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524B1 -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 Google Patents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524B1
KR101506524B1 KR1020130126651A KR20130126651A KR101506524B1 KR 101506524 B1 KR101506524 B1 KR 101506524B1 KR 1020130126651 A KR1020130126651 A KR 1020130126651A KR 20130126651 A KR20130126651 A KR 20130126651A KR 101506524 B1 KR101506524 B1 KR 10150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air
unit
discharge port
filter unit
wir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은 설치 대상물에 개구된 개구 홀에 설치되고 팬 유닛(fan unit)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 대상 영역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설치되는 씰링부재; 상기 씰링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설치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wire mesh unit for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 또는 선박에서 외부 공기가 도입되어 실내 영역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는 개구 홀 주변의 보강재 또는 레이아웃에 상관 없이 설치가 가능한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조화기(air handling unit)는 일반 건물을 비롯하여 선박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가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공기조화기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외부 공기)가 유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선박에는 공기조화기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공기조화기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 순환시스템이 갖춰진다.
대형 선박인 경우, 선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실내 공간이 갖춰지고 이러한 실내 공간들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가 설치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헐 샤프트에서 분기되는 개별 연결덕트 역시 다수 개가 갖춰져서 공기조화기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룸 또는 특정 공간으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덕트 조립체는 데크 하측에 외기가 공급되는 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의 외측에 앵글을 설치한 후에, 상기 앵글 하측에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와이어 메쉬(wire mesh)를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 메쉬의 하측에 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최종적으로 볼트에 의해 서로 간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일반적인 선박의 공조시스템 설치 규정에 따르면 이와 같이 설치되는 덕트 조립체는 상기 덕트에 앵글을 용접하여 설치를 하나, 메인 데크에서 팬을 설치할 공간이 부족한 특수 선박의 경우 덕트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4215호 (2012년2월2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와이어 메쉬 유닛이 설치되는 설치 장소의 레이 아웃 및 공간이 불리한 경우에도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치 대상물에 개구된 개구 홀에 설치되고 팬 유닛(fan unit)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 대상 영역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설치되는 씰링부재; 상기 씰링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설치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개구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삽입 홀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는 10 ~ 20mm 사이의 길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설치된 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는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은 선박의 메인 데크 상측에 설치되고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도입구; 상기 메인 데크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기 도입구를 통해 도입된 외기가 유입되는 팬룸(fan room); 상기 팬룸에 설치되고 상기 팬룸으로 유입된 외기를 배출 대상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팬 유닛; 상기 팬유닛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팬 유닛(fan unit)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 대상 영역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설치되는 씰링부재; 상기 씰링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설치된 고정부재; 및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설치된 지지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선박의 선체에 설치되는 와이어 메쉬 유닛 주변에 별도의 구조물 또는 레이아웃이 복잡한 경우에도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신속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의 조립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와이어 메쉬 유닛(1)은 설치 대상물에 개구된 개구 홀(10)에 설치되고 팬 유닛(fan unit)(5)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 대상 영역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배출구(100)와, 상기 배출구(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씰링부재(200)와, 상기 씰링부재(300)의 하측에 설치되고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300); 및 상기 필터부(300)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구(100)를 향해 설치된 고정부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배출구(100)는 배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 홀(10)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고 원주 방향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개구된 다수개의 삽입 홀(110)을 포함하는 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구(100)는 팬 유닛(5)을 통해 도입된 외기가 배출 대상 영역(A1)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되고, 길이는 10 ~ 20mm의 길이로 연장되므로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고 연장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배출구(100)의 외측에 별도의 보강재 및 레이아웃이 복잡한 경우에도 작업자가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팬 유닛(5)을 통해 도입된 외기를 배출 대상 영역(A1)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덕트 또는 앵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배출구(100)는 삽입 홀(110)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110)에 고정부재(400)가 나사 결합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용접이 이루어지고 하단부에 너트가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100)에 고정되므로 녹 발생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한다.
상기 삽입 홀(110)은 배출구(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므로 후술할 씰링부재(200) 및 필터부(300)가 고정부재(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배출 대상 영역(A1)은 실내 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특정 공간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건축물의 사무실 또는 방(room)이 될 수 있으며, 선박의 선실 또는 식당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씰링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씰링부재(200)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배출구(100)를 통해 배출 대상 영역(A1)으로 배출되는 외기의 누설을 방지하며, 링 형태의 오링이 설치된다. 또한 씰링부재(200)는 후술할 고정부재(400)의 삽입을 위해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씰링부재(200)는 고무가 사용되나 상기 재질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 에서는 1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필터부에 대해 설명한다.
