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508B1 -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508B1
KR101503508B1 KR20150000188A KR20150000188A KR101503508B1 KR 101503508 B1 KR101503508 B1 KR 101503508B1 KR 20150000188 A KR20150000188 A KR 20150000188A KR 20150000188 A KR20150000188 A KR 20150000188A KR 101503508 B1 KR101503508 B1 KR 10150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retroreflective
fabric
glass bead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0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배
Original Assignee
박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배 filed Critical 박성배
Priority to KR2015000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02G3/286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with alternatively "S" and "Z" direction of twist, e.g. Self-twist proces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귀반사 합사와 일반 실로 제직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재귀반사 합사는 재귀반사 원사와 두 개의 일반 원사를 합사하여서 되고, 상기 재귀반사 원사는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의 증착면에 접착되는 글라스 비드 및 상기 글라스 비드를 고정해주는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가 0.2~0.4mm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내구성, 세탁견뢰도 및 야간시인성을 갖는 원단의 제직이 가능하여, 유니폼, 가방, 의류, 부자재 등의 다양한 안전 관련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Fabrics having retroreflectiv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귀반사성을 갖는 합사를 일반 실과 함께 제직하여 원단을 구성함으로써, 야간 시인성, 내구성 및 세탁견뢰도가 우수한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사기능을 갖는 반사 소재는 야간에 각종 사고로부터의 예방과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 관련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요구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교통 경찰관이나 환경 미화원들이 야간에 근무나 작업을 할 경우나 노인이나 어린이들이 야간에 자동차나 기타 주행물에 노출될 경우에 운전자들이 식별을 하지 못하여 각종 인사 사고는 물론 대형 사고의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고, 각종 교통 표지판, 각종 운동복, 운동용구 및 가방 등의 신변 잡화품목, 군사용 인식 표시 등의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반사용 섬유로는 필름 또는 시트 형상의 반사소재를 제조하여 이를 직물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얇은 합성수지 시트의 일면에 반사막으로서 알루미늄 페이스트 코팅층을 형성한 반사 시트를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직물 또는 필름에 글라스 비드를 접착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반사막으로서 알루미늄 페이스트 코팅층을 사용하는 경우 반사막을 통하여 난반사가 이루어지므로 실제적으로의 반사율이 미약하고, 반사휘도도 약하여 실제 야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알루미늄 페이스트 코팅층이 쉽게 분리되거나 손상되어 반사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세탁 견뢰도가 낮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직물 또는 시트에 글라스 비드를 접착시켜 사용하는 경우, 재귀반사성이 우수하나 접착된 글라스 비드가 쉽게 탈락하여 내구성 및 세탁 견뢰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09153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얇은 합성수지 시트의 일면에 반사막으로서 알루미늄 페이스트 코팅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글라스 비드를 투명한 폴리우레탄 등과 혼합하여 표면 코팅한 반사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재귀반사성을 좋게 하였으나 합성수지 시트의 재료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과 같이 딱딱한 소재밖에 없었기 때문에 의류에의 적용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질감이 좋지 못하고 가공성이 저하되며 세탁 견뢰도가 낮으며, 자수사 등의 용도로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합성수지 시트 대신에 합성수지 직물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반사효율은 좋으나, 질감 및 가공성 저하, 다른 용도로의 적용 불가능, 낮은 세탁 견뢰도 등의 문제점으로 있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미국특허 제4,187,332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또 다른 형태의 반사용 섬유로는 얇은 합성수지 필름 또는 시트의 일면에 반사막으로서 알루미늄 페이스트 코팅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글라스 비드를 투명한 폴리우레탄 혹은 접착제 등과 혼합하여 표면 코팅한 반사 필름 또는 시트를 제조한 다음, 그 필름 또는 시트를 폭이 가늘게는 0.25 ~ 0.37mm, 두껍게는 3 ~ 5mm가 되도록 길게 절단(Slitting)하여 그대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역시 인장력이 약하여 쉽게 끊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55011호에서는 복합방사를 통하여 재귀반사 원사를 제조하는 것이 제시되었다. 이는 글라스 비드 또는 운모인 재귀반사 물질 및 방사가 가능한 제 1 고분자 물질의 혼합물; 및 방사가 가능한 제 2
고분자 물질을 5 ~ 95 : 95 ~ 5 의 용적비로 복합 방사하여 제조되는 재귀 반사 필라멘트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는 재귀반사 필라멘트는 제조공정이 복잡하며, 현재의 기술로는 낚시줄 정도의 굵기를 가지는 원사를 만들 수 있을 따름이며, 따라서 자수나 봉제, 제직, 편직 등의 원사로 사용하는데는 다소 무리가 따랐다.
