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642A - 수상 부유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상 부유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642A
KR20170059642A KR1020150163830A KR20150163830A KR20170059642A KR 20170059642 A KR20170059642 A KR 20170059642A KR 1020150163830 A KR1020150163830 A KR 1020150163830A KR 20150163830 A KR20150163830 A KR 20150163830A KR 20170059642 A KR20170059642 A KR 20170059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buoyant bodies
connection
connection pipe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스
Priority to KR102015016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642A/ko
Publication of KR20170059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등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된 복수개의 부력체와, 상기 체결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 직교되게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 복수개의 제1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파이프와 나란하게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제2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결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의 상부면에 위치되게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제2 연결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이 인접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데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상 부유 구조물{Floating Structure On The Water}
본 발명은 수상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상 부유 구조물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해상 구조물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수상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잔교, 선박계류장, 수상작업장 또는 가두리 양식장 등에 활용되는 수상 부유 구조물은 물에 뜨는 본체 위에 철근 콘크리트, 강판, 목재 등으로 바닥판 또는 데크를 형성한 것이며, 이는 조석간만의 차이가 큰 곳이나 그 밖의 수위변화가 많은 곳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7034호 "부유식해상 구조물"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해제가능하게 서로 강성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부유가능한 모듈형 부재; 및 상기 모듈형 부재를 강성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모듈형 부재들 중 인접한 모듈형 부재들 사이의 상대적인 수직 및 측방향 운동을 제한하며, 상기 복수의 모듈형 부재들 중 인접한 모듈형 부재들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측벽 록킹 조립체 및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모듈형 부재의 모서리와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서리 록킹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부재 각각은 상부면, 바닥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바닥면을 상호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부재들 중 하나 이상의 인접한 모듈형 부재들로 상기 모듈형 부재 각각의 측벽의 적어도 일 부분을 따라 갭없는 인접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단위 부재 간의 결합강도가 낮고, 조립과 분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 등의 접안시 가해지는 충격 및 파도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단위 부재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수상 부유 구조물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해상 구조물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수상 부유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선박 등의 접안시 가해지는 충격이나 파도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부력체가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 수상 부유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등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된 복수개의 부력체와, 상기 체결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 직교되게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 복수개의 제1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파이프와 나란하게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제2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결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의 상부면에 위치되게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제2 연결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이 인접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데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의 외주면에는 완충부재가 상기 부력체의 성형시 인서트 성형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표면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돌기는 그 직경이 상기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파이프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부력체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는 반분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의 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면에는 상호 엇갈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가 결합될 때 정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수상 부유 구조물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해상 구조물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 등의 접안시 가해지는 충격이나 파도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부력체가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 부유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력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력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력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 부유 구조물(100)은 부력체(110), 연결파이프(130), 연결프레임(150), 데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력체(110)는 이피피(EPP: Expanded Polypropylene) 재질로 이루어지고, 복수개가 등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부력체(110)는 반분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112)가 구비된다. 또한, 부력체(110)에는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114)이 구비된다.
아울러, 복수개의 부력체(110)의 외주면에는 본 발명의 수상 부유 구조물(100)에 선박 등의 접안시 가해지는 충격이나 파도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부력체(110)가 파손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120)가 부력체(110)의 성형시 인서트 성형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완충부재(120)는 표면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122a)이 형성된 몸체(122)와, 몸체(122)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124)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돌기(124)는 그 직경이 몸체(122)의 일측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연결파이프(130)는 복수개의 부력체(110)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복수개의 부력체(110)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114)에 관통, 삽입된다.
여기서, 연결파이프(130)의 양단부에는 연결파이프(130)가 복수개의 부력체(110)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복수개의 부력체(110)에 형성된 체결홀(114)에 삽입되었을 때 복수개의 부력체(110)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부력체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구(132)가 구비된다.
고정구(140)는 연결파이프(130)에 의해 복수개의 부력체(110)가 횡방향으로 연결되었을 때 부력체(110)가 연결파이프(1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반분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구(142)와 제2 고정구(144)로 이루어진다.
제1 고정구(142)와 제2 고정구(144)의 단부에는 플랜지부(142a, 144a)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면에는 걸림턱(142b, 144b)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고정구(142)와 제2 고정구(144)의 각각의 면에 형성된 걸림턱(142b, 144b)은 상호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고정구(142)와 제2 고정구(144)가 결합될 때 엇갈리게 형성된 걸림턱(142b, 144b)이 정합됨으로써 제1 고정구(142)와 제2 고정구(144)의 상호 간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연결프레임(150)은 연결파이프(130) 직교되게 복수개의 부력체(11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 복수개의 제1 연결프레임(152)과, 연결파이프(130)와 나란하게 위치되어 복수개의 부력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116)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제2 연결프레임(154)으로 이루어진다.
데크(160)는 복수개의 부력체(110)의 상부면에 위치되게 일단이 복수개의 제2 연결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이 인접된 어느 하나의 제2 연결프레임에 결합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부력체
112; 공간부
114; 체결홀
116; 안착홈
120; 완충부재
122; 몸체
122a; 관통홀
124; 결합돌기
130; 연결파이프
140; 고정구
142; 제1 고정구
144; 제2 고정구
142a, 144a; 플랜지부
142b, 144b; 걸림턱
150; 연결프레임
152; 제1 연결프레임
154; 제2 연결프레임
160; 데크

