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031A -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031A
KR20170083031A KR1020177010616A KR20177010616A KR20170083031A KR 20170083031 A KR20170083031 A KR 20170083031A KR 1020177010616 A KR1020177010616 A KR 1020177010616A KR 20177010616 A KR20177010616 A KR 20177010616A KR 20170083031 A KR20170083031 A KR 20170083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plate
cover plate
cover
bod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476B1 (ko
Inventor
용펭 치우
솅후아 싱
용캉 쳉
시우치안 젱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전기밥솥을 제공한다. 커버 바디 어셈블리는 커버 바디(1); 커버 바디(1)의 내측에 설치되며, 관통된 벤트홀(221)이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2); 커버 바디(1)와 커버 플레이트(2)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 바디(1), 커버 플레이트(2)와 함께 벤트홀(221)과 상호 연통된 수용 캐비티(201)를 구획하여 형성하는 실링 컴포넌트(3); 및 커버 바디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수용 캐비티(201)를 가열하는 발열부재(4);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바디 어셈블리는 실링 컴포넌트(3)를 커버 플레이트(2)와 커버 바디(1) 사이의 간극에 설치함으로써 실링 컴포넌트(3)가 커버 플레이트(2)와 커버 바디(1)와 함께 수용 캐비티(201)를 구획하여 형성시켜, 전기밥솥 내의 증기에 대한 효과적인 회수와 재활용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보충조리 및 수분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 캐비티의 형성구조는 커버 플레이트(2), 커버 바디(1) 및 커버 플레이트(2)와 커버 바디(1) 사이의 공간을 교묘하게 이용함으로써 커버 바디 어셈블리를 더욱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구현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밥솥{COVER BODY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AND ELECTRIC COOKER HAVING SAME}
본 발명은 전기밥솥 설비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의 전기밥솥은 음식을 익히는 과정에서 전기밥솥 내에 상대적으로 많은 증기가 발생되며, 이러한 증기는 전기밥솥의 증기밸브를 통해 유실되지만, 전기밥솥은 보온 과정에서도 여전히 저온으로 전기밥솥 내의 음식을 가열하여 일정한 온도로 계속 유지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기밥솥 내에 수분이 보충되지 못하면 음식이 끓어 마르거나, 심지어 내솥 바닥벽에 달라붙는 등 문제점이 발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기존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기밥솥 내의 증기를 회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 바디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기밥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는 커버 바디; 상기 커버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며, 관통된 벤트홀이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바디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로 향하는 일측에 설치되는 보온 플레이트; 상기 보온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온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벤트홀과 상호 연통된 수용 캐비티를 구획하여 형성하는 실링 컴포넌트; 및 상기 커버 바디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캐비티를 가열하는 발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는 실링 컴포넌트를 커버 플레이트와 보온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에 설치함으로써 실링 컴포넌트가 커버 플레이트, 보온 플레이트와 함께 수용 캐비티를 구획하여 형성시켜, 전기밥솥 내의 증기에 대한 효과적인 회수와 재활용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보충조리 및 수분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 캐비티의 형성구조는 커버 플레이트, 보온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와 보온 플레이트 사이의 여유공간을 교묘하게 이용함으로써 커버 바디 어셈블리를 더욱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구현이 편리하다.
구체적으로,상기 실링 컴포넌트는 상기 보온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실링링; 및 상기 실링링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링을 상기 보온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클램핑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온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클램핑링과 버클링결합 및/또는 나사결합된다.
더 나아가,상기 실링링의 외주벽에는 환형 요홈이 형성되며,상기 클램핑링에는 상기 요홈 내에 끼움 결합되는 돌기가 마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벤트홀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표면에서 상기 보온 플레이트로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며,상기 벤트홀은 상기 오목부의 바닥벽에 형성된다.
