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23Y1 - 티바 연결용 클립 - Google Patents
티바 연결용 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923Y1 KR200492923Y1 KR2020190000405U KR20190000405U KR200492923Y1 KR 200492923 Y1 KR200492923 Y1 KR 200492923Y1 KR 2020190000405 U KR2020190000405 U KR 2020190000405U KR 20190000405 U KR20190000405 U KR 20190000405U KR 200492923 Y1 KR200492923 Y1 KR 2004929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slide
- pair
- coupling
- coupling portio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7—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being discontinuous and abutting against the other memb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 E04B9/067—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with inverted T-shap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티바 연결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부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삽입 결합부;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의 각 일측 단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서로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를 포함하여 T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는 메인 티바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는 상기 메인 티바와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크로스 티바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메인 티바와 상기 크로스 티바가 격자를 이루도록 직각 방향으로 결합시킨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티바 연결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틈새 발생의 최소화로 시공품질이 우수한 티바 연결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오피스텔 등의 건축물 천정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슬라브 하측에 다수의 캐링 채널(Carrying channel)을 헹거 볼트 및 헹거 클립에 의하여 설치하고, 캐링 채널의 하측에는 메인 티바(Main T-bar)를 캐링 채널에 체결하여 설치하며, 메인 티바 사이에는 이 메인 티바를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메인 티바와 함께 격자를 형성하는 크로스 티바(Cross T-bar)를 설치한다.
이 때,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의 하단에는 수평으로 확장된 날개가 형성되고, 이 날개에 천정 보드의 가장자리를 걸쳐서 천정 보드를 설치한다.
이 경우, 천정에는 천정 보드의 설치 이외에 등박스나 기타 공조장치 등 다양한 부착물이 설치되는데, 통상 티바를 크로스시켜 결합하는 격자형의 크로스 티바 이외에 모듈바-모듈바, 모듈바-티바가 직각으로 또는 크로스되게 결합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천정 보드 내지는 천정 부착물을 바르게 설치하기 위해 메인 티바-크로스 티바, 티바-티바, 모듈바-모듈바, 모듈바-티바 등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격자의 각 모서리는 직각이 잘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티바, 모듈바 등이 정확한 직각을 유지한 격자 형태로 시공되지 않으면, 실링 보드의 시공이 어렵고, 캐링 채널에도 불균형한 하중이 전달되어 시간이 경과하면서 메인 티바나 캐링 채널이 뒤틀릴 수 있어 시공품질에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직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틈새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유동이 발생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뒤틀림이나 파손의 문제가 발생되고, 천정 보드 내지는 천정 부착물 설치 시 시공품질이 현저히 저하되어 재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이로 인해 시공비가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티바-티바, 모듈바-티바, 모듈바-모듈바를 격자형으로 크로스되게 결합하기 위하여 클립이 다수 제공되고 있으며, 일 예로 한국특허등록 제10-1364976호에 개시된 연결클립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티바-티바가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되, 구분을 위해서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연결클립을 비롯한 종래의 클립들은, 메인 티바에 대하여 격자 즉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크로스 티바의 일 면만을 지지하도록 연결되어 설치됨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결합하고자 하는 크로스 티바의 양 면과 밀착되어 지지하도록 하는 클립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의 경우 클립이 분리 형으로 제작되어 제공됨에 따라 결합 시 별도의 체결부재(볼트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시키게 됨으로써, 그 조립공수가 많이 들게 되어 시공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특히, 분리형으로 제공되어 체결부재로서 체결시키는 종래의 클립의 경우, 그 체결력이 약해서 유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유지하지 못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고, 또한 체결부재의 과도한 조임에 따라 클립이 파손될 우려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인 티바와의 결속력이 우수하고, 또한 크로스 티바의 양 면에 대한 결속력도 우수하여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는 티바 연결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간단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티바 연결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일체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그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룬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시공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티바 연결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은, 결부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삽입 결합부;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의 각 일측 단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서로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를 포함하여 T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는 메인 티바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는 상기 메인 티바와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크로스 티바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메인 티바와 상기 크로스 티바가 격자를 이루도록 직각 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티바는, 동일 수평 면을 이루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 면 중앙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부로 구성되어 T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크로스 티바는, 동일 수평 면을 이루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 면 중앙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부로 