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706B1 -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706B1
KR101499706B1 KR1020120138488A KR20120138488A KR101499706B1 KR 101499706 B1 KR101499706 B1 KR 101499706B1 KR 1020120138488 A KR1020120138488 A KR 1020120138488A KR 20120138488 A KR20120138488 A KR 20120138488A KR 101499706 B1 KR101499706 B1 KR 101499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ood
food safety
safety managemen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237A (ko
Inventor
손문기
최동미
김상록
이삼룡
홍진화
이종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3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706B1/ko
Priority to PCT/KR2012/010771 priority patent/WO2014084438A1/ko
Publication of KR20140070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4Providing recall services for good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가 실시간으로 연계될 수 있는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하여 식품사고에 대한 전국단위의 동시 다발적인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에게 지급되어 현장파악, 조사결과보고, 정보공유 및 지시사항 조회, 회수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를 실시간으로 연계시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식품사고에 대한 전국단위의 동시 다발적인 조치가 가능한 식품안전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od safety through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위해식품에 따른 식품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현장파악, 조사결과보고, 정보공유 및 지시사항 조회, 회수 조치 등을 실시간으로 실시하여 식품사고에 대한 전국단위의 동시 다발적인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품 안전관리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관심과 이를 대변한 지속적인 언론보도 등으로 유통/판매 상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불안 해소와 정부의 식품안전관리 체계의 신뢰성 확보 방안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 즉, 2008년 9월 ~ 10월 멜라민 함유 상품 등과 같이 문제 식품이 유통/판매되고, 2006년도에는 31개교 2,291명의 식중독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소비자의 65%가 정부의 식품안전관리 체계를 불신하고, 또한 유통/판매되고 있는 위해식품으로 인해 자신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식약청에서는 동시 다발적 전국 단위 대규모 식품안전 사고 발생시 한정된 인력으로 효율적인 현장실사와 처리, 전국적인 수거·검사로 인한 중복 수거 발생 방지, 신속한 전국 현황 파악, 사고 진행 상황에 대한 효율적 통제관리, 신속한 언론 공개 등을 통한 소비자 신뢰 제고, 신속한 상황 파악 및 회수 조치를 통한 소비자 위해 발생 저감을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식품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게 되었다.
또한 식약청은 식품업체 위생수준의 선진화를 위해 우수위생관리 기준을 도입하고 취약품목에 대한 HACCP의 적용을 확대할 계획에 있다. 그리고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보건복지부 대회의실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365, 더 건강하게 더 안전하게’라는 주제로 주요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주요업무로는 위해도에 따른(risk-based) 사전예방 강화, 취약요인 선제대응으로 국민안심 확보, 첨단바이오 등 보건산업 경쟁력 제고, 소통과 협력으로 국민신뢰 구축, 미래 식의약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 등 5개 핵심과제가 선정됐다. 또 업무에는 한-미 FTA 등 대외 교역 확대로 글로벌 안전관리 필요성과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따른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반영되었다.
또한, 식약청은 위해도에 따른 사전예방 강화를 위해 수입식품 검사체계를 개편해 부패, 변질 우려가 높은 수입 식품 등에 대한 정밀검사를 강화하는 등의 잠재적 위해도 최소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 다발적 전국 단위로 식품의 제조·조리·유통·판매 과정에서 위해식품 등이 발생하게 되면, 한정된 식품위생감시 인력으로 위해식품 등의 발생신고 및 신고에 따른 현장조사와 신속한 보고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사가 완료된 후 보고 지연에 따라 신속한 전국 현황 파악, 사고 진행 상황에 대한 효율적 통제 관리와 전국단위의 수거·검사에 따른 중복 수거 및 지도·점검 방지에 그 한계가 있다.
그리고 현재 유관기관과의 신속한 정보 제공 부재로 인해 위해식품 등의 제조, 유통, 판매의 신속 차단 및 회수 등에 어려운 문제가 있어, 한정된 인력으로 위해식품 등의 제조, 유통, 판매 차단을 위한 효율적인 식품안전관리를 위한 시스템이 무엇보다도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가 실시간으로 연계될 수 있는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하여 식품사고에 대한 전국단위의 동시 다발적인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국 시/도(시,군,구), 지방청 등의 식품안전관리 담당자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현장파악, 조사결과보고, 정보공유 및 지시사항 조회, 회수조치 등을 실시하여 식품사고에 대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한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모바일 장비를 이용하여 지도점검 및 수거검사 현장에서 결과를 입력하면 해당 기관 시스템에 자동 저장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품안전관리 정보 통합 DB와 통계 기능을 강화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간편하게 통계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의 특징은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에게 지급되어 현장파악, 조사결과보고, 정보공유 및 지시사항 조회, 회수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를 실시간으로 연계시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식품사고에 대한 전국단위의 동시 다발적인 조치가 가능한 식품안전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휴대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현장에서 실시간 정보의 조회, 지도점검, 수거, 현장업무 실시간 처리 및 식품관련 각종 법령, 고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안전 관리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로부터 