더 나아가,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보온 플레이트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상기 커버 바디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 바디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용 캐비티와 서로 이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 센서의 프로브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며, 상기 커버 바디에는 상기 온도 센서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전기밥솥은 솥 몸체와 상기 솥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솥 몸체와 함께 쿠킹 캐비티를 구획하여 형성하는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를 설치함으로써 전기밥솥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내용과 장점은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을 통해 부분적으로 명확해질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바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바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커버 플레이트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바디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바디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의해 도시되었으며, 시종일관하게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소자를 가리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하 개시내용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제공한다. 본 발명 개시의 간략화를 위해, 이하 특정 예시의 부품과 설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론,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예시 중에서 숫자 및/또는 알파벳을 반복하여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간략화 및 명확화의 목적에 기인한 것으로, 토론되는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설치 사이의 관계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특정된 공정 및 소재를 예시하였으나,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기타 공정의 적용 가능성 및/또는 기타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000)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를 설명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밥솥(1000)은 솥 몸체(100)와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는 회전가능하게 솥 몸체(100)의 상단면에 설치될 수 있어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와 솥 몸체(100)는 함께 쿠킹 캐비티(1001)를 구획하여 형성하며,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는 오프 상태인 경우에 대체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그 하단면이 솥 몸체(100)의 상단면에 접촉함으로써 쿠킹 캐비티(1001)의 탑부가 대체로 실링된다.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는 오픈 상태인 경우에 대체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그 하단면이 솥 몸체(100)의 상단면과 분리됨으로써 쿠킹 캐비티(1001)의 탑부가 오픈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000)의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는 커버 바디(1), 커버 플레이트(2), 보온 플레이트(12), 실링 컴포넌트(3) 및 발열부재(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커버 플레이트(2)는 커버 바디(1)의 내측에 설치되며 보온 플레이트(12)는 커버 바디(1)의 커버 플레이트(2)로 향하는 일측에 설치된다. 도1과 도 4 및 도 5를 결합하여 참조하면, 커버 바디(1)는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온 플레이트(12)는 하우징(11)의 내측에 설치되며 커버 플레이트(2)는 보온 플레이트(12)의 내측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커버 플레이트(2)는 보온 플레이트(12)의 쿠킹 캐비티(1001)와 인접하는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2)는 버클구조(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A1, A2 및 A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커버 바디(1) 또는 보온 플레이트(12)에 설치되며,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가 오프상태인 경우, 커버 플레이트(2)와 보온 플레이트(12)는 모두 수평으로 설치되며, 커버 플레이트(2)가 보온 플레이트(12)의 내측(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하측)에 위치함으로 인해, 쿠킹 캐비티(1001)내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위로 이동할시 커버 플레이트(2)와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를 착탈가능하게 커버 바디(1) 또는 보온 플레이트(12)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커버 플레이트(2)를 편리하게 해체하고 세척할 수 있다. 그중, 버클구조는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것이기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2)는 기타 방식을 통해 커버 바디(1) 또는 보온 플레이트(12)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할 점은, "내"는 쿠킹 캐비티(1001)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와 상반된 방향은 "외"로 정의되며, 즉 쿠킹 캐비티(1001)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가리킨다.
더 나아가,실링 컴포넌트(3)는 보온 플레이트(12)와 커버 플레이트(2) 사이에 설치되어 보온 플레이트(12) 및 커버 플레이트(2)와 함께 수용 캐비티(201)를 구획하여 형성하고, 커버 플레이트(2)에는 관통된 벤트홀(221)이 형성되며,벤트홀(221)은 수용 캐비티(201)와 쿠킹 캐비티(1001)를 연통시킨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의 외단면(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상단면)과 보온 플레이트(12)의 내단면(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하단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실링 컴포넌트(3)는 상기 간극 내에 설치됨으로써 실링 컴포넌트(3), 보온 플레이트(12) 및 커버 플레이트(2)는 공동으로 수용 캐비티(201)를 구획하여 형성하며, 벤트홀(221)은 내외(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상하)방향을 따라 커버 플레이트(2)를 관통하여 벤트홀(221)의 내단(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하단)과 쿠킹 캐비티(1001)가 상호 연통되며, 벤트홀(221)의 외단(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상단)과 수용 캐비티(201)가 상호 연통됨으로써 쿠킹 캐비티(1001) 내의 증기는 벤트홀(221)을 통해 수용 캐비티(20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컴포넌트(3)는 환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링 컴포넌트(3)의 외단면은 보온 플레이트(12)와 서로 접할 때까지 연장되고, 실링 컴포넌트(3)의 내단면은 커버 플레이트(2)와 서로 접할 때까지 연장되며, 이때, 실링 컴포넌트(3)는 수용 캐비티(201)를 구획하여 형성하는 외주벽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보온 플레이트(12)와 커버 플레이트(2)는 수용 캐비티(201)를 구획하여 형성하는 2개의 단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링 컴포넌트(3)의 구체적인 구조는 실제 수요에 따라 구성되어 실제 수요를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발열부재(4)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에 설치되어 수용 캐비티(201)를 가열하며,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발열부재(4)는 보온 플레이트(12)에 설치되거나 커버 플레이트(2)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발열부재(4)는 수용 캐비티(201)에 접촉하거나 혹은 수용 캐비티(201)에 상대적으로 근접할 수 있다. 발열부재(4)가 동작할 경우, 수용 캐비티(201)를 가열할 수 있으며, 수용 캐비티(201) 내의 증기가 열을 받아 압력이 증대될 경우에 수용 캐비티(201) 내의 고압증기는 벤트홀(221)을 통해 수용 캐비티(201)로부터 쿠킹 캐비티(1001)에 다시 유입된다.