구성되어 T 형상을 이루되, 상기 메인 티바의 구획부와, 상기 크로스 티바의 구획부 양 면에는, 각각 제1 슬라이드 홈 및 이 제1 슬라이드 홈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서로 대향되게 제2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는, 상기 메인 티바의 구획부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1 슬라이드부와,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2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제2 슬라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는, 상기 크로스 티바의 구획부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홈 및 제2 슬라이드 홈을 따라 삽입되되,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의 각 일 면에는 절개 홈에 의해 가압 돌기부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는, 각각의 외측 단에 일정 간격을 갖는 슬릿을 사이에 두고 일정 길이를 이루는 한 쌍의 결합단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결합단부는, 각각의 그 선단이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의 일측 단부에 비하여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되고, 그 중간 단에는 탄성 변형력을 갖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는, 상기 크로스 티바의 구획부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홈 및 제2 슬라이드 홈을 따라 삽입되되,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의 각 일 면에는 절개 홈에 의해 가압 돌기부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하면, 메인 티바와의 결속력이 우수하고, 또한 크로스 티바의 양 면에 대한 결속력도 우수하여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하면,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간단하게 결합됨으로써,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하면, 일체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그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룬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됨으로써, 시공품질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에 대하여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전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에 대하여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전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에 대하여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전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에 대하여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전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은, 티바와 티바, 모듈바와 티바, 모듈바와 모듈바, 티바와 모듈바를 각각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서는 티바와 티바를 연결시키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구분의 편의를 위해서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에 대하여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100)은, 연결부(11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와, 이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의 각 일측 단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서로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는 연결부(110)의 양 측단에서 연결부(11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됨으로써,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는 연결부(110)의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의 각 일측 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바, 한 쌍이 슬라이드 결합부(130)도 연결부(110)의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100)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T 형상을 이루게 되며, 이 때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는 메인 티바(10)와 슬라이드 결합되고,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는 크로스 티바(50)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를 격자형을 이루도록 직각 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의 연결부(11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와,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가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하고, 연결부(110)를 중심으로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시킨 후,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의 일측 단에 대하여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를 다시 직각 방향으로 절곡시키게 되면, 정면에서 바라볼 때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는 각각 개구 홀(13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굽힘 공정에 의해 T 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슬라이드부(134)와 제2 슬라이드부(136)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슬라이드부(134)는 메인 티바(10)의 구획부(30)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홈(32)에 삽입되고, 제2 슬라이드부(136)는 메인 티바(10) 구획부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 홈(34)에 삽입되게 되는데, 메인 티바(10)의 구성 및 결합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슬라이드부(134) 및/또는 제2 슬라이드부(136)의 단부에는 요철부(138)가 형성되어 메인 티바(10)의 슬라이드 홈(32,34)들에 대하여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제1 슬라이드부(134)의 단부에만 요철부(138)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1 슬라이드부(134)와 제2 슬라이드부(136)의 각 단부에 각각 요철부(138)가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슬라이드부(136)의 단부에만 요철부(138)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연결부(110)는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의 선단 측에만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 연결부(110)의 아래 쪽에는 절개부(112)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결부(110)가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의 선단 측에만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고, 그 아래 쪽에는 절개부(112)가 형성됨에 따라 연결부(110)를 기점으로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게 절곡시키는 경우,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는 절개부(112)가 형성된 부위에서는 마치 분리된 형태로 배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양 면에 개별적으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이의 