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777B1 - 핫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 Google Patents

핫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777B1
KR101503777B1 KR1020097017121A KR20097017121A KR101503777B1 KR 101503777 B1 KR101503777 B1 KR 101503777B1 KR 1020097017121 A KR1020097017121 A KR 1020097017121A KR 20097017121 A KR20097017121 A KR 20097017121A KR 101503777 B1 KR101503777 B1 KR 10150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late
cell
edg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970A (ko
Inventor
아르노 롤프 오튼
니콜라스 페트루스 클레인
노엘 피에르 반 아르스트
얀 안싱
Original Assignee
브라빌로 홀딩 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빌로 홀딩 베.베. filed Critical 브라빌로 홀딩 베.베.
Publication of KR20090105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A47J31/4432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with means for keeping the beverage warm
    • A47J31/4435Heated support plates
    • A47J31/4439Heated support plates with electrical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부 상에 고정된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핫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링은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플레이트 에지는 에지의 내부 상에 액밀식으로 수용된다.

Description

핫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HOTPLATE, AND ALSO ASSEMBLY COMPRISING SUCH A HOTPLATE}
본 발명은, 고온 유지될 물체를 위치시킬 수 있는 상측부와, 하측부를 갖는 금속 플레이트부로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의 원주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에지를 갖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의 하측부 상에 고정되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를 가열하기 위해 구비된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핫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핫플레이트는 공지된 것으로서, 특히 커피제조기에 사용되며, 다른 환경에서 사용되고 다른 기계와 완전히 별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습기 있는 환경에서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핫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고온 유지될 물체를 위치시킬 수 있는 상측부와, 하측부를 갖는 금속 플레이트부로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의 원주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에지를 갖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의 하측부 상에 고정되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를 가열하기 위해 구비된 전기 가열 요소; 및
링(31);을 포함하고,
상기 링은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상기 플레이트 에지는 상기 링의 내부에 액밀식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성취된다.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링의 내부 상에 상기 플레이트부를 상기 플레이트 에지와 액밀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핫플레이트의 상부 상에 누설된 액체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부 상의 상기 전기 가열 요소에 도달할 수 없다. 이는 상기 전기 가열 요소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부 상에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 에지가 상기 링의 내부에 액밀식으로 수용되기 때문이다. 상기 플레이트 에지가 상기 셀 에지의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핫플레이트는 이러한 경우에 상기 벽의 표면 상에 상기 핫플레이트가 돌출될 필요 없이 프레임의 수평방향 벽 내에 전기 절연식으로 비교적 단순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핫플레이트는 상기 벽 내에 오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의 열전도성에 비해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의 열전도성이 임의의 비율로 비교적 낮기 때문에, 봉입형 구성에 대한 열교 현상(thermal bridge)이 형성되므로, 상기 핫플레이트의 전기 효율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을 제조하는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은 탄성 가요성을 가지므로, 상기 링은 0.4 내지 0.6 mm의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11)의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링은 예컨대 124 mm의 직경을 갖는 금속 플레이트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20℃ 내지 180℃로 가열하는 상기 직경은 약 124.5 mm으로서 약 0.5 mm만큼 증가한다. 상기 플레이트부의 열팽창은 가열 동안에 상기 링의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부의 액밀식 고정을 더욱 개선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플레이트 에지가 상기 링에 대해 보다 확고하게 가압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호한 전기 절연 및 양호한 단열을 목적으로, 상기 링을 제조하는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이 고무상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 특히 고무상 물질의 형태인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은 55 내지 85, 특히 약 70의 쇼어 경도 스케일 A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경도의 경우, 상기 플라스틱 물질은 한편으로는 상기 링의 내부 상에 상기 플라스틱부의 양호한 영구적인 고정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강성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고정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가요성이 있다. 고무상 물질의 경우에, 또 다른 요인은 이러한 쇼어 경도를 갖는 고무상 물질이 상기 플레이트부의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기에 충분한 탄성 가요성을 가진다는 점이다.