이하,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000)의 동작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도4를 참조하면, 전기밥솥(1000)의 조리(예를 들어, 취반)과정에서,쿠킹 캐비티(1001) 내의 상승되는 일부 증기는 벤트홀(221)을 통해 수용 캐비티(201) 내로 진입하여 저장되며, 취사가 완료되면, 전기밥솥(1000)은 보온상태로 진입한다. 이때, 발열부재(4)를 작동시켜 수용 캐비티(201) 내의 증기(예를 들어, 액체상태의 증기)를 고온증기가 되게 가열함으로써 수용 캐비티(201) 내의 증기가 벤트홀(221)을 통해 쿠킹 캐비티(1001)로 분사되어 쿠킹 캐비티(1001)를 가열함과 동시에 쿠킹 캐비티(1001) 내의 보온 중인 음식(예를 들어, 밥)에 수분을 보충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000)에 사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는 커버 플레이트(2)와 보온 플레이트(12) 사이의 간극에 실링 컴포넌트(3)를 설치함으로써 커버 플레이트(2)와 보온 플레이트(12)가 함께 수용 캐비티(201)를 구획하여 형성하며, 이로써 쿠킹 캐비티(1001) 내의 증기를 효과적으로 회수하고, 필요시 발열부재(4)를 통해 증기를 쿠킹 캐비티(1001)로 되돌아가게 함으로써 쿠킹 캐비티(1001)에 대한 수분보충과 재가열을 실행한다. 이러한 수용 캐비티(201)의 구성방식은 커버 플레이트(2), 보온 플레이트(12) 및 커버 플레이트(2)와 보온 플레이트(12)사이의 공간을 교묘하게 활용함으로써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를 더욱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구현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 컴포넌트(3)는 실링링(31)과 클램핑링(CLAMPING RING)(32)을 포함하며, 실링링(31)은 보온 플레이트(12)와 커버 플레이트(2)사이에 설치되며, 클램핑링(32)은 실링링(31)에 설치되어 실링링(31)을 보온 플레이트(12)와 커버 플레이트(2)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도 4의 예시에서, 클램핑링(32)은 보온 플레이트(12)의 내단면에 설치되어 실링링(31)의 외단을 보온 플레이트(12)의 내단면에 고정시키며, 실링링(31)의 내단은 커버 플레이트(2)의 외단면에 접하며, 그중, 보온 플레이트(12)는 클램핑링(32)과 버클링결합 또는 나사결합되거나,또는 버클링결합과 동시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예시에서, 클램핑링(32)은 커버 플레이트(2)의 외단면에 설치되어 실링링(31)의 내단을 커버 플레이트(2)의 외단면에 고정시키며,실링링(31)의 외단은 보온 플레이트(12)의 내단면에 접하도록 하며, 그중, 커버 플레이트(2)는 클램핑링(32)과 버클링결합 또는 나사결합되거나,또는 버클링결합과 동시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커버 플레이트(2) 또는 보온 플레이트(12)는 기타 방식을 통해 클램핑링(32)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실링링(31)의 외주벽에는 환형 요홈(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클램핑링(32)에는 돌기(323)가 설치되어 돌기(323)는 요홈(311)에 끼움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링(31)은 대체로 반원환형 구조이며 실링링(31)의 외주벽에는 실링링(31)의 중심축선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요홈(311)이 형성되며,요홈(311)은 환형으로, 실링링(31) 외측 환의 가장자리를 한바퀴 둘러싸며, 클램핑링(32)도 대체로 반원환형 구조이며 클램핑링(32)의 내측 환에는 돌기(323)가 형성되며 돌기(323)는 클램핑링(32)의 내주벽에서 클램핑링(32)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기(323)도 환형구조이고 클램핑링(32) 내측 환의 가장자리를 한바퀴 둘러쌀 수 있으며, 조립시에 클램핑링(32)을 실링링(31)의 외측 환의 가장자리에 씌움 설치하여 클램핑링(32) 내측 환의 가장자리의 돌기(323)가 실링링(31) 외측 환의 가장자리의 요홈(311)에 끼움결합되게 함으로써 클램핑링(32)은 실링링(3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도 1을 참조하면,클램핑링(32)을 보온 플레이트(12)에 설치할 경우, 보온 플레이트(12)의 외단면에는 버클(321)이 설치될 수 있으며, 버클(321)은 커버 플레이트(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버클(321)은 3개일 수 있으며, 3개의 버클(321)은 클램핑링(32)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이에 상응하게, 보온 플레이트(12)에도 3개의 관통된 버클링 홀(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3개의 버클링 홀(121)과 3개의 버클(321)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어 3개의 버클(321)을 3개의 버클링 홀(121) 내에 대응되게 끼워맞춤으로써 클램핑링(32)을 보온 플레이트(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버클(321)은 보온 플레이트(12)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버클링 홀(121)은 클램핑링(3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도 1을 참조하면, 클램핑링(32)을 보온 플레이트(12)에 설치할 경우, 보온 플레이트(12)에는 관통된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공은 3개일 수 있고 3개의 연결공은 클램핑링(32)에 균일하게 분포되며, 이에 상응하게, 보온 플레이트(12)에도 3개의 관통된 