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524B1 -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524B1
KR101500524B1 KR1020130057855A KR20130057855A KR101500524B1 KR 101500524 B1 KR101500524 B1 KR 101500524B1 KR 1020130057855 A KR1020130057855 A KR 1020130057855A KR 20130057855 A KR20130057855 A KR 20130057855A KR 101500524 B1 KR101500524 B1 KR 101500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k
support
deck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213A (ko
Inventor
오거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세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세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52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10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Abstract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플랭크와 다수의 플랭크 서포트를 구비하는 데크부; 및 상기 데크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부의 각 플랭크가 고정쐐기형의 클램프를 통해 플랭크 서포트에 고정된 것과 상기 데크부의 각 플랭크 서포트가 바이메탈을 통해 프레임부의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플랭크의 고정, 플랭크 서포트의 고정, 플랭크 서포트의 연결에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헬리데크 제작 후에 별다른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 HELIDECK FOR MARINE STRUCTURES }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랭크의 고정과 플랭크 서포트의 연결, 플랭크 서포트의 고정에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이나 특수선, 드릴쉽,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에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헬리데크(Helideck)가 마련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본 발명이 관계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의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관계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측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이 관계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1)는 헬리콥터가 이착륙되는 데크부(10), 데크부(1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20)로 구성되고, 데크부(10)는 다수의 플랭크와 다수의 플랭크 서포트로 구성된다.
상기 데크부(10)의 각 플랭크와 각 플랭크 서포트는 내부식성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고, 프레임부(20)의 각 프레임은 강도 등을 고려하여 철재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데크부(10)의 각 플랭크는 플랭크 서포트에 고정되고, 각 플랭크 서포트는 프레임부(20)의 상부 프레임에 고정된다.
도 2는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의 플랭크 서포트 체결부위의 측면도이다.
도 2와 같이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2)는 데크부(300)의 각 플랭크 서포트(320)를 체결볼트(311)로 프레임부(400)의 상부 프레임(410)에 고정하였다.
또한, 도 2와 같이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2)는 별도의 연결판(321)과 체결볼트(312)을 사용하여 서로 맞대어진 플랭크 서포트(320)를 연결하였다.
또한,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2)는 볼트체결방식의 다수의 클램프를 통해 데크부(300)의 각 플랭크(310)를 플랭크 서포트(320))에 고정하였다.
이렇듯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2)는 데크부(300)의 고정, 플랭크 서포트(320)의 연결, 플랭크(310)의 고정을 모두 체결볼트로 하였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2)는 데크부(300)의 하부에서 플랭크(310)를 플랭크 서포트(320)에 고정하는 체결볼트, 플랭크 서포트(3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321)의 체결볼트(312), 플랭크 서포트(320)를 상부 프레임(410)에 고정하는 체결볼트(311) 등의 각 체결볼트(311)(312)의 체결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했다.
또한, 데크부(300)의 하부에 상기 체결볼트(311)(312)의 유지보수를 위한 별도의 플랫폼(Under maintenance platform)을 마련해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2)는 유지보수에 관련한 비용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2)는 서로 다른 재질의 플랭크 서포트(320)와 상부 프레임(410)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볼트(311)로 체결되기 때문에 그 체결부위에서 이종금속접촉부식(Galvanic corrosion)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이종금속접촉부식은 종류가 다른 금속의 접촉에 의한 부식을 말하며, 부식의 정도는 알루미늄과 동의 조합과 같이 전위차(電位差)가 클수록, 또 바닷물과 같이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가 높은 전해질이 접촉될수록 커진다.
