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682B1 - 발광 다이오드 모듈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682B1
KR101498682B1 KR1020080081212A KR20080081212A KR101498682B1 KR 101498682 B1 KR101498682 B1 KR 101498682B1 KR 1020080081212 A KR1020080081212 A KR 1020080081212A KR 20080081212 A KR20080081212 A KR 20080081212A KR 101498682 B1 KR101498682 B1 KR 101498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attern
light emitting
layer
pattern layer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134A (ko
Inventor
이민상
이태홍
구원회
오경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682B1/ko
Priority to US12/330,968 priority patent/US7935971B2/en
Publication of KR20100028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39Silver (Ag)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1Not relevant to the scope of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05K1/112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directly combined with via connections
    • H05K1/113Via provided in pad; Pad over filled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4Soldering or other types of metallurgic bonding
    • H05K2203/049Wire bon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H05K3/0061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onto a metallic substrate, e.g. a heat sin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모듈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적층되고, 그 일측 단부는 상기 절연층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절연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회로패턴층 및 제2 회로패턴층과, 상기 제1 회로패턴층 상에 도포된 솔더레지스트층과, 상기 제1 회로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솔더레지스트층의 일부분을 수직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비아와, 상기 제2 회로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솔더레지스트층 및 상기 절연층의 일부분을 수직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비아, 및 상기 솔더레지스트층 상에 실장된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모듈, 연결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모듈{LIGHT EMITTING DIODE MODULE}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층의 양면에 적층되는 각각의 회로패턴층의 일측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한다)는, 전류를 흘리면 발광하는 다이오드로서 반도체의 pn 접합면에 소수 캐리어를 주입시키면 전자가 보다 높은 에너지 준위(level)로 여기하고, 다시 안정된 상태로 되돌아 올 때 가지고 있던 에너지가 빛의 파장대를 가진 전자파로 되어 방사되는 발광 소자를 말한다.
최근 LED는 비약적인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저휘도의 범용제품에서 탈피하여, 고휘도, 고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해졌다. 또한, 고특성의 청색(blue)과 백색(white) 다이오드의 구현이 현실화됨에 따라서, LED는 차세대 조명원 및 각종의 표시 장치 등으로 그 응용가치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LED를 단수 또는 복수로 접합시켜 일정한 크기로 만든 것을 LED 모듈이라 하고, 이는 각종의 표시 장치 및 화상장치의 전광판 등을 구성한다.
종래의 LED 모듈은, PCB(인쇄회로기판) 상이나 각질의 보형물 등에 삽입 또는 장착된 것을 다시 주 PCB 상에 장착하여 제작되거나, LED를 일정한 크기의 PCB 상에 배치, 장착하고, 다시 이들 LED를 제어할 수 있는 드라이버(driver)를 장착하여 하나의 모듈을 제작한 후 외부 케이스를 통해 모듈을 고정하여 각각의 모듈을 콘트롤러(controller)와 케이블로 결선하여 제작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LED 모듈은, LED를 단수 또는 복수로 접합시켜 일정한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각종의 표시 장치 및 화상장치의 전광판 등에 적용시킬 수 있었으나, 각각의 모듈에 커넥터를 부착시킨 후 전선 등을 이용하여 모듈간 연결을 진행함으로써, 모듈 간의 연결에 따라 그 구동회로의 형식도 변해야 하고, 다양한 형태의 모듈에 적합한 다양한 구동회로가 요구되는 등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 내에 적층된 회로패턴층 간을 직접 접속시킴으로써, 별도의 커넥터를 부착시킬 필요가 없이 발광 다이오드 모듈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적층되고, 그 일측 단부는 상기 절연층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절연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회로패턴층 및 제2 회로패턴층; 상기 제1 회로패턴층 상에 도포된 솔더레지스트층; 상기 제1 회로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솔더레지스트층의 일부분을 수직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비아; 상기 제2 회로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솔더레지스트층 및 상기 절연층의 일부분을 수직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비아; 및 상기 솔더레지스트층 상에 실장된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로패턴층과 상기 제2 회로패턴층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로패턴층 및 상기 제2 회로패턴층은 동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제1 비아와 상기 제2 비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는 칩 또는 패키지 형태로 실장될 수 있고, 상기 발광소자가 칩 형태로 실장되는 경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제1 