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441B1 -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441B1
KR101500441B1 KR1020090065527A KR20090065527A KR101500441B1 KR 101500441 B1 KR101500441 B1 KR 101500441B1 KR 1020090065527 A KR1020090065527 A KR 1020090065527A KR 20090065527 A KR20090065527 A KR 20090065527A KR 101500441 B1 KR101500441 B1 KR 10150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agnostic
printing
forming apparatus
de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817A (ko
Inventor
김현철
황태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010002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958999B/zh
Publication of KR2010001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4Errors handling and recovery, e.g. re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5Reproduc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29Diagnosis, i.e. identifying a problem by comparison with a normal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45Methods therefor using a reference pattern designed for the purpose, e.g. a test ch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53Methods therefor out of service, i.e. outside of norm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63Methods therefor using 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itself, e.g. self-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6User feedback, e.g. print preview, test print, proofing, pre-flight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8User interven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lacing documents, responding to an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은, 인쇄명령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디펙트에 대응하는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출력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진단의 효율성을 보다 높이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HOST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AGNOSIS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텍스트, 그림 등의 화상에 대하여 종이나 필름 등의 기록매체상에 프린팅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던 중 출력물 등에 문제(디펙트)가 발생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에서 제공하는 도움말 등의 문제해결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원인을 파악하고 고장을 해결하거나, 제조사 측에 화상형성장치의 점검(A/S)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와 같이 수명이 정해진 물품에서 발생하는 고장의 경우, 화상형성장치에서 제공하는 문제해결수단은 일반적으로 토너의 잔량을 파악하여 현상기 교체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통지하는 정도 이외의 다른 해결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토너의 잔량과 관계된 고장이 아닐 경우 사용자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한 문제도 원인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제조사의 점검(A/S)을 받게 되어,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조사의 점검이 요청되는 경우, 제조사는 이로 인한 시간과 비용 발생을 줄이기 위해 원격으로 화상형성장치를 점검하고 고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가진단시스템(PSDS: Printer Self Diagnosis System)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장 문제에 관한 정보를 원격으로 진단하고, 고장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고장 유형을 분석하여 고장 문제를 해결한다.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자가진단시스템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제조사의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출력물 이미지 중에서 발생된 문제와 가장 근접한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제해결 방법을 온라인 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가진단시스템은 일방적으로 제조사가 제공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문제를 진단하게 되는데, 이러한 웹(Web) 상으로 제공되는 이미지는 식별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실제 문제가 발생한 이미지가 아니라 제조사가 제공하는 이미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실제로 출력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진단의 효율성을 보다 높이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인쇄된 이미지를 스캔한 스캔 이미지와 생성된 진단 이미지를 비교하여 측정된 유사도를 이용하여, 진단의 정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웹(Web)뿐만 아니라 호스트장치 또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치 가능한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스스로 문제점을 진단하여, A/S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에 있어서, 인쇄명령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디펙트에 대응하는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된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는 기 설정된 개수를 유지하며,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삭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이미지를 복수의 컬러 채널 별로 각각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색공간에 대응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디펙트 이미지를 합성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스캔 이미지와 상기 진단이미지를 비교하고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이미지와 유사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진단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실행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 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팅 이미지는 렌더링 이미지, 하프톤 이미지 및 캡쳐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명령에 따라 프린팅 이미지에 기초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디펙트에 대응하는 디펙트 이미지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축소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된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이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선택부는,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개수를 유지하며,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이미지를 복수의 컬러 채널 별로 각각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색공간에 대응하도록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디펙트 이미지를 합성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캐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스캔 이미지와 상기 진단이미지를 비교하고 진단 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캔 이미지와 유사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진단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실행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하프톤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하프톤 이미지를 콘톤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에 있어서, 인쇄 명령에 따라 프린팅 이미지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와;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디펙트에 대응하는 디펙트 이미지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화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호스트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된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이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선택부는,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개수를 유지하며,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이미지를 복수의 컬러 채널 별로 각각 생 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색공간에 대응하도록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디펙트 이미지를 합성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캔 이미지와 상기 진단이미지를 비교하고 진단 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캔 이미지와 유사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진단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실행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린팅 이미지는 렌더링 이미지, 하프톤 이미지 및 캡쳐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은 사용자가 실제로 출력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진단의 효율성을 보다 높이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인쇄된 이미지를 스캔한 스캔 이미지와 생성된 진단 이미지를 비 교하여 측정된 유사도를 이용하여, 진단의 정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웹(Web)뿐만 아니라 호스트장치 또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치 가능한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스스로 문제점을 진단하여, A/S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호스트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호스트장치(100)는 컴퓨터(PC) 등으로 구현되어, 화상형성장치(200)가 용지 등과 같은 기록매체 상에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텍스트, 그림, 사진 등 프린팅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호스트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200)와 연결되며,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자가진단시스템(PSDS: Printer Self Diagnosis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자가진단시스템은 호스트장치(100)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 제1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자가진단시스템을 위한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호스트장치(100)에 설치된 것을 일례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호스트장치(100)는 제1 사 용자 선택부(110), 화상처리부(120), 제1 디스플레이부(130), 제1 저장부(140), 제1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선택부(11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자가진단시스템(PSDS)의 실행 여부를 선택 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선택부(110)를 통해 소정 문서에 대한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인쇄명령 및 자가진단시스템(PSDS)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는 원고를 스캔한 후의 복사를 위한 인쇄, 수신된 팩스데이터의 인쇄, 서버를 포함하는 호스트장치(1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화상형성장치(200)의 내부(HDD) 또는 외부(USB 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의 인쇄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선택부(110)는 컴퓨터의 마우스, 키보드 등으로 구현되거나, 프린터 드라이버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어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UI)(이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여기서, 호스트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프린터 드라이버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화상형성장치(200)의 출력물의 이상 여부를 질의하는 UI를 생성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출력물에 이상이 있을 경우 표시된 UI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00)의 자가진단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자가진단을 실행하도록 선택한 경우, 호스트장치(100)는 제1 사용자 선택부(110)를 통해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린팅 이미 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화상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장치(100)는 인쇄명령의 수신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선택부(110)를 통해 자가진단을 수행하도록 선택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린터 드라이버를 실행하여 자가진단을 실행할 수 있다.
