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096B1 -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096B1
KR101501096B1 KR20140142645A KR20140142645A KR101501096B1 KR 101501096 B1 KR101501096 B1 KR 101501096B1 KR 20140142645 A KR20140142645 A KR 20140142645A KR 20140142645 A KR20140142645 A KR 20140142645A KR 101501096 B1 KR101501096 B1 KR 101501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dditive
particles
polymerizable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14014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4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에 첨가되어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1 내지 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80 중량부,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올레핀 상용화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PTFE 및 PDMS의 입자 각각을 코어(Core)로 하며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용성이 높은 수지를 쉘(Shell)로 중합하여 코어/쉘 구조의 고 분산성 입자를 생성함으로써 코어는 우수한 전단성능, 마찰계수를 줄이는 윤활성 및 슬립 성능 향상을 부여하고 셀은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 코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며, 입자 상태로 제조되어 코어의 응집을 방지하여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고, 고분자 매트릭스와의 상용성을 부여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Agent for improving anti-scra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지에 첨가되어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1 내지 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80 중량부,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올레핀 상용화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PTFE 및 PDMS의 입자 각각을 코어(Core)로 하며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용성이 높은 수지를 쉘(Shell)로 중합하여 코어/쉘 구조의 고 분산성 입자를 생성함으로써 코어는 우수한 전단성능, 마찰계수를 줄이는 윤활성 및 슬립 성능 향상을 부여하고 셀은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 코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며, 입자 상태로 제조되어 코어의 응집을 방지하여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고, 고분자 매트릭스와의 상용성을 부여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에 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와 자원고갈로 인해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면서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자원 고효율화 기술이 널리 개발되고 있다. 특히,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자동차 산업의 경우, 이를 해결하기 방안으로 차량 경량화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차량 경량화를 위해 많은 부품이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내장재 등의 차량 부품에 플라스틱의 사용은 차량 경량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은 성형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자동차 부품을 간소화시키는 모듈화에 유리하고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전체 자동차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중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은 저비중(0.9)을 가지며 내약품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나,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이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무기물 충진재, 고무를 사용하여 내열성, 충격성,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거나, 아래의 특허문헌처럼 실리콘화합물, 불소수지를 사용하여 내스크래치성 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 제10-0729014호(2007. 06. 14. 공고) "고내마모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하지만, 무기물 충진재, 고무의 첨가는 질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실리콘화합물을 오일(oil) 상태로 사용하게 되면 오일의 점성에 의한 공정상의 편의성이 저해되고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컴파운딩시 분산성에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과 실리콘화합물을 일정 비율로 용융 블렌딩하여 만든 마스터배치(Master Batch)를 사용하는 경우, 고르지 않은 분산성에 의해 플라스틱 제품 표면에 부분적인 이행(Migration)이 발생하고 마스터배치 제조의 특성상 초고분자 실리콘이 사용되어 높은 가격으로 인해 범용 플라스틱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불소수지 역시 폴리프로필렌과 상용성이 떨어져 분산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amide계의 첨가제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플라스틱 표면에 이행이 발생하여 점성이 있는 유막을 형성하게 되어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첨가되어 플라스틱 제품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TFE 및 오일상의 PDMS의 입자 각각을 코어(Core)로 하며,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용성이 높은 수지를 쉘(Shell)로 중합하여 코어/쉘 구조의 고 분산성 입자를 생성함으로써, 코어는 우수한 전단성능, 마찰계수를 줄이는 윤활성 및 슬립 성능 향상을 부여하고, 셀은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 코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며, 첨가제는 입자 상태로 제조되어 코어 응집을 방지하여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며, 고분자 매트릭스와의 상용성을 부여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가제가 입자 상태(PDMS오일의 입자화)로 큰 유동성을 가져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 