비아 및 상기 제2 비아의 상면과 와이어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가 패키지 형태로 실장되는 경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제1 비아 및 상기 제2 비아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리드프레임; 상기 리드프레임의 일부를 내측에 수용하면서 몰딩재 충진 공간을 구비하는 패키지몰드; 상기 패키지몰드 내부의 상기 리드프레임 상에 실장된 발광칩; 및 상기 패키지몰드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발광칩을 보호하는 몰딩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로패턴층의 하면에 차례로 적층된 제2 절연층 및 방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 의하면, 절연층의 양면에 각각 적층되는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절연층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절연층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LED 모듈의 상기 외부로 돌출된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의 일측 단부가, 다른 LED 모듈의 상기 절연층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회로패턴의 타측 단부와 직접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LED 모듈 간을 연결함에 있어서, 발광소자가 실장된 기판 내에 적층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을 다른 LED 모듈의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과 직렬 또는 병렬로 직접 연결시킴으로써, 별도의 커넥터를 모듈에 부착시킬 필요 없이 LED 모듈 간의 확장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및 측면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회로패턴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우선,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300)은, 제1 절연층(100)과, 상기 제1 절연층(100)의 상면에 적층된 제1 회로패턴층(110)과, 상기 제1 절연층(100)의 하면에 적층된 제2 회로패턴층(120)과, 상기 제1 회로패턴층(110) 상에 도포된 솔더레지스트층(solder resist130), 및 상기 솔더레지스트층(130) 상에 실장된 발광소자(16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회로패턴층(120)의 하면에는, 제2 절연층(140) 및 방열판(150)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150)은 열방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열 효율이 우수한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Al)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절연층(100)과, 이 양면에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110,120)은, 동박적층판(Copper Clad Lamination; CCL)일 수 있다.
동박적층판은,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이 제조되는 원판으로 절연층(100)의 양면에 상기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110,120)으로서 동박을 입힌 적층판으로서, 그 용도에 따라 유리/에폭시 동박적층판, 내열수지 동박적층판, 종이/페놀 동박적층판, 고주파용 동박적층판, 플렉시블 동박적층판(폴리이미드 필름) 및 복합 동박적층판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양면 및 다층 인쇄회로기판 등의 제작에는 주로 유리/에폭시 동박적층판이 사용된다.
상기 유리/에폭시 동박적층판은 유리 섬유에 에폭시 수지(Epoxy Resin)을 침투시킨 보강기재와 동박으로 만들어진다. 유리/에폭시 동박적층판은 보강기재에 따라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FR-1 내지 FR-5와 같이 NEMA(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국제전기공업협회)에서 정한 규격에 의해 보강기재와 내열성에 따른 등급이 정해져 있다. 이들 등급 중에서, FR-4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Tg) 특성 등을 향상시킨 FR-5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300)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패턴층(110) 및 제2 회로패턴층(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절연층(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절연층(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층(10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회로패턴층(110)과 상기 제2 회로패턴층(12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로패턴층(110)이 (-)극일 경우 상기 제2 회로패턴층(120)은 (+)극일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제1 회로패턴층(110)이 (+)극일 경우에는 상기 제2 회로패턴층(120)은 (-)극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300) 간의 연결은, 동박적층판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110,120)의 일측 단부가, 다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300)의 상기 제1 절연층(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110,120)의 타측 단부와 직접 접속되도록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110,120)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의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110,120)의 회로 디자인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ED 모듈(300) 간을 연결함에 있어서, 발광소자(160)가 실장된 기판 내에 적층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110,120)을 다른 모듈의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110,120)과 직렬 또는 병렬로 직접 연결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커넥터를 부착할 필요 없이 기준 LED 모듈(300)을 이용하여 모듈 간의 확장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LED 모듈(300)의 동박적층판, 즉 양면에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110,120)이 