나사홀(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3개의 연결공과 3개의 나사홀(122)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어 3개의 스크류(322)가 순차적으로 상응한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응한 나사홀(122)과 나사결합되게 함으로써 클램핑링(32)을 보온 플레이트(1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요홈(311)의 외벽에는 회피홈(312)이 형성될 수 있으며,회피홈(312)은 스크류(322)가 실링링(31)을 순리롭게 통과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할 점은 클램핑링(32)이 커버 플레이트(2)에 설치될 경우, 클램핑링(32)과 커버 플레이트(2)의 연결방식은 클램핑링(32)과 보온 플레이트(12)의 연결방식과 유사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벤트홀(221)은 복수개 형성되며 복수개의 벤트홀(221)은 서로 이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에는 돌출부(21)가 형성되며,돌출부(21)는 커버 플레이트(2)의 외표면으로부터 커버 플레이트(2)의 내표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실링링(31)의 내단은 돌출부(21)의 외표면에 접하며, 구체적으로,돌출부(21)는 대체적으로 반원형 구조일 수 있으며 돌출부(21) 외측 환의 가장자리와 실링링(31) 외측 환의 가장자리 사이즈는 동일하며, 벤트홀(221)은 돌출부(21)에 형성되어 내외방향으로 커버 플레이트(2)를 관통한다. 복수개의 벤트홀(221)은 원호 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고 임의의 2개 벤트홀(221)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어 복수개의 벤트홀(221)이 돌출부(21)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더 나아가,커버 플레이트(2)에는 오목부(22)가 형성되며,오목부(22)는 커버 플레이트(2)의 내표면에서 보온 플레이트(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며,벤트홀(221)은 오목부(22)의 바닥벽에 형성된다. 도1과 도 4 및 도 5를 결합하여 참조하면, 오목부(22)는 복수개이며 복수개의 오목부(22)는 모두 돌출부(21)에 형성되며, 매개 오목부(22)는 각각 돌출부(21)의 내표면에서 외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오목부(22)와 벤트홀(221)은 각각 대응되며,매개 벤트홀(221)은 각각 내외방향을 따라 상응한 오목부(22)의 바닥벽을 관통한다. 따라서,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가 오프상태일 경우, 수용 캐비티(201) 내의 액체증기는 중력의 작용을 받기에 오목부(22)의 측벽을 따라 위로 이동하지 않고 벤트홀(221)을 통해 유출됨으로써 수용 캐비티(201) 내의 액체증기는 수용 캐비티(201)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될 수 있음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 컴포넌트(3)는 보온 플레이트(12)와 커버 플레이트(2) 사이에 설치되며, 발열부재(4)는 보온 플레이트(12)의 커버 플레이트(2)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된다. 도1과 도 4 및 도 5를 결합하여 참조하면, 실링 컴포넌트(3)는 보온 플레이트(12)와 커버 플레이트(2) 사이에 설치되며, 발열부재(4)는 보온 플레이트(12)의 외측에 설치된다. 그중, 발열부재(4)는 PTC서미스터(PTC는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의 약칭이며 온도계수가 매우 높은 반도체소재 또는 구성부품임)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열부재(4)는 기타 유형의 발열소자일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보온 플레이트(12)에는 내오목부(123)가 형성되며, 내오목부(123)는 커버 플레이트(2)의 내표면에서 외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실링링(31)의 외단은 내오목부(123)의 내표면에 접하며, 구체적으로,내오목부(123)는 대체로 반원형 구조일 수 있으며, 내오목부(123)의 외환 가장자리와 돌출부(21)의 외환 가장자리 사이즈는 동일하며, 버클링 홀(121)과 나사홀(122)은 모두 내오목부(123)에 형성되며, 발열부재(4)는 내오목부(123)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오목부(123)와 앞뒤로 마주한다. 따라서, 수용 캐비티(201)에 대한 발열부재(4)의 가열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는 온도 센서(5)를 더 포함하며, 온도 센서(5)는 커버 바디(1)에 설치되고 커버 플레이트(2)에는 관통된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온도 센서(5)의 내단에는 프로브(probe)가 구비되어 온도 센서(5)의 프로브는 관통홀(23)을 통과함으로써 쿠킹 캐비티(1001)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관통홀(23)과 수용 캐비티(201)는 서로 이격된다. 즉,온도 센서(5)는 수용 캐비티(201) 내에 위치하지 않으며 커버 바디(1)에 온도 센서(5)를 고정하는 고정구조가 설치되어 온도 센서(5)를 커버 바디(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관통홀(23)을 실링하여 쿠킹 캐비티(1001) 내의 증기가 관통홀(23)을 통해 커버 플레이트(2)와 커버 바디(1) 사이에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 의하면, 고정구조는 고정 브래킷과 밀폐링(51)을 포함하며, 밀폐링(51)은 보온 플레이트(1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쿠킹 캐비티(1001)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며, 관통홀(23)은 내외방향으로 커버 플레이트(2)를 관통하며, 조립 후, 밀폐링(51)은 관통홀(23)을 통과하며 관통홀(23)과 억지끼움되어 결합된다. 