한편, 특허문헌 3에는 선박용 헬리콥터 착륙장(Helideck)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의 선박용 헬리콥터 착륙장(Helideck)은 헬리콥터가 이착륙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상호간 보강하면서 연결하되 적어도 일부분이 삼각형 형상의 삼각패턴을 형성하는 보강 연결부를 구비하는 플랭크(plank); 및 선체의 데크(deck)에 대하여 상기 플랭크를 이격 지지시키는 플랭크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7672호(2013년 3월 18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1330호(2012년 5월 22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6011호(2012년 12월 18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3의 선박용 헬리콥터 착륙장도 플랭크가 플랭크 지지체에 체결볼트를 통해 고정되고, 플랭크 지지체도 체결볼트를 통해 프레임에 고정되므로 유지보수가 어렵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3을 비롯한 선행특허기술문헌에는 데크부와 프레임부의 접속부위에서 발생되는 이종금속접촉부식에 대한 대책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랭크와 플랭크 서포트의 고정 및 플랭크 서포트의 연결에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작 후에 별다른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재질의 데크부와 프레임부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이종금속접촉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는 좌우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플랭크, 각 플랭크를 지지하는 다수의 플랭크 서포트를 구비하는 데크부; 및 상기 데크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부의 각 플랭크가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는 고정쐐기형의 클램프를 통해 플랭크 서포트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는 상기 데크부의 각 플랭크 서포트가 바이메탈을 통해 프레임부의 상부 프레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는 상기 데크부의 각 플랭크와 각 플랭크 서포트, 그리고 클램프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고, 프레임부의 상부 프레임이 철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는 상기 플랭크가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긴 역 사다리꼴의 형태이고, 상단 좌측에 마련되는 끼움돌기, 상단 우측에 마련되는 끼움홈, 그리고 하단 좌측과 하단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체결돌출부를 구비하며, 각 체결돌출부의 상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는 상기 플랭크 서포트가 I 빔(I-Beam)의 형태이고, 상부판의 하단 양측에 각각 체결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는 상기 클램프가 상부판, 하부판, 그리고 상부판의 하단 중앙과 하부판의 상단 중앙을 연결하는 수직연결부를 구비하는 본체; 수직부, 수직부의 하단 후방에 일체로 마련되는 수평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연결체; 및 막대형의 한 쌍의 고정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판의 하단 양측에 플랭크의 걸림돌기와 접속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판의 양측단 상부에 고정쐐기 받침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의 수평부의 상단 후방에 플랭크 서포트의 체결돌기에 접속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홈의 전방에 받침돌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의 수평부는 전방 두께보다 후방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하단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쐐기는 전방 두께가 후방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단면이 상기 연결체의 하단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는 상기 바이메탈이 플랭크 서포트와 동일한 알루미늄재의 상부체, 상부 프레임과 동일한 철재의 하부체로 이루어지며, 하부체가 프레임부의 상부 프레임과 용접되고, 상부체가 플랭크 서포트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메탈이 플랭크 서포트의 상부 프레임 접속부위 마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는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플랭크 서포트가 용접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랭크 서포트의 용접부위 하부에 바이메탈을 통해 상부 프레임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에 의하면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는 고정쐐기형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플랭크를 플랭크 서포트에 고정하기 때문에 플랭크 고정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랭크 고정 부위에 용접에 의한 손상이 없게 되므로 체결강도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 재질의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이종 재질구간이 없어 부식에 강하기 때문에 별다른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에 의하면 바이메탈을 사용하여 플랭크 서포트를 상부 프레임에 고정하기 때문에 플랭크 서포트 고정 부위에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없게 되고, 그에 따라 해당 부위에 대한 별다른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에 의하면 플랭크 서포트를 서로 용접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별다른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는 플랭크의 고정, 플랭크 서포트의 고정, 플랭크 서포트의 연결에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헬리데크 제작 후에 별다른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유지보수에 관련한 비용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관계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의 플랭크 서포트 체결부위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의 평면도,
도 4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요부 정면도,
도 5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의 정면도,
도 6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 체결 부위의 상부 사시도,
도 8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 체결 부위의 일부 절제 하부 사시도,
도 9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 체결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 체결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11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 서포트 체결부위의 정면도,
도 1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바이메탈 배치 상태를 나타낸 데크부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헬리콥터가 이착륙되는 데크부(100), 데크부(10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데크부(100)는 다수의 플랭크(110)와 다수의 플랭크 서포트(120)로 구성된다.
상기 데크부(100)의 각 플랭크(110)와 각 플랭크 서포트(120)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고, 프레임부(200)의 각 프레임은 철재로 제작된다.
상기 데크부(100)의 각 플랭크(110)는 후술할 별도의 클램프(130)를 통해 플랭크 서포트(120)에 고정되고, 각 플랭크 서포트(120)는 후술할 바이메탈(230)을 통해 프레임부(200)의 상부 프레임(210)에 고정된다.
도 5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의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랭크(110)는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긴 역 사다리꼴의 형태이다.
