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069A - 작업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작업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069A
KR20140079069A KR1020120148640A KR20120148640A KR20140079069A KR 20140079069 A KR20140079069 A KR 20140079069A KR 1020120148640 A KR1020120148640 A KR 1020120148640A KR 20120148640 A KR20120148640 A KR 20120148640A KR 20140079069 A KR20140079069 A KR 20140079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elt
safety
alarm sound
det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9069A/ko
Publication of KR2014007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어깨벨트, 가슴벨트, 등받이벨트, 하단벨트가 작업자의 다리와 허리 및 어깨부위를 감싸도록 연결 형성되며, 안전고리 및 충격흡수부를 가지는 구명로프가 등받이벨트의 교차부에 연결 설치된 작업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어깨벨트의 일측에는 안전고리를 걸림시키도록 후크가 결합 설치되고, 후크에 설치되어, 안전고리의 후크 걸림 여부를 감지하는 걸림감지부, 충격흡수부에 설치되어, 충격흡수부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추락감지부, 걸림감지부와 추락감지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스피커, 걸림감지부와 추락감지부 및 경보음스피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후크에 안전고리가 걸림된 상태이거나 충격흡수부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시 걸림감지부나 추락감지부에서 경보음스피커로 신호를 전달하면서 경보음이 발생되게 하는 작업용 안전벨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작업용 안전벨트는, 어깨벨트의 후크 상에 구명로프의 안전고리 걸림여부를 감지하는 걸림감지부와, 구명로프의 충격흡수부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추락감지부를 설치한 바, 안전고리가 현장 구조물에 걸림되지 않고 후크 상에 걸림 배치되거나 충격흡수부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시 경보음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면서 착용한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의식을 인지되게 함과 더불어 추락시에는 다른 작업자로 하여금 추락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작업용 안전벨트{Safety belt for a work}
본 발명은 작업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작업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 현장에서 추락사고 방지를 위하여 착용하는 안전벨트는 허리에만 착용하는 안전벨트와 다리/허리/어깨부위를 감싸는 그네식 안전벨트(Harness)가 있으며, 허리에만 착용하는 안전벨트는 추락시 인체하중에 의해 작업자의 허리에 충격을 가하여 척추골절등의 큰 부상을 일으키는 바, 하중을 고르게 분포시켜줄 수 있는 그네식 안전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그네식 안전벨트는, 그네식 안전벨트(10)는 크게 작업자의 양측 어깨부위에 착용되는 어깨벨트(12)와, 작업자의 가슴부분에서 체결되는 가슴벨트(13)와, 상기 양측 어깨벨트(12)에서 연장되어 작업자의 등부위에서 교차되는 등받이벨트(14)와, 상기 어깨벨트(12) 및 등받이벨트(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양측 허벅지부위를 감싸는 하단벨트(16)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 어깨벨트(12)에서 연장되어 교차되는 등받이벨트(14)의 교차부에는 지지구(18)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18)에는 안전고리(17) 및 충격흡수부(19)가 형성된 구명로프(20)를 연결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그네식 안전벨트는,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 의식을 인지되게 하는 수단이 없음으로 인해, 상기 작업자가 상기 구명로프(20)의 안전고리(17)를 현장 구조물에 걸어 사용하지 않고, 상기 어깨밸트(12)에 걸어놓은 상태로 작업하는 경우가 다반사인 바, 추락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구명로프(20)의 안전고리(17)를 현장 구조물에 걸어 사용할 경우에는, 추락시 타인에게 추락을 알려줄 수단이 없음으로 인해 구조작업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작업자로 하여금 구명로프를 현장 구조물에 연결한 상태로 작업하도록 안전의식을 인지되게 함과 더불어 작업자의 추락 발생시 추락 상태를 타인에게 알려줄 수 있게 하는 작업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어깨벨트, 가슴벨트, 등받이벨트, 하단벨트가 작업자의 다리와 허리 및 어깨부위를 감싸도록 연결 형성되며, 안전고리 및 충격흡수부를 가지는 구명로프가 상기 등받이벨트의 교차부에 연결 설치된 작업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어깨벨트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고리를 걸림시키도록 후크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후크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고리의 상기 후크 걸림 여부를 감지하는 걸림감지부, 상기 충격흡수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흡수부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추락감지부, 상기 걸림감지부와 상기 추락감지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스피커, 상기 걸림감지부와 상기 추락감지부 및 상기 경보음스피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크에 상기 안전고리가 걸림된 상태이거나 상기 충격흡수부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시 상기 