지도점검 및 수거검사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식품관련 긴급지시 및 실시간 조치를 위한 지시사항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현장에서의 실시간 정보 활용을 통한 식품 통계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정보 관리부와, 식품통제 수단을 구축하여 상기 통합 정보 관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식품관련 긴급지시 및 실시간 조치를 위한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체계를 구축하는 상품상황 관리부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간의 공유정보를 통합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현장정보를 저장하는 식품안전 통합정보 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 통계 관리는 식품관련업체 관리 및 지도/점검, 식품 등의 수거 및 검사, 이물 혼입 원인 조사, 식중독 원인 조사, 위해요소 중점관리 기준(HACCP)평가, 우수건강기능 식품제조기준(GMP)평가, 부정불량식품 신고조사, 식품안전관리 상황조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정보 관리부는 식품관련 업무 담당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통계 양식을 적용하여 관련 식품의 통계를 정의하는 식품 통계부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과 연계되어 수입 검사정보, 수거식품의 검사 의뢰 및 검사결과 수신, 식중독 발생원인 정보, 위생관리 등급평가 정보, 표준코드 정보, HACCP 평가정보, GMP 평가정보, 식약청 LIMS 및 시도보건환경연구원 LIMS 연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정보 연계부와, 보안채널을 통한 송수신 데이터의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및 단말기 인증과 인증 로그를 관리하는 인증 처리부와, 접속된 사용자의 접속 로그 및 통계를 관리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패치 및 업그레이드 발생시 휴대용 단말기에 푸쉬하여 업그레이드를 유도하는 시스템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품상황 관리부에서 구축된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체계를 통해 식약청, 시/도(시,군,구) 식품관련 공무원은 식품관련 각종 통계 조회, 수입식품 등의 통합검색, 식품안전관리 실적평가와, 식품안전관리 및 수입식품 부적합 상황을 모니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품상황 관리부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위해상품 및 회수 통보 내용은 소비자, 판매자, 관할기관 공무원, 유통업체 담당자들이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위해상품 및 회수통보 내용을 등급별로 제한되는 범위 내에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유정보는 GMP 정보, HACCP 정보, 건강기능식품 정보, 검사의뢰 정보, 그리푸드 정보, 긴급지시 정보, 수거관련 정보, 식중독 관련 정보, 신고센터 정보, 업소 정보, 위생등급 평가정보, 주류 관련정보, 지도점검 관련정보, 지표관리 관련정보, 행정처분 관련정보,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정보는 업소정보, 위치정보, 수거검사 현황, 신고 현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의 특징은 (A) 휴대용 단말기로 지시사항을 송신하여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로부터 현장파악, 조사결과보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단계와, (B)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현장파악 및 조사결과 보고가 입력되면, 식품 안전관리 기관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를 실시간으로 연계시켜 전국단위의 동시 다발적인 식품안전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C)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현장파악, 조사결과 보고 및 수행된 식품안전 관리 내용을 기반으로 식품관련 긴급지시 및 실시간 조치를 위한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체계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에서의 지시사항은 현장지도 점검, 식품의 수거 및 검사의뢰, 이물 혼입 원인 조사, 식중독 원인 조사,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및 우수건강기능 식품제조기준(GMP) 평가, 부정불량식품 신고조사, 식품안전관리 상황조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된 지시사항을 확인하고, 해당 업체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지시사항이 식품관련업체 관리 및 지도점검 정보로 확인되면, 수신된 지도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식품안전관리 담당자가 현장에 도착하여 영업 신고증에 인쇄되어 있는 QR코드 또는 입체번호를 인식 또는 입력하여 해당 업체의 이력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업종별 위생 점검표 또는 확인서를 선택하여 작성하고, 점검항목별 적정/부적정/해당없음 중 하나를 선택 입력하는 단계와, 점검자 및 피점검자(확인자) 서명 처리를 수행한 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장입력 정보를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사항이 식품 등의 수거 및 검사의뢰로 확인되면, 수신된 지도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식품안전관리 담당자가 현장에 도착하여 영업 신고증에 인쇄되어 있는 QR코드 또는 입체번호를 인식 또는 입력하여 해당 업체의 이력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수거제품 검체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점검자 및 피점검자(확인자) 서명 처리를 수행하고, 입력된 식품에 대한 식별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와, 해당 식품에 기반하여 검사기관, 기준규격, 식품유형에 따른 검사의뢰 정보를 입력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장 입력정보인 식품정보 및 검사의뢰정보를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사항이 이물 혼입 원인 조사로 확인되면, 조사현장에서 이물 신고(보고)정보를 조회하여 확인하는 단계와, 제조단계, 유통단계, 소비단계 조사표를 작성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장입력 정보를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사항이 식중독 원인 조사로 확인되면, 수신된 지도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식품안전관리 담당자가 현장에 도착하여 영업 신고증에 인쇄되어 있는 QR코드 또는 입체번호를 인식 또는 입력하여 해당 업체의 이력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조사 현장에서 식중독 발생정보를 조회하고 식중독 원인 점검표를 선택하여 작성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장입력 정보를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사항이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및 우수건강기능 식품제조기준(GMP) 평가로 확인되면, HACCP 실시 상황평가표 양식 또는 