적층된 제1 절연층(100)의 상부에 도포된 상기 솔더레지스트층(130)에는, 상기 제1 회로패턴층(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솔더레지스트층(130)의 일부분을 수직 관통하는 제1 비아(1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300)에는, 상기 제2 회로패턴층(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비아(110a)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상기 솔더레지스트층(130) 및 상기 제1 절연층(100)의 일부분을 수직 관통하는 제2 비아(12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비아(110a)는, 상기 제1 및 제2 회로패턴층(110,120)이 양면에 적층된 상기 제1 절연층(100) 상에, 상기 솔더레지스트층(130)을 도포한 후 상기 솔더레지스트층(130)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제1 회로패턴층(110)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1 비아홀(도면 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비아홀 내부를 도금하여 상기 제1 회로패턴층(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비아(120a)는, 상기 솔더레지스트층(130)과 상기 제1 절연층(100)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제2 회로패턴층(120)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2 비아홀(도면 미도시)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비아홀 내부를 도금하여 상기 제2 회로패턴층(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160)는, 상기 제1 비아(110a)와 상기 제2 비아(120a)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160)는 칩(chip) 또는 패키지(package)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발광소자(160)가 칩 형태로 실장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160)는 상기 제1 비아(110a) 및 상기 제2 비아(120a)의 상면과 와이어(17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170)는 금(Au)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160)가 패키지 형태로 실장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160)는, 상기 제1 비아(110a) 및 상기 제2 비아(120a)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리드프레임(210)과, 상기 리드프레임(210)의 일부를 내측에 수용하면서 몰딩재 충진 공간을 구비하는 패키지몰드(220)과, 상기 패키지몰드(220) 내부의 리드프레임(210) 상에 실장된 발광칩(230) 및 상기 패키지몰드(220)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발광칩(230)을 보호하는 몰딩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칩(230)은 와이어(240)를 통해 상기 리드프레임(2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몰딩재(250)는, 구현하려는 발광칩(230)의 색상에 따라 빛의 투광성이 우수한 투광성 수지, 예컨대 실리콘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재(250)는 형광체가 섞인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형광체는 발광칩(230)에서 발생되어 방출되는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다른 파장의 빛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및 측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회로패턴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절연층 110: 제1 회로패턴층
120: 제2 회로패턴층 110a: 제1 비아
120a: 제2 비아 130: 솔더레지스트층
140: 제2 절연층 150: 방열판
160: 발광소자 170: 와이어
210: 리드프레임 220: 패키지몰드
230: 발광칩 240: 와이어
250: 몰딩재 300: 발광 다이오드 모듈

Claims (9)

  1. 절연층;
    상기 절연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적층되고, 그 일측 단부는 연장되어 상기 절연층의 일측 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타측 단부는 상기 절연층의 타측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1 회로패턴층 및 제2 회로패턴층;
    상기 제1 회로패턴층 상에 도포된 솔더레지스트층;
    상기 제1 회로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솔더레지스트층의 일부분을 수직 관통하여 형성된 제1 비아;
    상기 제2 회로패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솔더레지스트층 및 상기 절연층의 일부분을 수직 관통하여 형성된 제2 비아; 및
    상기 솔더레지스트층 상에 실장된 발광소자;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패턴층과 상기 제2 회로패턴층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패턴층 및 상기 제2 회로패턴층은 동박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제1 비아와 상기 제2 비아 사이에 위치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칩 또는 패키지 형태로 실장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칩 형태로 실장되는 경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제1 비아 및 상기 제2 비아의 상면과 와이어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패키지 형태로 실장되는 경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제1 비아 및 상기 제2 비아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리드프레임;
    상기 리드프레임의 일부를 내측에 수용하면서 몰딩재 충진 공간을 구비하는 패키지몰드;
    상기 패키지몰드 내부의 상기 리드프레임 상에 실장된 발광칩; 및
    상기 패키지몰드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발광칩을 보호하는 몰딩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패턴층의 하면에 차례로 적층된 제2 절연층 및 방열판을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KR1020080081212A 2008-08-20 2008-08-20 발광 다이오드 모듈 KR101498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212A KR101498682B1 (ko) 2008-08-20 2008-08-20 발광 다이오드 모듈
