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029U -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029U
KR20120004029U KR2020100012343U KR20100012343U KR20120004029U KR 20120004029 U KR20120004029 U KR 20120004029U KR 2020100012343 U KR2020100012343 U KR 2020100012343U KR 20100012343 U KR20100012343 U KR 20100012343U KR 20120004029 U KR20120004029 U KR 201200040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ping bracket
reinforcement
tripping
web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수
황상욱
차계원
박승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2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029U/ko
Publication of KR20120004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2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28Frames of transverse type; Str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32Web frames; Web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선체 구조의 종 보강재 및 횡 보강재 교차부의 구조 보강을 위해 부착되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웨브와 종 보강재가 교차하는 교차지점의 종 보강재로부터 횡 방향으로 이격되며 웨브의 벽면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는 트리핑 브래킷과, 상기 트리핑 브래킷의 전방 수직면에 부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되는 횡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에 의하면 트리핑 브래킷의 위치를 웨브와 종 보강재가 교차하는 교차지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종 강도 하중 발생시 종 보강재와 트리핑 브래킷 연결에 의한 응력집중현상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리핑 브래킷 및 횡 보강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데크 플레이트는 용접 조인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리핑 브래킷과 무 용접으로 고정함에 따라 이러한 무 용접의 구조에 의하여 트리핑 브래킷과 데크 플레이트를 용접에 의하여 연결함에 따른 용접부의 응력집중현상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ripping Bracket}
본 고안은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를 종래의 종 보강재(Longitudinal Stiffener)에서 새롭게 추가되는 횡 보강재(Transverse Stiffener)로 변경하고, 이에 따라 상기 종 보강재와 트리핑 브래킷 사이 및 트리핑 브래킷과 데크 플레이트 사이의 용접을 배제시킴으로써, 웨브의 트리핑을 막으면서도 종 강도에 대한 응력 집중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박 구조는 판과 보강재의 용접에 의한 결합체로 반복적인 파랑하중 등의 영향으로 피로파괴에 대해 근원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나, 최근 비약적인 조선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선체구조 기술 또한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고 장력 강의 광범위한 사용과 더불어 선박 건조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트랜스버스 웨브(Transverse Web)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고 있는 추세로 인하여 선체구조 설계 시 종통늑골 연결부의 피로균열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피로수명에 대한 실험적 연구와 더불어 많은 수치해석적 연구가 진행되어 피로수명 평가의 계산 정도가 점점 향상되어 가고 있다. 선박 보강재에서의 피로수명 평가는 선급 규정에 의해 보강재를 평가하고, 종 보강재와 트랜스버스 웨브의 연결부에서의 수명을 직접계산에 의해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체 구조의 종 보강재 및 횡 보강재가 교차하는 교차부에 횡보강재의 트리핑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트리핑 브래킷을 부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트리핑 브래킷(a)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 보강재(b)와 웨브(c)가 만나는 교차지점의 웨브(c) 벽면에 종 보강재(b)의 저면을 받치는 형태로 배치하고, 이 종 보강재(b)의 저면과 브래킷(a)을 용접에 의하여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트리핑 브래킷(a)을 종 보강재(b)와 웨브(c)가 만나는 교차지점의 웨브(c) 벽면에 종 보강재(b)의 저면을 받치는 형태로 배치하고,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하여 부착하여 트랜스버스 웨브의 트리핑을 방지하도록 함에 따라 이러한 배치구조는 종 강도에 대한 종 보강재(b)와 트리핑 브래킷(a)의 연결위치에 대해 응력 집중을 유발하고, 이에 따라 피로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를 종래의 종 보강재 상부에서 추가된 횡 보강재를 이용하여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로 변경하고, 또한, 트리핑 브래킷과 데크 플레이트 사이의 용접을 배제시킴으로써, 웨브의 트리핑을 막으면서도 종 강도에 대한 응력 집중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피로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체 구조의 종 보강재 및 횡 보강재 교차부의 구조 보강을 위해 부착되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웨브와 종 보강재가 교차하는 교차지점의 종 보강재로부터 횡 방향으로 이격되며 웨브의 벽면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는 트리핑 브래킷과, 상기 트리핑 브래킷의 전방 수직면에 부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되는 횡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상기 트리핑 브래킷과 데크 플레이트는 무용접으로 고정되어 용접 조인트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력집중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웨브의 벽면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는 상기 트리핑 브래킷은 상단 수평부에 데크 플레이트 부양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에 의하면 트리핑 브래킷의 위치를 웨브와 종 보강재가 교차하는 교차지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종 보강재와 트리핑 브래킷의 연결을 차단하여 응력집중현상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반복적인 파랑하중 등의 영향으로 인한 종 보강재의 피로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트리핑 브래킷과 데크 플레이트 사이의 용접 조인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리핑 브래킷과 데크 플레이트와는 용접을 하지 않고 횡 보강재와의 용접만으로 트리핑 브래킷을 고정함에 따라 이러한 무 용접의 구조에 의하여 트리핑 브래킷과 데크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연결함에 따른 용접부의 응력집중현상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를 예시한 도면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트리핑 브래킷은 선체 구조에 있어서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종 보강재와 횡 보강재가 서로 만나는 교차지점의 구조보강을 위하여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핑 브래킷(10)은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체 구조의 종 보강재 및 횡 보강재가 서로 교차하는 교차부의 구조 보강을 위하여 웨브(20)의 벽면에 부착되는데, 이 트리핑 브래킷(10)은 전방에는 수직면(11)이 구비되는 한편, 상단 수평부에는 데크 플레이트 부양홈(12)이 구비된다.
상기 트리핑 브래킷(10)은 웨브(20)와 종 보강재 (30)가 교차하는 교차지점의 웨브 벽면에 부착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웨브(20)와 종 보강재 (30)가 교차하는 교차 지점, 더욱 상세하게는 웨브(20)와 종 보강재(30)가 교차하는 교차 지점에 위치한 종 보강재(30)의 저면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의 웨브(20) 벽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치구조에 의하여 종 보강재(30)의 저면에 직접 트리핑 브래킷이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종 보강재(30)의 종강도 하중 하에서의 응력 집중현상을 배제하여 보강재가 교차하는 연결부의 피로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웨브(20)와 종 보강재(30)가 교차하는 교차지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의 웨브(20) 벽면에 구비된 상기 트리핑 브래킷(10)의 전방 수직면(11)에는 용접 등의 부착수단에 의하여 횡 보강재(40)가 부착된다.
또한, 데크 플레이트(50)는 트리핑 브래킷(10) 상단 수평부에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부양홈(12)에 의하여 트리핑 브래킷(10)에 대하여 일정 높이 부양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50)를 트리핑 브래킷(10) 상단 수평부에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부양홈(12)에 의하여 트리핑 브래킷(10)으로부터 일정 높이 부양되는 형태 즉, 무 용접의 구조에 의하여 설치함으로써, 트리핑 브래킷(10)과 횡 보강재(40) 및 데크 플레이트(50)를 용접에 의하여 연결함에 따른 용접부의 응력집중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 보강재와 웨브가 교차하는 교차부의 피로균열에 의한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에 의하면 트리핑 브래킷의 위치를 웨브와 종 보강재가 교차하는 교차지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종 강도 하중 발생시 종 보강재와 트리핑 브래킷 연결에 의한 응력집중현상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반복적인 파랑하중 등의 영향으로 인한 피로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트리핑 브래킷 및 횡 보강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데크 플레이트는 용접 조인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리핑 브래킷과 무 용접으로 고정함에 따라 이러한 무 용접의 구조에 의하여 트리핑 브래킷과 데크 플레이트를 용접에 의하여 연결함에 따른 용접부의 응력집중현상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0: 트리핑 브래킷 11: 수직면
12: 데크 플레이트 부양홈 20: 웨브
30: 종 보강재 40: 횡 보강재
50: 데크 플레이트