걸림감지부나 상기 추락감지부에서 상기 경보음스피커로 신호를 전달하면서 경보음이 발생되게 하는 작업용 안전벨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감지부는 상기 후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전고리가 걸림시 증대되는 하중을 감지하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하중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락감지부는 상기 충격흡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작업자가 추락하면서 상기 충격흡수부의 상기 구명로프가 겹침상태에서 풀림시 길이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장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벨트는, 어깨벨트의 후크 상에 구명로프의 안전고리 걸림여부를 감지하는 걸림감지부와, 구명로프의 충격흡수부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추락감지부를 설치한 바, 안전고리가 현장 구조물에 걸림되지 않고 후크 상에 걸림 배치되거나 충격흡수부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시 경보음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면서 착용한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의식을 인지되게 함과 더불어 추락시에는 다른 작업자로 하여금 추락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그네식 안전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벨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용 안전벨트는, 일반적인 공지의 그네식 안전벨트의 구조를 가지는 상태로 걸림감지부(600), 추락감지부(700), 경보음스피커(800), 전원공급부(90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작업용 안전벨트의 기본 구조는 작업자의 상체 전면에서 양측 어깨부위에 착용되는 어깨벨트(100)와, 상기 작업자의 가슴전방에서 수평으로 체결되는 가슴벨트(200)와, 상기 어깨벨트(100)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업자의 등부위에서 교차되는 등받이벨트(300)와, 상기 어깨벨트(100) 및 상기 등받이벨트(3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자의 양측 허벅지부위를 감싸는 하단벨트(400)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등받이벨트(300)의 교차부에는 안전고리(510) 및 상기 충격흡수부(520)를 가지는 구명로프(500)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어깨벨트(100)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고리(510)을 걸림상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후크(110)가 결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부(520)는 수납케이스(521) 내부에 상기 구명로프(500)를 겹쳐서 수용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걸림감지부(600)는 상기 구명로프(500)의 안전고리(510)를 상기 작업자가 상기 어깨벨트(100)의 후크(110)에 연결 배치되도록 걸림시켰는지 또는 이탈되도록 걸림해제시켰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감지부(600)는 상기 후크(11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후크(110)에 상기 안전고리(510)가 걸림 배치될 경우 상기 후크(110)에 가해지는 상기 안전고리(510)의 하중을 감지하면서 신호 발생시킨 후, 신호를 이후 설명될 경보음스피커(800)로 전달하면서 경보음이 발생되게 한다. 즉, 상기 걸림감지부(600)는 상기 후크(110)에 정해진 중량보다 큰 중량이 가해질 경우를 감지하여, 상기 경보음스피커(800)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신호를 전달시키는 하중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걸림감지부(600)는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구명로프(500)의 안전고리(510)를 현장 구조물에 걸어 배치하지 않고, 상기 어깨벨트(100)의 후크(110)에 걸림 배치할 경우를 감지하여 상기 경보음스피커(800)로 하여금 경보음을 발생되게 하면서, 상기 작업자에게 안전의식을 인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추락감지부(700)는 상기 구명로프(500)의 충격흡수부(520) 풀림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추락감지부(600)는 상기 충격흡수부(520)에 겹쳐진 상태로 삽입 배치되는 상기 구명로프(50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작업자가 추락하면서 상기 충격흡수부(520)의 충격흡수에 따른 상기 구명로프(500)의 풀림상태를 감지하면서 신호 발생시킨 후, 신호를 이후 설명될 경보음스피커(800)로 전달하면서 경보음이 발생되게 한다. 즉, 상기 충격감지부(700)는 상기 충격흡수부(520)의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 상기 구명로프(500)에 연결되어 상기 구명로프(500)의 펼침시 길이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경보음스피커(800)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신호를 전달시키는 인장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추락감지부(700)는 상기 안전고리(510)를 상기 현장 구조물에 걸어서 고소 작업시 상기 작업자가 현장 구조물에서 추락할 경우를 감지하여 상기 경보음스피커(800)로 하여금 경보음을 발생되게 하면서, 다른 작업자들로 하여금 사고를 인지할 수 있게 하여 빠른 사고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경보음스피커(800)는 상기 걸림감지부(600) 및 상기 추락감지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걸림감지부(600) 및 상기 추락감지부(700)에서 발생된 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경보음스피커(800)는 어깨벨트(100), 가슴벨트(200), 등받이벨트(300), 하단벨트(400), 구명로프(500) 중 어느 한 곳의 일측에 하나를 설치하여 상기 걸림감지부(600) 