플랭크(110)는 상단 좌측에 마련되는 끼움돌기(111), 상단 우측에 마련되는 끼움홈(112), 그리고 하단 좌측과 하단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체결돌출부(113)를 구비한다.
각 체결돌출부(113)의 상단에는 걸림돌기(114)가 형성된다.
플랭크(110)는 상단 전방과 후방에 마련된 끼움돌기(111)와 끼움홈(112)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연속해서 접속된다.
플랭크 서포트(120)는 I 빔(I-Beam)의 형태이다.
플랭크 서포트(120)의 상부판(121)의 하단 양측에는 각각 체결돌기(122)가 마련된다.
도 6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클램프(130)의 역할은 플랭크 서포트(120)의 상단에 올려진 각 플랭크(110)를 플랭크 서포트(120)에 고정하는 것이다.
도 6과 같이 클램프(130)는 본체(131), 한 쌍의 연결체(132), 한 쌍의 고정쐐기(133)로 이루어진다.
본체(131)는 상부판(131a), 하부판(131b), 그리고 상부판(131a)의 하단 중앙과 하부판(131b)의 상단 중앙을 연결하는 수직연결부(131c)를 구비한다.
본체 상부판(131a)의 하단 양측에는 플랭크(110)의 걸림돌기(114)와 접속되는 걸림돌기(131d)가 마련된다.
본체 하부판(131b)의 양측단 상부에는 고정쐐기 받침턱(131e)이 마련된다.
각 연결체(132)는 수직부(132a), 수직부(132a)의 하단 후방에 일체로 마련되는 수평부(132b)를 구비한다.
연결체 수평부(132b)의 상단 후방에는 플랭크 서포트(120)의 체결돌기(122)에 접속되는 체결홈(132c)이 형성되고, 체결홈(132c)의 전방에는 받침돌출부(132d)가 마련된다.
연결체 수평부(132b)는 전방 두께보다 후방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그에 따라 연결체(132)의 하단면은 경사면이 된다.
각 고정쐐기(133)는 전방 두께가 후방 두께보다 두꺼운 막대형으로, 상단면이 연결체(132)의 하단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된다.
클램프(130)는 알루미늄 재질의 플랭크(110)를 알루미늄 재질(120)의 플랭크 서포트(12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각 구성부품이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다.
따라서 클램프(130)에 의한 플랭크(110)의 고정부위에서 이종금속접촉부식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7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 체결 부위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 체결 부위의 일부 절제 하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 체결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 체결상태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에 있어서 각 플랭크(110)는 클램프(130)를 통해 플랭크 서포트(12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각 플랭크(110)의 설치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플랭크 서포트(120)의 상부판(121) 위에 플랭크(110)를 올려놓고, 각 플랭크(110)의 상단 전방과 후방에 마련된 끼움돌기(111)와 끼움홈(112)을 통해 각 프랭크(110)를 좌우방향으로 연속해서 접속한다.
클램프 본체(131)를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플랭크(110)의 체결돌출부(113)에 접속하고, 후방으로 밀어서 클램프 본체(131)의 후단이 플랭크 서포트(120)의 상부판(121)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클램프 본체(131)를 플랭크(110)의 체결돌출부(113)에 접속할 때는 클램프 본체 상부판(131a)을 플랭크(110)의 체결돌출부(113) 위에 올려서 본체 상부판(131a)의 걸림돌기(131d)가 플랭크 체결돌출부(113)의 걸림돌기(114)에 걸리도록 한다.
다음에 클램프 본체(131)의 수직연결부(131c) 양측에 각각 연결체(132)를 삽입한다.
그리고 각 연결체(132)의 수평부(132b)의 상단 후방에 마련된 체결홈(132c)을 플랭크 서포트 상부판(121)의 체결돌기(122)에 접속하면서 고정쐐기(133)를 클램프 본체 하부판(131b)의 상단과 각 연결체(132)의 하단 사이에 끼워 넣는다.
마지막으로 각 고정쐐기(133)를 더 깊숙하게 박아넣어 각 연결체(132)의 체결홈(132c)이 플랭크 서포트 상부판(121)의 체결돌기(122)에 보다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한다.