GMP 실시 상황평가표 양식에 따라 실시 상황평가표를 작성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성된 실시 상황평가표인 현장입력 정보를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사항이 부정불량식품 신고조사로 확인되면, 조사현장에서 부정불량식품신고정보를 조회하고, 조사결과를 입력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성된 현장입력 정보를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장입력 정보를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한 전송결과(성공 또는 실패)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전송실패 시 재전송을 수행하고, 통신 불능 지역인 경우, 통신가능 지역으로 이동 시 자동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안전 관리는 식품관련 업무 담당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통계 양식을 적용하여 관련 식품의 통계를 정의하고, 식품 안전관리 기관과 연계되어 수입 검사, 수거식품의 검사 의뢰 및 검사결과 수신, 식중독 발생원인 확인, 위생관리 등급평가, HACCP 평가, GMP 평가, 식약청 LIMS 및 시도보건환경연구원 LIMS 연계정보와 비교하여 식품사고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안전 관리는 사용자 관리를 위한 관리 입력부와, 식품안전소비자신고센터현황, 식품안전관리추진실적현황, 긴급지시, 부적합식품긴급통보와 같은 각종 업무처리현황을 위한 업무처리현황 입력부와, 식품안전관리계획, 감사원현장업무, 그린푸드존지정관리, 소비자감시원정보관리, 식품통계보고서관리, 감시원업무관리, 기준정보관리, 시스템관리, 스마트워크응용프로그램(설치안내)을 위한 메뉴 리스트부와, 인허가, 지도점검, 수거검사, 위반관련, 행정처분, 위생등급, HACCP 지정, GMP 지정, 모범음식점, 식중독, 허위과대광고, 소비자신고, 수입검사 등의 식품안전관리 통계를 나타내는 메뉴 리스트부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에서 구축되는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체계는 부적합으로 적발되거나 신고된 건수 및 부적합 판명 건수, 부적합율의 주요 지표를 나타내는 제 1, 2 지표창과, 지역별 동원인력 및 점검율을 나타내는 제 1 입력창과, 자별 합동 단속 진행 현황을 나타내는 제 2 입력창과, 지역별 합동 단속 진행 현황을 나타내는 제 3 입력창과, 수거검사 현황을 나타내는 제 4 입력창과, 기타 메모를 관리하는 메모 리스트와, 일자별 점검율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제 5 입력창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에서 구축되는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체계는 대시보드 고도화 및 레포팅 툴을 도입하여, 각 기관 및 중앙, 지방간에 상호 정보공유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사용자 계층별 정보 열람 권한을 설정하고, 모바일 위젯 서비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정보의 실시간성을 증대 가능하고, 시인성 및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시각화된 챠트 기능 제공하고, 검색 조건 다양화를 통해 각종 보고문서 및 로우(raw)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에서 구축되는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체계는 수입식품 국가별 부적합 현황 모니터링 기능을 구현하여 수입식품 국가별 부적합 현황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후레쉬(flash) 기술을 이용한 세계지도를 통해 부적합 국가 주요 5개국을 각 국가와 주별로 현상 맵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에서 구축되는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체계는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대해 식품 안전과 관련한 어린이 기호식품 제조 및 판매업소 현황 및 우수판매업소 지정 현황을 각 지역별로 확인하고, 점검 및 적발 현황, 부적합 현황에 대해 시각화하여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중앙 서버를 통해 전국적으로 시설의 식중독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문제되는 식품사고에 대해 전국단위의 동시 다발적인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시스템을 통해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가 실시간으로 연계될 수 있는 신속 대응 체계가 구축될 수 있다.
셋째, 식품업체 위생수준을 선진화하여 식품에 대한 국민의 안전 체감도를 높이고 생활 속 최악 요인을 선제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식약청, 시/도(시,군,구) 식품 관련 업무담당자, 정보시스템 관리자 등 사용자 계층별 정보 요구사항을 적극적이고 광범위하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도 1의 통합정보 관리부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에 따른 식품안전관리 서버의 흐름도
도 4 는 식품안전관리 서버에서 식품안전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화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5 는 식품안전관리 서버에서 구축된 식품관련 긴급지시 및 실시간 조치를 위한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11 은 도 3에서의 지시사항에 따른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의 수행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은 전국 시/도(시,군,구), 지방청 등의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에게 지급되어 현장파악, 조사결과보고, 정보공유 및 지시사항 조회, 회수조치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100)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식약청, 시/도(시,군,구))(300)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한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를 실시간으로 연계시켜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식품사고에 대한 전국단위의 동시 다발적인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식품안전 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휴대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하며,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현장에서 실시간 정보의 조회와, 지도점검, 수거 등 현장업무 실시간 처리 및 식품관련 각종 법령, 고시 등 E-book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상기 식품안전 관리 서버(200)는 인터페이스부(210)와, 통합정보 관리부(220)와, 상품상황 관리부(230)와, 식품안전 통합정보 DB(240)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10)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전국 시/도(시,군,구), 지방청 등의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로부터 현장파악, 조사결과보고, 정보공유 및 지시사항 조회 등의 지도점검 및 수거검사 정보를 현장에서 입력받고, 통합 정보 관리부(220)를 통해 식품관련 긴급지시 및 실시간 조치를 위한 지시사항을 송신한다.
