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173B1 -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173B1
KR101500173B1 KR20130125913A KR20130125913A KR101500173B1 KR 101500173 B1 KR101500173 B1 KR 101500173B1 KR 20130125913 A KR20130125913 A KR 20130125913A KR 20130125913 A KR20130125913 A KR 20130125913A KR 101500173 B1 KR101500173 B1 KR 10150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ackup
temperature
thermostat
engin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민균
장홍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5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 F01M5/007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1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2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에 관한 것으로, 엔진오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오일쿨러와 연결되는 오일쿨러연결부와 유입부의 일측으로 분기되어 오일필터와 연결되는 오일필터연결부가 구비된 하우징과, 오일필터연결부에 구비되어 엔진오일의 온도에 의해 유입부와 오일쿨러연결부 및 오일필터연결부의 연결을 제어하는 메인써모스텟과, 오일필터연결부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우징에 구비된 온도감응실과, 오일필터연결부와 온도감응실을 관통하는 커넥터를 통해 메인써모스텟과 연결되도록 온도감응실에 구비된 백업써모스텟을 포함하며, 메인써모스텟의 오작동시에도, 백업써모스텟이 작동되어 엔진오일을 오일쿨러로 유입시킴으로써 엔진오일의 온도가 상승하여 윤활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및 그 작동방법{FLOW-CONTROL-MODULE OF ENGINE-OIL}
본 발명은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필터와 오일쿨러로 유입되는 엔진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메인써모스텟에 이상발생시 백업써모스텟이 작동되어 엔진오일의 과열을 방지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크랭크축, 피스톤 등의 고속 고열로 위치 이동하는 부품의 마모를 줄이고 연소가스가 피스톤과 실린더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엔진에는 엔진오일을 각 부품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윤활장치가 구비된다.
윤활장치는, 엔진오일을 각 부품으로 공급하는 방법에 따라, 비산식, 압송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비산식은 구조가 간단한 반면 엔진오일공급이 불균일하므로, 압송식이 많이 사용된다.
압송식 윤활장치에는, 엔진오일을 가압하기 위한 펌프와, 엔진오일에 잔류된 각 부품의 잔류물인 금속분말과 연소시 생성된 탄소성분 등을 엔진오일로부터 걸러내기 위한 오일필터와, 엔진오일의 윤활성을 저감하는 요소인 엔진오일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쿨러 등이 포함된다.
한편, 압송식 윤활장치에 있어서, 엔진오일의 윤활성이 급격히 저감되는 온도 일 때는 오일쿨러로 엔진오일을 순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온도 이하일 때는 오일필터로 엔진오일을 순환시키는 것이 엔진오일 순환에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모듈(1)이 개발되었는데, 종래의 기술은 써모스텟(2)이 엔진오일의 특정온도에 감응하여 작동됨으로써 엔진오일이 오일필터(3) 또는 오일쿨러와 연결된 유로(4)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써모스텟(2)의 이상 발생시, 더 상세하게는 엔진오일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써모스텟(2)에 들러붙어 엔진오일의 온도에 감응하지 못하거나, 써모스텟(2) 내부에 수용되어 엔진오일 온도에 의해 팽창하는 왁스가 불량하여 특정온도에 감응하지 못할 때에 엔진오일이 오일쿨러와 연결된 유로(4)로 유입되지 못하여 온도가 급상승하고 그에 따라 엔진오일의 윤활성이 급감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1971호(2004.05.20.)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오일을 오일필터 또는 오일쿨러로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장치에 구비된 써모스텟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엔진오일의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윤활성이 급감하는 것을 막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에 따르면, 엔진오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오일쿨러와 연결되는 오일쿨러연결부와 유입부의 일측으로 분기되어 오일필터와 연결되는 오일필터연결부가 구비된 하우징과, 오일필터연결부에 구비되어 엔진오일의 온도에 의해 유입부와 오일쿨러연결부 및 오일필터연결부의 연결을 제어하는 메인써모스텟과, 오일필터연결부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우징에 구비된 온도감응실과, 오일필터연결부와 온도감응실을 관통하는 커넥터를 통해 메인써모스텟과 연결되도록 온도감응실에 구비된 백업써모스텟을 포함하며, 메인써모스텟에 이상 발생시 백업써모스텟이 작동되어 유입부와 오일쿨러연결부를 연통하도록 메인써모스텟을 강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메인써모스텟은, 