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408A - 공기 조화기용 필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408A
KR20110097408A KR1020100017238A KR20100017238A KR20110097408A KR 20110097408 A KR20110097408 A KR 20110097408A KR 1020100017238 A KR1020100017238 A KR 1020100017238A KR 20100017238 A KR20100017238 A KR 20100017238A KR 20110097408 A KR20110097408 A KR 2011009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filter case
frame
cov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758B1 (ko
Inventor
황병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평
황병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평, 황병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평
Priority to KR102010001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7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개시된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는 가로살과 세로살로 이루어진 격자살 및 상기 격자살을 에워싸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판상체로서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은 서로 대향하는 모서리들을 가로지르는 직선인 가상선 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이 서로 점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양쪽 부분 중의 어느 한쪽 부분에는 암결합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 부분에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암결합구와 점대칭을 이루는 수결합구가 구비된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수결합구 및 암결합구와 상기 제2 커버의 암결합구 및 수결합구가 각각 결합되어 그 안쪽에 필터수단이 들어갈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Filter case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용 필터가 수납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두 개의 커버를 맞대어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손쉽게 케이스를 구성함과 동시에 필터의 교체가 자유로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손쉽게 여러 개의 필터 케이스를 견고하게 묶어 하나의 필터 케이스 조립체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변경 없이도 공기 조화기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필터링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건물은 물론 각종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주변공기의 온도를 사람들이 쾌적하게 느끼는 적정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장치나 설비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현대인에게 공기 조화기가 없는 환경에서 생활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기 조화기는 기본적으로 주변의 공기를 빨아들이고, 이 공기를 열교환기와 열교환시킨 후 다시 외부로 토출하는 구성을 갖는데, 열교환기의 온도가 주변 공기의 온도보다 낮으면 냉방기로, 반대로 높으면 난방기로 기능한다.
한편 공기 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에는 미세한 먼지 등의 부유물이 다수 존재하기 마련인데, 이러한 먼지는 공기 조화기 내부의 미세한 틈, 예를 들면 열교환기 표면에 형성된 냉각핀들 사이의 공간에 축적되기 쉽다. 이러한 먼지의 축적은 공기 조화기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기 조화기 내부에 축적된 먼지는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공기 조화기에는 필터가 장착된다.
도 1은 이러한 필터가 장착된 공기 조화기(1)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1)는 빌딩과 같은 대형건물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인데, 공기흐름의 상류, 즉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 쪽에 필터가 수납된 필터 케이스(3)가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필터 케이스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재활용이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인데, 종래의 필터 케이스는 경량의 알루미늄 앵글로 프레임을 만들고, 프레임의 개방면으로 필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철사로 만든 격자와 필터를 수납시킨 후 알루미늄 앵글의 모서리를 절곡하여 필터 케이스를 완성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필터 케이스는 필터를 교체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케이스를 만들 때 별도의 격자를 준비하고 프레임을 절곡하는 작업이 포함되어 있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의 크기에 따라서는 필터 케이스를 하나만 설치해서는 요구되는 필터링 면적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한편 필터 케이스의 크기는 호환성을 위하여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로 필터 케이스의 크기를 바꿀 수는 없고, 따라서 여러 개의 필터 케이스를 하나로 모아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여러 개의 필터 케이스를 모아서 설치하기 위해서는 공기 조화기의 사양에 따라 개개의 케이스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이 따랐으며, 이는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터 케이스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의 교체가 쉽고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재활용성이 우수한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케이스를 준비하지 않고서도 여러 개의 필터 케이스를 쉽게 하나로 묶어 사용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는 가로살과 세로살로 이루어진 격자살 및 상기 격자살을 에워싸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판상체로서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은 서로 대향하는 모서리들을 가로지르는 직선인 가상선 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이 서로 점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양쪽 부분 중의 어느 한쪽 부분에는 암결합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 부분에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암결합구와 점대칭을 이루는 수결합구가 구비된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수결합구 및 암결합구와 상기 제2 커버의 암결합구 및 수결합구가 각각 결합되어 그 안쪽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결합구와 수결합구는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결합구는 스크류이고, 상기 암결합구는 홀이 형성된 보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결합구는 