Claims (3)

  1. 선체 구조의 종 보강재 및 횡 보강재 교차부의 구조 보강을 위해 부착되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웨브(20)와 종 보강재(30)가 교차하는 교차지점의 종 보강재(30)로부터 횡 방향으로 이격되며 웨브(20)의 벽면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는 트리핑 브래킷(10)과, 상기 트리핑 브래킷(10)의 전방 수직면(11)에 부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되는 횡 보강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리핑 브래킷(10)과 데크 플레이트(50)는 무용접으로 고정되어 용접 조인트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력집중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웨브(20)의 벽면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는 상기 트리핑 브래킷(10)은 상단 수평부에 데크 플레이트(50) 부양홈(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KR2020100012343U 2010-11-30 2010-11-30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KR201200040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343U KR20120004029U (ko) 2010-11-30 2010-11-30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343U KR20120004029U (ko) 2010-11-30 2010-11-30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29U true KR20120004029U (ko) 2012-06-08

Family

ID=4661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343U KR20120004029U (ko) 2010-11-30 2010-11-30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02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418A (ko) * 2013-09-12 2015-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메인 데크 하부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 조립방법
KR20190041661A (ko) * 2017-10-13 2019-04-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체인컴프레서 시공방법
CN115092313A (zh) * 2022-07-22 2022-09-23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适用于油船和散货船的甲板板架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418A (ko) * 2013-09-12 2015-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메인 데크 하부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 조립방법
KR20190041661A (ko) * 2017-10-13 2019-04-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체인컴프레서 시공방법
CN115092313A (zh) * 2022-07-22 2022-09-23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适用于油船和散货船的甲板板架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5383A (ko) 컨테이너 운반선 래싱 브리지
CN101519155A (zh) 一种交换车体罐式集装箱
KR20120004029U (ko) 트리핑 브래킷의 배치구조
KR101048570B1 (ko) 모노레일형 크레인거더의 단면구성방법
JP6013430B2 (ja) 自動車運搬船のピラー構造
WO2019208548A1 (ja) 洋上浮体構造物
CN108316143B (zh) 提高面板与横向构件连接疲劳性的结构及制作方法
KR101115086B1 (ko) 선박 블록의 용접 변형을 줄이는 배치 구조
CN110015613A (zh) 吊马
KR101520834B1 (ko) 래싱 브리지
CN109649578A (zh) 海工船舶甲板上部模块底座及制作安装方法
JP2009190880A (ja) クレーンガーダの補強構造
CN104554627B (zh) 基于压载舱内肋板大开口的宽体双舷侧双层底船舶
CN203471228U (zh) 一种机车司机室组成整体吊装胎膜
KR20140003637U (ko) 선박의 천장패널 지지용 앵글 구조체
KR101268135B1 (ko) 하이브리드 보강 에이치빔
CN104960627A (zh) 用于船舶上层建筑的托架
KR20130109517A (ko) 연료유 탱크를 구비한 이중 선체
KR20190001062A (ko) 래싱 브릿지용 보강 플레이트 구조물
CN210393509U (zh) 半潜式起重平台辅吊机休息臂结构及起重平台
CN212000630U (zh) 一种钢桥纵向加强肋与横向加强肋连接结构
CN204279440U (zh) 一种可拆卸式护栏
CN205290528U (zh) 一种机床护栏
CN217705944U (zh) 副梁架及作业机械
KR20140070775A (ko) 영구접근 조립체가 설치된 액화가스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