첨가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 상태의 첨가제를 고분자 매트릭스에 첨가하여 압출·사출함으로써 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 공정을 간소화하고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1 내지 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80 중량부,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올레핀 상용화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는 중합개시제 0.001 내지 1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입자상을 가지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는 0.001 내지 2㎜의 평균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에 있어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은 분자량 1,000,000 내지 10,000,000을 가지며, 분말 또는 분산액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평균입도가 50nm 내지 500nm를 가지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점도 0.65 내지 1,000,000을 가지며, 오일상 또는 오일상의 PDMS가 수중유화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α-에틸 스티렌, α-클로로 스티렌, 플루오르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브로모 스티렌, 클로로메틸 스티렌,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및 벤질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게 중합성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아크릴산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상용화제는 COOH화 폴리에틸렌, COOH화 폴리프로필렌, 무수말레익산-폴리프로필렌, 무수말레익산-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아크릴산), 무수말레익산-스티렌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무수말레익산),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Block,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Block,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고무,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그래프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고무, 스티렌부틸렌스티렌 고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중합개시제는 암모니움퍼설페이트, 과황산염, 벤조일퍼옥사이드, o-클로로과산화벤조일, o-메토키시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과산화옥타노일, 메틸에틸케토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파옥시디카보네이트, 크멘하이드로파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파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N-페닐프로피온아미진)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4-클로로페닐)-2-메틸프로피온아미진]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 2-메틸-N-[1,1-비스(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의 제조방법은 PTFE 및 오일상의 PDMS의 입자에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아크릴계 중합체를 반응시키고, 폴리올레핀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입자를 분산시키고 입자의 외측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형성단계와, 상기 코팅층형성단계 후에 코팅층이 형성된 입자를 응집하고 강성을 부여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여 입자상의 첨가제를 형성하는 첨가제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형성단계는 유화제가 들어 있는 물에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1 내지 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80 중량부 및 중합개시제 0.00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 반응시켜 수분산 혼합물을 형성하며,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부, 상기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올레핀 상용화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을 상기 혼합물이 들어 있는 반응기에 투입반응시켜 입자를 분산시키고 입자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형성단계는 코팅층이 형성된 입자가 들어 있는 반응기에 금속염 또는 산을 가해 응집하고 응집물의 온도를 유리전이 온도까지 상승시켜 입자의 강성을 부여한 후 함수율 1%가 될 때까지 건조하고 분쇄하여 평균입도 0.001 내지 2㎜ 이하의 첨가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첨가되어 플라스틱 제품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TFE 및 오일상의 PDMS의 입자 각각을 코어(Core)로 하며,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용성이 높은 수지를 쉘(Shell)로 중합하여 코어/쉘 구조의 고 분산성 입자를 생성함으로써, 코어는 우수한 전단성능, 마찰계수를 줄이는 윤활성 및 슬립 성능 향상을 부여하고, 셀은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 코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며, 첨가제는 입자 상태로 제조되어 코어 응집을 방지하여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며, 고분자 매트릭스와의 상용성을 부여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가제가 입자 상태(PDMS오일의 입자화)로 큰 유동성을 가져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 첨가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 상태의 첨가제를 고분자 매트릭스에 첨가하여 압출·사출함으로써 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 공정을 간소화하고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의 SEM사진.
도 2는 실시예 1을 통해 준비된 시편을 MS 210-05 테스트를 실시하여 스크래치 정도를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
도 3은 비교예 1을 통해 준비된 시편을 MS 210-05 테스트를 실시하여 스크래치 정도를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
도 4는 비교예 4를 통해 준비된 시편을 MS 210-05 테스트를 실시하여 스크래치 정도를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
도 5는 실험예 1을 통해 준비된 시편의 SEM 사진.