실린더 형상을 가진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쐐기형상의 결합턱을 가진 원터치 핀이고, 상기 암결합구는 상기 결합턱이 걸리는 요부가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는 보스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이 나머지 부분보다 높도록 단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격자살은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이 서로 점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 중의 어느 한쪽 부분의 상기 가로살과 세로살의 교차부에는 고정핀이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 부분의 교차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끼워져 고정되는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기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 중의 어느 한쪽 부분에 뾰족한 첨단을 가진 고정핀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가 결합되어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 안에 들어가는 필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수단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의 프레임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에는 그 꼭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사분원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분원 턱이 형성된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는 네 개가 2×2 구조로 배치되어 하나의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를 이룰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네 개의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들의 중심에서 만난 네 개의 사분원 턱들이 결속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구는 스틸밴드 또는 밴드클립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는 상기한 구성을 가진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로서 상기 프레임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및 상기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가 끼워져 고정되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함체로서, 외측을 향해 개구된 두 개의 절곡편을 가진 제1 절곡편과 내측을 향해 개구된 두 개의 절곡편을 가진 제2 절곡편으로 이루어진 착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함체의 네 측면 중 인접한 두 개의 측면에는 상기 제1 절곡편이 구비되고 나머지 두 개의 측면에는 상기 제2 절곡편이 구비된 필터 케이스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상기 필터 케이스 하우징은 각각의 모서리에 구비된 상기 착탈수단인 제1 절곡편과 제2 절곡편 사이의 끼움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함체 측면의 전후 모서리를 따라 일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홈에 상보하는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절곡편이 형성된 측면에 구비된 상기 홈과 턱의 전후배치가 상기 제2 절곡편이 형성된 측면에 구비된 상기 홈과 턱과는 반대방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는 암결합구와 수결합구의 결속에 의한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필터수단의 교체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가짐으로써 생산성이 높고, 이는 특히 사출성형으로 커버를 제조할 경우 금형이 한 종류만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크게 절감되며 필터 케이스의 부품 종류가 단순화되기 때문에 재고관리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는 공기 조화기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개의 필터 케이스를 손쉽게 묶어 하나의 필터 케이스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과 활용성 증대된다는 이점도 가진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에 설치되는 종래의 필터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의 하나의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두 개의 커버가 결합되어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두 개의 커버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가 2×2 구조로 배치되어 띠 형태의 결속구로 결합된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가 4×4 구조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와 필터 케이스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필터 케이스 하우징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필터 케이스 하우징이 상호 결속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필터 케이스 하우징 각각의 홈과 턱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또한 도면을 참조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이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며 사용된 전후, 좌우, 상하 등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의하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상대적인 위치의 정의는 발명의 본질적인 부분에는 변경이 없이 이와 동등한 배치로 변경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는 교차하는 가로살과 세로살로 이루어진 격자살(110) 및 상기 격자살(110)을 에워싸는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 판상체로서 프레임(120)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단턱(122)이 구비된 제1 커버(100) 및 제1 커버(100)와 완전히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제2 커버(2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제2 커버(100,200)에는 각각 암결합구(126)와 수결합구(1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 커버(100)의 암/수결합구(126,130)와 제2 커버(200)의 수/암결합구(130,126)가 각각 상호 결합된다. 제1/제2 커버(100,200)가 결합되면 프레임(120)의 모서리에 형성된 단턱(122)에 의해 그 안쪽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수용공간에 필터수단(300), 예를 들면 부직포가 수납됨으로써 공기 조화기에 설치되는 필터 케이스(10)가 완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의 특징은 제1 커버(100)와 제2 커버(200)가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가짐으로써 생산성이 높다는 것인데, 이는 특히 사출성형으로 커버(100,200)를 제조할 경우 금형이 한 종류만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필터 케이스(10)의 부품 종류가 단순화되기 때문에 재고관리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 역시 매우 높아진다.