상기 통합정보 관리부(220)는 식품 안전관리 기관(식약청, 시/도(시,군,구))(300)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현장에서의 실시간 정보 활용을 통한 식품 통계관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식품사고 발생시 추적조사, 긴급전파, 유통차단, 회수, 지도점검, 수거검사, 식중독 감시 등 지시 및 지방청, 시/도(시,군,구)의 실시간 상황 관제 등을 종합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식품 통계 관리로는 ‘식품관련업체 관리 및 지도/점검’, ‘식품 등의 수거 및 검사’, ‘이물 혼입 원인 조사’, ‘식중독 원인 조사’, ‘위해요소 중점관리 기준(HACCP)평가’, ‘우수건강기능 식품제조기준(GMP)평가’, ‘부정불량식품 신고조사’, ‘식품안전관리 상황조회’를 포함한다. 상기 식품관련업체 관리 및 지도/점검은 식품 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해당 영업소에 출입하여 제조 또는 판매하는 식품 또는 영업시설 등에 대하여 관계 법령 및 규정 위반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며, 식품 등의 수거 및 검사는 유통되는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물리적, 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 방법에 따라 검사하는 것이며, 상기 이물 혼입 원인 조사는 소비자 또는 영업자의 이물 신고(보고)에 따라 소비, 유통, 제조 단계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이물혼입의 원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중동 원인조사는 식중독 발생 시 원인규명을 위한 식품 및 환경 등을 조사하는 것이며,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평가는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적용업체 지정신청을 받아 해당 업체의 HACCP 관리기준 및 선행요건 준수 등을 평가하여 HACCP 적용업체로 지정하거나, 지정 후 실시상황을 평가하는 것이며,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평가는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적용업체 지정신청을 받아 해당 업체의 GMP 실시상황 등을 평가하여 GMP 적용업체로 지정하는 것이다. 상기 부정불량식품 신고 조사는 전화 또는 인터넷 식품안전소비자 신고센터의 부정불량식품 신고에 대한 현장 조사이며, 상기 식품안전관리 상황조회는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영업 시설조사 업무와, 식약청, 시/도(시,군,구) 지도, 점검 실적 등 각종 통계 관리 및 시/도별 평가된 식품안전관리 추진실적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합정보 관리부(220)는 식품관련 업무 담당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통계 양식을 적용하여 관련 식품의 통계를 정의하는 식품 통계부(221)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식약청, 시/도(시,군,구))(300)과 연계되어 수입 검사정보, 수거식품의 검사 의뢰 및 검사결과 수신, 식중독 발생원인 정보, 위생관리 등급평가 정보, 표준코드 정보, HACCP 평가정보, GMP 평가정보, 식약청 LIMS 및 시도보건환경연구원 LIMS 연계정보 등을 제공받아 관리하는 정보 연계부(222)와, 보안채널을 통한 송수신 데이터의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및 단말기 인증과 인증 로그를 관리하는 인증 처리부(223)와, 접속된 사용자의 접속 로그 및 통계를 관리하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패치 및 업그레이드 발생시 휴대용 단말기(100)에 푸쉬하여 업그레이드를 유도하는 시스템 관리부(224)로 구성된다.
상기 상품상황 관리부(230)는 식품통제 수단을 구축하여 통합 정보 관리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식품관련 긴급지시 및 실시간 조치를 위한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식약청, 시/도(시,군,구) 식품관련 공무원은 식품관련 각종 통계 조회, 수입식품 등의 통합검색, 식품안전관리 실적평가와, 식품안전관리 및 수입식품 부적합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품상황 관리부(230)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위해상품 및 회수 통보 내용은 소비자, 판매자, 관할기관 공무원, 유통업체 담당자들이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위해상품 및 회수통보 내용을 등급별로 제한되는 범위 내에서 언제나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발생된 위해상품에 따른 신고 접수도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식품안전 통합 정보 DB(240)는 식품 안전관리 기관(식약청, 시/도(시,군,구))(300)간의 공유정보를 통합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현장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공유정보는 GMP 정보, HACCP 정보, 건강기능식품 정보, 검사의뢰 정보, 그리푸드 정보, 긴급지시 정보, 수거관련 정보, 식중독 관련 정보, 신고센터 정보, 업소 정보, 위생등급 평가정보, 주류 관련정보, 지도점검 관련정보, 지표관리 관련정보, 행정처분 관련정보,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현장정보는 업소정보, 위치정보, 수거검사 현황, 신고 현황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에 따른 식품안전관리 서버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식품안전관리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 지시사항을 송신하여 전국 시/도(시,군,구), 지방청 등의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로부터 현장파악, 조사결과보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다(S100). 이때 상기 지시사항으로는 현장지도 점검, 식품 등의 수거 및 검사의뢰, 이물 혼입 원인 조사, 식중독 원인 조사,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및 우수건강기능 식품제조기준(GMP) 평가, 부정불량식품 신고조사, 식품안전관리 상황조회를 포함한다. 지시사항에 따른 전국 시/도(시,군,구), 지방청 등의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의 수행과정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그리고 식품안전관리 서버(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현장파악 및 조사결과 보고가 입력되면(S100), 식품 안전관리 기관(식약청, 시/도(시,군,구))(300)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한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를 실시간으로 연계시켜 전국단위의 동시 다발적인 식품안전 관리를 수행한다(S200). 즉, 식품관련 업무 담당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통계 양식을 적용하여 관련 식품의 통계를 정의하고, 식품 안전관리 기관(300)과 연계되어 수입 검사, 수거식품의 검사 의뢰 및 검사결과 수신, 식중독 발생원인 확인, 위생관리 등급평가, HACCP 평가, GMP 평가, 식약청 LIMS 및 시도보건환경연구원 LIMS 연계정보 등과 비교하여 식품사고에 대한 조치를 수행한다.
도 4 는 식품안전관리 서버에서 식품안전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화면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4와 같이, 사용자 관리를 위한 관리 입력부(1)와, 식품안전소비자신고센터현황, 식품안전관리추진실적현황, 긴급지시, 부적합식품긴급통보 등과 같은 각종 업무처리현황을 위한 업무처리현황 입력부(2)와, 식품안전관리계획, 감사원현장업무, 그린푸드존지정관리, 소비자감시원정보관리, 식품통계보고서관리, 감시원업무관리, 기준정보관리, 시스템관리, 스마트워크응용프로그램(설치안내)을 위한 메뉴 리스트부(3)와, 인허가, 지도점검, 수거검사, 위반관련, 행정처분, 위생등급, HACCP 지정, GMP 지정, 모범음식점, 식중독, 허위과대광고, 소비자신고, 수입검사 등의 식품안전관리 통계를 나타내는 메뉴 리스트부(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현장파악, 조사결과 보고 및 수행된 식품안전 관리 내용(지도점검, 수거검사, 이물혼입 조사, 식중독 원인 조사 등)을 기반으로 식품관련 긴급지시 및 실시간 조치를 위한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체계를 구축한다(S300).