화상처리부(120)는 인쇄명령에 따라 프린팅 이미지를 생성하고, 자가진단이 실행되면 프린팅 이미지와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프린팅 이미지와 진단 이미지는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라 저장되는 프린팅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호스트장치(100)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34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10)이나 프린터 드라이버(320)를 실행하여 자가진단시스템(PSDS: Printer Self Diagnosis System)(300)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330)는 인쇄명령과는 관계없이 제1 사용자 선택부(110)를 통해 자가진단시스템(30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처리부(120)는 인쇄명령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스크린에 대한 캡쳐 이미지(360)를 프린팅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쳐 이미지(360)는 키보드의 프린트 스크린(Print Screen) 버튼을 통해 현재 사용자(330)가 보고 있는 모니터 화면 전체를 저장한 이미지나 별도의 마우스 캡쳐 어플리케이션(Mouse Capture Application)(예컨대, Snag-It) 을 통하여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330)로부터 지정된 영역을 캡쳐해서 저장한 이미지를 포함한다. 캡처 이미지(370)는 저장 모듈(370)(즉,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처리부(120)는 인쇄명령에 따라 소정 프린트 언어(예컨대, GDI, PCL, PS 등)로 이루어진 프린팅 이미지(460)를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프린팅 이미지(460)는 인쇄를 위해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되게 되는데, 호스트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되는 프린팅 이미지(460)를 복사하여, 제1 저장부(140)(즉, 저장 모듈(37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GDI 드라이버(520)를 사용하는 경우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프린팅 이미지는 렌더링 이미지와 하프톤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스트장치(100)는 도 4와 같이, RGB 렌더링 이미지를 프린팅 이미지로 저장하거나, 도 5와 같이 RGB에서 CMYK로 변환된 렌더링 이미지를 프린팅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또는 운영체제(OS)(340))는 후술하는 진단 이미지의 색공간에 대응되도록 RGB 프린팅 이미지를 CMYK로 변환하거나, CMYK 프린팅 이미지를 RGB로 변환하도록 화상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장치(100)는 도 6과 같이 하프톤 이미지를 프린팅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팅 이미지가 하프톤 이미지인 경우, 제어부(160)(또는 운영체제(OS)(340))는 하프톤 이미지를 RGB로 변환하도록 화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하프톤 이미지의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린팅 이미지가 하프톤 이미지인 경우, 이를 8 비트의 RGB 렌더링 이미지(이하, 콘톤 이미지(Contone Image, Continuous Tone Image) 라고도 한다)로 복원 즉,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하프톤 이미지로부터 콘톤 이미지로의 변환과정은 H2C 라고도 한다.
구체적으로, 도 9a를 참조하면, 호스트장치(100)가 GDI 드라이버(520)를 사용하며 8 비트 이하(예컨대, 1비트, 2비트, 4비트)의 하프톤 이미지(또는, PRN(Ready-to-Print) 파일)인 경우, 제어부(160)는 해당 하프톤 이미지의 변환에 사용된 하프톤 테이블(도 9b 참조)을 읽어 온다.
여기서, 기 사용된 하프톤 알고리즘이,
if Image Pixel Value(8bit) < Halftone Threshold Value
Then, Dot "ON" = "1"
else Dot "OFF" = "0"
이고, Img 는 8 비트 이미지 픽셀 값(Image Pixel Value)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 9c를 참조하면, 하프톤 영상 데이터가 "1" 인 픽셀에서 가장 낮은 임계치(Threshold)는 "140" 이고, 하프톤 영상 데이터가 "0" 인 픽셀에서 가장 높은 임계치는 "121" 이다. 따라서, 8 비트 콘톤 이미지 값은 121 < 8 비트 이미지 픽셀 값 < 140 으로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a의 1 비트 하프톤 이미지는 도 9d와 같이 8 비트 콘톤 이미지로 복원되며, 복원된 이미지 픽셀 값(Image Pixel Value) = (121 + 140) / 2 로 결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H2C 복원 과정에 있어, 복원할 이미지의 픽셀 값이 동일한 영역은 하프톤 테이블의 셀 사이즈(Cell Size) 즉, 하프토닝 또는 디더링 시에 도트 센터(Dot Center)를 기점으로 임계치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 영역의 크기와 동일하다. 또한, 복원된 콘톤 이미지는 하프톤 테이블의 해상도 및 셀 사이즈 즉, 하프톤 계조의 레벨(인쇄 해상도)에 따라 하프톤 이전의 8 비트 RGB 렌더링 이미지와 다소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장치(100)는 GDI 뿐 아니라 PCL, PS와 같은 프린트 언어를 사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0)에 프린팅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호스트장치(100)는 도 7과 같이 프린트 언어에 의한 인코딩 이전의 이미지를 프린팅 이미지로 저장하거나, 도 8와 같이 프린트 언어에 의해 인코딩(Encoding)이 이루어진 이미지를 프린팅 이미지로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린팅 이미지가 인코딩된 이미지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디코딩(Decoding)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한편, 화상처리부(120)는 프린팅 이미지와 기 저장된 디펙트 이미지(Defect Image)에 기초하여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진단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도 10의 (a)의 프린팅 이미지와, 도 10의 (b)의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도 10의 (c)와 같은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화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도 10의 (b)의 디펙트 이미지는 화상형성장치(200)의 현상롤러나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 Laser Scanning Unit) 상에 이물질이 있을 경우 발생 하는 수직의 흰 줄무늬(White Streak)에 대응된다.