결합 관계 또한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연결부(110)의 길이는 메인 티바(10)의 베이스부(20)에서, 베이스부(20)의 일측 단부로부터 구획부(30)까지의 간격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한편,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메인 티바(10)는 동일 수평 면을 이루는 베이스부(20)와, 이 베이스부(20)의 일면 중앙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부(30)로 구성되어 정면에서 바라볼 때, T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티바(10)의 구획부(30) 단부에는 대략 ㄷ자 형의 제1 슬라이드 홈(32)이 형성되고, 중간 단에는 제1 슬라이드 홈(32)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되 역시 대략 ㄷ자 형의 제2 슬라이드 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슬라이드 홈(32) 및 제2 슬라이드 홈(34)은 구획부(30)의 양 면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가 메인 티바(10)의 제1 슬라이드 홈(32) 및 제2 슬라이드 홈(34)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에서, 개구 홀(132)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부(134)는 메인 티바(10)의 제1 슬라이드 홈(32)으로 삽입되고, 제2 슬라이드부(136)는 메인 티바(10)의 제2 슬라이드 홈(34)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1 슬라이드부(134) 및/또는 제2 슬라이드부(136)의 단부에 요철부(138)가 형성됨에 따라 요철부(138)가 제1 슬라이드 홈(32) 및/또는 제2 슬라이드 홈(34)을 따라 밀착되면서 슬라이드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그 슬라이드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에서, 개구 홀(132)에 의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부(134)와 제2 슬라이드부(136)는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굽힘 가공된 지지부(1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개구 홀(132)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부(140)는 후 가공인 굽힘 가공에 의해 볼록한 형상(메인 티바(10)의 구획부(30) 일 면에 대하여 볼록하도록 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지지부(140)가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하여 제1 슬라이드부(134)와 제2 슬라이드부(136)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메인 티바(10)의 구획부(30)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홈(32) 및 제2 슬라이드 홈(34)의 간격과,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를 이루는 제1 슬라이드부(134) 및 제2 슬라이드부(136)의 각 단부 간격이 치수 공차를 갖게 되는 경우, 지지부(140)가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하여 제1 슬라이드부(134)와 제2 슬라이드부(136)의 간격이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티바(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티바(10)와 동일한 형상의 것이 제공될 수 있는바, 크로스 티바(50) 역시 동일 수평 면을 이루는 베이스부(60)와, 이 베이스부(60)의 일면 중앙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부(70)로 구성되어 정면에서 바라볼 때, T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단부에는 대략 ㄷ자 형의 제1 슬라이드 홈(72)이 형성되고, 중간 단에는 제1 슬라이드 홈(72)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되 역시 대략 ㄷ자 형의 제2 슬라이드 홈(7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슬라이드 홈(72) 및 제2 슬라이드 홈(74)은 구획부(70)의 양 면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 중, 하나의 삽입 결합부(120)는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일 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 및 제2 슬라이드 홈(74)을 따라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삽입 결합부(120)는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타 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 및 제2 슬라이드 홈(74)을 따라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연결부(110)의 너비에 대응되게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 중, 하나의 삽입 결합부(120)는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일 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과 제2 슬라이드 홈(74)을 따라 밀착되면서 슬라이드가 이루어지게 되고, 다른 하나의 삽입 결합부(120)는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타 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과 제2 슬라이드 홈(74)을 따라 밀착되면서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면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들은 그 너비가,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 양 면에 각각 대향되게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과 제2 슬라이드 홈(74)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이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최소의 치수공차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100)을 이용하여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를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티바 연결용 클립(100)을 제작하고, 연결부(110)에 대하여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굽힘 공정을 실시하고, 이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들에 대하여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를 다시 굽힙 공정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T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T 형상으로 제작된 티바 연결용 클립(100)을 이용하여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를 메인 티바(10)의 구획부(30) 일 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32) 및 제2 슬라이드 홈(34)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 때,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에서, 각각의 제1 슬라이드부(134)는 제1 슬라이드 홈(32)에 삽입되고, 제2 슬라이드부(136)는 제2 슬라이드 홈(34)에 삽입됨으로써, 메인 티바(10)의 구획부(30)는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와 면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특히, 제1 슬라이드부(134) 및/또는 제2 슬라이드부(136)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요철부(138)에 의해 그 슬라이드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를 이용하여 메인 티바(10)와 결합시킨 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를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양 면에 각각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 및 제2 슬라이드 홈(74)에 삽입시킴으로써, 메인 티바(10)에 대하여 크로스 티바(50)가 직각을 이룬 상태로 결합시키면 된다.