도 6은 비교예 2를 통해 준비된 시편의 SEM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의 SEM사진이며, 도 2는 실시예 1을 통해 준비된 시편을 MS 210-05 테스트를 실시하여 스크래치 정도를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도 3은 비교예 1을 통해 준비된 시편을 MS 210-05 테스트를 실시하여 스크래치 정도를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이며, 도 4는 비교예 4을 통해 준비된 시편을 MS 210-05 테스트를 실시하여 스크래치 정도를 나타낸 광학현미경 사진이고, 도 5는 실험예 1을 통해 준비된 시편의 SEM 사진이며, 도 6은 비교예 2를 통해 준비된 시편의 SEM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를 도 1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첨가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1 내지 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80 중량부,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올레핀 상용화제 0.1 내지 10 중량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는 입자상을 가지며, 일정 크기를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의 평균 입도를 가진다. 상기 첨가제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첨가되어 플라스틱 제품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로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은 우수한 내마모성과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화합물로, 상기 PTFE는 1 내지 3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고, 분자량 1,000,000 내지 10,000,000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000,000 내지 10,000,000을 가지고, 분말 또는 분산액 형태(Latex)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PTFE의 평균입도가 500nm를 초과할 경우 폴리올레핀 내에서의 분산과 표면품질의 문제를 야기하므로 상기 PTFE의 분말 또는 분산액의 고형분은 평균입도가 50 내지 500nm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nm를 가진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 PDMS)은 표면장력이 작아 첨가제의 윤활성 및 슬립성능 향상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상기 PDMS는 10 ~ 8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고, 점도(cst) 0.65 내지 1,000,000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00을 가지고, 오일(Oil)상 또는 오일상의 PDMS가 수중유화된 형태(Latex)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는 PTFE와 오일상의 PDMS를 각각 코팅하여(캡슐화) 분산시켜 응집을 방지하고 입자상으로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10 내지 6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된다. 상기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α-에틸 스티렌, α-클로로 스티렌, 플루오르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브로모 스티렌, 클로로메틸 스티렌,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및 벤질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는 아크릴기를 부여하여 상용성을 높이는 구성으로, 1 내지 3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아크릴산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TFE 및 오일상의 PDMS의 미소입자(코어)가 수중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라텍스 상태)에서 상기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면 상기 미소입자 외부를 상기 단량체가 상기 미소입자를 코팅하는데, 상기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만으로는 폴리올레핀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를 첨가하여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성을 증대시킨다. 예컨대, 상기 스티렌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상기 PTFE 및 오일상의 PDMS의 미소입자가 수중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에 첨가하면 상기 스티렌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를 형성하고 미소입자 외부를 코팅하여 미소입자를 분산시켜 응집을 방지하고 입자상으로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며 상기 폴리올레핀수지와 상용성을 증대시킨다.
상기 폴리올레핀 상용화제는 고분자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입자를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의 범위를 넓혀 경제성과 공정에 편의성을 높인다. 상기 상용화제는 0.1 내지 1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된다. 상기 상용화제는 반응성과 비반응성 상용화제가 사용되며, 상기 폴리올레핀 상용화제는 COOH화 폴리에틸렌, COOH화 폴리프로필렌, 무수말레익산-폴리프로필렌, 무수말레익산-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아크릴산), 무수말레익산-스티렌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무수말레익산),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Block,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Block,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고무,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그래프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고무, 스티렌부틸렌스티렌 고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제조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상기 PTFE와 PDMS의 미소입자(코어)에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및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를 첨가반응시켜 상기 코어를 분산시키고 코어의 외층이 코팅되도록 하여(이하, '상기 단량체들에 의해 상기 코어의 외측에 존재하는 코팅층을 쉘'이라 함), 입자상의 첨가제를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는 중합개시제 0.0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수용성 개시제, 유용성 개시제 및 레독스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암모니움퍼설페이트, 과황산염, 벤조일퍼옥사이드, o-클로로과산화벤조일, o-메토키시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과산화옥타노일, 메틸에틸케토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파옥시디카보네이트, 크멘하이드로파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파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N-페닐프로피온아미진)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4-클로로페닐)-2-메틸프로피온아미진]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 2-메틸-N-[1,1-비스(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안정제, 산화환원제, 분자량조절제, 염료,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및 응집제 등의 첨가물 0.1 내지 1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계면활성제, 양이온성계면활성제, 양성계면활성제, 논이온성계면활성제 등이 0.1 내지 10 중량부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올레인산나트륨, 피마자유카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알킬나프탈렌설폰산염, 알킬설폰산염, 디알킬설포코하크산염, 알킬린산에스테르염, 나프탈렌설폰산-포름알데히드축합화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텔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염, 라우릴아민아세테이트, 스테아릴아민아세테이트,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블럭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로는 유기계와 무기계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트리칼슘포스페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카르복실산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는 이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의 제조방법은 PTFE 및 오일상의 PDMS의 입자에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아크릴계 중합체를 반응시키고, 폴리올레핀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입자를 분산시키고 입자의 외측에 코팅층(쉘)을 형성하는 코팅층형성단계와, 상기 코팅층형성단계 후에 코팅층이 형성된 입자를 응집하고 강성을 부여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여 입자상의 첨가제를 형성하는 첨가제형성단계 등을 포함한다.