상기 링의 내부 상에 상기 플레이트부를 고정하는 다른 방법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고정은 상기 플레이트부의 원주 둘레로 연장되는 리브가 상기 플레이트 에지의 외부에 형성되면, 그리고 상기 리브를 수용하는 홈부가 상기 링의 내부에 제공되면 내구성 있고 기술적으로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성취된다.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링의 내부 상에 상기 링 내로 강제될 수 있으며, 상기 링은 상기 리브가 상기 홈부 내에 배치될 때까지 약간 제공할 것이다. 액밀성 밀봉은 끼워진 상태에서의 상기 링이 초기의 탄성 인장(상기 링의 직경을 감소시킴)하에 있도록 상기 링을 고정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핫플레이트는 원주방향으로 주행되며 상기 링을 형성하는 셀 에지를 갖는 보울 형상의 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셀은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상기 전기 가열 요소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보울 형상의 셀 내에 놓인다. 그 밖에, 상기 보울 형상의 셀은 실질적으로 폐쇄된다. 상기 보울 형상의 셀은 예컨대 물방울의 형태로서 상기 바닥부로부터 발생되는 습기가 상기 가열 요소 근방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가열 요소가 상기 셀의 바닥부 상에 거리를 두어 위치된다. 이는 상기 가열 요소가 물과 습기와 전기적 접촉을 하고, 물 및/또는 습기가 상기 셀에 도입되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 경우, 한편으로 상기 플레이트부 및 상기 가열 요소와 다른 한편으로 상기 셀의 바닥부 사이에서 획득된 공간은, 특히 상기 공간이 가스(특히, 공기)로 채워진 환경 쪽으로 절연 효과를 더욱 개선시킨다. 실지로, 공기와 같은 가스는 비교적 열악한 열 전도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절연 효과는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셀의 바닥부 사이에 비교적 짧은 거리에 있을 경우에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셀의 바닥부로의 거리는 4 mm 이상, 바람직하게 7 mm 이상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 요소에 전력 공급을 하기 위한 상기 가열 요소로의 전기 코드용으로, 상기 셀, 특히 상기 셀의 바닥부 내에 통로가 제공된다. 상기 셀 내에 이러한 통로를 제공하면, 상기 가열 요소 근방에 도달하는 이와 같은 통로를 통해 상기 셀에 임의의 습기가 도입될 위험을 감소시킨다. 상기 통로를 상기 전기 코드보다 얇은 두께의 폭을 갖는 슬롯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상기 전기 코드가 상기 슬롯을 통해 삽입하기가 쉬워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슬롯이 상기 전기 코드 둘레를 밀봉하여 습기가 상기 슬롯을 통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슬롯을 소위 자체 차단 슬롯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임의의 습기가 통과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용어 "자체 차단 슬롯(self-closing slot)"은 전기 코드가 관통되지 않은 경우에 저절로 폐쇄하는 슬롯을 의미한다. 특히, 고무상 물질과 같이 충분한 탄성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에, 전기 코드가 상기 슬롯을 뚫고 나오는 경우에 매우 양호한 밀봉이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열 요소는 소위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요소일 수 있다. 가열 요소로서의 소위 PTC 요소는 핫플레이트의 경우에 종래기술에 잘 공지되어 있다. PTC 요소의 이점은 상기 요소가 소정 온도에 도달할 경우에 전기 접속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상기 가열 요소 내에 온도 스위치가 장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핫플레이트에 다른 가열 요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용기와, 본 발명에 따른 핫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용기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측부 상에 평탄하게 위치될 수 있는 바닥부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용기의 하부와 상기 핫플레이트의 상측부는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된다. 이는 상기 핫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용기로의 열전달 및 상기 용기를 통한 상기 용기의 내용물로의 열전달을 개선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과, 본 발명에 따른 핫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하우징은 구멍을 형성하는 상측으로 면하는 벽을 갖고, 상기 구멍은 구멍 에지를 가지며, 상기 핫플레이트의 링은 액밀식으로 맞물리도록 상기 구멍 에지 내에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핫플레이트의 상측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통과할 수 없게 한다.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핫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것은, 상기 구멍 에지와 상기 링 사이의 스냅 연결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상에 상기 핫플레이트를 고정함으로써 쉽게 성취된다. 