜落防止用安全帯を備えた落石防護用救命胴衣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71Y1 (ko) * 2011-07-29 2013-10-10 최용희 인명구조용 로프 사다리
KR20140079069A (ko) 2012-12-18 2014-06-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용 안전벨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286B1 (ko) * 2007-05-11 2008-09-25 황병선 개인용 라펠 탈출 안전장치
KR101288774B1 (ko) 2013-03-07 2013-07-22 김성탄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JP2015140505A (ja) * 2014-01-29 2015-08-03 サムスン シーアンドティー コーポレーション 着脱可能な墜落防止用安全帯を備えた落石防護用救命胴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72U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4081B1 (en) Safety utility belt
US20040099705A1 (en) Tool bag which can be carried next to the body of a person
US9629446B2 (en) Tool pouch with retractors
KR200487528Y1 (ko) 안전 장구
JP2006037712A (ja) 作業者の落下防止装置
KR100625004B1 (ko) 안전벨트가 결합된 안전상의
KR200392781Y1 (ko) 안전구명줄
KR200426409Y1 (ko) 안전벨트용 구명 로프 어셈블리
KR101662948B1 (ko) 공구 착용 벨트
JP6733884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JP2020195518A (ja) ランヤード
KR20110005916U (ko) 산업용 안전그네 및 충격흡수장치
KR20200133875A (ko) 안전 보호구 조끼
KR20200114257A (ko) 안전조끼
JP2004249062A (ja) 安全帯のロープ巻取器
KR20180040401A (ko)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US20090188749A1 (en) Safety harness
KR200461050Y1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JP2764118B2 (ja) ハーネス型安全ベルト
KR200417156Y1 (ko) 안전벨트가 결합된 안전상의
CN205360302U (zh) 一种改进的安全带
KR102562587B1 (ko) 산업용 안전벨트 장치
KR200404667Y1 (ko) 안전벨트용 후크 및 공구 주머니
KR200254284Y1 (ko) 안전조끼
KR102023420B1 (ko) 헤드 이탈방지 구조를 가지는 수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