상기 고팅층형성단계는 PTFE 및 오일상의 PDMS의 입자에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아크릴계 중합체를 반응시키고 폴리올레핀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입자를 분산시키고 입자의 외측에 코팅층(쉘)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체적으로 유화제가 들어 있는 물에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1 내지 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80 중량부 및 중합개시제 0.00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수분산 혼합물을 형성하고,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부, 상기 아크릴게 중합성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올레핀 상용화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을 상기 혼합물이 들어 있는 반응기에 투입반응시켜 PTFE 및 오일상의 PDMS의 입자 각각을 분산시키고 상기 입자의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첨가제형성단계는 상기 코팅층형성단계 후에 코팅층이 형성된 입자를 응집하고 강성을 부여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여 입자상의 첨가제를 형성하는 단계로, 구체적으로 코팅층이 형성된 입자가 들어 있는 반응기에 금속염 또는 산을 가해 응집하고 응집물의 온도를 유리전이 온도까지 상승시켜 입자의 강성을 부여한 후 함수율 1%가 될 때까지 건조하고 분쇄하여 평균입도 0.001 내지 2㎜ 이하의 첨가제를 형성한다. 상기 첨가제는 표면장력이 작아 첨가제의 윤활성 및 슬립성능 향상을 부여하는 PDMS와 내마모성과 마찰 에너지가 작은 물질로 알려진 PTFE로 인해 적은 마찰력을 가지고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PTFE 및 PDMS의 각각 입자를 코팅하므로써 분산성 및 폴리올레핀과의 상용성이 증대되고, 첨가제를 입자화하여 사용상 편리성이 증대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물(Diw) 1000g이 들어 있는 반응기(A)에 지방산 10g과 수산화나트륨 2g을 첨가하고 200rpm으로 교반하고 80℃로 승온하여 지방산염을 형성하고, 반응기(A)에 PTFE라텍스(60%) 15중량부 및 PDMS라텍스(60%) 55중량부를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기(A)의 온도가 80℃에 이른 후 중합개시제인 암모니움퍼설페이트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질소퍼징하였다.
2) 반응기(B)에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인 스티렌 단량체 25중량부,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인 메틸메타클릴레이트 단량체 5중량부, 폴리올레핀 상용화제인 SEBS 3중량부, 분자량 조절제인 n-도데실머캅탄 0.2중량부를 첨가하여 생성한 용액을 반응기(A)에 2시간에 걸쳐 첨가하여 반응시키고 2시간을 정치하여 반응을 완료하였다.
3) 상기 2)과정에서 반응이 완료된 반응액에 묽은 황산을 가하여 응집시키고 응집물의 온도를 유리전이 온도인 100℃까지 상승시켜 입자의 강성을 부여한 후, 함수율이 1% 이하가 될 때까지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분쇄하여 평균입도 2㎜ 이하의 입자상의 첨가제를 형성하였다.
4)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첨가제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S-4700 HITACHI) 사진은 도 1과 같은데, 도 1을 통해 상기 첨가제가 입자상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5) 상기 첨가제 1중량%를 복합폴리프로필렌(PP 57중량%, EPDM 20중량%, Talc 20%, 안료 2%)에 첨가하여 사출 성형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내지 3>
1)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PTFE라텍스(60%) 10중량부, PDMS라텍스(60%) 60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2) 실시예 3은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PTFE라텍스(60%) 5중량부, PDMS라텍스(60%) 65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
1) 비교예 1은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PTFE라텍스를 사용하지 않고, PDMS라텍스(60%) 70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2) 비교예 2는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SEBS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3) 비교예 3은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PDMS라텍스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4) 비교예 4는 첨가제가 첨가되지 않은 복합폴리프로필렌(PP 58중량%, EPDM 20중량%, Talc 20%, 안료 2%) 사출 성형 시편을 제작하였다.