그 다음, 상기 핫플레이트는 상기 스냅 연결부가 작동할 때까지 상기 구멍 에지 내로 링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핫플레이트가 상부로부터 상기 구멍 내에 위치되어 스냅 결합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핫플레이트가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스냅 연결부가 설계되면, 조립 작업이 보다 단순해진다. 이는 상기 핫플레이트가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의 구멍에 배치되고, 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의 구멍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 시에, 용기 등의 물체가 상기 핫플레이트 상에 세워질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공간이 외부로부터 항상 존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경우에, 상기 구멍 에지가 상기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테이퍼지며, 상기 셀 에지의 외부가 상기 구멍 에지와 상응하게 테이퍼지면, 더욱 유리하다. 이는 상기 핫플레이트가 너무 큰 하중 하에 놓인 경우에 상기 하우징 내로 충분히 가압될 수 없음을 보장한다. 실지로, 구멍 에지를 테이퍼지게 하고 이에 상응하게 외부 상에 링을 테이퍼지게 하는 것은 상기 핫플레이트가 상기 구멍 내에 너무 아래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테이퍼가 수직방향에 대해 35°내지 55°의 범위로 놓인 각도로 형성되면 유리하다. 각도는 예컨대 약 45°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테이퍼는 상기 핫플레이트가 상기 구멍을 통해 완전히 가압될 수 없는 한편, 충분히 견고하고 타이트한 고정이 보장될 수 있는 매우 신뢰성 있는 방식을 보장한다. 소망한다면, 상기 핫플레이트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지향된 초기의 인장력이 상기 링에 대해 외부로부터 발휘되도록 특정의 압축 응력 하에서 상기 구멍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테이퍼는 상기 링을 상측방향으로 팽창하기 때문에, 상기 플레이트부의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한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상기 스냅 연결부와 조합하여, 사용 동안에 장착된 상태에서 볼 때, 상기 플레이트 에지의 외부에 형성된 상기 리브가 상기 구멍 에지와 링의 테이퍼 쪽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 더욱 유리하다. 이는 견고한 장착을 보장하여, 상기 링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물 저장기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핫플레이트는 이 경우에 상기 물 저장기 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커피제조기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체는 상기 핫플레이트의 상측부 상에 평탄하게 위치될 수 있는 바닥부를 갖는 용기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이점은 이미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커피제조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핫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플레이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수평방향 벽에 장착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핫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의 사시도이다. 조립체(1)는 커피제조기에 구비되며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핫플레이트(10)를 구비한 하우징(2)을 포함한다. 하우징(2)은 충진 레벨 지시기(4)를 갖는 물 저장기(3)를 포함한다. 물 저장기(4) 의 상측부에는, 깔때기 형상의 커피 필터 홀더(6)를 아래에 매다는 지지 아암(5)이 제공된다. 필터 홀더(6) 아래에는 커피 용기(7)가 배치된다. 상기 커피 용기(7)는 하우징의 기부(8)에 의해 지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핫플레이트(10) 상에 놓인다. 기부(8)의 전방에는 3개의 버튼이 제공되며, 이와 같은 버튼에 의해 커피제조기가 작동될 수 있으며, 커피제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라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핫플레이트(10)는 물 저장기(3) 상의 지지 아암(5)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핫플레이트 위에는 커피로 채워진 또 다른 용기(7)가 놓인다. 이로써, 커피 용기가 고온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동시에, 다음 용기의 커피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핫플레이트(10)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핫플레이트(10)는 실질적으로 하기와 같은 3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 금속 플레이트부(11)
·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의 링(31)
· 가열 요소(15), 이 경우 소위 PTC 요소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링(31)은 셀(12)의 셀 에지(21)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링(31)은 셀의 일부일 필요는 없다.