다만 제1 커버(100)와 제2 커버(200)는 프레임(120)의 모서리에 형성된 단턱(122)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 즉 제1/제2 커버(100,200) 중 어느 하나의 커버가 뒤집혀진 상태로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프레임(120)의 형상 및 암결합구(126)와 수결합구(130)의 배치는 특별한 규칙을 따라야 한다. 이러한 규칙을 설명하면, 첫째로 프레임(120)은 서로 대향하는 모서리들을 가로지르는 직선인 가상선 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이 서로 점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며, 둘째로 가상선에 의해 분할된 프레임(120)의 양쪽 부분 중의 어느 한쪽 부분에는 암결합구(126)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 부분에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암결합구(126)와 점대칭을 이루도록 수결합구(130)가 구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프레임(120)의 형상이 원이라면 가상선은 지름이 되고 기준점은 원의 중심이 되며, 암결합구(136)와 수결합구(130)는 가상선에 의해 분할된 두 개의 반원 영역에 각각 형성되되 암결합구(126)와 수결합구(130)의 위치는 원의 중심에 대해 점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또 하나의 예로 들면, 프레임(120)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때 가상선은 대각선이 되고 기준점은 대각선의 중점이 된다. 그리고 암결합구(126)와 수결합구(130)는 가상선에 의해 분할된 두 개의 직각삼각형 영역에 각각 형성되되 암결합구(126)와 수결합구(130)의 위치는 대각선의 중점에 대해 점대칭을 이루도록,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프레임(120)의 모서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야 한다. 물론 이 경우 가상선은 반드시 대각선일 필요는 없으며, 대향하는 모서리를 가로지르기만 하면 된다. 프레임(120)의 형상은 원과 사각형 이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위의 두 가지 규칙을 만족시킨다면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커버에 의해 본 발명의 필터 케이스(1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필터 케이스(10)에 포함된 암결합구(126)와 수결합구(130)로 적용가능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쌍을 이루어 결합되는 암결합구(126)와 수결합구(13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결합구(130)는 스크류(130')이고 암결합구(126)는 홀(127)이 형성된 보스(126')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류(130')의 수나사가 보스(126')에 형성된 홀(127)의 내주면으로 파고들어 강한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암결합구(126)와 수결합구(130)도 가능한데,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결합구(130)는 실린더 형상을 가진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131)과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쐐기형상의 결합턱(132)을 가진 원터치 핀(130")이고, 암결합구(126)는 상기 결합턱(132)이 걸리는 요부(凹部)(129)가 형성된 관통홀(128)을 구비하는 보스(126")로 구성된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점은 별도의 공구, 예를 들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 없이도 단순히 수결합구(130)인 원터치 핀(130")을 암결합구(126)인 보스(126")의 관통홀(128)에 끼워넣으면 원터치 핀(130")의 결합턱(132)이 보스(126")의 요부(129)에 걸림으로써 간편하게 체결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암결합구(126)와 수결합구(130)가 정확히 쌍을 이루면서 제1/제2 커버(100,200)가 결합되도록 보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가상선 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을 이루도록 프레임(120)의 일부분이 나머지 부분 보다 높은 단차(124)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프레임(120)의 형상이 원형이나 정사각형과 같이 180°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제1/제2 커버(100,200)가 외형상 겹쳐질 수 있는 모양을 가진 경우에 암결합구(126)와 수결합구(130) 사이의 정확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 커버(100,200)의 안쪽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납된 필터수단(300), 특히 부직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교차하는 가로살과 세로살로 이루어진 격자살(110)이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을 이루도록 하고, 아울러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 중의 어느 한쪽 부분에서의 가로살과 세로살의 교차부에는 고정핀(112)을 돌출 형성시키고, 나머지 한쪽 부분의 교차부에는 고정핀(112)이 끼워져 고정되는 핀홀(114)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제2 커버(100,2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필터수단(300)을 관통한 고정핀(112)이 핀홀(114)에 끼워지면, 필터수단(300)이 고정핀(112)에 의해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대안적으로 필터수단(300)인 부직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120)을 따라 뾰족한 첨단을 가진 고정핀(112')를 돌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첨단을 가진 고정핀(112')은 핀홀(114)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고정핀(112') 역시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 중의 어느 한쪽 부분에만 형성하면 충분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는 공기 조화기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케이스를 준비하지 않고서도 여러 개가 하나로 묶여 하나의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1000)를 이룰 수 있다.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1000)를 구성하기 위한 제1/제2 커버(100,200)의 프레임(120)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데, 상기 프레임(120)의 네 모서리에는 그 꼭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사분원 턱(400)이 형성된다. 여기서 사분원 턱(400)이 형성된 구성을 제외한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가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1000)를 이루는 일례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1000)는 프레임(120)의 네 모서리에 사분원 턱(400)이 형성된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 네 개가 2×2 구조로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네 개의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들의 중심에서 만난 네 개의 사분원 턱(400)들은 하나의 원형턱(400')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 네 개의 2×2 구조 배치에 의해 만들어진 원형턱(400')을 띠(strap) 형태의 결속구(500)로 고정시키면, 네 개의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는 별도의 케이스에 수납되지 않고서도 하나의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1000)를 이루게 된다. 이때 결속구(500)로는 나사를 회전시켜 결속력을 조정할 수 있는 스틸밴드(500') 또는 일방향으로 조여지며 일명 케이블 타이로 불리는 밴드클립(500")이 사용될 수 있는데, 스틸밴드(500')와 밴드클립(500")는 이미 널리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앞의 설명에서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 네 개가 2×2 구조로 배치된다고 기술한 것은 하나의 원형턱(400")을 이루기 위한 최소한의 구조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공기 조화기에 적용되도록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 열여섯 개가 4×4 구조로 배치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1000)의 장점은 필터 케이스(10)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원형턱(400")의 개수 또한 늘어나기 때문에,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1000)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도 5와 도 6에 각각 도시된 2×2 구조와 4×4 구조 각각에서의 원형턱(400")의 개수가 1개에서 9개로 크게 증가했음을 확인하면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100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20)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 및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1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함체(610)인 필터 케이스 하우징(60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필터 케이스 하우징(600)을 이루는 함체(610)의 네 측면을 따라 착탈수단(620)이 구비된다. 이 착탈수단(620)은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외측을 향해 개구된 두 개의 절곡편, 즉 "┐┌" 형상을 가진 제1 절곡편(620')과, 내측을 향해 개구된 두 개의 절곡편, 즉 "┌ ┐" 형상을 가진 제2 절곡편으로 이루어지는데, 제1 절곡편(620')과 제2 절곡편(620")은 서로의 개구부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제1 절곡편(620')과 제2 절곡편(620")이 결합된 상태는 도 8의 "C"로 표시된 부분에 도시되어 있으며, 착탈수단(620)의 제1 절곡편(620')과 제2 절곡편(620")은 서로 끼워졌을 때 적절한 마찰력이 발생되어 결속이 유지된다.