즉,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 중, 하나의 삽입 결합부(120)는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일 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 및 제2 슬라이드 홈(74)에 삽입시키고, 다른 하나의 삽입 결합부(120)는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타 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 및 제2 슬라이드 홈(74)에 삽입시킴으로써, 양 방향에서 안정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메인 티바(10)에 대하여 크로스 티바(50)를 직각 방향으로 결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삽입 공정에 의해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별도의 공구 즉, 롱로즈 플라이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메인 티바(10)의 제1 슬라이드 홈(32)과 제2 슬라이드 홈(34)을 가압시킴으로써,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0)와 메인 티바(1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크로스 티바(50)의 제1 슬라이드 홈(72)과 제2 슬라이드 홈(74)도 가압시킴으로써,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와 크로스 티바(5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100)은,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를 간단한 삽입 과정만을 통해 직각을 이룬 상태로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조립 시공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의 유동성이 예방되어 전체적인 시공품질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100)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과 비교할 때,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 일면에 가압 돌기부(124)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의 나머지 구성 및 결합관계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의 각 일 면에는 절개 홈(122)에 의해 가압 돌기부(124)가 형성되되, 이 가압 돌기부(124)의 선단은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의 각 일 면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 돌기부(124)는 절개 홈(122)에 의해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되는바, 가압에 의해 절개 홈(122) 내측으로 인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의 각 일 면에 절개 홈(122)에 의한 가압 돌기부(124)가 형성되는 경우, 한 쌍의 삽입 결합부(120)가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양 면에 각각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 및 제2 슬라이드 홈(74)을 따라 삽입될 때, 가압 돌기부(124)의 선단이 제1 슬라이드 홈(72)의 내면 또는 제2 슬라이드 홈(74)의 내면과 밀착됨이 우수하여 그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 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에 대하여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에 의해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전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메인 티바(10) 및 크로스 티바(50)는 앞선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메인 티바(10) 및 크로스 티바(5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은, 연결부(21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와, 이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의 각 일측 단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서로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는 연결부(210)의 양 측단에서 연결부(210)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됨으로써,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는 연결부(210)의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의 각 일측 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바, 한 쌍이 슬라이드 결합부(230)도 연결부(210)의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T 형상을 이루게 되며, 이 때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는 메인 티바(10)와 슬라이드 결합되고,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는 크로스 티바(50)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를 직각 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의 연결부(21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와,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가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하고, 연결부(210)를 중심으로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시킨 후,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의 일측 단에 대하여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를 다시 직각 방향으로 절곡시키게 되면, 정면에서 바라볼 때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는 각각의 외측 단에 일정 간격을 갖는 슬릿(244)들을 사이에 두고 일정 길이를 이루는 한 쌍의 결합단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는 각각 개구 홀(23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굽힘 공정에 의해 T 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슬라이드부(234)와 제2 슬라이드부(236)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결합단부(240)는 그 선단이 제1 슬라이드부(234) 또는 제2 슬라이드부(236)의 단부에 비하여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되고, 그 중간 단에는 탄성 변형력을 갖기 위한 요철부(24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요철부(242)는 후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결합단부(240) 선단은 각 슬릿(244)들의 형성 위치에 따라 제1 슬라이드부(234) 또는 제2 슬라이드부(236)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결합단부(240) 선단이 제1 슬라이드부(234)의 단부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슬라이드부(234)는 메인 티바(10)의 구획부(30)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홈(32)에 삽입되고, 제2 슬라이드부(236)는 메인 티바(10)의 구획부(30)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 홈(34)에 삽입되게 되는데, 이의 결합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연결부(210)는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의 선단 측에만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고, 이에 따라 연결부(210)의 아래 쪽에는 절개부(212)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결부(210)가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의 선단 측에만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고, 그 아래 쪽에는 절개부(212)가 형성됨에 따라 연결부(210)를 기점으로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게 절곡시키는 경우,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는 절개부(212)가 형성된 부위에서는 마치 분리된 형태로 배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양 면에 개별적으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이의 결합 관계 또한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연결부(210)의 길이는 메인 티바(10)의 베이스부(20)에서, 베이스부(20)의 일측 단부로부터 구획부(30)까지의 간격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결합공(22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결합공(226)의 기능에 대해서도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티바 연결용 클립(200)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는 앞선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을 이용하여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를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티바 연결용 클립(200)을 제작하고, 연결부(210)에 대하여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굽힘 공정을 실시하고, 이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들에 대하여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를 다시 굽힘 공정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T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 때,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들에 대하여 각각 슬릿(244)들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단부(240)들은 그 중간 단에 요철부(242)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결합단부(240)들의 선단은 제1 슬라이드부(234)의 단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 슬라이드부(234)의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만큼만 돌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T 형상으로 제작된 티바 연결용 클립(200)을 이용하여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를 메인 티바(10)의 구획부(30) 일 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32) 및 제2 슬라이드 홈(34)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 때,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에서, 각각의 슬릿(244)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단부(240)들은 요철부(242) 및 슬릿(244)에 의해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되는바, 제1 슬라이드 홈(32)의 내면과 밀착됨에 우수하여 그 결합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를 이용하여 메인 티바(10)와 결합시킨 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를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 및 제2 슬라이드 홈(74)에 삽입시킴으로써, 메인 티바(10)에 대하여 크로스 티바(50)가 직각을 이룬 상태로 결합시키면 된다.