같은 방법으로, 제어부(160)는 도 11의 (a)의 프린팅 이미지와, 도 11(b)의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도 11의 (c)와 같은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화상처리부(120)를 제어하며, 도 11의 (b)의 디펙트 이미지는 감광매체의 과도한 속도변동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의 밴딩(banding)이나 지터(Jitter)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있어 제어부(160)는 RGB 색공간의 프린팅 이미지와 디펙트 이미지를 합성하여 RGB 색공간의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CMYK 색공간의 프린팅 이미지와 디펙트 이미지를 합성하여 CMYK 색공간의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화상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CMYK 색공간 즉, 화상형성장치(200)의 색공간에 대응하도록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면, 디펙트(defect)의 물리적인 발생 원인에 따른 실제 디펙트가 발생한 경우와 유사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CMYK 색공간을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블랙 토너(Black Toner)에 대응하는 K 현상롤러에서 발생하는 밴딩 디펙트(Banding Defect) 이미지에 기초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프린팅 이미지가 RGB 색공간에 대응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RGB 2 CMYK 컬러 테이블을 이용하여 프린팅 이미지를 CMYK 색공간에 대응하도록 변환하고, K 플레인(Plane)의 프린팅 이미지와 기 저장된 디펙트 이미지를 합성하여 CMYK 색공간에 대응하도록 병합(Merge)하도록 화상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진단 이미지를 복수의 컬러 채널 별로 각각 생성하게 되면, 복수의 현상롤러 중 어디에서 문제(디펙트)가 발생했는지 까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린팅 이미지가 CMYK 색공간에 대응하도록 저장된 경우, 위와 같은 RGB에서 CMYK로의 변환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이렇게 CMYK 색공간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진단 이미지는 호스트장치(100)에서 표시 가능한 색공간(예컨대, RGB)에 대응하도록 변환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진단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130)와 화상형성장치(200)의 출력색상과의 매칭(Matching)을 위해서 기 저장된 프로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호스트장치(100)는 프린팅 이미지의 변환에 있어서 위와 같은 RGB2CMYK 컬러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UCR 과 같은 범용 RGB2CMYK 변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범용 RGB 2 CMYK 변환방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 Value Range : CMYK values = [0.0, 1.0] && %% Where RGB values = [0, 255]
c = 1.0 - ( r / 255.0 ); m = 1.0 - ( g / 255.0 ); y = 1.0 - ( b / 255.0 ); var_K = 1.0;
if ( c < var_K ) var_K = c;
if ( m < var_K ) var_K = m;
if ( y < var_K ) var_K = y;
if ( var_K == 1 ) { c = 0.0; m = 0.0; y = 0.0; }
else {
c = ( c - var_K ) / ( 1.0 - var_K );
m = ( m - var_K ) / ( 1.0 - var_K );
y = ( y - var_K ) / ( 1.0 - var_K ); } k = var_K;
또한, CMYK 2 RGB 변환방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 Value Range : CMYK values = [0.0, 1.0] && %% Where RGB values = [0, 255]
c = ( c * ( 1.0 - k ) + k ); m = ( m * ( 1.0 - k ) + k ); y = ( y * ( 1.0 - k ) + k );
R = ( 1.0 - c ) * 255.0;G = ( 1.0 - m ) * 255.0;B = ( 1.0 - y ) * 255.0;
제1 디스플레이부(130)는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디펙트 이미지 및 생성된 진단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 및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 페이스(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프린팅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진단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선택부(11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자가 진단이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프린팅 이미지의 개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폴트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선택부(110)를 통해 표시된 프린팅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도 13과 같이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와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선택부(110)를 통해 표시된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1 제어부(160)는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한 진단정보를 표시하거나, 도 14와 같이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60)는 도 14와 같이 진단 이미지와 함께 해당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진단 정보는 사용자가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해결 방안(예 컨대, 소모품 교체, 기내 오염 청소, 펌웨어(Firmware)나 드라이버(Driver)의 업그레이드 등)을 제시한 문서,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매뉴얼, 문제 해결을 위한 해당 관련 부서(제조업체 또는 서비스업체, 소모품의 구매 가능 업체)의 전화번호, 약도 및 웹 사이트 주소, 온 라인(On-Line) 문제해결이 가능할 경우 연결 가능한 웹 페이지(Web-Page) 링크나 서비스 담당자의 이메일(E-Mail) 또는 이폰(E-Phone)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 자체의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해결될 수 있는 문제(예컨대, 자동 정렬(Auto Registration) 등)과 같은 문제의 해결방법도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해결할 수 없는 문제(예컨대, 회로보드 손상, 전압기 파손 등의 중요 부품 손상)의 경우, 진단 정보는 사용자에게 임의로 분해 조립 등을 자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 신속한 A/S를 위한 정보(서비스 업체의 전화번호, 약도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30)는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및 TFT-LCD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40)는 제2 저장부(140)는 HDD와 같은 내장용 저장매체나, USB 메모리, 메모리카드(메모리 스틱, CF 카드, MMC)와 같은 외장용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 디펙트 이미지 및 스캔 이미지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프린팅 이미지를 제1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는 렌더링 이미지, 하프톤 이미지 및 캡쳐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렌더링 이미지는 RGB 또는 CMYK 색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프린팅 이미지를 디폴트로 정해진 위치(프린터 드라이버의 설치 위치, 