KR 10-1999-0009153 A US 4,187,332 B1 KR 10-0355011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재귀반사 원사 또는 원단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재귀반사 시트를 절단하여 원사를 구성하고, 상기 절단된 원사에 일반 원사를 합사한 후, 이러한 합사를 일반 실과 함께 제직하여 원단으로 구성으로써, 일반 원사 및 일반 실에 의해 내구성 및 세탁견뢰도가 확보되도록 하고, 재귀반사 원사에 의해 야간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 원사가 재귀반사 원사에 피복됨으로써, 종래 시트를 그대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원사에 비해 원사로서 우수한 물성이 확보되며, 정련 및 염색과정에서도 재귀반사 원사의 물성저하 없이 다양한 색감과 디자인의 원단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원단 전체에 걸쳐 무늬를 형성하되, 원단의 무늬 부분에만 재귀반사 합사를 사용함으로써, 원단의 물성,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면서도 시인성 역시 우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은, 재귀반사 합사와 일반 실로 제직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재귀반사 합사는 재귀반사 원사와 두 개의 일반 원사를 합사하여서 되고, 상기 재귀반사 원사는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의 증착면에 접착되는 글라스 비드 및 상기 글라스 비드를 고정해주는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가 0.2~0.4mm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귀반사 합사는 재귀반사 원사를 심재로 하고 두 개의 일반 원사를 커버사로 하여 상기 두 개의 일반 원사가 상기 재귀반사 원사를 피복하는 형태로서, 하나의 일반 원사는 100~1000T/m으로 S 꼬임되고, 다른 하나의 일반 원사는 100~1000T/m으로 Z 꼬임되며, 상기 재귀반사 시트는 두 장이 서로 접착된 형태로서 양면 모두 재귀반사성을 갖도록 하고, 상기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은 전체에 걸쳐 무늬가 형성되되, 상기 무늬가 재귀반사 합사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일반 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은 전체에 걸쳐 무늬가 형성되되, 상기 무늬가 재귀반사성을 갖는 합사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일반 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의 증착면에 접착되는 글라스 비드 및 상기 글라스 비드를 고정해주는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를 0.2~0.4mm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하여 재귀반사 원사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재귀반사 원사에 두 개의 일반 원사를 합사하는 단계와, 상기 합사된 재귀반사 합사와 일반 실을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사하는 단계는, 재귀반사 원사를 심재로 하고 상기 두 개의 일반 원사를 커버사로 하여 상기 두 개의 일반 원사가 재귀반사 원사를 피복하도록 하되, 하나의 일반 원사는 100~1000T/m으로 S 꼬임하고, 다른 하나의 일반 원사는 100~1000T/m으로 Z 꼬임하며, 상기 제직하는 단계는 제직기의 회전수를 400~500rpm으로 하여 제직하되, 상기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이 전체에 걸쳐 무늬를 갖도록 하며, 상기 무늬는 재귀반사성을 갖는 합사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일반 실로 구성되도록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직된 원단을 정련 및 염색하여 후가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내구성, 세탁견뢰도 및 야간시인성을 갖는 원단의 제직이 가능하여, 유니폼, 가방, 의류, 부자재 등의 다양한 안전 관련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의 제조공정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원단을 각각 밝은 곳과 어두운 곳에서 촬영한 사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원단을 각각 밝은 곳과 어두운 곳에서 촬영한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재귀반사 원단 또는 야간 시인성 원사의 경우, 단순히 고분자 필름 또는 직물에 글라스 비드를 접착한 후, 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슬리팅하여 원사로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글라스 비드가 쉽게 탈락되어 내구성, 세탁 견뢰도가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으며, 슬리팅한 원사의 경우 텐션이 없어 제직 시 절사 현상으로 인해 제직이 어려워 다양한 제품에의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복합방사를 통하여 재귀반사 원사를 제조하는 경우 원사의 굵기가 굵어 제직이 어려워 다양한 분야에의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재귀반사 원사가 갖는 제직의 어려움 및 제직하더라도 세탁 견뢰도, 내구성 등이 좋지 못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재귀반사 시트를 슬리팅하여 원사를 제조하되, 두 개의 일반 원사와 합사하고, 이를 일반 실과 함께 제직하여 원단을 구성함으로써, 내구성, 세탁 견뢰도 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제직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재귀반사란 빛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본래의 광원으로 반사되어 되돌아가게 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 이 같은 재귀 반사성을 갖는 대표적 물질로는 글라스 비드(Glass Beads)가 있다. 