5) 비교예 5는 검 형태의 초고분자 PDMS(분자량 100만)와 PP수지를 50:50으로 컴파운딩하여 마스터배치 첨가제를 준비하고, 상기 첨가제 1중량%를 복합폴리프로필렌(PP 57중량%, EPDM 20중량%, Talc 20%, 안료 2%)에 첨가하여 사출 성형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편을 가지고 MS 210-05(HYUDAI/KIA), GMW 14688(GENERAL MOTORS) 테스트를 실시하여, 내스크래치 값을 하기의 표 1에 표기하였다. 내스크래치성을 측정하기 위한 통일적인 국제 규격이 없어 현대/기아차, 제너럴모터스에서 규정하여 공개된 상기의 내스크래치 평가 기준에 맞추어 실험을 하였다. MS 210-05에서는 값이 클수록 내스크래치성이 좋으며, GMW 14688에서는 값이 적을수록 내스크래치성이 좋다.
2) 도 2 내지 4는 각각 실험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4를 통해 준비된 시편을 MS 210-05 테스트의 스크래치 정도를 광학현미경(OLYMPUS, BX51 현미경)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3) 도 5 및 6은 각각 실험예 1 및 비교예 2를 통해 준비된 시편을 SEM(FE-SEM, S-4700 HITACHI)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MS210-05(등급) 3.5 3.5 3.5 2.5 3.5 2 1 2.5
GMW14688(△L) 0.29 0.77 1.31 3.96 0.71 5.2 6.51 3.85
상기 표 1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 내지 3은 MS 210-05 테스트 값이 3.5로 등급이 높고 GMW 14688 테스트 값이 0.29 내지 1.31로 작은데 반해, 비교예 1 및 3 내지 5는 MS 210-05 테스트 값이 1 내지 2.5로 등급이 낮고 GMW 14688 테스트 값이 3.85 내지 6.51로 커서, 실시예 1 내지 3이 내스크래성이 좋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을 보면, MS 210-05 테스트 값이 2.5로 등급이 낮고, GMW 14688 테스트 값이 3.85로 커서, 종래처럼 PDMS를 오일상 또는 마스터배치 형태로 폴리프로필렌에 첨가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제품의 내스크래치성은 작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4를 보면, 실시예 1의 첨가제를 첨가한 시편은 스크래치가 적게 형성되는데 반해, 비교예 1의 첨가제,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시편은 스크래치가 크게 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 및 6을 보면, 실시예 1의 첨가제를 첨가한 시편은 홀을 확인할 수 없으나, 비교예 2의 첨가제를 첨가한 시편은 첨가제가 빠져나간 홀이 많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출물에서 부분적인 이행(migration)을 유발하여 표면 색상에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고분자 매트릭스에 첨가되어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1 내지 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80 중량부,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올레핀 상용화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중합개시제 0.001 내지 1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입자상을 가지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0.001 내지 2㎜의 평균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은 분자량 1,000,000 내지 10,000,000을 가지며, 분말 또는 분산액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평균입도가 50 내지 500nm를 가지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점도 0.65 내지 1,000,000을 가지며, 오일상 또는 오일상의 PDMS가 수중유화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α-에틸 스티렌, α-클로로 스티렌, 플루오르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브로모 스티렌, 클로로메틸 스티렌,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및 벤질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계 중합성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아크릴산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상용화제는 무수말레익산-폴리프로필렌, 무수말레익산-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아크릴산), 무수말레익산-스티렌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무수말레익산),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Block,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Block,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고무,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그래프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고무, 스티렌부틸렌스티렌 고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중합개시제는 암모니움퍼설페이트, 과황산염, 벤조일퍼옥사이드, o-클로로과산화벤조일, o-메토키시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과산화옥타노일, 메틸에틸케토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파옥시디카보네이트, 크멘하이드로파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파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N-페닐프로피온아미진)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4-클로로페닐)-2-메틸프로피온아미진]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 2-메틸-N-[1,1-비스(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5. 