예컨대, C:\WINDOWS\system32\spool 또는, C:\WINDOWS\system32\spool\drivers\w32x86\3\temp)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60)는 프린팅 이미지나 진단 이미지의 섬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화상처리부(120)를 제어하고, 생성된 섬네일 이미지를 프린팅 이미지나 진단 이미지와 함께 제1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는 기 설정된 개수를 유지하며,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삭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린팅 이미지가 기 설정된 개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인쇄명령에 따라 새로운 프린팅 이미지가 생성되면, 과거에 수행된 인쇄동작에 대응하는 프린팅 이미지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되는 프린팅 이미지가 5개를 유지하도록 설정되고, 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가 5개인 상태에서 인쇄 명령이 수신되면,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60)는 가장 과거에 수행된 인쇄동작에 대응하는 프린팅 이미지를 저장부(160)에서 삭제하고, 새롭게 수신된 인쇄 명령에 따라 생성된 프린팅 이미지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따라서, 제 1 저장부(140)에는 가장 최근에 인쇄를 수행한 프린팅 이미지부터 순차적으로 5개의 프린팅 이미지가 저장되도록 비 정기적으로 삭제 가능하며, 이에 따라 기 설정된 개수가 유지된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1 저장부(140)부에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가 인쇄를 수행하고 난 뒤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정기적으로 해당 프린팅 이미지를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는 호스트 장치(200)에서 설정된 특정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서도 삭제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는 최근 인쇄를 수행한 프린팅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린팅 이미지의 개수는 제1 저장부(140)의 용량을 고려하여 결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며, 5개 이내일 수 있다. 제1 저장부(140)의 사용 용량은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의 개수, 크기, 해당도 등에 따라 변동된다.
또한, 제1 저장부(140)에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디펙트(defect)에 대응하는 디펙트 이미지가 미리 저장된다. 여기서, 저장된 디펙트 이미지는 미리 정해진 디펙트 카테고리(Defect Category) 별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저장부(140)에는 프린팅 이미지 및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진단 이미지와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이력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진단 이미지는 RGB나 CMYK 중 어느 하나의 색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진단 이력은 추후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유사한 문제 가 발생된 경우나,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나, 주기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제1 통신부(150)는 인쇄명령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로 프린팅 이미지를 전송한다. 제1 통신부(150)는 화상형성장치(200)를 포함하는 외부기기와 통신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이나, usb 포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호스트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60)는 인쇄 명령에 따라 생성되는 프린팅 이미지를 제1 저장부(140)에 저장하며, 자가진단의 실행이 선택되면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화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제1 제어부(160)는 도 12과 같이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UI로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된 UI 즉, 제1 사용자 선택부(110)를 통해 프린팅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1 제어부(160)는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와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화상처리부(120)를 제어하고,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생성된 진단 이미지 및 진단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60)는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의 색공간에 따라 프린팅 이미지를 RGB 또는 CMYK의 색공간의 이미지로 변환하도록 화상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호스트장치(100)는 도 13 및 도 14과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복수의 진단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선택한 진단이미지에 대하여 진단정보를 제시하는 방식 외에도, 제1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 가능한 스캐닝부(LSU)(도 17의 270)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200)(예컨대, 복합기(MFP)), 스캐너 등의 스캐닝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자가진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자동으로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인쇄를 수행한 출력물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가진단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선택부(110)를 이용하여 자가진단을 선택하면, 제1 제어부(160)는 자동진단을 수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UI를 생성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UI 대하여 사용자가 자동진단을 수행하도록 선택하면, 제1 제어부(160)는 호스트장치(100)에 연결된 스캐닝장치(예컨대, 스캐닝부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200))를 이용하여 문제가 발생한 실제 출력물을 스캔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UI를 생성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이에, 스캐닝장치는 문제가 발생한 출력물을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호스트장치(100)에 전송한다.
호스트장치(100)는 스캐닝장치로부터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여 제1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1 제어부(160)는 스캔 이미지가 RGB 색공간에 대응 되는 경우 이를 CMYK 색공간에 대응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스캔 이미지와 기 저장된 진단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 정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여기서, 제1 제어부(16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이미지(b) 와 스캔 이미지(a)에 대한 디퍼런스(Difference) 연산을 수행하여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진단 이미지(b)와 스캔 이미지(a)의 유사도가 높은 경우, 즉, 유사 이미지인 경우에는 디퍼런스 수행 결과 도 15 의 (c)와 같이 블랙(black)에 가까운 이미지가 출력된다.