도 5 는 식품안전관리 서버에서 구축된 식품관련 긴급지시 및 실시간 조치를 위한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와 같이, 부적합으로 적발되거나 신고된 건수 및 부적합 판명 건수, 부적합율 등의 주요 지표를 나타내는 제 1, 2 지표창(1)(2)과, 지역별 동원인력 및 점검율을 나타내는 제 1 입력창(3)과, 일자별 합동 단속 진행 현황을 나타내는 제 2 입력창(4)과, 지역별 합동 단속 진행 현황을 나타내는 제 3 입력창(5)과, 수거검사 현황을 나타내는 제 4 입력창(6)과, 기타 메모 등을 관리하는 메모 리스트(7)와, 일자별 점검율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제 5 입력창(8)을 포함한다.
이때,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는 모니터링 및 상황통제 화면은 대시보드 고도화 및 레포팅 툴을 도입하고 있다. 즉 각 기관 및 중앙, 지방간에 상호 정보공유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사용자 계층별 정보 열람 권한을 설정하고, 모바일 위젯 서비스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정보의 실시간성을 증대했다. 또한 시인성 및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시각화된 챠트 기능 제공(3D 차트, 게이지 및 다이얼 맵, 레이더 차트, Gantt 차트, 트리맵 및 조직 차트 등)하고, 검색 조건 다양화를 통해 각종 보고문서 및 로우(raw) 데이터 제공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수입식품 국가별 부적합 현황 모니터링 기능을 구현하여 수입식품 국가별 부적합 현황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후레쉬(flash) 기술을 이용한 세계지도를 통해 부적합 국가 주요 5개국을 각 국가와 주별로 현상 맵 형태로 구현한다.
그리고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대해 식품 안전과 관련한 어린이 기호식품 제조 및 판매업소 현황 및 우수판매업소 지정 현황등을 각 지역별로 확인하고, 점검 및 적발 현황, 부적합 현황에 대해 시각화하여 구현한다.
도 6 내지 도 11 은 도 3에서의 지시사항에 따른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의 수행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국 시/도(시,군,구), 지방청 등의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은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된 지시사항을 확인하고, 해당 업체 정보를 조회한다(S10).
그리고 상기 지시사항이 식품관련업체 관리 및 지도점검 정보로 확인되면(S10), 도 6과 같이 수신된 지도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전국 시/도(시,군,구), 지방청 등의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는 현장에 도착하여 영업 신고증에 인쇄되어 있는 QR코드를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된 카메라로 인식하여 해당 업체의 이력정보를 조회한다(S11). 이때, QR 코드 인식이 어려운 경우 업체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업체의 이력정보의 조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 업종별 위생 점검표 또는 확인서를 선택하여 작성하고, 점검항목별 적정/부적정/해당없음 중 선택 입력한다(S12). 한편 키보드 또는 전자펜 사용을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텍스트 입력이 많은 경우 키보드나 전자펜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점검자 및 피점검자(확인자) 서명 처리를 수행한 후(S13),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현장입력 정보를 식품안전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14). 이때, 전송결과(성공 또는 실패)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전송실패 시 재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 불능 지역에서 통신가능 지역으로 이동 시 자동전송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시사항이 식품 등의 수거 및 검사의뢰로 확인되면(S10), 도 7과 같이 수신된 지도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전국 시/도(시,군,구), 지방청 등의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는 현장에 도착하여 영업 신고증에 인쇄되어 있는 QR코드를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된 카메라로 인식하여 해당 업체의 이력정보를 조회한다(S21). 이때, QR 코드 인식이 어려운 경우 업체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업체의 이력정보의 조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거제품 검체 정보를 입력한 후(S22), 점검자 및 피점검자(확인자) 서명 처리를 수행하고(S23), 입력된 식품에 대한 식별 바코드를 출력한다(S24). 이때, 출력된 바코드는 식품봉투에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한다.
이어 해당 식품에 기반하여 검사기관, 기준규격, 식품유형 등 검사의뢰 정보를 입력하고,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식품정보 및 검사의뢰정보를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25). 이때, 검사의뢰정보를 기반으로 식품공전 및 건강기능식품 공전에 따른 시험항목 및 규격을 자동 산정하여 제시하도록 구현하고, 자동 산정된 시험항목 외 사용자가 임의로 시험항목을 추가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또한 전송결과(성공 또는 실패)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전송실패 시 재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 불능 지역에서 통신가능 지역으로 이동 시 자동전송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시사항이 이물 혼입 원인 조사로 확인되면(S10), 도 8과 같이 조사현장에서 이물 신고(보고)정보를 조회하여 확인하고(S31), 제조단계, 유통단계, 소비단계 조사표를 작성한다(S32).
