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881B1 - 선박 공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공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881B1
KR101502881B1 KR1020130085354A KR20130085354A KR101502881B1 KR 101502881 B1 KR101502881 B1 KR 101502881B1 KR 1020130085354 A KR1020130085354 A KR 1020130085354A KR 20130085354 A KR20130085354 A KR 20130085354A KR 101502881 B1 KR101502881 B1 KR 101502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conditioner
deck
conditioner room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385A (ko
Inventor
김진국
최용락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88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Abstract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데크의 하부에 마련되는 공기조화장치 룸, 상기 공기조화장치 룸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가 데크의 하단에 전후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데크를 보강하는 다수의 보강플레이트; 상기 각 보강플레이트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판; 상기 데크의 하부면과 하부 받침판의 상부면 사이에 마련되는 덕트 공간부를 구획하는 내부 구획판;을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덕트의 시공 및 공기조화장치 룸 장비의 설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데크를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공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 DUCT APPARATUS FOR VESSEL AIR CONDITIONING ROOM }
본 발명은 선박의 공조덕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의 하부에 급기 덕트 및 배기 덕트를 일체로 마련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데크 하부에 마련되는 공기조화장치 룸(Room)의 설계는 먼저 선체에서 룸 바운더리(Room Boundary)를 정하고 후행으로 공기조화장치 룸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조화장치의 각 장비를 연결하는 덕트를 설계한다.
따라서 덕트를 시공할 때에 각종 공기조화장치의 장비들이 배치되어 협소한 공기조화기 룸에서 덕트의 조립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자의 질식, 화재 등의 많은 위험이 있게 된다.
또한, 공기조화장치 룸의 설계 단계에서 덕트의 설치 공간이 부족하게 되면 룸 바운더리의 수정이 필요하게 되어 설계를 변경하여야 하고, 공조 용량 변경이나 장비 공급 상황의 변경으로 에어 공급 장비 및 에어 배출 장비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경우에도 덕트에 대한 설계 변경이 필요하게 되어 설계 및 선박 건조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일단 덕트를 설치한 후에 설계가 변경되면 설치된 덕트를 비롯한 전체 공기조화장치 설비에 대한 시공을 다시 해야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의 구성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는 독립 덕트(210)가 주로 공기조화장치 룸(220)의 천정 부위에 설치된다.
따라서 공기조화실 룸(220)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 데크 높이(DECK HEIGHT)를 더 높게 설정하여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선박의 장비제어실 소음 저감 및 공기 흐름 향상을 위한 헐 덕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헐 덕트는 장비제어실의 소음 방지 방안으로 헐 덕트와 장비제어실을 이격시킴으로써 외벽을 따라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고 아울러 덕트 형상에 따른 공기 흐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선박의 공조실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선박의 공조실 구조체는 공기조화기의 바로 아래와 위에 각각 배치된 제 1 데크 및 제 2 데크 사이에 위치하는 급기 챔버 및 배기 챔버; 상기 급기챔버와 상기 공기조화기를 연결한 급기덕트; 및 상기 공기조화기와 상기 배기챔버를 연결한 배기덕트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2의 선박의 공조실 구조체에 있어서 급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는 선체 내측면에 중공형 부재를 이격 배치하거나, 횡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부재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가 선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공조실 구조체가 점유하는 공간을 감소시키고 자재를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2441호(2012년 5월 24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0165호(2012년 9월 12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선박의 공조실 구조체는 공조실의 일측벽에 급기챔버가 마련되고 공조실의 상부벽에 배기챔버가 마련되는 형태이어서 급기 관련 장비 및 급기 배관, 배기 관련 장비 및 배기 배관을 설치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선박 