반면, 진단 이미지(b)와 스캔 이미지(a)의 유사도가 낮은 경우, 즉, 상이한 이미지인 경우에는 디퍼런스 수행 결과 도 16 의 (c)와 같이 블랙(black)과는 거리가 먼 이미지가 출력된다.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출력 이미지를 통해 도 15의 (c)와 같이 블랙에 가까운 출력 이미지의 연산에 사용된 진단 이미지(도 15의 (a))에 대응하는 디펙트를 문제의 원인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해당 진단 이미지(도 15의 (a))에 대응하는 디펙트에 대한 진단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제1 제어부(160)는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다양한 디펙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진단 이미지와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소정 개수의 출력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도 있다. 예컨대,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 개수(예컨대, 4개)의 출력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나열하거나, 디퍼런스 연산 결과 블랙 영역이 전체 영역의 80% 이상인 출력 이미지를 나열하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유사도가 가장 높은 출력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제점에 대한 진단정보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유사도가 높은 다른 출력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제점에 대한 진단정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디펙트로 인한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도 순차적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제어부(160)는 진단 이미지와 스캔 이미지의 주파수 성분의 주기를 서로 비교하여 유사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1과 같이 밴딩을 디펙트로 하는 진단 이미지는 용지의 긴 면에 수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일정한 주파수 성분을 가지게 되므로, 스캔 이미지의 주파수 성분과 진단 이미지의 주파수 성분의 주기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호스트장치(100)는 경우에 따라 상기와 같은 유사도 판단 여부를 표시하지 않고, 스캔 이미지와 기 저장된 진단 이미지를 비교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파악된 문제점에 대한 진단 정보를 텍스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200)는 프린터, 복합기 등으로 구현되어, 호스트장 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나, USB 등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다이렉트 프린팅 명령 등에 의한 인쇄를 수행하거나, 스캔이나 복사 명령에 의한 스캔 이미지를 용지 등과 같은 기록매체 상에 인쇄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장치(100)와 연결되며,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 가능한 각종 문제점에 대한 자가진단시스템(PSDS: Printer Self Diagnosis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자가진단시스템은 화상형성장치(200)에 설치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 제2 실시예는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자가진단시스템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설치된 것을 일례로 한다.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200)는 제1 실시예의 호스트장치(100)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자가진단을 수행하며, 제1 실시예의 호스트장치(100)와 동일한 명칭을 갖는 구성요소의 경우 자가진단에 있어서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200)는 제2 사용자 선택부(210), 화상형성부(220), 제2 디스플레이부(230), 제2 저장부(240), 제2 통신부(250), 제2 제어부(260) 및 스캐닝부(270)를 포함한다.
제2 사용자 선택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 및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자가진단시스템(PSDS)의 실행 여부를 선택 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선택부(210)를 통해 인쇄명령 및 자가진단 시스템(PSDS)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는 원고를 스캔한 후의 복사를 위한 인쇄, 수신된 팩스데이터의 인쇄, 서버를 포함하는 호스트장치(1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화상형성장치(200)의 내부(HDD) 또는 외부(USB 메모리) 즉, 저장부(240)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의 인쇄를 포함한다.
제2 사용자 선택부(21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마련되는 키 버튼(이하, 하드키 또는 키패드 라고도 한다)으로 구현되거나,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어 제2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UI)(이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220)는 인쇄명령이 있으면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록매체에 인쇄되는 화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의 화상형성 과정은 정착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200)는 호스트장치(100)로부터 인쇄데이터가 수신되거나, 화상형성장치(200)의 제2 사용자 선택부(210)를 통해 복사, 다이렉트 프린팅 등의 명령이 수신되면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220)를 제어하고,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프린팅 이미지를 제2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200)는 제2 사용자 선택부(210)를 자가진단을 수행하도록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화상형성장치(200)의 출력물의 이상 여부를 질의하는 UI를 생성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출력물에 이상이 있을 경우 표시된 UI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00)의 자가진단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200)는 인쇄 완료 후 자가진단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이에 대응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하거나, 인쇄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가진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자가진단을 실행하도록 선택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00)는 제2 사용자 선택부(210)를 통해 제2 저장부(240)에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나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라 저장되는 프린팅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사용자의 인쇄명령에 대응하여 호스트장치(100)로부터 소정 프린트 언어(예컨대, GDI, PCL, PS 등)로 이루어진 프린팅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팅 이미지는 CMYK 하프톤 이미지로서, 해당 호스트장치(100)의 프린터 드라이버(320)에 대응하는 프린트 언어를 사용하며 인코딩(Encoding)된 상태로 수신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60)는 수신된 프린팅 이미지를 디코딩(Decoding)하여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220)를 제어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딩된 하프톤 이미지를 콘톤 이미지로 변환하여 제2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여기서, 하프톤 이미지를 콘톤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9a 내지 도 9d에서 설명한 하프톤 이미지의 변환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사용자의 복사 명령에 대응하여 스캐닝된 프린팅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프린팅 이미지는 RGB 이미지일 수 있다. 이에, 제2 제어부(260)는 생성된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컬러 매칭을 수행 즉, RGB2CMYK 컬러 테이블을 이용한 CMYK 프린팅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2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한편, 제2 제어부(260)는 프린팅 이미지를 제2 디스플레이부(230)의 크기 및 해상도를 고려하여 축소 및 제2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화상형성장치(200)가 CMYK 4채널을 사용하는600DPI의 성능을 가진 경우, 출력되는 이미지의 크기는 A4 용지를 기준으로 가로 4961 px(pixel), 세로 7016 px(pixel)이고, CMYK 4채널을 고려하면 저장에 필요한 총 공간은 약 139MB 정도로서 상당히 큰 용량을 차지하게 된다.