필터부(300)는 일정 간격을 가지는 와이어 메쉬가 사용되고, 상기 와이어 메쉬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300)는 전술한 와이어 메쉬 이외에도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와이어 메쉬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필터부(300)는 편평한 상태가 아니므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와이어 메쉬 유닛(1)은 상기 필터부(300)의 하측에 설치된 지지판(50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500)은 링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와이어 메쉬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판(500)은 금속 또는 비금속 및 플라스틱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특정 재질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정부재(400)는 전술한 삽입 홀(110)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측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홀(110)에 손쉽게 결합되고, 단부에 너트가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400)가 우선 결합되어 용접되고 너트가 후 설치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1)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건축물에도 설치 가능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 1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1a)은 선박의 메인 데크(2) 상측에 설치되고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도입구(3)와, 상기 메인 데크(2)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기 도입구(3)를 통해 도입된 외기가 유입되는 팬룸(fan room)(4)과, 상기 팬룸(4)에 설치되고 상기 팬룸(4)으로 유입된 외기를 배출 대상 영역(A1)으로 공급하기 위한 팬 유닛(5)과, 상기 팬유닛(5)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팬 유닛(fan unit)(5)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 대상 영역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배출구(100)와, 상기 배출구(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씰링부재(200)와, 상기 씰링부재(200)의 하측에 설치되고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300)와, 상기 필터부(300)의 하측에서 상기 배출구(100)를 향해 설치된 고정부재(400); 및 상기 필터부(300)의 하측에 설치된 지지판(50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와이어 메쉬 유닛(1a)이 선박에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였고, 외기 도입구(3)는 메인 데크(2)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기 도입을 위해 사각 또는 원형으로 개구되어 후술할 팬룸(4)과 연결된다.
외기 도입구(3)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필터가 설치되어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필터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팬룸 및 팬 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팬룸(4)은 메인 데크(2)와 배출 대상 영역(A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팬 유닛(5)이 설치되어 상기 외기 도입구(3)를 통해 다량의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팬 유닛(5)은 팬(fan)(미도시)이 설치되어 팬룸(4)으로 유입된 외기를 배출 대상 영역(A1)으로 배출시켜 환기를 실시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팬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팬 유닛(5)은 선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팬 유닛(5)을 통해 배출된 외기가 배출 대상 영역(A1)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구(100)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100)는 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배출구(100)는 팬 유닛(5)을 통해 도입된 외기가 배출 대상 영역(A1)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되고, 길이는 10 ~ 20mm의 길이로 연장되므로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고 연장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배출구(100)의 외측에 별도의 보강재 및 레이아웃이 복잡한 경우에도 작업자가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배출구(100)는 삽입 홀(110)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110)에 고정부재(400)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삽입 홀(110)은 배출구(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므로 씰링부재(200) 및 필터부(300)가 고정부재(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배출 대상 영역(A1)은 선박의 경우 거주구에 형성된 다수개의 선실이 이에 해당되고, 이외에도 식당 및 기타 선원이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영역에 해당된다.
실내 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특정 공간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건축물의 사무실 또는 방(room)이 될 수 있으며, 선박의 선실 또는 식당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씰링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씰링부재(200)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배출구(100)를 통해 배출 대상 영역(A1)으로 배출되는 외기의 누설을 방지하며, 링 형태의 오링이 설치된다.
상기 씰링부재(200)는 고무자 사용되나 상기 재질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 에서는 1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필터부에 대해 설명한다.
필터부(300)는 일정 간격을 가지는 와이어 메쉬가 사용되고, 상기 와이어 메쉬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300)는 전술한 와이어 메쉬 이외에도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와이어 메쉬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필터부(300)는 편평한 상태가 아니므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와이어 메쉬 유닛(1)은 상기 필터부(300)의 하측에 설치된 지지판(50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500)은 링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와이어 메쉬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판(500)은 금속 또는 비금속 및 플라스틱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특정 재질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정부재(400)는 전술한 삽입 홀(110)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측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홀(110)에 손쉽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와이어 메쉬 유닛의 조립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선체에 배출구(100)를 설치하기 이전에 상기 배출구(100)에 설치될 씰링부재(200)가 상면에 위치되도록 배출구(100)를 회전시켜 전술한 씰링부재(200)를 회전된 배출구(10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필터부(300)와 지지판(500)을 차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400)를 다수개의 삽입 홀(110)에 각각 결합시켜 나사 결합시키고, 일단에 용접을 실시하여 고정하고, 필터부(300)가 지나치게 압착되지 않도록 고정부재(400)의 회전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필터부(300)를 씰링부재(200)에 밀착시키며 타단에 너트를 조립시켜 최종적으로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와이어 메쉬 유닛을 다시 반대로 뒤집은 후에 개구 홀(10)에 삽입시켜 테두리에 용접을 실시하여 작업을 종료한다. 작업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개의 와이어 메쉬 유닛에 대한 작업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와이어 메쉬 유닛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팬 유닛(5)이 작동될 경우 외기 도입구(3)를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신선한 외기가 팬룸(4)의 내측 영역으로 유입되고, 상기 팬 유닛(5)이 설치된 곳으로 이동된다.