즉,관통홀(23)의 내주벽과 밀폐링(51)의 외주벽은 긴밀하게 접촉됨으로써 밀폐링(51)은 관통홀(23)을 치밀하게 밀페시킴으로써 쿠킹 캐비티(1001) 내의 증기가 관통홀(23)을 통해 보온 플레이트(12)의 외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고정 브래킷은 보온 플레이트(1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온도 센서(5)는 고정 브래킷에 고정되어 고정 브래킷은 온도 센서(5)를 보온 플레이트(12)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중, 고정 브래킷과 온도 센서(5)는 밀폐링(51)의 내환 내에 구획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밀폐링(51)은 고정 브래킷과 온도 센서(5)의 주위를 둘러싸며,온도 센서(5)는 쿠킹 캐비티(1001)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밀폐링(51)과 관통홀(23)이 마침 끼움결합 되면 온도 센서(5)가 밀폐링(51) 내에 위치하고 관통홀(23)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온도 센서(5)의 프로브가 쿠킹 캐비티(1001)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측면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000)은 본 발명 제1측면 실시예에 따른 솥 몸체(100)와 상기 솥 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솥 몸체(100)와 함께 쿠킹 캐비티(1001)를 구획하여 형성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그중,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솥 몸체(100)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내솥(101) 및 케이스와 내솥(101) 사이에 설치되는 발열소자를 포함하며, 내솥(101)과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는 함께 쿠킹 캐비티(1001)를 구획하여 형성하며, 발열소자는 내솥(101)을 가열하여 쿠킹 캐비티(1001) 내의 음식을 가열한다. 그중, 발열소자는 본 발명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기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중, 온도 센서(5)는 쿠킹 캐비티(1001) 내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발열부재(4)와 발열소자의 가열상태를 제어하고 더 우수한 조리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밥솥(1000)은 상기 제1측면에 따른 전기밥솥(1000)에 사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를 설치함으로써 전기밥솥(1000)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이해해야 할 점은, "상", "하", "수직", "수평", "내", "외" 등 용어가 나타내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을 기반으로 표시된 방위 또는 위치관계이며,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거나 또는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고 동작함을 의미하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기에, 본 발명에 대한 한정적인 의미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제1", "제2" 등 용어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만 이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의미하는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은연중에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해당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은연중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한정짓지 않는 한, "복수"는 2개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하고 한정하지 않은 한,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등 용어는 넓은 의미에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되거나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 매개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두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 소자의 상호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구체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히 규정하고 한정하지 않은 한, 제1특징이 제2특징의 "위" 또는 "아래"에 있다고 함은 제1 및 제2특징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제1 및 제2특징이 중간 매개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특징이 제2특징의 "위", "상부" 및 "상면"에 있다고 함은 제1특징이 제2특징의 바로 상측과 경사 상측에 있는 경우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특징보다 높은 경우만을 표시한다. 