이는 통상적인 화상형성장치(200)의 제2 디스플레이부(230) 즉, LCD 창의 크기 및 표시 해상도에 비하여 이미지의 크기가 지나치게 클 뿐 아니라 저장에 있어서도 큰 용량을 차지한다.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의 용량이 지나치게 크면 추후 진단 이미지 생성이나, 자동진단 등을 수행함에 있어서 처리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제2 제어부(260)는 콘톤 이미지로 변환된 프린팅 이미지를 제2 디스플레이부(230)의 크기 및 해상도를 고려하여 소정 크기로 축소하고, 축소된 프린팅 이미지를 제2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또한, 제2 제어부(260)는 프린팅 이미지의 섬네일(Thumbnail) 이미지을 생성하고, 생성된 섬네일 이미지를 프린팅 이미지나 진단 이미지와 함께 제2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260)는 제2 사용자 선택부(210)를 통해 자가진단이 선택되면, 제2 저장부(240)에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를 제2 디스플레이부(230)가 표시 가능하도록 RGB 색공간에 대응되도록 변환하고, 변환된 프린팅 이미지를 도 12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제1 실시예의 호스트장치(100)에서 설명한 RGB2CMYK 컬러 테이블이나, CMYK2RGB 변환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장부(240)에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를 축소하여 저장하지 않은 경우, 제2 제어부(260)는 프린팅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린팅 이미지에 대응하는 섬네일 이미지가 별도로 저장된 경우, 저장된 섬네일 이미지를 제2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선택부(210)를 이용하여 도 12에 표시된 복수의 프린팅 이미지 중 자가 진단을 수행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또는 섬네일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30)는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및 TFT-LCD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장부(140)는 HDD와 같은 내장용 저장매체나, USB 메모리, 메모리카드(메모리 스틱, CF 카드, MMC)와 같은 외장용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 디펙트 이미지 및 스캔 이미지가 저장된다.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는 기 설정된 개수를 유지하며,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 으로 삭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60)는 제2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프린팅 이미지가 기 설정된 개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인쇄명령에 따라 새로운 프린팅 이미지가 생성되면, 과거에 수행된 인쇄동작에 대응하는 프린팅 이미지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도 12에서 제2 사용자 선택부(210)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가 선택되면, 제2 제어부(260)는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와 제2 저장부(240)에 기 저장된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2 저장부(240)에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디펙트(defect)에 대응하는 디펙트 이미지가 미리 저장된다. 여기서, 저장된 디펙트 이미지는 미리 정해진 디펙트 카테고리(Defect Category) 별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저장부(140)에는 프린팅 이미지 및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진단 이미지와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이력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진단 이미지는 CMYK 색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진단 이력은 추후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유사한 문제가 발생된 경우나,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나, 주기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에는, 도 10 및 도 11에 예시된 진단 이미지의 생성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60)는 도 12의 프린팅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대응하여, 도 13과 같이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와 제2 저장부(240)에 저장된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2 사용자 선택부(210)를 통해 표시된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2 제어부(160)는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한 진단정보를 표시하거나, 도 14와 같이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60)는 도 14와 같이 진단 이미지와 함께 해당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200)의 진단정보는, 제1 실시예의 호스트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진단 정보를 포함한다.
제2 통신부(250)는 호스트장치(100) 등으로부터 프린팅 이미지를 수신한다. 제2 통신부(250)는 호스트장치(100)를 포함하는 외부기기와 통신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이나, usb 포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60)는 호스트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60)는 인쇄 명령에 따라 인쇄를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120)를 제어하고, 생성 또는 수신된 프린팅 이미지를 제2 저장부(240)에 저장하며, 자가진단의 실행이 선택되면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한다.
제2 제어부(260)는 도 12과 같이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UI로 제2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된 UI 즉, 제2 사용자 선택부(210)를 통해 프린팅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2 제어부(260)는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와 제2 저장부(240)에 저장된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하고,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생성된 진단 이미지 및 진단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어부(260)는 프린팅 이미지를 디코딩 및 콘톤 이미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CMYK의 색공간의 프린팅 이미지를 RGB로 변환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200)는 도 13 및 도 14과 같이 제2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된 복수의 진단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선택한 진단이미지에 대하여 진단정보를 제시하는 방식 외에도, 별도로 구비된 스캐닝부(270)를 이용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스캐닝부(270)는 스캔대상 원고를 이용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한다. 스캔대상 원고는 문서(document), 사진, 필름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캐닝부(270)는 스캔대상 원고를 소정 블록 단위로 독취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스캔 이미지는 RGB 이미지일 수 있다.
제2 제어부(260)는 RGB 스캔 이미지를 RGB2CMYK 컬러 테이블을 이용하여 CMYK 스캔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쇄를 수행한 출력물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 사용자 선택부(210)를 조작하여 자가진단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가진단을 선택하면, 제2 제어부(260)는 자동진단을 수행할지 여 부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UI를 생성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UI 대하여 사용자가 자동진단을 수행하도록 선택하면, 제2 제어부(260)는 문제가 발생한 실제 출력물을 스캔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UI를 생성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한다.
이에, 스캐닝부(270)는 문제가 발생한 출력물을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이미지는 CMYK 이미지로 변환되어 제2 저장부(240)에 저장된다.
제2 제어부(260)는 스캔 이미지와 기 저장된 진단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 정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여기서, 제2 제어부(26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이미지(b) 와 스캔 이미지(a)에 대한 디퍼런스(Difference) 연산을 수행하여 유사도를 판단하거나, 진단 이미지와 스캔 이미지의 주파수 성분의 주기를 서로 비교하여 유사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260)는 유사도가 높은 진단 이미지(도 15의 (a))에 대응하는 디펙트에 대한 진단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제2 제어부(260)는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다양한 디펙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진단 이미지와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소정 개수의 출력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200)는 경우에 따라 상기와 같은 유사도 판단 여부를 표 시하지 않고, 스캔 이미지와 기 저장된 진단 이미지를 비교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파악된 문제점에 대한 진단 정보를 텍스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자가진단을 수행하고자 하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스캐닝부(27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연결 가능한 별도의 스캐닝장치를 통해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수신받고, 수신된 스캔 이미지와 진단 이미지를 비교하여, 자동진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장치(100) 또는 화상형성장치(200)는 사용자가 실제로 인쇄한 프린팅 이미지를 이용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고, 자동진단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단정보를 표시하여, 진단의 효율성, 정확성을 보다 높이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호스트장치(100)나 화상형성장치(200)가 아닌, 별도의 서버 등에 프린팅 이미지, 디펙트 이미지, 진단 이미지를 저장하고, 자가 진단을 수행하고자 하는 호스트장치(100) 또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프린팅 이미지, 디펙트 이미지, 진단 이미지를 수신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호스트장치(100) 또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있어서의 진단과정을 도 21 a 및 도 2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호스트장치(100) 또는 화상형성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1).