즉, 상기 재귀반사 시트란 이러한 글라스 비드를 포함하는 시트로서, 글라스 비드에 의해 재귀반사성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은 재귀반사성을 갖는 합사(이하 '재귀반사 합사'라 한다.)와 일반 실로 제직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재귀반사 합사는 재귀반사 원사와 두 개의 일반 원사를 합사하여서 되고, 상기 재귀반사 원사는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의 증착면에 접착되는 글라스 비드 및 상기 글라스 비드를 고정해주는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가 0.2~0.4mm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된 것임으로 하며, 그 제조방법은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의 증착면에 접착되는 글라스 비드 및 상기 글라스 비드를 고정해주는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를 0.2~0.4mm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하여 재귀반사 원사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재귀반사 원사에 두 개의 일반 원사를 합사하는 단계와, 상기 합사된 재귀반사 합사와 일반 실을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의 증착면에 접착되는 글라스 비드 및 상기 글라스 비드를 고정해주는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를 0.2~0.4mm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하여 재귀반사 원사를 구성하는 단계.
먼저, 재귀반사 시트를 0.2~0.4mm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하여 재귀반사 원사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재귀반사 시트란 종래에 이미 게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의 증착면에 접착되는 재귀반사체인 글라스 비드 및 상기 글라스 비드를 고정해주기 위한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여서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글라스 비드와 상기 글라스 비드를 고정해주기 위한 고분자 코팅층은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 글라스 비드를 접착한 후, 그 위에 고분자 물질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고분자 물질을 글라스 비드와 혼합한 뒤, 이를 그대로 필름의 증착면에 도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물질로는 시트와 동일한 재질인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될 수도 있고, 폴리우레탄 등의 별도의 고분자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사용을 제한하지 않으나,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경우 탄성이 우수하여 전체적인 원사의 물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울러, 상기 글라스 비드의 입도 및 사용량 역시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0~90미크론(micron) 정도의 직경을 가지면 족하며, 사용되는 접착제 또는 고분자 물질의 양은 10~70gr/㎡ 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상기 사용량이 너무 적을 경우 접착 또는 코팅이 용이하지 않고, 과량이 될 경우 원사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먼저 폴리에스테르 코팅층을 형성한 후, 이에 다시 글라스 비드를 접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재귀반사 시트의 경우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시트를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재귀반사 원사가 양측 모두에서 재귀반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재귀반사 시트 두 장을 폴리에스테르 접착제 등으로 서로 접착한 후 슬리팅한다. 이때, 상기 접착은 금속 증착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필름면(금속 증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면)을 상호 접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재귀반사 시트가 준비되면, 이를 슬리팅하여 원사를 제조하는데, 상기 슬리팅되는 폭은 0.1~0.4mm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리팅을 0.1mm 미만으로 하기는 어렵고, 0.4mm를 초과하여 슬리팅할 경우 추후 합사가 너무 두껍게 형성되어 제직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0.2~0.3mm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재귀반사 원사에 둘 이상의 일반 원사를 합사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재귀반사 원사가 준비되면, 이를 일반 