및 상기 추락감지부(700)와 전선(도면미도시)을 통해 연결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추락감지부(700)가 설치되는 상기 구명로프(500)의 일측에 추가로 별도 설치된 상태로 상기 추락감지부(700)에만 별도로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추가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900)는 상기 걸림감지부(600)와 상기 추락감지부(700) 및 상기 경보음스피커(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걸림감지부(600)와 상기 추락감지부(700) 및 상기 경보음스피커(800)가 작동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전원공급부(900)는 어깨벨트(100), 가슴벨트(200), 등받이벨트(300), 하단벨트(400), 구명로프(500) 중 어느 한 곳의 일측에 하나를 설치하여 상기 걸림감지부(600)와 상기 추락감지부(700) 및 상기 경보음스피커(800)로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추락감지부(700)가 설치되는 상기 구명로프(500)의 일측에 추가로 별도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명로프(500)에 별도로 설치되는 상기 경보음스피커(800)에만 별도로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추가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전원공급부(900)에는 상기 걸림감지부(600)와 상기 추락감지부(700) 및 상기 경보음스피커(800)로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전원버튼(도면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용 안전벨트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작업자는 다리와 허리 및 어깨부위를 감싸도록 상기 어깨벨트(100), 가슴벨트(200), 등받이벨트(300), 하단벨트(400)를 착용한다. 이후 고소 작업시 상기 등받이벨트(300)의 교차부에 연결된 상기 구명로프(500)의 안전고리(510)를 상기 현장 구조물에 걸림되게 한다. 만약, 상기 안전고리(510)를 상기 현장 구조물에 걸지 않고 상기 어깨벨트(100)의 후크(110)에 걸림시킨 상태가 될 경우, 상기 걸림감지부(600)가 이를 감지하면서 상기 경보음스피커(800)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게 하면서 상기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안전고리(510)를 상기 현장 구조물에 걸어 사용하도록 인지되게 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가 상기 현장 구조물에 상기 구명로프(500)의 안전고리(510)를 걸어 작업하는 상태에서 추락할 경우에는, 상기 추락감지부(700)에서 상기 구명로프(500)의 충격흡수부(520)에서의 충격흡수 발생을 감지, 즉 상기 충격흡수부(520)에 겹쳐져 있던 상기 구명로프(500)의 풀림에 따른 길이변화를 감지하면서 상기 경보음스피커(800)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게 하면서 다른 작업자들로 하여금 추락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하여 빠른 사고수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용 안전벨트는, 상기 어깨벨트(100)의 후크(110) 상에 상기 구명로프(500)의 안전고리(510) 걸림여부를 감지하는 걸림감지부(600)와, 상기 구명로프(500)의 충격흡수부(520)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추락감지부(700)를 설치한 바, 상기 안전고리(510)가 상기 현장 구조물에 걸림되지 않고 상기 후크(110) 상에 걸림 배치되거나 상기 충격흡수부(520)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시 상기 경보음스피커(800)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면서 착용한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의식을 인지되게 함과 더불어 추락시에는 다른 작업자로 하여금 추락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어깨벨트 110: 후크
200: 가슴벨트 300: 등받이벨트
400: 하단벨트 500: 구명로프
510: 안전고리 520: 충격흡수부
600: 걸림감지부 700: 추락감지부
800: 경보음스피커 900: 전원공급부

Claims (3)

  1. 어깨벨트, 가슴벨트, 등받이벨트, 하단벨트가 작업자의 다리와 허리 및 어깨부위를 감싸도록 연결 형성되며, 안전고리 및 충격흡수부를 가지는 구명로프가 상기 등받이벨트의 교차부에 연결 설치된 작업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어깨벨트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고리를 걸림시키도록 후크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후크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고리의 상기 후크 걸림 여부를 감지하는 걸림감지부와;
    상기 충격흡수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흡수부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추락감지부와;
    상기 걸림감지부와 상기 추락감지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스피커; 및,
    상기 걸림감지부와 상기 추락감지부 및 상기 경보음스피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크에 상기 안전고리가 걸림된 상태이거나 상기 충격흡수부에 의한 충격흡수 발생시 상기 걸림감지부나 상기 추락감지부에서 상기 경보음스피커로 신호를 전달하면서 경보음이 발생되게 하는 작업용 안전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감지부는 상기 후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전고리가 걸림시 증대되는 하중을 감지하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하중센서인 작업용 안전벨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감지부는 상기 충격흡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작업자가 추락하면서 상기 충격흡수부의 상기 구명로프가 겹침상태에서 풀림시 길이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장센서인 작업용 안전벨트.