다음, 제어부(160, 260)는 해당 인쇄명령에 대응하는 프린팅 이미지를 저장부(140, 240)에 저장한다(S12). 여기서, 제1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프린팅 이미지는 렌더링 이미지, 하프톤 이미지 및 캡쳐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는 기 설정된 개수를 유지하며, 제어부(160, 260)는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2에서 제2 제어부(260)는 하프톤 이미지를 콘톤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콘톤 이미지를 제2 디스플레이부(230)의 크기 및 해상도에 따라 축소하여 제2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1의 인쇄명령에 따라, 제어부(160, 26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진단 실행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30, 230)를 통해 표시하고, 진단 실행을 선택 받을 수 있다(S13).
단계 S13에서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진단을 실행하도록 선택하면, 제어부(160, 260)는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를 선택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 230)에 표시하여, 표시된 프린팅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을 수 있다(S14). 여기서, 단계 S14의 진단 실행여부는 단계 S11의 인쇄수행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사용자 선택부(110, 210)를 조작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160, 260)는 단계 S14에서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를 화상형성장치(200)의 색공간(예컨대, CMYK)에 대응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S15). 여기서, 단계 S12에서 프린팅 이미지가 CMYK 이미지로 저장된 경우 단계 S15는 생략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160, 260)는 프린팅 이미지와 기 저장된 디펙트 이미지에 기 초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한다(S16). 여기서, 진단 이미지는 복수의 컬러 채널 별로 각각 생성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는 사용자 선택부(110, 210)를 통해 자동진단의 수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S17).
단계 S170에서 자동진단을 수행하지 않도록 선택된 경우, 단계 S16에서 생성된 진단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30, 230)가 표시 가능한 색공간(예컨대, RGB)에 대응하도록 변환될 수 있다(S18).
생성된 진단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30, 230)에 표시된다(S19).
다음, 사용자 선택부(110, 210)를 통해 단계 S19에서 표시된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할 수 있다(S20).
제어부(160, 260)는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 2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한다(S21).
그리고, 제어부(160, 260)는 이러한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진단 이력을 저장부(140, 240)에 저장할 수 있다(S22).
한편, 단계 S17에서 자동진단을 수행하도록 선택된 경우, 제어부(160, 260)는 단계 S14의 프린팅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23). 여기서, 호스트장치(100)는 제1 통신부(150)를 통해 별도의 스캐닝장치를 통해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200)는 스캐닝부(270)를 통해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60, 260)는 단계 S23에서 생성된 스캔 이미지와 진단 이미지를 비교 한다(S24). 여기서, 제어부(160, 260)는 스캔 이미지와 진단 이미지에 대한 디퍼런스 연산을 수행하거나, 주파수 주기를 측정하여 스캔 이미지와 진단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60, 260)는 단계 S24의 비교에 따른 진단 결과를 표시한다(S25). 여기서, 제어부(160, 260)는 단계 S24에서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 소정 개수의 진단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30, 2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 260)는 단계 S25의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 2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한다(S21).
그리고, 제어부(160, 260)는 이러한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진단 이력을 저장부(140, 240)에 저장할 수 있다(S22).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호스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프린팅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하프톤 이미지의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진단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프린팅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진단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 및 도 16은 자동으로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라 저장되는 프린팅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0a 및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을 도시 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스트장치 110 : 제1 사용자 선택부
120 : 화상처리부 130 : 제1 디스플레이부
140 : 제1 저장부 150 : 제1 통신부
160 : 제1 제어부 200 : 화상형성장치
210 : 제2 사용자 선택부 220 : 화상형성부
230 : 제2 디스플레이부 240 : 제2 저장부
250 : 제2 통신부 260 : 제2 제어부
270 : 스캐닝부

Claims (49)

  1.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에 있어서,
    인쇄명령에 따라 인쇄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디펙트에 대응하는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는 기 설정된 개수를 유지하며,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이미지를 복수의 컬러 채널 별로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상기 화상형성 장치의 색공간에 대응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디펙트 이미지를 합성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스캔 이미지와 상기 진단이미지를 비교하고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이미지와 유사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실행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이미지는 렌더링 이미지, 하프톤 이미지 및 캡쳐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15.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명령에 따라 인쇄데이터로부터 생성된 프린팅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디펙트에 대응하는 디펙트 이미지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축소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이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택부는,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개수를 유지하며,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이미지를 복수의 컬러 채널 별로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색공간에 대응하도록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디펙트 이미지를 합성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캐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스캔 이미지와 상기 진단이미지를 비교하고 진단 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캔 이미지와 유사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실행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15 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하프톤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하프톤 이미지를 콘톤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에 있어서,
    인쇄명령에 따라 인쇄데이터로부터 프린팅 이미지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와;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디펙트에 대응하는 디펙트 이미지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화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진단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선택된 진단 이미지에 대응하는 진단 정보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이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34. 제31 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택부는,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35.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개수를 유지하며,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36.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이미지를 복수의 컬러 채널 별로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37. 제31 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프린팅 이미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색공간에 대응하도록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디펙트 이미지를 합성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38.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캔 이미지와 상기 진단이미지를 비교하고 진단 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캔 이미지와 유사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진단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40.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진단 실행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41.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이미지는 렌더링 이미지, 하프톤 이미지 및 캡쳐 이미지 중 어 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화상형성장치의 제1 디펙트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제1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제1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화상형성장치의 제2 디펙트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제2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린팅 이미지에 대한 제2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4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기설정된 제1 디펙트에 대응하는 제1 디펙트 이미지와, 기설정된 제2 디펙트에 대응하는 제2 디펙트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제1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진단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된 프린팅이미지와 상기 제2 디펙트이미지에 기초하여 제2 진단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기설정된 제1 디펙트에 대응하는 제1 디펙트 이미지와, 기설정된 제2 디펙트에 대응하는 제2 디펙트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제1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진단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와 상기 제2 디펙트이미지에 기초하여 제2 진단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화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45. 화상형성장치의 디펙트를 결정하는 진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명령에 따라 인쇄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프린팅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설정된 디펙트에 대응하는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데이터에 따라 기록매체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와;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인쇄된 이미지를 스캔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진단이미지와 상기 스캔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이미지와 상기 진단 이미지의 비교에 따라 진단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방법.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호스트장치로부터 상기 프린팅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방법.