또한, 연결체(132)의 수직부(132a) 상단이 클램프 본체 상부판(131a)의 하단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30)에 의해 한 쌍의 플랭크(110)가 플랭크 서포트(12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클램프(130)의 본체 상부판(131a)이 한 쌍의 플랭크(110)와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클램프(130)의 각 연결체(132)가 플랭크 서포트(120)와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각 고정쐐기(133)가 클램프 본체(131)와 각 연결체(132)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도 11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플랭크 서포트 체결부위의 정면도이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1)는 데크부(100)의 플랭크 서포트(120)와 프레임부(200)의 상부 프레임(210)이 바이메탈(230)를 통해 접속된다.
상기 바이메탈(230)은 장방형의 판 형태이고, 플랭크 서포트(120)와 동일한 알루미늄재의 상부체(231), 상부 프레임(210)과 동일한 철재의 하부체(2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메탈(230)의 하부체(232)는 그와 동일 재질인 상부 프레임(210)과 용접되고, 상기 바이메탈(230)의 상부체(231)는 그와 동일 재질인 플랭크 서포트(120)와 용접된다.
따라서 플랭크 서포트(120)의 고정 부위에서 이종금속접촉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없게 되며, 별다른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1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의 바이메탈 배치 상태를 나타낸 데크부의 저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230)은 플랭크 서포트(120)의 상부 프레임(210) 접속부위 마다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테크(1)는 도 4 및 도 11과 같이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플랭크 서포트(120)가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플랭크 서포트(120)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게 연결판과 체결볼트로 연결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생산성은 다소 저하될 수 있지만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 플랭크 서포트(120)의 용접구간에 대한 강도 저하의 문제는 도 4 및 도 11과 같이 플랭크 서포트(120)의 용접부위 하부에 바이메탈(230)을 통해 상부 프레임(210)이 접속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보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1)는 클램프(130)를 사용하여 플랭크(110)를 플랭크 서포트(120)에 고정할 때에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부(200)의 바이메탈(230)을 사용하여 상부 프레임(210)에 플랭크 서포트(120)를 용접할 때에도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플랭크 서포트(210)를 서로 용접하여 연결할 때에도 체결볼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레임부(200)의 상부 프레임(210)에 데크부(100)의 플랭크 서포트(120)를 고정 설치하고, 플랭크 서포트(120)에 플랭크(110)를 고정 설치하여 헬리데크(1)를 제작한 후에 주기적으로 유지보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데크부(100)의 하부에 체결볼트 유지보수를 위한 별도의 플랫폼(Under maintenance platform)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1)는 이종 재질인 데크부(100)와 프레임부(200)의 연결이 바이메탈(230)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데크부(100)와 프레임부(200)의 연결 부위에서 이종금속접촉부식(Galvanic corrosion)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헬레데크 100 : 데크부
110 : 플랭크 120 : 플랭크 서포트
130 : 클램프 131 : 본체
132 : 연결체 133 : 고정쐐기
200 : 프레임부 210 : 상부 프레임
230 : 바이메탈 231 : 상부체
232 : 하부체

Claims (15)

  1. 좌우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플랭크(110), 각 플랭크(110)를 지지하는 다수의 플랭크 서포트(120)를 구비하는 데크부(100); 및 상기 데크부(10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부(100)의 각 플랭크(110)가 고정쐐기형의 클램프(130)를 통해 플랭크 서포트(120)에 고정되고,
    상기 데크부(100)의 각 플랭크 서포트(120)가 바이메탈(230)을 통해 프레임부(200)의 상부 프레임(21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100)의 각 플랭크(110)와 각 플랭크 서포트(120), 그리고 클램프(130)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고, 프레임부(200)의 상부 프레임(210)은 철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랭크(110)는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긴 역 사다리꼴의 형태이고,
    상단 좌측에 마련되는 끼움돌기(111), 상단 우측에 마련되는 끼움홈(112), 그리고 하단 좌측과 하단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체결돌출부(113)를 구비하며,
    각 체결돌출부(113)의 상단에 걸림돌기(1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랭크 서포트(120)는 I 빔(I-Beam)의 형태이고,
    상부판(121)의 하단 양측에 각각 체결돌기(12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30)는 상부판(131a), 하부판(131b), 그리고 상부판(131a)의 하단 중앙과 하부판(131b)의 상단 중앙을 연결하는 수직연결부(131c)를 구비하는 본체(131);