즉,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 중, 하나의 삽입 결합부(220)는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일 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 및 제2 슬라이드 홈(74)에 삽입시키고, 다른 하나의 삽입 결합부(220)는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타 면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 및 제2 슬라이드 홈(74)에 삽입시킴으로써, 양 방향에서 안정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메인 티바(10)에 대하여 크로스 티바(50)를 직각 방향으로 결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삽입 공정에 의해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별도의 공구 즉, 롱로즈 플라이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메인 티바(10)의 제1 슬라이드 홈(32)과 제2 슬라이드 홈(34)을 가압시킴으로써,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와 메인 티바(1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230)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단부(240)들은 각각 슬릿(244)과 요철부(242)에 의해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바, 공구를 이용하여 메인 티바(10)의 제1 슬라이드 홈(32)과 제2 슬라이드 홈(34)을 가압시키게 되면, 한 쌍의 결합단부(240)가 변형되면서 그 선단부가 메인 티바(10)의 제1 슬라이드 홈(32) 내면과 밀착됨이 더욱 견고해지게 된다.
이 때, 크로스 티바(50)의 제1 슬라이드 홈(72)과 제2 슬라이드 홈(74)도 가압시킴으로써,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와 크로스 티바(5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은,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에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공(226)들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결합공(226)들을 통해 볼트 또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를 삽입하여 구획부(70)를 관통시켜 체결시킴에 따라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와 크로스 티바(50)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은,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를 간단한 삽입 과정만을 통해 직각을 이룬 상태로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조립 시공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메인 티바(10)와 크로스 티바(50)의 유동성이 예방되어 전체적인 시공품질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에서,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에 결합공(226)이 형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과 후에 설명되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제 4실시 예>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은, 앞서 설명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티바 연결용 클립(200)과 비교할 때,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 일면에 가압 돌기부(224)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의 나머지 구성 및 결합관계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의 각 일 면에는 절개 홈(222)에 의해 가압 돌기부(224)가 형성되되, 이 가압 돌기부(224)의 선단은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의 각 일 면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 돌기부(224)는 절개 홈(222)에 의해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되는바, 가압에 의해 절개 홈(222) 내측으로 인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의 각 일 면에 절개 홈(222)에 의한 가압 돌기부(224)가 형성되는 경우, 한 쌍의 삽입 결합부(220)가 크로스 티바(50)의 구획부(70) 양 면에 각각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72) 및 제2 슬라이드 홈(74)을 따라 삽입될 때, 가압 돌기부(224)의 선단이 제1 슬라이드 홈(72)의 내면 또는 제2 슬라이드 홈(74)의 내면과 밀착됨이 우수하여 그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1 실시 예 내지 제4 실시 예>
10 : 메인 티바 20 : 베이스부
30 : 구획부 32 : 제1 슬라이드 홈
34 : 제2 슬라이드 홈 50 : 크로스 티바
60 : 베이스부 70 : 구획부
72 : 제1 슬라이드 홈 74 : 제2 슬라이드 홈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
100 : 티바 연결용 클립 110 : 연결부
112 : 절개부 120 : 삽입 결합부
122 : 절개 홈 124 : 가압 돌기부
130 : 슬라이드 결합부 132 : 개구 홀
134 : 제1 슬라이드부 136 : 제2 슬라이드부
138 : 요철부 140 : 지지부
<제3 실시 예 및 제4 실시 예>
200 : 티바 연결용 클립 210 : 연결부
212 : 절개부 220 : 삽입 결합부
222 : 절개 홈 224 : 가압 돌기부
226 : 결합공 230 : 슬라이드 결합부
232 : 개구 홀 234 : 제1 슬라이드부
236 : 제2 슬라이드부 240 : 결합단부
242 : 요철부 244 : 슬릿
10 : 메인 티바 20 : 베이스부
30 : 구획부 32 : 제1 슬라이드 홈
34 : 제2 슬라이드 홈 50 : 크로스 티바
60 : 베이스부 70 : 구획부
72 : 제1 슬라이드 홈 74 : 제2 슬라이드 홈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
100 : 티바 연결용 클립 110 : 연결부
112 : 절개부 120 : 삽입 결합부
122 : 절개 홈 124 : 가압 돌기부
130 : 슬라이드 결합부 132 : 개구 홀
134 : 제1 슬라이드부 136 : 제2 슬라이드부
138 : 요철부 140 : 지지부
<제3 실시 예 및 제4 실시 예>
200 : 티바 연결용 클립 210 : 연결부
212 : 절개부 220 : 삽입 결합부
222 : 절개 홈 224 : 가압 돌기부
226 : 결합공 230 : 슬라이드 결합부
232 : 개구 홀 234 : 제1 슬라이드부
236 : 제2 슬라이드부 240 : 결합단부
242 : 요철부 244 : 슬릿
Claims (7)