US12/330,968 US7935971B2 (en) 2008-08-20 2008-12-09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212A KR101498682B1 (ko) 2008-08-20 2008-08-20 발광 다이오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134A KR20100028134A (ko) 2010-03-12
KR101498682B1 true KR101498682B1 (ko) 2015-03-04

Family

ID=4169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212A KR101498682B1 (ko) 2008-08-20 2008-08-20 발광 다이오드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35971B2 (ko)
KR (1) KR101498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5780B (zh) * 2010-10-14 2018-12-21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用于立体led显示器的空中立体成像系统
KR101719627B1 (ko) * 2010-12-23 2017-03-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3000771B (zh) * 2011-09-16 2015-03-18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的制造方法
TW201432961A (zh) * 2013-02-05 2014-08-16 Lextar Electronics Corp 基板結構
JP2017163058A (ja) *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dモジュール
JP6817599B2 (ja) * 2016-03-10 2021-0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dモジュール
JP6881874B2 (ja) * 2018-03-29 2021-06-02 Hoya株式会社 光照射モジュール、及びled素子用配線基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1239A (ja) * 2004-06-29 2006-01-12 Kyocera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80012511A (ko) * 2006-08-03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유닛,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표시 장치
JP2008160128A (ja) * 2006-12-21 2008-07-10 Lg Electronics Inc 印刷回路基板、これを含む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856B1 (ko) * 2003-06-03 2006-02-10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led)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50130B1 (ko) * 2005-03-23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어셈블리,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JP4798432B2 (ja) * 2005-11-21 2011-10-19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KR100786798B1 (ko) 2006-02-28 2007-12-18 한국광기술원 발광다이오드 조명 모듈
KR20070093769A (ko) 2006-03-15 2007-09-19 최효승 자유 부착형 판넬, 띠, 전선, 자유 부착형 발광 소자,자유부착형 발광 소자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전광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1239A (ja) * 2004-06-29 2006-01-12 Kyocera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80012511A (ko) * 2006-08-03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유닛,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표시 장치
JP2008160128A (ja) * 2006-12-21 2008-07-10 Lg Electronics Inc 印刷回路基板、これを含む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44742A1 (en) 2010-02-25
KR20100028134A (ko) 2010-03-12
US7935971B2 (en) 201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388B1 (ko) 양극산화 금속기판 모듈
JP4305896B2 (ja) 高輝度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98682B1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
US20100033976A1 (en) Heat dissipation module for light emitting diode
US20130062633A1 (en) LED Array Having Embedded LED and Method Therefor
US20130037830A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2957287U (zh) 半导体发光元件的封装结构
KR20100089115A (ko) 발광 다이오드 유닛의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 유닛
US20100096661A1 (en) Light emitting diode module
WO2011136446A1 (en) Optical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85303B2 (en) Method of making an LED device
JP2012212824A (ja) Led搭載用基板
KR101115403B1 (ko) 발광 장치
US20120256205A1 (en) Led lighting module with uniform light output
KR20120110189A (ko) 발광다이오드 실장에 적합한 고방열성 회로기판 제조방법
KR101768908B1 (ko) 메탈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엘이디 패키지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CN214898493U (zh) 一种芯片封装级光源
CN217768371U (zh) MicroLED封装结构
KR101195015B1 (ko) 광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53048B1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
KR101216936B1 (ko) 발광 다이오드
KR101146656B1 (ko) 광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956128B1 (ko) 테이프 타입의 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8991B1 (ko) 사이드 뷰 광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60425A (ko) 엘이디 패키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