특히 함체(610)의 네 측면 중 인접한 두 개의 측면에 구비된 착탈수단(620)이 나머지 두 측면에 구비된 착탈수단(620)과는 반대형상을 가지도록,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 하우징(600)의 일면에서 봤을 때 두 측면을 따라서는 제1 절곡편(620')이, 그리고 나머지 두 측면을 따라서는 제2 절곡편(620")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조를 가진 여러 개의 필터 케이스 하우징(600)이 서로의 제1 절곡편(620')과 제2 절곡편(620") 사이의 끼움결합에 의해 결속될 수 있으며, 이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함체(610) 측면의 전후 모서리를 따라 일측에는 홈(630)이 형성되고, 홈(630)에 대향하는 타측에는 턱(6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D-D" 단면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홈(630)과 턱(640)은 상보하는 형상을 가져 서로 끼워질 수 있으며, 이는 제1 절곡편(620')과 제2 절곡편(620")과 함께 여러 개의 필터 케이스 하우징(600)을 상호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제1 절곡편(620')이 형성된 측면에 구비된 홈(630)과 턱(640)의 전후배치는 제2 절곡편(620")이 형성된 측면에 구비된 홈(630)과 턱(640)과는 반대방향을 가진다. 따라서 동일한 구조를 가진 여러 개의 필터 케이스 하우징(600)을 결속시킬 때에 단순히 홈(630)과 턱(640)의 방향만을 맞춰서 끼우면 제1 절곡편(620')과 제2 절곡편(620")의 결합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결국 착탈수단(620)을 구비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1000')는 필터 케이스 하우징(600)을 매개로 하여 여러 개의 필터 케이스(10)가 결합됨으로써 손쉽게 필터링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착탈수단(620)과 함께 홈(630)과 턱(640)을 구비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1000')는 공기 조화기 내의 공기흐름이 강하게 일어나도 그 결속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100 : 제1 커버 110 : 격자살
112, 112' : 고정핀 114 : 핀홀
120 : 프레임 122 : 단턱
124 : 단차 126 : 암결합구
126' : 보스 127 : 홀
126" : 보스 128 : 관통홀
129 : 요부 130 : 수결합구
130' : 스크류 130" : 원터치 핀
131 : 절개홈 132 : 결합턱
200 : 제2 커버 300 : 필터수단
1000, 1000' :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
400 : 사분원 턱 400' : 원형턱
500 : 결속구 500' : 스틸밴드
500" : 밴드클립 600 : 필터 케이스 하우징
610 : 함체 620 : 착탈수단
620' : 제1 절곡편 620" : 제2 절곡편
630 : 홈 640 : 턱

Claims (16)

  1. 교차하는 가로살과 세로살로 이루어진 격자살 및 상기 격자살을 에워싸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판상체로서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은 서로 대향하는 모서리들을 가로지르는 직선인 가상선 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이 서로 점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양쪽 부분 중의 어느 한쪽 부분에는 암결합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 부분에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암결합구와 점대칭을 이루는 수결합구가 구비된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수결합구 및 암결합구와 상기 제2 커버의 암결합구 및 수결합구가 각각 결합되어 그 안쪽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결합구와 수결합구는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결합구는 스크류이고, 상기 암결합구는 홀이 형성된 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결합구는 실린더 형상을 가진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쐐기형상의 결합턱을 가진 원터치 핀이고, 상기 암결합구는 상기 결합턱이 걸리는 요부가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는 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이 나머지 부분보다 높도록 단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자살은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이 서로 점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고, 또한 상기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 중의 어느 한쪽 부분의 상기 가로살과 세로살의 교차부에는 고정핀이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 부분의 교차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끼워져 고정되는 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기 가상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양쪽 부분 중의 어느 한쪽 부분에 뾰족한 첨단을 가진 고정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가 결합되어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 안에 수납되는 필터수단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에는 그 꼭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사분원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11. 청구항 10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네 개가 2×2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네 개의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들의 중심에서 만난 네 개의 사분원 턱들이 결속구에 의하여 고정된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는 스틸밴드 또는 밴드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