플레이트부는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플레이트부(11)는 특 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시트로 제조된다. 플레이트부(11)는 상측부(16)와 하측부(17)를 갖는다. 상측부(16)는 특수 세라믹 층(표면을 방수처리함)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세라믹 층은 종래기술에 공지된 것이다. 가열 요소(15)는 브래킷(18)에 의해 플레이트부(11)의 하측부(17)에 대해 장착된다. 물론, 이와 같은 장착은 가열 요소(15)와 플레이트부(11) 사이의 열전달 접촉이 최적이 되게 한다.
보울 형상의 셀(12)은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상기 플라스틱은 특히 합성고무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약 80의 쇼어 경도 스케일 A를 갖는 VMQ(실리콘 고무)이다. 보울 형상의 셀(12)은 원피스 사출성형된 제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보울 형상의 셀(12)은 외부에서 벽(20)에 의해 둘러싸인 바닥부(19)를 갖는다. 벽(20)의 상측부는 셀 에지(21)에 의해 지칭된다. 보울 형상의 셀(12)의 바닥부(19)와 벽(20)은 실질적으로 폐쇄된다. 또한, 바닥부(19) 내의 U자형 슬롯(22)(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슬롯이 제공될 수도 있음)은 보울 형상의 셀(12)의 바닥부와 측벽의 타이트하지 않은 부분만을 형성한다. 상기 U자형 슬롯(22)은 자체 차단식으로 설계되며, 가열 요소(15)의 전기 코드(23)를 통과하는데 사용된다.
플레이트 에지(24)는 셀 에지(21)의 내부에 액밀식으로 수용된다.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도시한 장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 에 지(24)의 외부에 리브(25)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되며, 리브는 플레이트부(11)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홈부(26)를 형성함으로써 리브(26)는 셀 에지(2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리브(25)의 단면 형상 및 홈부(26)의 단면 형상은 서로 대응할 수 있지만, 홈부의 단면 형상은 약간 상이, 특히 약간 큰 치수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부(11)의 하측부를 셀(12)의 바닥부(19) 위에서 거리를 두어 지지하기 위해, 지지 부재(27)는 셀의 벽(20)을 따라 제공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하우징의 수평방향 벽은 참조번호(14)에 의해 나타낸다. 상기 벽(14)은 예컨대 시트 재료로 제조되며, 구멍(13)은 셀 에지(21)의 치수와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 4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멍(13)은 하측으로 테이퍼지고 하측부 상에서 원통형부(29)를 지탱하는 구멍 에지(28)를 갖는다. 셀 에지(21)에 의해 형성된 링(31)은 외측부 상에서 하측으로 테이퍼지는 대응하는 설계로 이루어지며 원통형부(29)를 위한 안착 지점을 구비한다. 원통형부(29)를 위한 상기 안착 지점은 셀과 일체로 형성되는 스냅 러그(snap lug)(30)에 의해 하측부 상에 지지된다.
도 4에 있어서,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 장착 상태에서, 플레이트 에지(24)의 리브(25)는 링(31)과 구멍 에지(13)의 테이퍼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놓인다. "~쪽의 수평방향으로"는 하나의 수평방향 라인 상을 언급하도록 의미한다. 수평방향은 화살표 H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핫플레이트는 구멍(13) 내에 2가지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끼워맞춰질 수 있다. 셀(12)은 우선 원통형부(29)와 스냅 러그(30)에 의해 형성되는 스냅 연결이 상호고정될 때까지 화살표 V 방향으로 구멍(13) 내로 하측으로 가압될 수 있고, 그 후 플레이트부(11)는 리브(25)가 홈부(26) 내에 수용될 때까지 화살표 V 방향으로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셀(12) 내로 가압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우선 플레이트부(11)를 셀(12) 내에 고정하고, 그 다음 스냅 연결부(29, 30)가 상호 고정될 때까지 화살표 V 방향으로 전체의 유닛을 구멍(13) 내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부(11)의 하측부(17)와 셀(12)의 바닥부(19) 사이의 거리(A)는 대략 9 mm이고, [가열 요소(15) 아래의] 브래킷(18)의 하측부와 셀(12)의 바닥부(19) 사이의 거리(B)는 대략 4 mm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플레이트부(11)의 직경은 대략 124 mm이고, 플레이트부를 제조하는 알루미늄 합금은 대략 160℃의 온도 증가에서 0.5 mm만큼 팽창하는 경향을 갖는다(열팽창의 영향 하에서 대략 124.5 mm의 직경 증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하기와 같은 각종 이점을 제공한다.