이어,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현장 입력정보를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33). 이때, 검사의뢰정보를 기반으로 식품공전 및 건강기능식품 공전에 따른 시험항목 및 규격을 자동 산정하여 제시하도록 구현하고, 자동 산정된 시험항목 외 사용자가 임의로 시험항목을 추가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또한 전송결과(성공 또는 실패)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전송실패 시 재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 불능 지역에서 통신가능 지역으로 이동 시 자동전송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시사항이 식중독 원인 조사로 확인되면(S10), 도 9와 같이 수신된 지도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전국 시/도(시,군,구), 지방청 등의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는 현장에 도착하여 영업 신고증에 인쇄되어 있는 QR코드를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된 카메라로 인식하여 해당 업체의 이력정보를 조회한다(S41). 이때, QR 코드 인식이 어려운 경우 업체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업체의 이력정보의 조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 조사 현장에서 식중독 발생정보를 조회하여 확인하고(S42), 식중독 원인 점검표를 선택하여 작성한다(S43). 한편 키보드 또는 전자펜 사용을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텍스트 입력이 많은 경우 키보드나 전자펜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현장입력 정보를 식품안전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44). 이때, 전송결과(성공 또는 실패)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전송실패 시 재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 불능 지역에서 통신가능 지역으로 이동 시 자동전송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시사항이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및 우수건강기능 식품제조기준(GMP) 평가로 확인되면(S10), 도 10과 같이 HACCP 실시 상황평가표 양식 또는 GMP 실시 상황평가표 양식에 따라 실시 상황평가표를 작성한다(S51). 이때, 키보드 또는 전자펜 사용을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텍스트 입력이 많은 경우 키보드나 전자펜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어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작성된 실시 상황평가표를 식품안전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44). 이때, 전송결과(성공 또는 실패)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전송실패 시 재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 불능 지역에서 통신가능 지역으로 이동 시 자동전송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시사항이 부정불량식품 신고조사로 확인되면(S10), 도 11과 같이 조사현장에서 부정불량식품신고정보를 조회하여 확인하고(S61), 부정불량식품신호 조사 현장에서 조사결과를 입력한다(S62).
이어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입력된 조사결과를 식품안전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63). 이때, 전송결과(성공 또는 실패)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전송실패 시 재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 불능 지역에서 통신가능 지역으로 이동 시 자동전송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에게 지급되어 현장파악, 조사결과보고, 정보공유 및 지시사항 조회, 회수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를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연계시켜 식품사고에 대한 전국단위의 동시 다발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식품안전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식품안전 관리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로부터 지도점검 및 수거검사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식품관련 긴급지시 및 실시간 조치를 위한 지시사항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현장에서의 실시간 정보 활용을 통한 식품 통계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정보 관리부와,
    식품통제 수단을 구축하여 상기 통합 정보 관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식품관련 긴급지시 및 실시간 조치를 모니터링하는 상품상황 관리부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간의 공유정보를 통합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현장정보를 저장하는 식품안전 통합정보 D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통합정보 관리부는
    식품관련 업무 담당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통계 양식을 적용하여 관련 식품의 통계를 정의하는 식품 통계부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과 연계되어 수입 검사정보, 수거식품의 검사 의뢰 및 검사결과 수신, 식중독 발생원인 정보, 위생관리 등급평가 정보, 표준코드 정보, HACCP 평가정보, GMP 평가정보, 식약청 LIMS 및 시도보건환경연구원 LIMS 연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정보 연계부와,
    보안채널을 통한 송수신 데이터의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및 단말기 인증과 인증 로그를 관리하는 인증 처리부와,
    접속된 사용자의 접속 로그 및 통계를 관리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패치 및 업그레이드 발생시 휴대용 단말기에 푸쉬하여 업그레이드를 유도하는 시스템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안전관리 기관은 식약청, 시/도(시,군,구) 식품 안전관리 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휴대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현장에서 실시간 정보의 조회, 지도점검, 수거, 현장업무 실시간 처리 및 식품관련 각종 법령, 고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통계 관리는 식품관련업체 관리 및 지도/점검, 식품 등의 수거 및 검사, 이물 혼입 원인 조사, 식중독 원인 조사, 위해요소 중점관리 기준(HACCP)평가, 우수건강기능 식품제조기준(GMP)평가, 부정불량식품 신고조사, 식품안전관리 상황조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상황 관리부에서 모니터링되는 식품관련 긴급지시 및 실시간 조치를 통해 식약청, 시/도(시,군,구) 식품관련 공무원은 식품관련 각종 통계 조회, 수입식품의 통합검색, 식품안전관리 실적평가와, 식품안전관리 및 수입식품 부적합 상황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상황 관리부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위해상품 및 회수 통보 내용은 소비자, 판매자, 관할기관 공무원, 유통업체 담당자들이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위해상품 및 회수통보 내용을 등급별로 제한되는 범위 내에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보는 GMP 정보, HACCP 정보, 건강기능식품 정보, 검사의뢰 정보, 그리푸드 정보, 긴급지시 정보, 수거관련 정보, 식중독 관련 정보, 신고센터 정보, 업소 정보, 위생등급 평가정보, 주류 관련정보, 지도점검 관련정보, 지표관리 관련정보, 행정처분 관련정보, 휴대용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정보는 업소정보, 위치정보, 수거검사 현황, 신고 현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10.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에게 지급되어 현장파악, 조사결과보고, 정보공유 및 지시사항 조회, 회수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와, 식품 안전관리 기관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를 실시간으로 연계시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식품사고에 대한 전국단위의 동시 다발적인 조치가 가능한 식품안전 관리 서버를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식품안전 관리 서버로부터 휴대용 단말기로의 지시사항 송신을 통해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현장파악, 조사결과보고 정보가 상기 식품안전 관리 서버로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단계와,