유입부 측으로 그 일단이 부착되어 오일필터연결부에 수용된 코일스프링과, 오일필터연결부로 유입된 엔진오일의 온도에 감응하여 그 내부에 구비된 왁스가 팽창됨으로써 코일스프링을 가압하며 오일필터연결부 내부에서 이동하여 유입부와 오일필터연결부를 차단하고 유입부와 오일쿨러연결부를 연통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부는, 코일스프링 내측으로 돌출된 캡 형상의 몸체부와, 코일스프링의 타단과 접촉하여 탄성력을 받도록 몸체부로부터 돌출된 링형상의 날개부와, 날개부에 그 원주가 삽입되어 몸체부를 밀폐하는 마개와, 오일필터연결부의 일측에 구비된 댐퍼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이 마개를 관통하여 몸체부 내부로 삽입된 고정바늘과, 마개와 날개부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엔진오일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됨으로써 고정바늘을 가압하여 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왁스가 수용된 왁스수용캡을 포함하며, 고정바늘의 일측에 댐퍼를 관통하는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백업써모스텟은, 온도감응실에 구비된 오일홀을 통해 유입된 엔진오일의 온도에 감응하여 커넥터를 가압하며 온도감응실 내부에서 위치 이동하는 백업작동부와, 백업작동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백업작동부의 위치이동과 동일하게 위치이동되고 온도감응실 내측벽에 고정되어 커넥터를 이동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백업작동부는 커넥터와 연결되며, 고정구와 접촉하는 날개부가 구비된 캡 형상의 백업몸체부와, 백업몸체부의 개구된 일측을 막도록 백업몸체부에 끼워지는 백업마개와, 온도감응실 일측에 구비된 백업댐퍼에 일측이 고정되고 백업마개를 관통하여 백업몸체부 내부로 삽입된 백업고정바늘과, 오일홀을 통해 유입된 엔진오일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됨으로써 백업고정바늘을 가압하여 백업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왁스가 수용되며 백업마개와 날개부에 고정된 백업왁스수용캡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구에는 고정구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해 수용홈이 형성되며, 수용홈에는 온도감응실 내측벽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는 핀이 장착되며, 수용홈에는 핀을 탄성지지 하기 위한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작동방법에 따르면, 기준온도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엔진오일을 오일쿨러 또는 오일필터로 유도하는 메인써모스텟이 정상 작동하는 정상작동단계와, 메인써모스텟이 오작동함에 따라 엔진오일을 오일쿨러로 유도하지 못하고, 엔진오일의 온도가 기준온도값을 초과하여 FAIL온도값에 도달하는 문제발생단계와, 엔진오일이 유입되는 온도감응실에 구비된 백업써모스텟이 FAIL온도값에서 작동됨으로써, 엔진오일이 오일쿨러로 유입되도록 메인써모스텟을 강제적으로 작동시키는 FAIL- SAFE단계를 포함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메인써모스텟에는 기준온도값에서 팽창 하는 왁스가 구비될 수 있으며, 기준온도값은 섭씨 100도 내지 섭씨 110도일 수 있으며, FAIL온도값은 섭씨 150도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및 그 작동방법에 의하면, 메인써모스텟의 오작동시에도, 백업써모스텟이 작동되어 엔진오일을 오일쿨러로 유입시킴으로써 엔진오일의 온도가 상승하여 윤활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써모스텟이 구비된 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단면도및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다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또 다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작동방법의 절차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다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또 다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상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은 엔진오일이 유입되는 유입부(110)와 유입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오일쿨러와 연결되는 오일쿨러연결부(120)와 유입부(110)의 일측으로 분기되어 오일필터와 연결되는 오일필터연결부(130)가 구비된 하우징(100)과, 오일필터연결부(130)에 구비되어 엔진오일의 온도에 의해 유입부(110)와 오일쿨러연결부(120) 및 오일필터연결부(130)의 연결을 제어하는 메인써모스텟(200)과, 오일필터연결부(130)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우징(100)에 구비된 온도감응실(300)과, 오일필터연결부(130)와 온도감응실(300)을 관통하는 커넥터(T)를 통해 메인써모스텟(200)과 연결되도록 온도감응실(300)에 구비된 백업써모스텟(400)을 포함한다.
또한, 메인써모스텟(200)에 이상 발생시 백업써모스텟(400)이 작동되어 유입부(110)와 오일쿨러연결부(120)를 연통하도록 메인써모스텟(200)을 강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써모스텟(200)은, 유입부(110) 측으로 그 일단이 부착되어 오일필터연결부(130)에 수용된 코일스프링(210)과, 오일필터연결부(130)로 유입된 엔진오일의 온도에 감응하여 그 내부에 구비된 왁스가 팽창됨으로써 코일스프링(210)을 가압하며 오일필터연결부(130) 내부에서 이동하여 유입부(110)와 오일필터연결부(130)를 차단하고 유입부(110)와 오일쿨러연결부(120)를 연통하는 작동부(220)를 포함한다.