제1특징이 제2특징의 "하부", "하측" 및 "하면"에 있다고 함은 제1특징이 제2특징의 바로 하측과 경사 하측에 있는 경우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특징보다 낮은 경우만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고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반드시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성,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호 모순되지 않는 경우에,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 및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을 결합 및 조합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기재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이들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수정, 대체 및 변형을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한정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전기밥솥; 1001: 쿠킹 캐비티; 100: 솥 몸체; 101: 내솥; 200: 커버 바디 어셈블리; 201: 수용 캐비티; 1: 커버 바디; 11: 하우징; 12: 보온 플레이트; 121: 버클링 홀; 122: 나사홀; 123: 내오목부; 2: 커버 플레이트; 21: 돌출부; 22: 오목부; 221: 벤트홀; 23: 관통홀; 3: 실링 컴포넌트; 31: 실링링; 311: 요홈; 312: 회피홈; 32: 클램핑링; 321: 버클; 322: 스크류; 323: 돌기; 4: 발열부재; 5: 온도 센서; 51: 밀폐링

Claims (9)

  1. 커버 바디(1);
    상기 커버 바디(1)의 내측에 설치되며, 관통된 벤트홀(221)이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2);
    상기 커버 바디(1)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2)로 향하는 일측에 설치되는 보온 플레이트(12);
    상기 보온 플레이트(12)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온 플레이트(12), 상기 커버 플레이트(2)와 함께 상기 벤트홀(221)과 상호 연통된 수용 캐비티(201)를 구획하여 형성하는 실링 컴포넌트(3); 및
    상기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캐비티를 가열하는 발열부재(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컴포넌트(3)는 상기 보온 플레이트(12)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 사이에 설치된 실링링(31); 및 상기 실링링(31)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링(31)을 상기 보온 플레이트(12)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클램핑링(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 플레이트(12)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중 어느 하나는 상기 클램핑링(32)과 버클링결합 및/또는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링(31)의 외주벽에는 환형 요홈(311)이 형성되며,상기 클램핑링(32)에는 상기 요홈(311) 내에 끼움 결합되는 돌기(32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221)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의 내표면에서 상기 보온 플레이트(12)로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벤트홀(221)은 상기 오목부(22)의 바닥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4)는 상기 보온 플레이트(12)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2)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1)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2)에는 상기 수용 캐비티와 서로 이격되는 관통홀(23)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 센서(5)의 프로브는 상기 관통홀(23)을 관통하며, 상기 커버 바디(1)에는 상기 온도 센서(5)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9.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한 항의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를 사용한 전기밥솥에 있어서,
    솥 몸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바디 어셈블리(200)는 상기 솥 몸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솥 몸체(100)와 함께 쿠킹 캐비티(1001)를 구획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20177010616A 2014-09-19 2015-04-07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밥솥 KR101911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483121.6 2014-09-19