    (B) 상기 현장파악 및 조사결과 보고가 입력되면, 식품 안전관리 기관 간의 정보공유를 통해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전국단위로 분포되어 있는 식품안전관리 담당자들에게 동시 다발적으로 식품관련 조사와 보고 및 후속조치에 따른 식품안전 관리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와,
    (C)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현장파악, 조사결과 보고 및 수행된 식품안전 관리 내용을 기반으로 식품관련 긴급지시와 보고 및 후속조치가 식품안전 관리 서버에서 모니터링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C) 단계의 모니터링되는 단계는
    부적합으로 적발되거나 신고된 건수 및 부적합 판명 건수, 부적합율의 주요 지표를 나타내는 제 1, 2 지표창과, 지역별 동원인력 및 점검율을 나타내는 제 1 입력창과, 일자별 합동 단속 진행 현황을 나타내는 제 2 입력창과, 지역별 합동 단속 진행 현황을 나타내는 제 3 입력창과, 수거검사 현황을 나타내는 제 4 입력창과, 기타 메모를 관리하는 메모 리스트와, 일자별 점검율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제 5 입력창을 통해 제공되며,
    또한 상기 (C) 단계의 모니터링 단계는 대시보드 고도화 및 레포팅 툴을 도입하여, 각 기관 및 중앙, 지방간에 상호 정보공유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사용자 계층별 정보 열람 권한이 설정되고, 모바일 위젯 서비스가 함께 제공됨으로써 정보의 실시간성이 증대되고, 시인성 및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시각화된 챠트 기능이 제공되고, 검색 조건 다양화를 통해 각종 보고문서 및 로우(raw) 데이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지시사항은 현장지도 점검, 식품의 수거 및 검사의뢰, 이물 혼입 원인 조사, 식중독 원인 조사,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및 우수건강기능 식품제조기준(GMP) 평가, 부정불량식품 신고조사, 식품안전관리 상황조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사항이 식품의 수거 및 검사의뢰로 확인되면, 수신된 지도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에 도착한 식품안전관리 담당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영업 신고증에 인쇄되어 있는 QR코드 또는 입체번호가 인식되어 해당 업체의 이력정보가 조회되는 단계와,
    수거제품 검체 정보가 입력되면, 점검자 및 피점검자(확인자) 서명 처리를 통해 입력된 식품에 대한 식별 바코드가 출력되는 단계와,
    해당 식품에 기반하여 검출된 검사기관, 기준규격, 식품유형에 따른 검사의뢰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현장 입력정보인 식품정보 및 검사의뢰정보가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사항이 이물 혼입 원인 조사로 확인되면, 조사현장에서 확인된 이물 신고(보고)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제조단계, 유통단계, 소비단계 조사표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현장입력 정보로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사항이 식중독 원인 조사로 확인되면, 수신된 지도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에 도착된 식품안전관리 담당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영업 신고증에 인쇄되어 있는 QR코드 또는 입체번호가 인식되어 해당 업체의 이력정보가 조회되는 단계와,
    조사 현장에서 조회된 식중독 발생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식중독 원인 점검표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현장입력 정보로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사항이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및 우수건강기능 식품제조기준(GMP) 평가로 확인되면, HACCP 실시 상황평가표 양식 또는 GMP 실시 상황평가표 양식에 따라 작성된 실시 상황평가표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사항이 부정불량식품 신고조사로 확인되면, 조사현장에서 조회된 부정불량식품신고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된 조사결과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현장입력 정보로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18. 제 11 항,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현장입력 정보가 식품안전관리 서버로 전송된 전송결과(성공 또는 실패)가 확인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전송실패 시 재전송이 수행되고, 통신 불능 지역인 경우, 통신가능 지역으로 이동 시 자동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안전 관리는 식품관련 업무 담당자의 요구사항이 반영될 수 있는 통계 양식이 적용되어 관련 식품의 통계가 정의되고, 식품 안전관리 기관과 연계되어 수입 검사, 수거식품의 검사 의뢰 및 검사결과 수신, 식중독 발생원인 확인, 위생관리 등급평가, HACCP 평가, GMP 평가, 식약청 LIMS 및 시도보건환경연구원 LIMS 연계정보와 비교되어 식품사고가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안전 관리는
    사용자 관리를 위한 관리 입력부와, 식품안전소비자신고센터현황, 식품안전관리추진실적현황, 긴급지시, 부적합식품긴급통보와 같은 업무처리현황을 위한 업무처리현황 입력부와, 식품안전관리계획, 감사원현장업무, 그린푸드존지정관리, 소비자감시원정보관리, 식품통계보고서관리, 감시원업무관리, 기준정보관리, 시스템관리, 스마트워크응용프로그램(설치안내)을 위한 메뉴 리스트부와, 인허가, 지도점검, 수거검사, 위반관련, 행정처분, 위생등급, HACCP 지정, GMP 지정, 모범음식점, 식중독, 허위과대광고, 소비자신고, 수입검사의 식품안전관리 통계를 나타내는 메뉴 리스트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모니터링은 수입식품 국가별 부적합 현황 모니터링 기능이 구현되어 수입식품 국가별 부적합 현황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후레쉬(flash) 기술을 이용한 세계지도를 통해 부적합 국가 주요 5개국을 각 국가와 주별로 현상 맵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2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모니터링은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대해 식품 안전과 관련한 어린이 기호식품 제조 및 판매업소 현황 및 우수판매업소 지정 현황이 각 지역별로 확인되고, 점검 및 적발 현황, 부적합 현황에 대해 시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
KR1020120138488A 2012-11-30 2012-11-30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99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488A KR101499706B1 (ko) 2012-11-30 2012-11-30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2/010771 WO2014084438A1 (ko) 2012-11-30 2012-12-12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488A KR101499706B1 (ko) 2012-11-30 2012-11-30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237A KR20140070237A (ko) 2014-06-10
KR101499706B1 true KR101499706B1 (ko) 2015-03-18

Family

ID=5082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488A KR101499706B1 (ko) 2012-11-30 2012-11-30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9706B1 (ko)