공조실 구조체는 공조실 내부에 설치되는 장비의 설계가 변경되었을 때에 급기챔버와 배기챔버를 계속 사용하기가 곤란하게 되므로 덕트 관련 부품을 모두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장치 룸의 내부에서 덕트의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장치 룸의 내부에 장착되는 급기 관련 장비및 급기 배관, 배기 관련 장비 및 배기 배관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장치 룸 내부의 장착된 장비의 설계가 변경되었을 때에도 기존 덕트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는 데크의 하부에 마련되는 공기조화장치 룸; 상기 공기조화장치 룸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가 데크의 하단에 전후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데크를 보강하는 다수의 보강플레이트; 상기 각 보강플레이트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판; 상기 데크의 하부면과 하부 받침판의 상부면 사이에 마련되는 덕트 공간부를 구획하는 내부 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는 각 보강플레이트에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되고, 각 보강플레이트의 양측에 급기구 면적 및 배기구 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는 내부 구획판이 데크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덕트 공간부가 급기부와 배기부로 구획되며, 상기 급기부에 공기조화기를 비롯한 각종 급기 장비 및 급기 배관이 접속되고, 상기 배기부에 각종 배기 장비 및 배기 배관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는 상기 덕트의 하부 받침판에 다수의 작업용 해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에 의하면, 선박 데크의 하부에 마련되는 덕트가 선박 데크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선박 데크에 대한 별도의 보강이 필요 없게 되어 자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에 의하면, 덕트가 공기조화장치 룸에 선행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협소 공간 작업 없이 덕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에 의하면, 덕트의 하부 격판에 작업용 해치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장비나 배관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의 부상이나 그 밖의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에 의하면, 덕트가 공기조화 룸의 벽체에 일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좋게 되어 유지관리 비용이 적게 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에 의하면, 공기조화장치 룸의 장비 변경시에도 일부 장착구멍의 위치만을 수정하면 되므로 기존 덕트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동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의 보강플레이트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는 덕트(110)가 공기조화장치 룸(120)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에 있어서 덕트(110)는 다수의 보강플레이트(111), 하부 받침판(112), 내부 구획판(113)을 포함한다.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동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의 보강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강플레이트(111)는 공기조화장치 룸(120)의 상부 벽체인 데크(121)의 하부에서 상기 덕트(110)의 진행 방향에 수직하게 좌우로 연장되고 상기 덕트(110)의 진행 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어 데크(12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보강플레이트(111)는 후술할 하부 받침판(11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강플레이트(111)는 다수의 통기구멍(111a)이 형성되고, 양측에 급기구 면적 및 배기구 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부(111b)가 마련된다.
하부 받침판(112)는 상기 각 보강플레이트(111)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데크(121)의 하부에 하부 받침판(112)이 설치되면 데크(121)의 하부면과 하부 받침판(112)의 상부면 사이에 덕트 공간부가 마련된다.
내부 구획판(113)은 데크(121)의 하부면과 하부 받침판(112)의 상부면 사이에 마련되는 덕트 공간부를 구획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는 내부 구획판(113)이 데크(121)의 하부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덕트 공간부가 좌측의 급기부(S)와 우측의 배기부(E)로 구획된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구획판(113)의 배치 형태 및 개수는 도시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예측 가능한 다른 배치 형태 및 개수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덕트(110)의 급기부(S)에는 공기조화기를 비롯한 각종 급기 장비 및 급기 배관(130)이 접속되고, 상기 배기부(E)에는 각종 배기 장비 및 배기 배관(140)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덕트(110)의 하부 받침판(112)에는 다수의 작업용 해치(115)가 마련된다.