작동부(220)는, 코일스프링(210) 내측으로 돌출된 캡 형상의 몸체부(221)와, 코일스프링(210)의 타단과 접촉하여 탄성력을 받도록 몸체부(221)로부터 돌출된 링형상의 날개부(222)와, 날개부(222)에 그 원주가 삽입되어 몸체부(221)를 밀폐하는 마개(223)와, 오일필터연결부(130)의 일측에 구비된 댐퍼(131)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이 마개(223)를 관통하여 몸체부(221) 내부로 삽입된 고정바늘(224)과, 마개(223)와 날개부(222)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 몸체부(221) 내부에 구비되며, 엔진오일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됨으로써 고정바늘(224)을 가압하여 몸체부(221)를 이동시키는 왁스가 수용된 왁스수용캡(225)을 포함하며, 고정바늘(224)의 일측에 댐퍼(131)를 관통하는 커넥터(T)가 연결된다.
백업써모스텟(400)은, 온도감응실(300)에 구비된 오일홀(310)을 통해 유입된 엔진오일의 온도에 감응하여 커넥터(T)를 가압하며 온도감응실(300) 내부에서 위치 이동하는 백업작동부(410)와, 백업작동부(41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백업작동부(410)의 위치이동과 동일하게 위치이동되고 온도감응실(300) 내측벽에 고정되어 커넥터(T)를 이동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구(420)를 포함한다.
백업작동부(410)는, 커넥터(T)와 연결되며, 고정구(420)와 접촉하는 날개부(412)가 구비된 캡 형상의 백업몸체부(411)와, 백업몸체부(411)의 개구된 일측을 막도록 백업몸체부(411)에 끼워지는 백업마개(413)와, 온도감응실(300) 일측에 구비된 백업댐퍼(320)에 일측이 고정되고 백업마개(413)를 관통하여 백업몸체부(411) 내부로 삽입된 백업고정바늘(414)과, 오일홀(310)을 통해 유입된 엔진오일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됨으로써 백업고정바늘(414)을 가압하여 백업몸체부(411)를 이동시키는 왁스가 수용되며 백업마개(413)와 날개부(412)에 고정된 백업왁스수용캡(415)을 포함한다.
고정구(420)에는 고정구(42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해 수용홈(421)이 형성되며, 수용홈(421)에는 온도감응실(300) 내측벽에 형성된 고정홀(330)에 삽입되는 핀(422)이 장착되며, 수용홈(421)에는 핀(422)을 탄성지지 하기 위한 스프링(423)이 구비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은 엔진오일이 섭씨 100도 이하일 때, 메인써모스텟(200)이 비작동된 상태로써 유입부(110)와 오일필터연결부(130)가 연통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엔진오일의 온도가 섭씨 100도를 초과한 상태에서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오일이 섭씨 100도를 초과하고 섭씨 110도 이내의 온도에서 메인써모스텟(200)이 정상작동될 때는, 메인써모스텟(200)이 작동됨으로써 유입부(110)와 오일필터연결부(130)를 차단하고 유입부(110)와 오일쿨러연결부(120)를 연통하게 된다.
이때, 왁스수용캡(225)에 수용된 왁스가 엔진오일의 온도에 감응하여 팽창하게 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21)가 코일스프링(210)을 압축하도록 고정바늘(224)을 가압하게 된다.
오일쿨러연결부(120)에는 코일스프링(210)이 가압하는 힘에 따라 작동되는 개폐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써모스텟(200)의 작동온도에 비하여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백업써모스텟(400)은 비작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오일이 섭씨 100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메인써모스텟(200)이 이상작동될 때에는, 온도감응실(300)에 구비된 오일홀(310)을 통해 유입된 엔진오일의 온도에 백업써모스텟(400)이 감응하여 작동되고 백업몸체부(411)가 커넥터(T)를 가압하여 위치이동시킴으로써 메인써모스텟(200)이 위치이동 되도록 강제작동시켜 유입부(110)와 오일필터연결부(130)를 차단하고 유입부(110)와 오일쿨러연결부(120)를 연통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백업써모스텟(400)이 엔진오일이 섭씨 150도 이상인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하였다.
백업써모스텟(400)이 작동된 상태에서는 메인써모스텟(200)이 비작동되는 상태이므로, 엔진오일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커넥터(T)의 위치를 고정하여, 유입부(110)와 오일필터연결부(130)의 차단과 유입부(110)와 오일쿨러연결부(120)의 연통을 유지하게 된다.