  13. 청구항 1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로서 상기 프레임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및
    상기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가 끼워져 고정되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함체로서, 외측을 향해 개구된 두 개의 절곡편을 가진 제1 절곡편과 내측을 향해 개구된 두 개의 절곡편을 가진 제2 절곡편으로 이루어진 착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함체의 네 측면 중 인접한 두 개의 측면에는 상기 제1 절곡편이 구비되고 나머지 두 개의 측면에는 상기 제2 절곡편이 구비된 필터 케이스 하우징;
    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필터 케이스 하우징이 각각의 모서리에 구비된 상기 착탈수단인 제1 절곡편과 제2 절곡편 사이의 끼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함체 측면의 전후 모서리를 따라 일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홈에 상보하는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편이 형성된 측면에 구비된 상기 홈과 턱의 전후배치가 상기 제2 절곡편이 형성된 측면에 구비된 상기 홈과 턱과는 반대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필터 케이스 조립체.
KR1020100017238A 2010-02-25 2010-02-25 공기 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KR101168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238A KR101168758B1 (ko) 2010-02-25 2010-02-25 공기 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238A KR101168758B1 (ko) 2010-02-25 2010-02-25 공기 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408A true KR20110097408A (ko) 2011-08-31
KR101168758B1 KR101168758B1 (ko) 2012-07-26

Family

ID=4493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238A KR101168758B1 (ko) 2010-02-25 2010-02-25 공기 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75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989A (ko) *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열교환기
KR101506524B1 (ko) * 2013-10-23 2015-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KR101695467B1 (ko) * 2015-12-23 2017-01-23 동강환경 주식회사 세라믹 필터를 구비한 여과장치
KR20170123459A (ko) * 2016-04-29 2017-11-08 김진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KR200487087Y1 (ko) * 2017-06-08 2018-08-02 노재환 필터 유닛
KR102147597B1 (ko) 2019-03-15 2020-08-24 김진영 공기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887A (ko) 2020-04-21 2021-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3319A (ja) 2000-10-11 2002-04-16 Marugo Rubber Ind Co Ltd 空気清浄装置におけるフィルター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989A (ko) *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열교환기
KR101506524B1 (ko) * 2013-10-23 2015-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조용 와이어 메쉬 유닛
KR101695467B1 (ko) * 2015-12-23 2017-01-23 동강환경 주식회사 세라믹 필터를 구비한 여과장치
KR20170123459A (ko) * 2016-04-29 2017-11-08 김진 송풍수단에 탈착 가능한 공기청정기 변환모듈
KR200487087Y1 (ko) * 2017-06-08 2018-08-02 노재환 필터 유닛
KR102147597B1 (ko) 2019-03-15 2020-08-24 김진영 공기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758B1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758B1 (ko) 공기 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JP6296837B2 (ja) タンクのシール構造
JP2005323432A (ja) 配線・配管材の保護カバー
JP4472975B2 (ja) アルミニウム製防護屋根
KR20200100035A (ko) 실외기, 공기 조화기, 팬 가드 및 팬 가드 제조 방법
JP6182879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05777011U (zh) 具有弧形连接面的双层组合扣板结构
JP2019052737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JP7068813B2 (ja) 野縁接続金物
JP6154752B2 (ja) 配線カバー接続具
CN101535578B (zh) 包括多个面板元件的建筑套装附件
CN211716685U (zh) 空调器
JP2009136083A (ja) 配線・配管材保護カバー
KR101595803B1 (ko) 공기조화기 케이스용 모서리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케이스
JP5049411B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JP5459043B2 (ja) 電線用クランプ
CN107152743B (zh) 气流交换装置
CN212157583U (zh) 格栅结构、面板组件和空调器
WO2018025302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492923Y1 (ko) 티바 연결용 클립
JP2013102678A (ja) 配線・配管材保護カバー
TWM569677U (zh) Tool box with corner piece
TWI579440B (zh) Linkage of sheet metal
KR100797767B1 (ko) 에어닥트
CN111503866A (zh) 格栅结构、面板组件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