폴리올레핀 수지에 첨가되어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제조방법은 PTFE 및 오일상의 PDMS의 입자에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아크릴계 중합체를 반응시키고, 폴리올레핀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입자를 분산시키고 입자의 외측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형성단계와, 상기 코팅층형성단계 후에 코팅층이 형성된 입자를 응집하고 강성을 부여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여 입자상의 첨가제를 형성하는 첨가제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형성단계는 유화제가 들어 있는 물에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1 내지 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0 내지 80 중량부 및 중합개시제 0.00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 반응시켜 수분산 혼합물을 형성하며, 비닐기를 가진 중합성 단량체 10 내지 60 중량부, 상기 아크릴게 중합성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올레핀 상용화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을 상기 혼합물이 들어 있는 반응기에 투입반응시켜 입자를 분산시키고 입자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형성단계는 코팅층이 형성된 입자가 들어 있는 반응기에 금속염 또는 산을 가해 응집하고 응집물의 온도를 유리전이 온도까지 상승시켜 입자의 강성을 부여한 후 함수율 1%가 될 때까지 건조하고 분쇄하여 평균입도 0.001 내지 2㎜ 이하의 첨가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KR20140142645A 2014-10-21 2014-10-21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1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2645A KR101501096B1 (ko) 2014-10-21 2014-10-21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2645A KR101501096B1 (ko) 2014-10-21 2014-10-21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096B1 true KR101501096B1 (ko) 2015-03-17

Family

ID=5302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2645A KR101501096B1 (ko) 2014-10-21 2014-10-21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0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20B1 (ko) 2005-12-07 2007-12-03 (주)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개선된 표면품질 및 항적성을 제공하는 난연보조제
KR20120038911A (ko) * 2010-10-14 2012-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융 가공용 수지 혼합물
US20130295398A1 (en) 2010-10-14 2013-11-07 Lg Chem, Ltd. Resin blend for melting process
KR20130132181A (ko) * 2012-05-25 2013-1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리콘 고무 와이퍼 블레이드용 윤활 코팅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20B1 (ko) 2005-12-07 2007-12-03 (주)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개선된 표면품질 및 항적성을 제공하는 난연보조제
KR20120038911A (ko) * 2010-10-14 2012-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융 가공용 수지 혼합물
US20130295398A1 (en) 2010-10-14 2013-11-07 Lg Chem, Ltd. Resin blend for melting process
KR20130132181A (ko) * 2012-05-25 2013-1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리콘 고무 와이퍼 블레이드용 윤활 코팅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273B1 (ko)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둘러싸인 탄소나노튜브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충전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7119769A (ja) 樹脂複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885324A (zh) 通用黑色母粒及其制备方法
KR101497766B1 (ko) 가교 고분자 나노입자 함유 조성물,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발포 성형성 보강 염화비닐 수지
KR102168348B1 (ko) Mbs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1501096B1 (ko) 내스크래치성 향상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0928A (ko) 코어-쉘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17538789A (ja) アクリル系加工助剤及びこれを含む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014533764A (ja) 耐候性および成形性に優れたアクリル系ラミネート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
EP3305844B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JP7121134B2 (ja) コア-シェル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11065682B (zh) 基体共聚物、接枝共聚物和热塑性树脂组合物
KR101724800B1 (ko) Mbs계 충격보강제, 제조방법 및 염화비닐수지 조성물
EP3878879A1 (en) Graft copolyme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JP2023036025A (ja) 乳化重合体粒子を含む消光剤、これを含む消光性高分子組成物及びこの製造方法
KR102639916B1 (ko)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2105472B1 (ko) Mbs계 충격 보강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CN107022220B (zh) 复合聚集树脂颗粒群、以及该颗粒群的制造方法和含有该颗粒群的组合物
WO2014119595A1 (ja) 複合凝集樹脂粒子および該粒子を含有する組成物
CN108752877A (zh) 一种三维化的石墨烯微片生物塑料增强母料及制备方法
JP735016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JP6026769B2 (ja) 熱可塑性樹脂水性分散液の製造方法
JP2017155218A (ja) 着色ポリマー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02457B1 (ko) 열가소성 중합체용 가공 첨가제
JP2008174613A (ja) 透明性に優れる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