고정구(420)에 구비된 핀(422)이 온도감응실(300)에 구비된 고정홀(330)에 체결됨으로써 커넥터(T)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6은 백업써모스텟(400)이 작동되고, 고정구(420)가 작동되어 커넥터(T)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지속적으로 엔진오일이 오일쿨러로 유입되는 것이 도시되었다.
이때, 운전자에게 메인써모스텟(200)의 이상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메인써모스텟(200)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엔진오일의 온도와 오일쿨러의 작동을 체크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작동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작동방법은 기준온도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엔진오일을 오일쿨러 또는 오일필터로 유도하는 메인써모스텟(200)이 정상 작동하는 정상작동단계(S100)와, 메인써모스텟(200)이 오작동함에 따라 엔진오일을 오일쿨러로 유도하지 못하고, 엔진오일의 온도가 기준온도값을 초과하여 FAIL온도값에 도달하는 문제발생단계(S200)와, 엔진오일이 유입되는 온도감응실(300)에 구비된 백업써모스텟(400)이 FAIL온도값에서 작동됨으로써, 엔진오일이 오일쿨러로 유입되도록 메인써모스텟(200)을 강제적으로 작동시키는 FAIL- SAFE단계(S30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써모스텟(200), 백업써모스텟(400)에는 각각 특정 온도에서 팽창하는 왁스가 구비되는데, 메인써모스텟(200)에 구비된 왁스가 감응하는 온도를 기준온도값이라 하고, 백업써모스텟(400)에 구비된 왁스가 감응하는 온도를 FAIL온도값이라 한다.
본 발명의 작동방법에서 기준온도값은 섭씨 100도 내지 섭씨 110도 이며, FAIL온도값은 섭씨 150도 이상으로, 엔진오일이 기준온도값을 초과하고 FAIL온도값에 도달하였을 때, 백업써모스텟(200)이 메인써모스텟(200)을 강제적으로 작동시켜 엔진오일이 오일쿨러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엔진오일의 과열을 방지하게 된다.
100: 하우징 110: 유입부 120: 오일쿨러연결부
130: 오일필터연결부 131: 댐퍼 200: 메인써모스텟
210: 코일스프링 220: 작동부 221: 몸체부
222: 날개부 223: 마개 224: 고정바늘
225: 왁스수용캡 300: 온도감응실 310: 오일홀
320: 백업댐퍼 330: 고정홀 400: 백업써모스텟
410: 백업작동부 411: 백업몸체부 412: 날개부
413: 백업마개 414: 백업고정바늘 415: 백업왁스수용캡
420: 고정구 421: 수용홈 422: 핀
423: 스프링 T: 커넥터
S100: 정상작동단계 S200: 문제발생단계
S300: FAIL- SAFE단계

Claims (10)

  1. 엔진오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오일쿨러와 연결되는 오일쿨러연결부와, 상기 유입부의 일측으로 분기되어 오일필터와 연결되는 오일필터연결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오일필터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에 의해 상기 유입부와 상기 오일쿨러연결부 및 상기 오일필터연결부의 연결을 제어하는 메인써모스텟;
    상기 오일필터연결부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온도감응실;
    상기 오일필터연결부와 상기 온도감응실을 관통하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메인써모스텟과 연결되도록 상기 온도감응실에 구비된 백업써모스텟;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써모스텟에 이상 발생시 상기 백업써모스텟이 작동되어 상기 유입부와 상기 오일쿨러연결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메인써모스텟을 강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백업써모스텟은,
    상기 온도감응실에 구비된 오일홀을 통해 유입된 엔진오일의 온도에 감응하여 상기 커넥터를 가압하며 상기 온도감응실 내부에서 위치 이동하는 백업작동부와,
    상기 백업작동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백업작동부의 위치이동과 동일하게 위치이동되고 상기 온도감응실 내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를 이동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써모스텟은,
    상기 유입부 측으로 그 일단이 부착되어 상기 오일필터연결부에 수용된 코일스프링과,
    상기 오일필터연결부로 유입된 엔진오일의 온도에 감응하여 그 내부에 구비된 왁스가 팽창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을 가압하며 상기 오일필터연결부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유입부와 상기 오일필터연결부를 차단하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오일쿨러연결부를 연통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코일스프링 내측으로 돌출된 캡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과 접촉하여 탄성력을 받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된 링형상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에 그 원주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를 밀폐하는 마개와,
    상기 오일필터연결부의 일측에 구비된 댐퍼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 내부로 삽입된 고정바늘과,
    상기 마개와 상기 날개부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됨으로써 상기 고정바늘을 가압하여 상기 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왁스가 수용된 왁스수용캡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늘의 일측에 상기 댐퍼를 관통하는 상기 커넥터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작동부는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구와 접촉하는 날개부가 구비된 캡 형상의 백업몸체부와,
    상기 백업몸체부의 개구된 일측을 막도록 상기 백업몸체부에 끼워지는 백업마개와,
    상기 온도감응실 일측에 구비된 백업댐퍼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백업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백업몸체부 내부로 삽입된 백업고정바늘과,