· 핫플레이트의 모든 전기 부품은 핫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장치에 대해 완전히 전기 절연된다.
· 상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완전한 방수가 보장된다.
· 상기 장치의 내부로부터 장치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핫플레이트의 전기 무품의 완전한 액밀성이 보장된다.
·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핫플레이트의 프레임의 둘러싸는 벽(14)으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연결이 성취될 수 있다.
· 핫플레이트는 상측부/외부로부터 나사 없이 장치에 신속하게 고정될 수 있다.
· 스냅 연결부는 맞물린 후에 핫플레이트가 외부로부터 더 이상 제거될 수 없거나 또는 적어도 과도한 힘없이 제거될 수 없음을 보장한다.
· 장치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매우 양호한 온도 절연은, 한편으로 플레이트부(11)로부터 벽(14)으로의 열전도가 열교 현상에 의해 방해되고, 다른 한편으로 플레이트부(11)로부터 얼마간의 거리로 셀의 바닥부를 제공함으로써 하측부 상에 단열이 성취된다는 점에 의해 성취된다.
· 열로 인한 플레이트부(11)의 팽창은 셀 에지(21) 내에서 매우 잘 흡수된다.
· 핫플레이트부의 오목한 위치를 통해, 상기 핫플레이트를 제공하는 장치는 잘 세척되기 쉽고, 용기는 보다 쉽게 소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 셀 에지는 특유한 색상(야광색)으로 제조되어, 핫플레이트의 위치가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다.

Claims (23)

  1. 고온 유지될 물체(7)를 위치시킬 수 있는 상측부(16)와, 하측부(17)를 갖는 금속 플레이트부(11)로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11)의 원주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에지(24)를 갖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11);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11)의 하측부(17) 상에 고정되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부(11)를 가열하기 위해 구비된 전기 가열 요소(15); 및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하우징(2) 내의 원형의 구멍(13)의 구멍 에지(28)와 결합하기 위한 스냅 연결부(29, 30)를 외부면에 갖는 링(31);을 포함하는 핫플레이트(10)에 있어서,
    상기 링(31)은 55 내지 85의 쇼어 경도(Shore hardness) 스케일 A를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링은 하측으로 테이퍼진 외측 에지를 가짐으로써 액밀식(fluid-tight)으로 외측 에지와 상응하는 테이퍼의 구멍 에지(28)와 결합하며, 상기 링은 내부면을 따라 링 재료에 의해 3개의 측부 상에 인접된 원형의 홈부(26)를 구비함으로써, 액밀식으로 상기 홈부 내에 수용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에지(24)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는 수직방향(화살표 V)에 대해 35°내지 55°의 범위로 놓인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에지(24)의 외부 상의 상기 플레이트부(11)의 원주 둘레로 리브(25)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25)는 상기 상측부(1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부면과, 상기 링(31)의 테이퍼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연결부(29, 30)는 상기 핫플레이트(10)가 상부로부터 상기 구멍(13) 내에 위치되어 스냅 결합하게 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핫플레이트(10)가 상기 구멍(13)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주행하며 상기 링(31)을 형성하는 셀 에지(21)를 갖는 보울 형상의 셀(1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셀(12)은 전기 절연형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11)와 상기 가열 요소(15)는 상기 셀(12)의 바닥부(19) 위에서 거리(A, B)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셀(12)의 바닥부(19)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11)의 거리(A)는 4 mm 내지 7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15)로의 전기 코드(23)를 위해, 상기 셀(12) 내에 통로(2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전기 코드(23)보다 얇은 두께의 폭을 갖는 슬롯(22)의 형 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22)은 자동 차단형 슬롯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는 PTC 요소(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플레이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핫플레이트(10)와, 하우징(2)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구멍(13)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면하는 벽(14) 내에 제공되며,
    상기 구멍 에지(28)는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는 수직방향(화살표 V)에 대해 35°내지 55°의 범위로 놓인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97017121A 2007-01-18 2008-01-18 핫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KR101503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0441A NL2000441C2 (nl) 2007-01-18 2007-01-18 Warmhoudplaat alsmede samenstel omvattende een dergelijke warmhoudplaat.