    수직부(132a), 수직부(132a)의 하단 후방에 일체로 마련되는 수평부(132b)를 구비하는 한 쌍의 연결체(132); 및
    막대형의 한 쌍의 고정쐐기(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31)의 상부판(131a)의 하단 양측에 플랭크(110)의 걸림돌기(114)와 접속되는 걸림돌기(131d)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31)의 하부판(131b)의 양측단 상부에 고정쐐기 받침턱(131e)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132)의 수평부(132b)의 상단 후방에 플랭크 서포트(120)의 체결돌기(122)에 접속되는 체결홈(13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132c)의 전방에 받침돌출부(132d)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132)의 수평부(132b)는 전방 두께보다 후방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하단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쐐기(133)는 전방 두께가 후방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단면이 상기 연결체(132)의 하단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230)은 플랭크 서포트(120)와 동일한 알루미늄재의 상부체(231), 상부 프레임(210)과 동일한 철재의 하부체(232)로 이루어지며,
    하부체(232)가 프레임부(200)의 상부 프레임(210)과 용접되고, 상부체(231)가 플랭크 서포트(120)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230)은 플랭크 서포트(120)의 상부 프레임(210) 접속부위 마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14. 제3항에 있어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플랭크 서포트(120)가 용접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랭크 서포트(120)의 용접부위 하부에 바이메탈(230)을 통해 상부 프레임(210)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KR1020130057855A 2013-05-22 2013-05-22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KR101500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855A KR101500524B1 (ko) 2013-05-22 2013-05-22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855A KR101500524B1 (ko) 2013-05-22 2013-05-22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13A KR20140137213A (ko) 2014-12-02
KR101500524B1 true KR101500524B1 (ko) 2015-03-09

Family

ID=5245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855A KR101500524B1 (ko) 2013-05-22 2013-05-22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5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5481A1 (en) * 1987-01-27 1988-07-28 Sutter R Frank Fire retardant helicopter deck
KR100311868B1 (ko) * 1995-12-26 2001-12-15 니시무로 타이죠 칼라음극선관
CN201395236Y (zh) * 2009-02-24 2010-02-03 曾海浩 一种直升机甲板
KR20110008806U (ko) * 2010-03-10 2011-09-16 세보테크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용 헬리콥터 데크의 멀린 플랜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5481A1 (en) * 1987-01-27 1988-07-28 Sutter R Frank Fire retardant helicopter deck
KR100311868B1 (ko) * 1995-12-26 2001-12-15 니시무로 타이죠 칼라음극선관
CN201395236Y (zh) * 2009-02-24 2010-02-03 曾海浩 一种直升机甲板
KR20110008806U (ko) * 2010-03-10 2011-09-16 세보테크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용 헬리콥터 데크의 멀린 플랜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13A (ko)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785B1 (ko) 선박용 격벽
KR101298679B1 (ko) 부력파이프 교차식 고강도 부잔교
KR101646594B1 (ko) 푼툰
KR101500524B1 (ko) 해양 구조물의 헬리데크
CN110015613A (zh) 吊马
CN211196515U (zh) 一种舷墙连接结构
KR101369799B1 (ko) 해상에서 선박을 접합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연결블록
KR200466457Y1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CN212828926U (zh) 一种船舶甲板拦油结构
KR20120136007A (ko) 선박 건조용 계선주
KR20120004029U (ko)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CN112478081A (zh) 一种船用胎架
KR102447517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30109517A (ko) 연료유 탱크를 구비한 이중 선체
CN214566036U (zh) 一种海上深水半潜平台船体非金属管道支架
KR101743581B1 (ko) 선박의 비상 견인장치용 보강구조
JP3693662B2 (ja) タンカーのビルジホッパー部と波形隔壁との組立て方法
CN210368587U (zh) 一种浮桥主梁连接结构
KR20170001900U (ko) 선박용 보강 구조
CN216891930U (zh) 浮桥主梁
JP2005271833A (ja) 上部旋回体の旋回フレーム構造
KR20170059642A (ko) 수상 부유 구조물
JP2004142509A (ja) ハッチカバー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KR101763814B1 (ko) 헬리데크
RU2180302C2 (ru) Надпалубная суд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