원사와 합사함으로써, 가공성을 좋게 하는 것은 물론, 내구성, 세탁 견뢰도 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재귀반사 원사는 텐션이 좋지 못하며, 내구성, 세탁 견뢰도 역시 좋지 못한 상태이므로 제직의 의미가 없을 뿐 아니라, 제직 시 절사되어 원단이 구성되기 어려운 상태인바, 일반 원사와의 합사를 통해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기 재귀반사 원사를 두 개의 일반 원사와 합사하는데, 상기 합사는 상기 재귀반사 원사를 심재로 하고 두 개의 일반 원사를 커버사로 하여, 상기 일반 원사가 재귀반사 원사를 피복하는 형태로 꼬임을 주어 합사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일반 원사를 이용하는 이유는 하나의 원사는 S 꼬임으로 합사하고, 다른 하나의 원사는 Z 꼬임으로 합사함으로써, 합사의 물성을 좋게 하는 것은 물론, 중심에 위치되는 재귀반사 원사를 보호하여 내구성, 세탁 견뢰도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재귀반사 원사가 중심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직 후 염색과정을 수행하더라도 합사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일반 원사로는 폴리우레탄 원사를 사용함이 텐션, 가공성 등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재귀반사 원사는 텐션이 거의 없어 제직시 절사되어 원단으로의 제작이 어렵고, 산 및 알칼리에 약하여 정련 및 염색이 어려운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일반 원사가 상기 재귀반사 원사를 피복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중심의 재귀반사 원사가 이완되어 절사되더라도 S 꼬임 및 Z 꼬임으로 합사된 일반 원사가 이를 고정시켜 주기 때문에 제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정련 및 염색 역시 일반 원사에 의해 재귀반사 원사가 보호되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S 꼬임 및 Z 꼬임의 꼬임수는 각각 100~1000T/m,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400T/m 정도가 바람직한데, 상기 꼬임수가 적을 경우 재귀반사 원사가 피복되지 못해 가공성, 내구성, 세탁 견뢰도가 개선되지 못하고, 꼬임수가 너무 많을 경우 재귀반사 원사가 완전히 피복되어 야간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두 개의 일반 원사와 재귀반사 원사를 합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네 개의 일반 원사를 상기 재귀반사 원사와 합사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 재귀반사원사를 심재로 하고, 두 개의 일반 원사는 S 꼬임하여 피복하며, 나머지 두 개는 Z 꼬임하여 피복하되, 꼬임수를 각각 100~200T/m 정도가 되도록 할 수도 있는바, 이러한 경우 더욱 부드러운 촉감의 원단이 제직될 수 있어, 유니폼, 작업복 등으로의 활용에 더욱 용이하게 되며, 다양한 색감의 일반 원사를 활용할 수 있어 미려한 디자인적 활용도 역시 우수해 진다.
상기 합사된 재귀반사 합사와 일반 실을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는 단계.
상기 합사가 완료되면 상기 재귀반사 합사와 일반 실, 필라멘트 사 또는 필라멘트 사의 합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한다. 이때, 원단의 제작은 제직기를 이용하며 제직기의 회전수는 텐션이 적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400~500rp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회전수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절사되어 제직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회전수로 제직한다.
그리고 제직시 원단에 일정한 무늬, 예를 들면 격자무늬, 줄무늬 또는 원형무늬를 전체에 걸쳐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무늬를 재귀반사 합사로 구성하고 나머지를 일반 실로 구성함으로써, 원단 전체에 효과적인 시인성 확보가 가능토록 하며, 원단의 가공성 역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즉, 원단 전체를 재귀반사 합사로 구성할 경우, 일반 원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물성이 떨어지게 되는 것은 물론, 촉감 등이 좋지 못할 수 있고, 원단의 제조원가 역시 비싸지게 되므로, 가격경쟁력을 가질 수 없으나, 일정 무늬를 원단 전체에 걸쳐 형성하되 이러한 무늬만을 재귀반사 합사로 구성할 경우 가격경쟁력은 물론, 원단의 물성, 가공성 등이 저하되지 않아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을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직된 원단을 정련 및 염색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직된 원단을 정련 및 염색한다. 즉, 종래의 재귀반사 원단의 경우 산, 알칼리에 약한 성질을 가져 정련 및 염색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경우 커버링 사 및 일반 사에 의해 재귀반사 원사가 보호되므로, 정련 및 염색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정련 및 염색, 그리고 후가공은 종래의 일반적인 원단가공방법과 동일하나, 정련제 및 염색약의 사용시 안정적인 정련 및 염색을 위하여 중성에 가깝도록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재귀반사 원사를 보호한다. 