NL2000441 2007-01-18
PCT/NL2008/050032 WO2008088218A2 (en) 2007-01-18 2008-01-18 Hotplate, and also assembly comprising such a hot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970A KR20090105970A (ko) 2009-10-07
KR101503777B1 true KR101503777B1 (ko) 2015-03-18

Family

ID=3852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121A KR101503777B1 (ko) 2007-01-18 2008-01-18 핫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269147B2 (ko)
EP (1) EP2124687B1 (ko)
JP (1) JP5042317B2 (ko)
KR (1) KR101503777B1 (ko)
CN (1) CN101626713B (ko)
AT (1) ATE492196T1 (ko)
AU (1) AU2008205755B2 (ko)
CA (1) CA2675674C (ko)
DE (1) DE602008004109D1 (ko)
DK (1) DK2124687T3 (ko)
ES (1) ES2357329T3 (ko)
NL (1) NL2000441C2 (ko)
NZ (1) NZ578420A (ko)
PL (1) PL2124687T3 (ko)
RU (1) RU2428092C2 (ko)
TW (1) TWI409045B (ko)
WO (1) WO2008088218A2 (ko)
ZA (1) ZA2009052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0095B (zh) * 2011-03-17 2016-06-08 邓志明 带加热器具的食品处理器
EP3125645A1 (en) * 2015-07-31 2017-02-01 Bleckmann GmbH & Co. KG Flange assembly for securing a heating device to a fluid container
DE102016216658B4 (de) 2016-09-02 2024-05-29 BSH Hausgeräte GmbH Beheizbare Abstelleinrichtung
CN107231714B (zh) * 2017-06-13 2020-07-31 泾县信达工贸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多种规格加热管的加热盘
CN108652443A (zh) * 2018-06-11 2018-10-16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多功能煮茶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381A (en) * 1980-10-01 1982-10-26 Scovill Inc. Warming plate mounting arrangement in a single-pass drip-type electric coffeemaker
US5081915A (en) * 1989-02-14 1992-01-21 Robert Krups Stiftung & Co. Kg. Machine for brewing hot beverag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04573A1 (de) * 1973-01-31 1974-08-08 Wigo Widmann Soehne Gottlob Heizplatte fuer kaffeemaschine
JPS5639477Y2 (ko) * 1977-02-25 1981-09-14
JPS60100918A (ja) * 1983-11-07 1985-06-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ヒメ−カ用発熱体
DE8412545U1 (de) * 1984-04-21 1985-05-23 Braun Ag, 6000 Frankfurt Kaffeemaschine mit Warmhalteplatte
JPH0755199B2 (ja) * 1986-01-10 1995-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ミル付きコ−ヒ−沸し器
JPH0630121Y2 (ja) * 1987-05-22 1994-08-17 株式会社東芝 コ−ヒ−抽出器
DE8709572U1 (ko) * 1987-07-11 1988-11-10 Robert Krups Stiftung & Co Kg, 5650 Solingen, De
US5145090A (en) * 1989-05-26 1992-09-08 Wyatt W Burk Article with snap-fit connection
DE4128467A1 (de) * 1991-05-22 1992-11-26 Braun Ag Temperatursensor fuer eine bruehgetraenkezubereitungsmaschine
FR2683030B1 (fr) * 1991-10-24 1998-02-27 Seb Sa Systeme de maintien d'un element chauffant, et article electromenager comportant un tel systeme.