CN201410483121.6A CN105476491B (zh) 2014-09-19 2014-09-19 用于电饭煲的盖体组件和具有其的电饭煲
PCT/CN2015/076004 WO2016041338A1 (zh) 2014-09-19 2015-04-07 用于电饭煲的盖体组件和具有其的电饭煲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031A true KR20170083031A (ko) 2017-07-17
KR101911476B1 KR101911476B1 (ko) 2018-12-28

Family

ID=5553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616A KR101911476B1 (ko) 2014-09-19 2015-04-07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밥솥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2017529166A (ko)
KR (1) KR101911476B1 (ko)
CN (1) CN105476491B (ko)
WO (1) WO2016041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0483B (zh) * 2016-05-30 2023-06-3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蒸汽补炊结构和含有其的电饭煲及蒸汽补炊方法
US11278151B2 (en) 2017-08-09 2022-03-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CN212788226U (zh) 2019-02-25 2021-03-26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US11051654B2 (en) 2019-02-25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8200630U (zh) * 1988-01-19 1988-11-09 广州电饭煲厂 高效率电子保温自动电饭煲
JPH0499515A (ja) * 1990-08-17 1992-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の外蓋
US6414274B1 (en) * 2001-09-05 2002-07-02 Afsaneh Mahyari Electrical heater lid
JP4645409B2 (ja) * 2005-10-17 2011-03-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炊飯器
JP2009285231A (ja) * 2008-05-30 2009-12-10 Hitachi Appliances Inc 炊飯器
CN101856197B (zh) * 2010-06-10 2012-01-04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一种上盖及采用该上盖的电饭煲
JP5629634B2 (ja) * 2011-04-19 2014-11-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炊飯器
JP5604382B2 (ja) * 2011-07-25 2014-10-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炊飯器
JP5575183B2 (ja) * 2012-06-01 2014-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KR101904403B1 (ko) * 2012-06-29 2018-10-04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CN203609292U (zh) * 2013-08-30 2014-05-2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电饭煲的煲盖和具有其的电饭煲
JP2015221118A (ja) * 2014-05-23 2015-12-1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炊飯器
CN204133234U (zh) * 2014-09-19 2015-02-0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电饭煲的盖体组件和具有其的电饭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476B1 (ko) 2018-12-28
WO2016041338A1 (zh) 2016-03-24
CN105476491A (zh) 2016-04-13
CN105476491B (zh) 2018-02-06
JP2020157075A (ja) 2020-10-01
JP2017529166A (ja)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476B1 (ko)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밥솥
CN106461205A (zh) 蒸发器
US8269147B2 (en) Hotplate, and also assembly comprising such a hotplate
CN219048116U (zh) 蒸汽阀组件和烹饪器具
JP6523993B2 (ja) 炊飯器
CN106455843B (zh) 液体加热容器
KR101611563B1 (ko) 온수 공급장치
JP2009297079A (ja) 電気ポット
CN111329333A (zh) 便携式加热容器
KR102060182B1 (ko) 스팀발생장치
CN110248578B (zh) 小型家用电器
CN213075385U (zh) 便携式加热容器
CN220275368U (zh) 一种便于安装的电煮锅
JP6553891B2 (ja) コンロバーナと天板部との間のシール構造
CN217031147U (zh) 蒸汽电器
CN214548943U (zh) 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WO2021085438A1 (ja) 液体加熱装置
CN211534084U (zh) 一种蒸烤箱
JP5527459B2 (ja) 電気炊飯器
CN110754913B (zh) 一种烹饪器具
CN211324325U (zh) 一种嵌入式蒸笼装配结构及电热饭盒及蒸煮器
JP5220686B2 (ja) 蒸気発生装置の安全構造
JPS5850161Y2 (ja) 調理器の蒸気発生装置
KR101873326B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측면 단열구조체
KR200309556Y1 (ko) 홍삼액추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