즉, 상기 중성에 가깝다는 의미는 pH를 5~9 정도로 조정하는 것으로, 이는 정련제 또는 염색약에 사용되는 산성 약품 또는 알칼리성 약품의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하나, 그 약품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정련 및 염색 그리고 후가공까지 완료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제직 후 해포, 탈수 등의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이는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재귀반사성을 갖는 합사와 일반 실로 제직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재귀반사 합사는 재귀반사 원사와 두 개의 일반 원사를 합사하여서 되고, 상기 재귀반사 원사는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의 증착면에 접착되는 글라스 비드 및 상기 글라스 비드를 고정해주는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가 0.2~0.4mm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된 것으로 구성됨으로써, 야간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내구성 및 세탁 견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귀반사 합사는 재귀반사 원사를 심재로 하고 두 개의 일반 원사를 커버사로 하여 상기 두 개의 일반 원사가 상기 재귀반사 원사를 피복하는 형태로서, 하나의 일반 원사는 100~1000T/m으로 S 꼬임되고, 다른 하나의 일반 원사는 100~1000T/m으로 Z 꼬임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제직 및 염색, 후가공 등이 가능하게 되며, 중심 측의 글라스 비드를 보호하여 장기간 사용시 시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없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 시트는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필름 면에 다른 재귀반사 시트의 필름 면이 접착되어 양면 모두 재귀반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며, 가공성 및 가격경쟁력의 확보를 위해 전체에 걸쳐 무늬가 형성되되, 상기 무늬가 재귀반사성을 갖는 합사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일반 실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사는, 시인성, 내구성, 세탁견뢰도 및 가격경쟁력을 갖는 제품으로 다양한 분야에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알루미늄 증착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코팅한 후, 이에 평균 직경이 약 50미크론이고, 굴절률이 1.81인 글라스 비드를 접착하였다. 그리고 다시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재귀반사 시트를 2장 준비하고, 상기 시트를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를 이용 서로 접착한 후, 폭이 0.25mm가 되도록 절단함으로써 재귀반사 원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코팅층을 위한 용액의 사용량은 80gr/㎡ 이었으며, 글라스 비드의 사용량은 30g/㎡ 였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2개 준비한 후, 상기 재귀반사 원사를 중앙에 두고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는 S 꼬임으로, 다른 하나는 Z 꼬임으로 합사하되, 각 꼬임수는 300T/m로 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의 섬도는 50 denier 이고, 강도 220cN, 신도 30% 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합사를 검정색의 일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80 denier, 72 filament) 3올 합사(Z꼬임 400T/m)와 함께 제직하였다. 이때, 상기 재귀반사성을 갖는 합사로는 원단 전체에 줄무늬를 형성하였으며, 나머지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합사를 이용하였다. 첨부된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한 원단을 밝은 곳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도 3은 이를 어두운 곳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육안으로 확인하더라도 야간 시인성이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에 서 사용된 재귀반사 합사와 일반 실은 약 5:95 중량비 정도로 사용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일반 합사로서 노란색의 일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3올 합사를 이용하였다. 첨부된 도 4는 실시예 1에 의한 원단을 밝은 곳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도 5는 이를 어두운 곳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육안으로 확인하더라도 야간 시인성이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상기 재귀반사 원사를 S꼬임으로 300T/m로 합사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로부터 수득된 원단들에 대하여 초기휘도, 50회 세탁 후 휘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탁방법은 가정용 세탁기를 사용하여 40℃의 온수에서 60분간 세탁모드로 50회 세탁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때, 상기 휘도는 EN 471 규격기준으로 입사각 5°, 관찰각 0.2° 기준으로 하였다.
시험 결과.