팬 유닛(5)은 배출 대상 영역(1A)으로 외기가 배출되도록 팬룸(4)으로 유입된 다량의 외기를 흡입하여 배출구(100)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배출구(100)를 경우하여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대상 영역(1A)을 향해 안정적으로 공급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3 : 외기 도입구
4 : 팬룸
5 : 팬 유닛
10 : 개구 홀
100 : 배출구
110 : 삽입 홀
200 : 씰링부재
300 : 필터부
400 : 고정부재
500 : 지지판

Claims (7)

  1. 설치 대상물에 개구된 개구 홀에 설치되고 팬 유닛(fan unit)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 대상 영역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설치되는 씰링부재;
    상기 씰링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서 설치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하측에서 배출구를 향해 설치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개구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삽입 홀을 포함하되,
    10 ~ 20mm 사이의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부는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선박의 메인 데크 상측에 설치되고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도입구;
    상기 메인 데크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기 도입구를 통해 도입된 외기가 유입되는 팬룸(fan room);
    상기 팬룸에 설치되고 상기 팬룸으로 유입된 외기를 배출 대상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팬 유닛;
    상기 팬유닛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팬 유닛(fan unit)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 대상 영역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설치되는 씰링부재;
    상기 씰링부재의 하측에 설치되고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서 설치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하측에서 배출구를 향해 설치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개구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삽입 홀을 포함하되,
    10 ~ 20mm 사이의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부는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KR1020130126651A 2013-10-23 2013-10-23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KR10150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651A KR101506524B1 (ko) 2013-10-23 2013-10-23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651A KR101506524B1 (ko) 2013-10-23 2013-10-23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524B1 true KR101506524B1 (ko) 2015-03-27

Family

ID=5302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651A KR101506524B1 (ko) 2013-10-23 2013-10-23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244A (ko) 2015-05-15 2016-1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288Y1 (ko) 2004-08-04 2005-03-11 최규태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110086968A (ko) * 2010-01-25 2011-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20110097408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원평 공기 조화기용 필터
KR20130031197A (ko) * 2011-09-20 2013-03-2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벤트 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288Y1 (ko) 2004-08-04 2005-03-11 최규태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110086968A (ko) * 2010-01-25 2011-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20110097408A (ko) * 2010-02-25 2011-08-31 주식회사 원평 공기 조화기용 필터
KR20130031197A (ko) * 2011-09-20 2013-03-2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벤트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244A (ko) 2015-05-15 2016-1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06975A1 (en) Flange for connecting fan to manway
KR101144821B1 (ko) 이중감지식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JP5327401B1 (ja) シェルター換気システム、シェルター換気システムで使用する壁ユニット、シェルター換気システムを使用したシェルター、シェルター換気システムの構築方法
CN113465160A (zh) 空调管道的扩散器用盖
CA2678161A1 (en) An air outlet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104309794A (zh) 船舶机舱通风组件
KR101506524B1 (ko)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US20140130533A1 (en) Air conditioning condensate drain line assembly
US7022010B1 (en) Air conditioner with a circular air diffuser system
US20150091731A1 (en) Rail vehicle comprising an induction smoke alarm
CN209744638U (zh) 方便安装的新风系统管道装置
KR101558141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일체형 환기구 챔버.
US8911286B1 (en) Concentric air diffuser with an angled supply air face
CN108064208B (zh) 摩擦阻力降低装置及包含该装置的船舶
KR100836822B1 (ko) 환기시스템용 후드
CN204806614U (zh) 一种用于通风的外部罩盖
DE202008008005U1 (de) Lüftungssystem zur Ausrüstung eines Gebäudes und Gebäude mit einem Lüftungssystem
KR101911344B1 (ko) 장거리 분사식 기류 모집형 유도콘에 의한 기류 순환성과 제작성 및 조립성이 개선된 지하주차장용 유인팬
KR20120027781A (ko) 소음저감기능을 갖는 급기덕트
GB2442600A (en) Airflow terminal device
US11761671B2 (en) Compact diffuser
JP3218042U (ja) 換気装置
KR20180015108A (ko) 송풍기 및 환기 시스템
KR101502881B1 (ko) 선박 공조조화장치 룸의 덕트장치
CN215293919U (zh) 一种除臭密封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