CN2170054Y (zh) * 1993-05-15 1994-06-29 李志忠 一种电加热盘
EP0853444B1 (de) * 1997-01-10 2005-11-23 E.G.O. ELEKTRO-GERÄTEBAU GmbH Kochsystem mit einer Kontaktwärme übertragenden Elektro-Kochplatte
JPH10252947A (ja) * 1997-03-07 1998-09-22 Yasushi Ishikawa パネル状コード保持具
JP2000183414A (ja) * 1998-12-15 2000-06-30 Ngk Insulators Ltd セラミック素子
US6124574A (en) * 1999-12-01 2000-09-26 Bunn-O-Matic Corporation Heated beverage container
DE20108843U1 (de) * 2001-05-26 2001-10-11 Eichenauer Gmbh & Co Kg F Heiz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381A (en) * 1980-10-01 1982-10-26 Scovill Inc. Warming plate mounting arrangement in a single-pass drip-type electric coffeemaker
US5081915A (en) * 1989-02-14 1992-01-21 Robert Krups Stiftung & Co. Kg. Machine for brewing hot bever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8004109D1 (de) 2011-02-03
JP5042317B2 (ja) 2012-10-03
DK2124687T3 (da) 2011-02-14
JP2010516326A (ja) 2010-05-20
AU2008205755A2 (en) 2009-10-01
AU2008205755A1 (en) 2008-07-24
ATE492196T1 (de) 2011-01-15
EP2124687B1 (en) 2010-12-22
NL2000441C2 (nl) 2008-07-22
ZA200905231B (en) 2012-12-27
TWI409045B (zh) 2013-09-21
TW200836680A (en) 2008-09-16
NZ578420A (en) 2012-08-31
US8269147B2 (en) 2012-09-18
CN101626713B (zh) 2012-04-25
RU2428092C2 (ru) 2011-09-10
CN101626713A (zh) 2010-01-13
AU2008205755B2 (en) 2014-08-14
PL2124687T3 (pl) 2011-05-31
WO2008088218A2 (en) 2008-07-24
CA2675674C (en) 2015-03-17
RU2009131319A (ru) 2011-02-27
KR20090105970A (ko) 2009-10-07
ES2357329T3 (es) 2011-04-25
US20100044365A1 (en) 2010-02-25
CA2675674A1 (en) 2008-07-24
WO2008088218A3 (en) 2008-09-12
EP2124687A2 (en)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777B1 (ko) 핫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JP6510184B2 (ja) 防水型制御モジュールを備える湯沸しポット
KR20170083031A (ko)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밥솥
CN113840559B (zh) 水壶
US20140103025A1 (en) Seal for use in an electrically heated vessel
CN104042109B (zh) 电热锅
EP3812657A1 (en) Heating appliance
CN213119206U (zh) 电热炊具
CN210748668U (zh) 烹饪器具及应用于其上的感温组件
CN219578658U (zh) 一种具有真空腔的杯子
CN209300814U (zh) 液体加热容器
CN210842661U (zh) 锅体组件及烹饪器具
CN211704269U (zh) 具有被加热物感温的远红外加热炉及电热水壶、多功能锅
CN217285534U (zh) 一种破壁机的隔热保温结构
CN210989523U (zh) 具有温度显示功能的杯盖和杯具
CN111248741B (zh) 液体加热容器
CN214510735U (zh) 烹饪机
CN110973996A (zh) 一种家用电水壶
JP2005329054A (ja) 飲料抽出装置
CN111248738A (zh) 液体加热容器
CN111248742A (zh) 液体加热容器
CN110946472A (zh) 电压力锅
JPH055312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