구분 초기휘도(cd/㎡) 세탁 후 휘도 (cd/㎡)
실시예 1 335 251
실시예 2 332 247
비교예 1 380 15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단은 초기 휘도 및 세탁 후 휘도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1의 경우 세탁 후 휘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세탁 후 휘도의 저하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볼 때, 세탁 견뢰도 및 내구성 역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재귀반사 합사와 일반 실로 제직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재귀반사 합사는 재귀반사 원사와 두 개의 일반 원사를 합사하여서 되고,
    상기 재귀반사 원사는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의 증착면에 접착되는 글라스 비드 및 상기 글라스 비드를 고정해주는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가 0.2~0.4mm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 합사는 재귀반사 원사를 심재로 하고 두 개의 일반 원사를 커버사로 하여 상기 두 개의 일반 원사가 상기 재귀반사 원사를 피복하는 형태로서, 하나의 일반 원사는 100~1000T/m으로 S 꼬임되고, 다른 하나의 일반 원사는 100~1000T/m으로 Z 꼬임되며,
    상기 재귀반사 시트는 두 장이 서로 접착된 형태로서 양면 모두 재귀반사성을 갖도록 하고,
    상기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은 전체에 걸쳐 무늬가 형성되되, 상기 무늬가 재귀반사 합사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일반 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3.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기 필름의 증착면에 접착되는 글라스 비드 및 상기 글라스 비드를 고정해주는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를 0.2~0.4mm의 폭을 갖도록 슬리팅하여 재귀반사 원사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재귀반사 원사에 두 개의 일반 원사를 합사하는 단계와,
    상기 합사된 재귀반사 합사와 일반 실을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사하는 단계는, 재귀반사 원사를 심재로 하고 상기 두 개의 일반 원사를 커버사로 하여 상기 두 개의 일반 원사가 재귀반사 원사를 피복하도록 하되, 하나의 일반 원사는 100~1000T/m으로 S 꼬임하고, 다른 하나의 일반 원사는 100~1000T/m으로 Z 꼬임하며,
    상기 제직하는 단계는 제직기의 회전수를 400~500rpm으로 하여 제직하되, 상기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이 전체에 걸쳐 무늬를 갖도록 하며, 상기 무늬는 재귀반사성을 갖는 합사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일반 실로 구성되도록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직된 원단을 정련 및 염색하여 후가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KR20150000188A 2015-01-02 2015-01-02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50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0188A KR101503508B1 (ko) 2015-01-02 2015-01-02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0188A KR101503508B1 (ko) 2015-01-02 2015-01-02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508B1 true KR101503508B1 (ko) 2015-03-18

Family

ID=5302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00188A KR101503508B1 (ko) 2015-01-02 2015-01-02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50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431A (ko) * 2015-03-30 2016-10-10 배재천 재귀반사 편사 및 이를 이용한 재귀반사 편성물
KR101725407B1 (ko) 2016-12-29 2017-04-11 주식회사 소포스 고휘도 재귀반사 섬유소재 제조를 위한 uv 경화코팅방법
KR101847367B1 (ko) * 2016-05-03 2018-04-10 황기훈 재귀반사기능을 갖는 재귀반사실
WO2018066815A1 (ko) * 2016-10-06 2018-04-12 비앤더비 주식회사 재귀반사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874844B1 (ko) * 2016-08-23 2018-07-06 신동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101942290B1 (ko) * 2017-08-28 2019-01-28 신동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글라스 비드가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42291B1 (ko) * 2017-08-28 2019-01-28 신동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글라스 비드가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76557B1 (ko) * 2018-06-15 2019-05-10 정신식 반사 복합사를 이용한 재귀 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KR20200087884A (ko) * 2018-12-26 2020-07-22 신동수 항균, 난연 및 자외선 차단 물질이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칩 및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2140801B1 (ko) * 2019-07-01 2020-08-04 주식회사 베일러 텍스타일 재귀반사 합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재귀반사 합연사
KR20210055549A (ko) 2019-11-07 2021-05-17 박은진 재귀반사실의 개질장치