- 동일 수평 면을 이루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 면 중앙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부로 구성되어 T 형상을 이루는 메인 티바와, 동일 수평 면을 이루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 면 중앙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부로 구성되어 T 형상을 이루는 크로스 티바를 결합시키는 티바 연결용 클립에 있어서,
연결부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삽입 결합부;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의 각 일측 단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서로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를 포함하여 T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는 메인 티바의 구획부 양 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 및 제2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삽입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는 상기 메인 티바와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크로스 티바의 구획부 양 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제1 슬라이드 홈 및 제2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삽입 결합되어, 상기 메인 티바와 상기 크로스 티바가 격자를 이루도록 직각 방향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는,
각각의 외측 단에 일정 간격을 갖는 슬릿을 사이에 두고 일정 길이를 이루는 한 쌍의 결합단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단부의 각 선단이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의 일측 단부에 비하여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되고, 그 중간 단에는 탄성 변형력을 갖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삽입 결합부의 각 일 면에는 절개 홈에 의해 가압 돌기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바 연결용 클립.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는,
상기 메인 티바의 구획부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1 슬라이드부와,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2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제2 슬라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바 연결용 클립.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405U KR200492923Y1 (ko) | 2019-01-28 | 2019-01-28 | 티바 연결용 클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405U KR200492923Y1 (ko) | 2019-01-28 | 2019-01-28 | 티바 연결용 클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743U KR20200001743U (ko) | 2020-08-05 |
KR200492923Y1 true KR200492923Y1 (ko) | 2021-01-05 |
Family
ID=7203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0405U KR200492923Y1 (ko) | 2019-01-28 | 2019-01-28 | 티바 연결용 클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923Y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9437B2 (ja) * | 1992-06-23 | 2001-05-28 | 株式会社菱晃 | ルーバー用ランナーの連結構造 |
JPH0860794A (ja) * | 1994-08-23 | 1996-03-0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Tバーの接続構造 |
KR101364976B1 (ko) | 2013-01-18 | 2014-02-21 | 대안건철 주식회사 | 모듈바 또는 티바 연결용 연결클립 |
US8820026B2 (en) * | 2013-02-01 | 2014-09-02 | Usg Interiors, Llc | Clip for perimeter trim |
-
2019
- 2019-01-28 KR KR2020190000405U patent/KR200492923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743U (ko) | 2020-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31128B2 (ja) | スナップフィットユニット及び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 | |
US8926030B2 (en) | Electrical switchgear cabinet | |
KR20080031203A (ko) | 그리드 런너 | |
US11202507B1 (en) | Connecting assembly for sofa and sofa | |
US11274440B2 (en) | Suspension ceiling support clip | |
KR200492923Y1 (ko) | 티바 연결용 클립 | |
KR20190063351A (ko) |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 |
CN112127561B (zh) | 一种蒙德里安背景墙及其安装方法 | |
KR101200761B1 (ko) | 고저압 수배전반, 분전반 및 모터제어반을 위한 판넬 조립용 장치 | |
KR101795622B1 (ko) | 방화문 | |
KR20120136886A (ko) | 바닥판 형성용 합성목재 클립 체결구조 | |
JP5798593B2 (ja) | 天井下地材及び天井構造 | |
KR101850067B1 (ko) |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 |
JP2019052737A (ja) | パイプジョイント | |
KR101661589B1 (ko) | 안내판 걸이구 | |
JP7075266B2 (ja) | 電線固定具 | |
CN107421090B (zh) | 导风板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 |
KR200484266Y1 (ko) | 클립장치 | |
JP5388964B2 (ja) | 断熱パネルの接合構造 | |
KR101824461B1 (ko) | 샌드위치 패널 커플링 유니트 | |
JP5112958B2 (ja) | ガラリ | |
JP4848307B2 (ja) | 中空角材の組立固定構造 | |
JP4109688B2 (ja) | C型部材に係合可能な係合部材、及び係合部材セット | |
KR200441206Y1 (ko) | 천정패널 고정용 티이바 결합구조 | |
CN217896872U (zh) | 一种转角型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