    상기 오일홀을 통해 유입된 엔진오일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됨으로써 상기 백업고정바늘을 가압하여 상기 백업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왁스가 수용되며 상기 백업마개와 상기 날개부에 고정된 백업왁스수용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고정구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해 수직하게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온도감응실 내측벽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는 핀이 장착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핀을 탄성지지 하기 위한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7. 기준온도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엔진오일을 오일쿨러 또는 오일필터로 유도하는 메인써모스텟이 정상 작동하는 정상작동단계;
    상기 메인써모스텟이 오작동함에 따라 상기 엔진오일을 상기 오일쿨러로 유도하지 못하고, 상기 엔진오일의 온도가 기준온도값을 초과하여 FAIL온도값에 도달하는 문제발생단계;
    상기 엔진오일이 유입되는 온도감응실에 구비된 오일홀을 통해 유입된 엔진오일의 온도에 감응하여 커넥터를 가압하며 상기 온도감응실 내부에서 위치 이동하는 백업작동부와,
    상기 백업작동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백업작동부의 위치이동과 동일하게 위치이동되고 상기 온도감응실 내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를 이동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백업써모스텟이 상기 FAIL온도값에서 작동됨으로써, 상기 엔진오일이 상기 오일쿨러로 유입되도록 상기 메인써모스텟을 강제적으로 작동시키는 FAIL- SAFE단계;를 포함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작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써모스텟에는 상기 기준온도값에서 팽창하는 왁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작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온도값은 섭씨 100도 내지 섭씨 1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작동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FAIL온도값은 섭씨 15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의 작동방법.
KR20130125913A 2013-10-22 2013-10-22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10150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913A KR101500173B1 (ko) 2013-10-22 2013-10-22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913A KR101500173B1 (ko) 2013-10-22 2013-10-22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173B1 true KR101500173B1 (ko) 2015-03-09

Family

ID=5302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913A KR101500173B1 (ko) 2013-10-22 2013-10-22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422B1 (ko) * 2015-12-08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오일쿨러 써모스탯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552A (en) * 1996-09-17 1999-08-10 Modine Manufacturing Co. Thermally responsive valve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552A (en) * 1996-09-17 1999-08-10 Modine Manufacturing Co. Thermally responsive valv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422B1 (ko) * 2015-12-08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오일쿨러 써모스탯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9666B1 (en) Oil cooler bypass valve
US6719208B2 (en) Oil cooler bypass valve
US7000895B2 (en) Valve having pressure balancing piston and method involving same
KR100706970B1 (ko) 팽창 밸브
JP6860598B2 (ja) 高圧燃料供給ポンプ
EP3143262B1 (en) A fluid control valve
WO2010004606A1 (ja) サーモスタット装置
JP6449159B2 (ja) 流体調整装置および流体流量制御装置のためのバランスポート制御アセンブリ
JP2016535833A (ja) 調整可能な冷媒ポンプ
CA2583717A1 (en) Air compressor control
WO2009093460A1 (ja) 圧縮機の軸封構造
JP2015117636A (ja) オイルポンプのリリーフ装置
KR101500173B1 (ko) 엔진오일 흐름 제어 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102394564B1 (ko) 수온감지 안전밸브 유닛, 이를 구비한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엔진시스템
JP6632721B2 (ja) 内燃機関用冷却媒体ポンプ
KR101519254B1 (ko) 서모바이패스밸브 및 그 고장 제어방법
CN109952458B (zh) 用于车辆、尤其是商用车的螺旋式压缩机的最小压力阀
JPH0571651A (ja) 脱圧弁装置
JPH02283880A (ja) 低油圧指示機能付き油圧調整器
JP2009275583A (ja) 流体制御弁システム
CN106481456A (zh) 多功能一体化高压燃油滤
KR20040040503A (ko) 2단 구조의 릴리프 밸브
KR101776422B1 (ko) 차량의 오일쿨러 써모스탯 밸브
CN214145609U (zh) 一种用于机油滤模块中集成旁通阀的感温式节温器装置
CN218953443U (zh) 一种感温感压活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