KR20210055550A (ko) 2019-11-07 2021-05-17 박은진 재귀반사실의 개질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7624A (ja) * 1993-06-04 1994-12-22 Nippon Carbide Ind Co Inc セル状反射シート
KR100355011B1 (ko) 1999-06-11 2002-10-11 주식회사 텍스랜드 재귀 반사 필라멘트,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재귀 반사원사, 및 재귀 반사 필라멘트의 제조 방법
KR100446820B1 (ko) 2001-02-07 2004-09-01 주식회사 에스지무역 반사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21249A (ko) * 2004-09-01 2006-03-07 주식회사 지.비라이트 재귀반사 시트와 메시 원단이 결합된 소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7624A (ja) * 1993-06-04 1994-12-22 Nippon Carbide Ind Co Inc セル状反射シート
KR100355011B1 (ko) 1999-06-11 2002-10-11 주식회사 텍스랜드 재귀 반사 필라멘트,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재귀 반사원사, 및 재귀 반사 필라멘트의 제조 방법
KR100446820B1 (ko) 2001-02-07 2004-09-01 주식회사 에스지무역 반사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21249A (ko) * 2004-09-01 2006-03-07 주식회사 지.비라이트 재귀반사 시트와 메시 원단이 결합된 소재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35B1 (ko) * 2015-03-30 2016-12-30 배재천 재귀반사 편사 및 이를 이용한 재귀반사 편성물
KR20160116431A (ko) * 2015-03-30 2016-10-10 배재천 재귀반사 편사 및 이를 이용한 재귀반사 편성물
KR101847367B1 (ko) * 2016-05-03 2018-04-10 황기훈 재귀반사기능을 갖는 재귀반사실
KR101874844B1 (ko) * 2016-08-23 2018-07-06 신동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101931347B1 (ko) * 2016-10-06 2018-12-20 비앤더비 주식회사 재귀반사원사 및 그 제조방법
WO2018066815A1 (ko) * 2016-10-06 2018-04-12 비앤더비 주식회사 재귀반사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725407B1 (ko) 2016-12-29 2017-04-11 주식회사 소포스 고휘도 재귀반사 섬유소재 제조를 위한 uv 경화코팅방법
KR101942290B1 (ko) * 2017-08-28 2019-01-28 신동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글라스 비드가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42291B1 (ko) * 2017-08-28 2019-01-28 신동수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글라스 비드가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76557B1 (ko) * 2018-06-15 2019-05-10 정신식 반사 복합사를 이용한 재귀 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KR20200087884A (ko) * 2018-12-26 2020-07-22 신동수 항균, 난연 및 자외선 차단 물질이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칩 및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2595503B1 (ko) * 2018-12-26 2023-10-31 신동수 항균, 난연 및 자외선 차단 물질이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칩 및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2140801B1 (ko) * 2019-07-01 2020-08-04 주식회사 베일러 텍스타일 재귀반사 합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재귀반사 합연사
KR20210055549A (ko) 2019-11-07 2021-05-17 박은진 재귀반사실의 개질장치
KR20210055550A (ko) 2019-11-07 2021-05-17 박은진 재귀반사실의 개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508B1 (ko)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3356438B2 (ja) 光学干渉機能を有する繊維およびその利用
TWI241172B (en) Reflective slide fastener and reflective tape
US6243521B1 (en) Fibers with optical function
WO2008043209A1 (fr) TEXTILE TISSÉ PRÉSENTANT À L'œIL UN CHANGEMENT DE COULEUR
JP7156724B2 (ja) 光反射機能及び夜光機能を有する繊維、並びにこの繊維を有する織物
KR101691435B1 (ko) 재귀반사 편사 및 이를 이용한 재귀반사 편성물
JP2011042922A (ja) 織物
JP2010138537A (ja) 原着糸を含むスクリーン用生地
JP2004162194A (ja) 防視認性織物及びインテリア用品
KR20190089341A (ko)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신발용 갑피
JP2000170028A (ja) 光学機能構造体および織編物
JP3989701B2 (ja) 再帰反射糸条、再帰反射布帛及びそれを用いた衣服
CN101295049A (zh) 一种反光材料的制作工序
KR20100037792A (ko) 재귀반사직물
JP4488585B2 (ja) 再帰性反射材
CN106676709B (zh) 在可见光区具有高透射率的隔热织物及其制造方法
US20070014988A1 (en) Coated and colored yarn having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KR20010044327A (ko) 반사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N205329261U (zh) 在可见光区具有高透射率的隔热织物
JPH11181630A (ja) 複合繊維
JPH0446922Y2 (ko)
US20030215631A1 (en) Reflective yar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9150029A (ja) 綿糸特質を持たせた新たな織物漬染可能なまがい金糸又は銀糸の構造
JP5069588B2 (ja) 防視認性ループパイル布帛およびインテリア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