KR1020120148640A 2012-12-18 2012-12-18 작업용 안전벨트 KR20140079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640A KR20140079069A (ko) 2012-12-18 2012-12-18 작업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640A KR20140079069A (ko) 2012-12-18 2012-12-18 작업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069A true KR20140079069A (ko) 2014-06-26

Family

ID=5113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640A KR20140079069A (ko) 2012-12-18 2012-12-18 작업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906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621B1 (ko) * 2015-10-28 2016-02-12 주식회사 삼일피엔유 전자식 폴리스 라인 음성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105725299A (zh) * 2016-04-01 2016-07-06 德清申力索具有限公司 一种安全衣
KR20170004072U (ko) 2016-05-24 2017-1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장구
WO2019025345A2 (fr) 2017-07-31 2019-02-07 Haulotte Group Système de sécurité et engin de levage comprenant un tel système de sécurité
KR101964727B1 (ko) * 2018-08-22 2019-04-02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KR20190108876A (ko) 2018-03-15 2019-09-25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CN112504328A (zh) * 2020-12-15 2021-03-16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作业安全带无线监控系统
CN114034422A (zh) * 2021-11-25 2022-02-11 安丹达工业技术(上海)有限公司 安全带坠落冲击指示装置
KR20230166452A (ko) 2022-05-31 2023-12-07 임성균 Iot기반 고도작업자용 안전벨트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621B1 (ko) * 2015-10-28 2016-02-12 주식회사 삼일피엔유 전자식 폴리스 라인 음성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105725299A (zh) * 2016-04-01 2016-07-06 德清申力索具有限公司 一种安全衣
KR20170004072U (ko) 2016-05-24 2017-1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장구
WO2019025345A2 (fr) 2017-07-31 2019-02-07 Haulotte Group Système de sécurité et engin de levage comprenant un tel système de sécurité
US11286143B2 (en) 2017-07-31 2022-03-29 Haulotte Group Safety system and lifting equipment comprising such a safety system
KR20190108876A (ko) 2018-03-15 2019-09-25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KR101964727B1 (ko) * 2018-08-22 2019-04-02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WO2020040409A1 (ko) * 2018-08-22 2020-02-27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US11559706B2 (en) 2018-08-22 2023-01-24 Gsil Co., Ltd.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afety belt unit for high-place work
CN112504328A (zh) * 2020-12-15 2021-03-16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作业安全带无线监控系统
CN114034422A (zh) * 2021-11-25 2022-02-11 安丹达工业技术(上海)有限公司 安全带坠落冲击指示装置
KR20230166452A (ko) 2022-05-31 2023-12-07 임성균 Iot기반 고도작업자용 안전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9069A (ko) 작업용 안전벨트
KR10179015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1526950B1 (ko) 안전띠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CA2890005C (en) Safety equipment
US10431072B2 (en) Fall detection alert/alarm device and method
KR101969385B1 (ko) 하네스형 안전대의 배낭형 에어백 시스템
US10729922B2 (en) Fall protection radio frequency emergency beacon
US10828517B2 (en) Smart fall arrest system
WO2012158554A2 (en) Fall safety apparatus and method
KR101803319B1 (ko) 하네스형 안전대에 부착가능한 에어백 시스템
JP2019005425A (ja) 安全帯使用状況確認システム
EP3178528B1 (en) Fall protection harness with damage indicator
JP6483213B1 (ja) 安全帯用音声出力装置
TWI539982B (zh) 全身背帶
JP2006081746A (ja) 人体用エアバッグ装置
CN112043018A (zh) 一种坠落救援保护装置
JP6733884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KR102057239B1 (ko) 추락방지 시스템
WO2015098821A1 (ja) 保護具
AU2006207863A1 (en) Fall notifying apparatus
TWI724009B (zh) 電子掉落事件通信系統
JP7055193B2 (ja) ヘルメット装着用緊急避難警報装置および緊急避難警報システム
KR102176861B1 (ko) 산업현장용 안전대
KR20210119735A (ko) 추락 방지용 안전대
JP3168686U (ja) 安全帯の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