  48. 화상형성장치의 디펙트를 결정하는 진단방법에 있어서,
    호스트장치가 인쇄명령에 따라 인쇄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프린팅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프린팅 이미지 및 화상형성장치의 기설정된 디펙트에 대응하는 디펙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진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장치가 상기 인쇄데이터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기록매체에 인쇄된 인쇄 이미지의 스캔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장치가 상기 생성된 진단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스캔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이미지와 상기 진단 이미지의 비교에 따라 진단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방법.
KR1020090065527A 2008-07-28 2009-07-17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KR101500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002145.7A CN101958999B (zh) 2009-07-17 2010-01-07 主机设备、图像形成设备和用于图像形成设备的诊断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3624 2008-07-28
KR1020080073624 2008-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817A KR20100012817A (ko) 2010-02-08
KR101500441B1 true KR101500441B1 (ko) 2015-03-10

Family

ID=4156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527A KR101500441B1 (ko) 2008-07-28 2009-07-17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42375B2 (ko)
KR (1) KR101500441B1 (ko)
CN (1) CN1016397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659B1 (ko) * 2015-12-08 2016-10-13 주식회사 히즈윌 인쇄자동화 시스템 및 인쇄자동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1120B2 (ja) 2012-09-14 2017-12-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検査装置、画像検査方法及び画像検査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315960B2 (ja) * 2013-12-04 2018-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7142566A (ja) * 2016-02-08 2017-08-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端末装置、診断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646257B2 (ja) * 2016-02-08 2020-0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端末装置、診断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5351A1 (en) * 2006-02-21 2007-08-23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visibility of print defect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6399B2 (ja) * 1992-03-24 1998-01-28 三田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ための制御装置
US6377758B1 (en) * 2000-11-06 2002-04-23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imaging problems
US6862414B2 (en) * 2002-01-30 2005-03-01 Xerox Corporation Automated banding defect analysis and repair for document processing systems
JP4538845B2 (ja) * 2004-04-21 2010-09-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故障診断方法および故障診断装置、画像形成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7382507B2 (en) * 2004-11-17 2008-06-03 Xerox Corporation Image quality defect detection from image quality database
US7376269B2 (en) * 2004-11-22 2008-05-20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mage quality defects
JP4687614B2 (ja) 2005-09-20 2011-05-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故障診断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故障診断方法
JP4572862B2 (ja) * 2006-04-05 2010-11-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画像形成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11077B2 (ja) * 2006-06-09 2011-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故障診断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故障診断プログラム
US7783122B2 (en) * 2006-07-14 2010-08-24 Xerox Corporation Banding and streak detection using customer documents
US8223385B2 (en) * 2006-12-07 2012-07-17 Xerox Corporation Printer job visualization
US7965414B2 (en) * 2008-01-23 2011-06-21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mage quality defects
US9390352B2 (en) * 2008-04-22 2016-07-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current image and diagnostic pattern printing
US8472040B2 (en) * 2008-07-28 2013-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st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iagnosis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8208183B2 (en) * 2008-11-19 2012-06-26 Xerox Corporation Detecting image quality defects by measuring images printed on image bearing surfaces of printing devices
US8259350B2 (en) * 2009-01-13 2012-09-04 Xerox Corporation Job-specific print defect management
US8725008B2 (en) * 2010-03-16 2014-05-13 Xerox Corporation Using images to diagnose defect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5351A1 (en) * 2006-02-21 2007-08-23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visibility of print defe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659B1 (ko) * 2015-12-08 2016-10-13 주식회사 히즈윌 인쇄자동화 시스템 및 인쇄자동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817A (ko) 2010-02-08
US8542375B2 (en) 2013-09-24
US20100020360A1 (en) 2010-01-28
CN101639764A (zh)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2040B2 (en) Host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iagnosis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811593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KR101500441B1 (ko)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진단방법
US20070133043A1 (en) Image log function display program, image log function display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2009188842A (ja)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29494A (ja) カラー媒体にプリントされた原稿をファクシミリ送信する方法
US2009000980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0500630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duct
JP202208471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58804B2 (en) Electronic device that displays degree-of-recommendation, image form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8280689B2 (en) Saving history and format information of a document together
KR20120039994A (ko)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인쇄방법
CN105637557A (zh) 图像处理设备、图像处理系统、图像处理方法和记录介质
JP690818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04659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108630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outputs parameter on basis of learning result
US202000769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confirming operation history
US117226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0729902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7879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67078A (ja) シェーディングデータ検査方法
US2008011487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nagement system of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958999B (zh) 主机设备、图像形成设备和用于图像形成设备的诊断方法
JP201602564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3250045A (ja) プリンタ更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