상기 작업용 해치(115)는 급기 배관(130)를 급기부(S)에 접속하거나 배기 배관(140)를 배기부(E)에 접속할 때, 그리고 각 접속 장비를 점검하거나 수리를 할 때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급기 배관(130) 및 배기 배관(140)의 접속 위치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는 공기조화장치 룸(120)에 장비나 배관이 시공되기 전에 공기조화장치 룸(120)의 상부에 덕트(110)가 사전 시공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장비와 배관을 먼저 시공한 후에 협소한 공간에서 후행으로 독립 덕트를 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덕트(110)의 시공을 극히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는 공기조화장치 룸(120)에 덕트(110)가 시공된 후에 공급 관련 장비 및 급기 배관(130)을 덕트(110)의 급기부(S)에 접속하게 되고, 배기 관련 징비 및 배기 배관(140)을 덕트(110)의 배기부(E)에 접속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는 덕트(110)가 공기조화장치 룸(120)과 일체로 마련되므로 공기조화장치 룸(120)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의 덕트(110)의 보강플레이트(111) 및 하부 받침판(112)은 공기조화장치 룸(120)의 상부 벽체인 데크(121)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데크(121)에 대한 별도의 보강재를 시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는 공기조화장치 룸(120)에 각종 장비나 배관을 시공할 때에 덕트(110)의 하부 받침판(112)에 마련된 작업용 해치(115)를 통해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는 공기조화장치 룸(120)의 장비 변경시에도 덕트(110)에 마련되는 배관 장착구멍의 위치만을 수정하면 되므로 덕트(110)를 교체하거나 재시공하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 덕트 111 : 보강플레이트
112 : 하부 받침판 113 : 내부 구획판
115 : 작업용 해치 120 : 공기조화장치 룸
121 : 데크 130 : 급기 배관
140 : 배기 배관

Claims (4)

  1. 데크(121)의 하부에 마련되는 공기조화장치 룸(120), 상기 공기조화장치 룸(120)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덕트(110)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110)는
    상기 데크(121)를 보강하도록 상기 데크(121)의 하부에서 상기 덕트(110)의 진행 방향에 수직하게 좌우로 연장되고 상기 덕트(110)의 진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보강플레이트(111);
    상기 각 보강플레이트(111)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판(112);
    상기 데크(121)의 하부면과 하부 받침판(112)의 상부면 사이에 마련되는 덕트 공간부를 구획하는 내부 구획판(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보강플레이트(111)에 다수의 통기구멍(111a)이 형성되고, 각 보강플레이트(111)의 양측에 급기구 면적 및 배기구 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부(111b)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내부 구획판(113)이 데크(121)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덕트 공간부가 급기부(S)와 배기부(E)로 구획되고,
    상기 급기부(S)에 공기조화기를 비롯한 각종 급기 장비 및 급기 배관(130)이 접속되고, 상기 배기부(E)에 각종 배기 장비 및 배기 배관(140)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10)의 하부 받침판(112)에 다수의 작업용 해치(11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KR1020130085354A 2013-07-19 2013-07-19 선박 공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KR101502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354A KR101502881B1 (ko) 2013-07-19 2013-07-19 선박 공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354A KR101502881B1 (ko) 2013-07-19 2013-07-19 선박 공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85A KR20150010385A (ko) 2015-01-28
KR101502881B1 true KR101502881B1 (ko) 2015-03-17

Family

ID=5248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354A KR101502881B1 (ko) 2013-07-19 2013-07-19 선박 공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985B1 (ko) 2015-07-02 2021-10-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공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165A (ko) * 2011-03-03 2012-09-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조실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165A (ko) * 2011-03-03 2012-09-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조실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385A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02094B (zh) 面板、用于制造面板的方法及飞行器
KR101502881B1 (ko) 선박 공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KR101347622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거주구역 내 단열 보드의 설치 구조와 그 방법
CN103180157A (zh) 搬运车辆
WO2016063395A1 (ja) コントローラ組立体および作業機械用キャブ
KR20160046584A (ko) 그릴리지 선체 및 그릴리지 선체 구조
KR20040079333A (ko) 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 배치구조 및 배치방법
WO2010122696A1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キャブ保護構造
CN211543536U (zh) 一种风道系统及具有该风道系统的轨道车辆
JP5803981B2 (ja) 建設機械のバルブ装置
KR20120052441A (ko) 선박의 장비제어실 소음 저감 및 공기 흐름 향상을 위한 헐 덕트
JP2006125806A (ja) 空調設備、外調機の据付施工方法および空調設備の製造方法
JP5175143B2 (ja) 作業車両の空気調和装置のダクト構造
JP2011169045A (ja) 旋回作業機のエアコン用吹出ダクト装置
JP2009255919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CN204279440U (zh) 一种可拆卸式护栏
KR101271758B1 (ko) 선박의 격벽 구조체
JP5986278B2 (ja) コントローラ組立体および作業機械用キャブ
KR101506524B1 (ko)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CN114944629B (zh) 一种具有室外电缆保护装置的生活楼
CN204936840U (zh) 矿用自卸车及其驾驶室控制台
CN218296123U (zh) 一种用于地铁站的空调管线系统
JP3230978U (ja) 屋内送風装置及び屋内送風装置付き天井クレーン
JP5934637B2 (ja) 建設機械
TW201345769A (zh) 鐵道車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