Claims (5)

  1. 등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된 복수개의 부력체;
    상기 체결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
    상기 연결파이프 직교되게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된 복수개의 제1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파이프와 나란하게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제2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결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의 상부면에 위치되게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제2 연결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이 인접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데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의 외주면에는 완충부재가 상기 부력체의 성형시 인서트 성형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표면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돌기는 그 직경이 상기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부력체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반분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의 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면에는 상호 엇갈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가 결합될 때 정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 구조물.
KR1020150163830A 2015-11-23 2015-11-23 수상 부유 구조물 KR20170059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30A KR20170059642A (ko) 2015-11-23 2015-11-23 수상 부유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30A KR20170059642A (ko) 2015-11-23 2015-11-23 수상 부유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642A true KR20170059642A (ko) 2017-05-31

Family

ID=5905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830A KR20170059642A (ko) 2015-11-23 2015-11-23 수상 부유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96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938B1 (ko) * 2021-04-05 2021-12-01 주식회사 브리콘 중공 콘크리트 부유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938B1 (ko) * 2021-04-05 2021-12-01 주식회사 브리콘 중공 콘크리트 부유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0881B1 (en) Dock system
KR101536278B1 (ko)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US8166901B2 (en) Dock system
KR101561255B1 (ko) 조립식 폰툰
KR101349966B1 (ko) 조립식 폰툰
KR101009264B1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US8920061B2 (en) Shock-absorbing coupling for floating structures
KR101040014B1 (ko) 조립형 부구
KR20170059642A (ko) 수상 부유 구조물
KR101666558B1 (ko) 마감재 설치구조가 구비된 부구 조립체
KR100804057B1 (ko) 플로트 조립체의 부속물 설치구조
KR200435478Y1 (ko) 플로트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
KR20090002683U (ko) 부유도크의 조립구조
JP2009012620A (ja) 連結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浮体構造物
JP4330101B2 (ja) フロート装置
WO2014107603A1 (en) Floating dock system and dock module therefor
KR101649747B1 (ko)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KR101919870B1 (ko)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 해상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818089B1 (ko) 수상 부유구조물 연결체
JP2010024664A (ja) 防舷材
JP4143701B2 (ja) 水上浮体構造物
JP6775955B2 (ja) 床構造
KR101919868B1 (ko)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 해상구조물
KR100804050B1 (ko) 플로트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
JP7489343B2 (ja) フラッシングのサイズ確認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