WO (1) WO201408443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456B1 (ko) * 2019-11-11 2020-10-28 주식회사 에스피씨네트웍스 입고품 품질안전 관리 시스템 및 입고품 품질안전 관리 방법
KR20210069934A (ko) 2019-12-04 2021-06-14 에디션연구소 주식회사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5906A (ko) 2021-09-06 2023-03-14 (주) 에이콘컴퍼니 개인 건강정보 기반 맞춤형 식품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088B1 (ko) * 2017-03-23 2018-09-0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품질검사 관리장치, 품질검사 의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562734A (zh) * 2018-06-09 2018-09-21 中国人民解放军疾病预防控制所 一种数字化食物中毒现场处置仪
KR102030781B1 (ko) * 2018-10-15 2019-10-10 주식회사 블루비즈 Ccp를 인터페이스 하는 smart haccp 관리 시스템
KR101989365B1 (ko) * 2018-11-15 2019-06-17 박진서 Haccp 이행점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89984B1 (ko) * 2018-12-10 2020-12-14 제일기술(주) 급식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13395B1 (ko) * 2019-01-30 2019-08-22 박진서 Haccp 이행점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1598587A (zh) * 2020-05-18 2020-08-28 北京博安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安全智能检验监控管理系统
CN113822507A (zh) * 2020-06-19 2021-12-21 济南圣力科技有限公司 一种校园食品安全管理信息平台
KR102247056B1 (ko) * 2020-08-26 2021-04-30 싸이엔스 주식회사 인증 과정 분류 방법 및 그 장치
KR102464725B1 (ko) * 2020-09-16 2022-11-08 주식회사 케이에프 식품 유통 통합관리솔루션 제공 시스템
KR102289914B1 (ko) * 2020-09-29 2021-08-17 정재규 집단급식을 위한 식품구매/유통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2633639B (zh) * 2020-12-04 2024-04-05 广州中国科学院软件应用技术研究所 一种面向食品药品安全监管靶向风险预警平台及方法
CN112801673A (zh) * 2021-02-01 2021-05-14 光机电(广州)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农产品检测前处理一体化控制系统
CN113689070B (zh) * 2021-07-15 2023-10-24 阳光易购(湖南)科技有限公司 食品安全在线监管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CN114091802A (zh) * 2021-09-10 2022-02-25 上海仪电溯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溯源的食品安全保障综合指挥调度系统
CN113886716B (zh) * 2021-11-30 2022-04-05 国家食品安全风险评估中心 食品安全突发事件的应急处置推荐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3801A (ja) * 2010-11-08 2012-05-31 Nippon Sasutena Co Ltd 食品安全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645B1 (ko) * 2004-12-07 2008-02-29 민병훈 농산물 및 그 가공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안전농산물생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4874A (ko) * 2007-08-07 2009-02-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식품 신선도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32075A (ko) * 2010-06-01 2011-12-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코드정보를 이용한 식품의 원재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3801A (ja) * 2010-11-08 2012-05-31 Nippon Sasutena Co Ltd 食品安全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456B1 (ko) * 2019-11-11 2020-10-28 주식회사 에스피씨네트웍스 입고품 품질안전 관리 시스템 및 입고품 품질안전 관리 방법
KR20210069934A (ko) 2019-12-04 2021-06-14 에디션연구소 주식회사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5906A (ko) 2021-09-06 2023-03-14 (주) 에이콘컴퍼니 개인 건강정보 기반 맞춤형 식품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4438A1 (ko) 2014-06-05
KR20140070237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706B1 (ko)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alvi et al. A global view on ARAMIS, a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industries in the framework of the SEVESO II directive
Zografos et al.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developing decision support systems (DSS) for hazardous materials emergency response operations
CN104735122B (zh) 基于邻近度的移动分析
US87694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isk visualization and remediation
US10027711B2 (en) Situational intelligence
CN105564465B (zh) 一种铁路电务信号设备维护作业卡控系统和方法
US20100153156A1 (en) Critically/vulnerability/risk logic analysis methodology for business enterprise and cyber security
US20120216243A1 (en) Active policy enforcement
US20210012254A1 (en) Safety risk, auditing, and compliance system and process
CA2974401A1 (en) A self-customizing, multi-tenanted mobile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ly gathering and disseminating real-time visual intelligence on utility asset damage enabling automated priority analysis and enhanced utility outage response
CN107615328A (zh) 风险信息传输装置及风险信息传输方法
KR102131656B1 (ko)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20120090158A (ko) 위험요소/ 설치물/ 시설물/ 시설의 안전, 보안, 위생 점검 보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47982A (ko) 소방시설점검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180130339A1 (en) System & methods for critical infrastructure automation
Xu et al. Effectiveness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t Facility System in Maintaining Building Fire Safety (Case Study: Typical Public Building Cases of Fire‐Fighting Facilities Management in China)
JP5520322B2 (ja) 緊急時情報支援システム
Saad et al. An event processing architecture for operational risk management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JP2003233646A (ja) 書類データ連携方法、書類データ連携プログラム、書類データ連携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1724113B1 (ko) 민원 발급 중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민원 발급 중계 방법
JP2019179366A (ja) 被害調査システム
Jose Jr et al. MUNICIPAL EMERGENCY RESPONSE SYSTEM (MERS) USING GMAPS AND SMS
JP2014238803A (ja) 製品リコール情報周知システム
WO2024047826A1 (ja)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